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2 소남(召南)≫
13. 채번(采蘩, 흰쑥을 뜯다)
于以采蘩 于沼于沚
(우이채번 우소우지)
흰쑥을 뜯는 데는 못 가와 물가라네
于以用之 公侯之事
(우이용지 공후지사)
그 쑥 쓰는 데는 공후의 제사라네
于以采蘩 于澗之中
(우이채번 우간지중)
흰쑥을 뜯는 데는 산골 시냇가라네
于以用之 公侯之宮
(우이용지 공후지궁)
그 쑥 쓰는 데는 공후의 사당이라네
被之僮僮 夙夜在公
(피지동동 숙야재공)
조심스레 머리 꾸미고 종일 공의 사당에 있었네
被之祁祁 薄言還歸
(피지기기 박언환귀)
성대하게 머리를 꾸미고 조용히 돌아가자 말하네.
《采蘩》三章,章四句。
《모시(毛詩)》
한(漢)나라 모형(毛亨, ?~?)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毛詩序】 《采蘩》,夫人不失職也。夫人可以奉祭祀,則不失職矣。
【모시 서】 <채번(采蘩)>은 부인이 직분(職分)을 잃지 않음을 읊었다. 부인이 제사를 받들 수 있으니 곧 직분을 잃지 않았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于以采蘩 于沼于沚
<흰쑥을 뜯는 데는 못 가와 물가라네>
【毛亨 傳】 蘩,皤蒿也。于,於。沼 池, 沚 渚也。公侯夫人執蘩菜以助祭,神饗德與信,不求備焉,沼沚谿澗之草,猶可以薦。王後則荇菜也。
【모형 전】 번(蘩)은 흰쑥이다. 우(于)는 ~에서이다. 소(沼)는 못이고, 지(沚)는 물가이다. 공과 제후의 부인이 흰쑥과 나물을 뜯어서 제사를 돕는데, 신이 덕과 믿음을 흠향(歆饗)하지만 그것을 갖추어 구하지는 않으니 못과 물가와 시내와 산골의 풀을 오히려 올릴 수 있음이다.
于以用之 公侯之事
<그 쑥 쓰는 데는 공후의 제사라네>
【毛亨 傳】 之事,祭事也。
【모형 전】 지사(之事)는 제사를 지냄이다.
于以采蘩 于澗之中
<흰쑥을 뜯는 데는 산골 시냇가라네>
【毛亨 傳】 山夾水曰澗。
【모형 전】 산 협곡의 물을 산골물[澗]이라 말한다.
于以用之 公侯之宮
<그 쑥 쓰는 데는 공후의 사당이라네>
【毛亨 傳】 宮,廟也。
【모형 전】 궁(宮)은 사당이다.
被之僮僮 夙夜在公
<조심스레 머리 꾸미고 종일 공의 사당에 있었네>
【毛亨 傳】 被,首飾也。僮僮,竦敬也。夙,早也。
【모형 전】 피(被)는 머리 꾸밈이다. 동동(僮僮)은 굽실거리며 조심함이다. 숙(夙)은 이른 아침이다.
被之祁祁 薄言還歸
<성대하게 머리를 꾸미고 조용히 돌아가자 말하네.>
【毛亨 傳】 祁祁,舒鷃也,去事有儀也。
【모형 전】 기기(祁祁)는 메추라기 처럼 [성대하게] 펼침이다.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于以采蘩 于沼于沚
<흰쑥을 뜯는 데는 못 가와 물가라네>
【鄭玄 箋】 箋雲:於以,猶言「往以」也。「執蘩菜」者,以豆薦蘩菹。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어이(於以)는 ”감으로써“를 말함과 같다. 흰쑥을 뜯는 것은 그로써 제수(祭需)로 올리는 흰쑥을 절임이다.
