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1.주역(周易)

『주역(周易)』57. 손괘(巽卦)[卦象:중풍손]

by 석담 김한희 2022. 2. 28.
728x90

『주역(周易)』

57. 손괘(巽卦)[卦象:중풍손]

 巽上

 巽下

()[.바람]이 아래에 있고, ()[.바람]이 또 위에 있다.

 

卦辭(괘사) 문왕

巽 小亨 利有攸往 利見大人.

()은 조금 형통하니, 위태(危殆)함이 있어도 가야 이롭고, 대인을 보니 이롭다.

 

重巽以申命剛巽乎中正而志行柔皆順乎剛是以小亨利有攸往利見大人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괘가 거듭됨으로서 명령을 거듭하니, 굳셈이 가운데 바름에 유순하면서 뜻을 행하고, 부드러움이 모두 굳셈을 따른다.

이로써 조금 형통하니, 위태(危殆)함이 있어도 가야 이롭고, 대인을 보게되니 이롭다.

 

隨風巽君子以申命行事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바람을 따름이 손()인데, 군자가 그로써 명령을 거듭하여 일을 행한다.

 

 

 爻辭(효사) 주공  

初六進退利武人之貞

초육(初六)은 나아가고 물러나니, 무인(武人)의 곧음이 이롭다.

進退志疑也利武人之貞志治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나아가고 물러남은 뜻이 의심스러움이다. “무인의 곧음이 이로움은 뜻을 다스림이다.

 

九二巽在床下用史巫紛若 吉 无咎

구이(九二)는 유순하여 평상[] 아래에 있는데, 사관(史官)과 점치는 사람[巫人]이 번잡한 듯 사용해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紛若之吉得中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번잡한 듯 함의 길함은 가운데를 얻었음이다.

 

九三頻巽吝

구삼(九三)은 자주 유순하니 부끄럽다.

頻巽之吝志窮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자주 유순함의 부끄러움은 뜻이 궁함이다.

 

六四悔亡田獲三品

육사(六四)는 후회가 없어짐은, 사냥에서 삼품[임금의 푸주간을 채움]을 얻었음이다.

田獲三品有功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사냥을 하여 삼품을 얻음은 공이 있음이다.

 

九五貞吉悔亡无不利无初有終先庚三日後庚三日

구오(九五)는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처음은 없지만 끝에는 있다. ()에서 삼일을 먼저하고 경()에서 삼일을 뒤에하면 길하다

九五之吉位正中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구오의 길함은 자리가 바르고 가운데 이기 때문이다.

 

上九巽在床下喪其資斧貞凶

상구(上九)는 유순함이 평상 아래에 있어서 노자(路資)와 도끼를 잃으니, 곧으면 흉하다

巽在床下上窮也喪其資斧正乎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유순함이 평상 아래에 있음은 위쪽이 궁함이다. “그 노자(路資)와 도끼를 잃음은 흉함에 바로잡아짐이다.

 

 ()부드러울 손, ()어지러울 분[많음], ()자주 빈,

 

▣ 【序卦傳(서괘전) 공자

旅而無所容, 故受之以巽. 巽者入也.

나그네[여행]는 용납되는 곳이 없기 때문에 손괘(巽卦)로 받는다. ()이란 것은 들어감[허용]이다.

 

 죽서 주역(竹書周易) 경문

此卦残缺

 

 백서 주역(帛書周易) 경문

[》:]利有攸往利見大[]

初六進内利武人之貞

九二筭在牀下用使巫忿若无咎

九三編筭

六四田獲三品

九五貞吉无不利[]有終先庚三[]後庚三日

尚九筭在牀下亡亓溍斧貞凶。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