于以用之 公侯之事
<그 쑥 쓰는 데는 공후의 제사라네>
【鄭玄 箋】 箋雲:言夫人於君祭祀而薦此豆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부인(夫人)이 부군의 제사에 이것을 제수(祭需)로 올린다는 말이다.
于以采蘩 于澗之中
<흰쑥을 뜯는 데는 산골 시냇가라네>
于以用之 公侯之宮
<그 쑥 쓰는 데는 공후의 사당이라네>
被之僮僮 夙夜在公
<조심스레 머리 꾸미고 종일 공의 사당에 있었네>
【鄭玄 箋】 箋雲:公,事也。早夜在事,謂視濯溉饎爨之事。《禮記》:「主婦髲髢。」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공(公)은 섬김이다. 아침과 저녁에 제사 지내는데 부엌에서 씻고 행구어 음식(飮食)을 하는 일이 보임을 말함이다. 《예기(禮記)》 주부 가발[피체(髲髢)]에 있다.
被之祁祁 薄言還歸
<성대하게 머리를 꾸미고 조용히 돌아가자 말하네.>
【鄭玄 箋】 箋雲:言,我也。祭事畢,夫人釋祭服而去髲髢,其威儀祁祁然而安舒,無罷倦之失。我還歸者,自廟反其燕寢。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언(言)은 나이다. 제사 지내는 일을 마침은, 부인이 제복(祭服)을 벗고 가발[피체(髲髢)]을 벗는데, 그 거동의 위엄이 조용하면서도 편안히 펼치니 마침이 게으름을 잃음이 없음이다. 내가 돌이켜 돌아가는 것은 사당으로부터 그 머무르는 침실로 돌아감이다.
《모시정의(毛詩正義)》
ㅡ 한(漢)나라, 毛亨傳 鄭玄箋 당(唐)나라, 孔穎達疏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采蘩》,夫人不失職也。夫人可以奉祭祀,則不失職矣。(奉祭祀者,采蘩之事也。不失職者,夙夜在公也。○蘩音煩,本亦作「繁」,孫炎雲「白蒿」。)
於以采蘩?於沼於沚。(蘩,皤蒿也。於,於。沼,池。沚,渚也。公侯夫人執蘩菜以助祭,神饗德與信,不求備焉,沼沚谿澗之草,猶可以薦。王後則荇菜也。箋雲:於以,猶言「往以」也。「執蘩菜」者,以豆薦蘩菹。○沼,之紹反。沚音止。皤,薄波反,白也。蒿,好羔反。谿,苦兮反,杜預雲「澗也」。)
於以用之?公侯之事。(之事,祭事也。箋雲:言夫人於君祭祀而薦此豆也。)
疏「於以」至「之事」。○正義曰:言夫人往何處采此蘩菜乎?於沼池、於沚渚之傍采之也。既采之為菹,夫人往何處用之乎?於公侯之宮祭事,夫人當薦之也。此章言其採取,故卒章論其祭事。○傳「蘩,皤蒿」。○正義曰:《釋草》文。孫炎曰:「白蒿也。」然則非水菜。此言沼沚者,謂於其傍采之也。下於澗之中,亦謂於曲內,非水中也。○傳「公侯」至「荇菜」。正義曰:言執蘩菜以助祭者,以采之本為祭用,既言公侯夫人執蘩菹,嫌王後尊,不可親事,故因明王後則親執荇菜也。言不求備者,據詩舉荇菜,非其備者,其實祭則備物,故《關雎》傳雲「備庶物以事宗廟」,是也。《左傳》曰:「荀有明信,澗谿沼沚之毛,可薦於鬼神。」彼言毛,此傳言草,皆菜也。○箋「於以」至「蘩菹」。正義曰:經有三「於」,傳訓為「於」,不辨上下。箋明下二「於」為「於」,上「於」為「往」,故疊經以訓之。言「往」足矣,兼言「往以」者,嫌「於以」共訓為 「往」,故明之。又言以豆薦蘩菹者,《醢人》雲「四豆之實」,皆有菹,菹在豆,故知以豆薦蘩菹也。《特牲》雲「主婦設兩敦黍稷於菹南,西上,及兩鉶鉶芼設於豆南,南陳」,即主婦亦設羹矣。知蘩不為羹者,《祭統》雲「夫人薦豆」,《九嬪職》雲「讚後薦,徹豆籩」,即王後夫人以豆為重,故《關雎》箋雲「後妃供荇菜之菹」,亦不為羹。《采蘋》知為羹者,以教成之祭,牲用魚,芼之以蘋藻,故知為羹。且使季女設之,不以薦事為重,與此異也。○傳「之事,祭事」。○正義曰:序雲「可以奉祭祀」,故知祭事。祭必於宗廟,故下雲「宮」,互見其義也。
於以采蘩?於澗之中。(山夾水曰澗。○澗,古晏反。夾,古洽反,一音古協反。)
於以用之?公侯之宮。(宮,廟也。)
被之僮僮,夙夜在公。(被,首飾也。僮僮,竦敬也。夙,早也。箋雲:公,事也。早夜在事,謂視濯溉饎爨之事。《禮記》:「主婦髲髢。」○被,皮寄反。注及下同。僮音同。蚤音早,本多作「早」,下同。濯,直角反。溉,古愛反。饎,昌誌反,酒食也。爨,七亂反。髲,皮寄反,鄭音發。鬄,本亦作髢,徒帝反,劉昌宗吐曆反,沈湯帝反,鄭注《少牢禮》雲「古者或剔賤者、刑人之發以被婦人之紒,因以名焉。《春秋》以為呂薑髢」,是也。紒音計。)
被之祁祁,薄言還歸。(祁祁,舒鷃也,去事有儀也。箋雲:言,我也。祭事畢,夫人釋祭服而去髲髢,其威儀祁祁然而安舒,無罷倦之失。我還歸者,自廟反其燕寢。○祁,巨私反。罷音皮,本或作「疲」。)
疏「被之」至「還歸」。○正義曰:言夫人首服被鬄之飾,僮僮然甚竦敬乎!何時為此竦敬?謂先祭之時,早夜在事,當視濯溉饎爨之時甚竦敬矣。至於祭畢釋祭服,又首服被鬄之釋,祁祁然有威儀。何時為此威儀乎?謂祭事既畢,夫人雲薄欲還歸,反其燕寢之時,明有威儀矣。○傳「被,首飾」。○正義曰:被者,首服之名,在首,故曰首飾。箋引《少牢》之文,雲「主婦髲鬄」,與此被一也。案《少牢》作「被裼」,注雲:「被裼讀為髲鬄。古者或剔賤者、刑者之發,以被婦人之紒為飾,因名髲鬄焉。此《周禮》所謂次也。」又「追師掌為副編次」,注雲「次,次第,發長短為之,所謂髲髢」,即與次一也。知者,《特牲》雲「主婦纚笄」,《少牢》雲「被錫纚笄」,笄上有次而已,故知是《周禮》之次也。此言被,與髲鬄之文同,故知被是《少牢》之髲鬄,同物而異名耳。《少牢》注讀「被錫」為「髲鬄」者,以剔是翦發之名,直雲「被錫」,於用發之理未見,故讀為「髲鬄」,鬄,剔發以被首也。《少牢》既正其讀,故此及《追師》引經之言髲鬄也。定本作「髲髢」,與俗本不同。《少牢》雲「主婦衣侈袂」,注雲「衣綃衣而侈其袂耳」。侈者,蓋士妻之袂以益之,衣三尺三寸,袪尺八寸。此夫人首服與之同,其衣即異。何者?夫人於其國,與王後同,展衣以見君,褖衣禦序於君。此雖非正祭,亦為祭事,宜與見君相似,故《絲衣》士視壺濯猶爵弁,則此夫人視濯溉,蓋展衣,否則褖衣也。知非祭服者,《郊特牲》曰「王皮弁以聽祭報」,又曰「祭之日,王被袞以象天」。王非正祭不服袞,夫人非正祭不服狄衣,明矣。且狄,首服副,非被所當配耳,故下箋雲「夫人祭畢,釋祭服而去」,是也。《少牢》注侈綃衣之袂,《追師》注引《少牢》「衣侈袂」以為侈褖衣之袂。不同者,鄭以《特牲禮》士妻綃衣,大夫妻言侈袂,對士而言,故侈綃衣之袂。以無明文,故《追師》之注更別立說,見士祭玄端,其妻綃衣,大夫祭朝服,其妻亦宜與士異,故為侈褖衣之袂也。知非助祭、自祭為異者,以助祭申上服,卿妻鞠衣,大夫妻展衣,不得侈褖衣之袂。此「主婦髲鬄」,在《少牢》之經,箋雲「《禮記》曰」者,誤也。○傳「僮僮,竦敬」。○正義曰:知僮僮不為被服者,以下祁祁據夫人之安舒,故此為竦懼而恭敬也。○箋「早夜」至「之事」。○正義曰:早謂祭日之晨,夜謂祭祀之先夕之期也。先夙後夜,便文耳。夜在事,謂先夕視濯溉。早在事,謂朝視饎爨。在事者,存在於此視濯溉饎爨之事,所謂不失其職也。鄭何知非當祭之日,自早至夜而以為視濯者,以「被之祁祁,薄言還歸」據祭畢,即此「被之僮僮」為祭前矣。若為自夙至夜,則文兼祭末,下不宜複言祭末之事,故鄭引髲鬄與被為一,非祭時所服,解在公為視濯,非正祭之時也。經言夙夜在公,知是視濯溉饎爨者,諸侯之祭禮亡,正以言夙夜是祭前之事。案《特牲》「夕陳鼎於門外,宗人升自西階,視壺濯及籩豆」,即此所雲夜也。又雲「夙興,主婦親視饎爨於西堂下」,即此所雲夙也。以其夙夜之事同,故約之以為濯溉饎爨之事也。《特牲》言濯,不言溉,注雲「濯,溉也」,即濯、溉一也,鄭並言耳。《特牲》宗人視濯,非主婦,此引之者,諸侯與士不必盡同,以凡夙夜,文王夫人,故約彼夙夜所為之事以明之。不約《少牢》者,以《少牢》先夕無事,所以下人君祭之日,朝乃饔人溉鼎,廩人溉甑,無主婦所視,無饎爨之文,故鄭不約之。士妻得與夫人同者,士卑不嫌也。此諸侯禮,故夫人視濯。天子則大宗伯視滌濯,王後不視矣。○傳「祁祁」至「有儀」。○正義曰:言去事有儀者,謂祭畢去其事之時有威儀,故箋雲「祭畢,釋祭服而去」,是去事也。「髲鬄,其威儀祁祁然而安舒」,是有儀也。定本雲「祭事畢,夫人釋祭服而髲髢」,無「去」字。知祭畢釋祭服者,以其文言「被」,與上同,若祭服即副矣,故知祭畢皆釋祭服矣。○箋「我還」至「燕寢」。○正義曰:言此者,以廟寢同宮,嫌不得言歸,故明之燕寢,夫人常居之處。
《采蘩》三章,章四句。
'▣ 시경(詩經) > ◑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5. 채빈(采蘋, 부평초 뜯기) (0) | 2022.02.20 |
---|---|
『시경(詩經)』14. 초충(草蟲, 풀 벌래) (0) | 2022.02.19 |
『시경(詩經)』12. 작소(鵲巢, 까치 둥지) (0) | 2022.02.17 |
『시경(詩經)』10. 여분(汝墳, 여수 방죽) (0) | 2022.02.14 |
『시경(詩經)』9. 한광(漢廣, 넓은 한수)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