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3 패풍(邶風≫
◎ 39. 천수(泉水, 샘물)
毖彼泉水 亦流于淇
(비피천수 역류우기)
졸졸 흐르는 저 샘물도 기수로 흘러가는데
有懷于衛 靡日不思
(유회우위 미일불사)
위나라를 그리워하며 생각 않는 날이 없다네
孌彼諸姬 聊與之謀
(연피제희 료여지모)
어여뿐 저 언니들과 돌아갈 일 의논해야겠네
出宿于泲 飮餞于禰
(출숙우제 음전우녜)
제 땅을 나가 잠 자고 니 땅에서 전별주 마시며
女子有行 遠父母兄弟
(여자유행 원부모형제)
여자가 신행을 하니 부모와 형제에서 멀어졌다네
問我諸姑 遂及伯姊
(문아제고 수급백자)
나의 고모에게 물어보고 큰언니도 만나고 싶다네
出宿于干 飮餞于言
(출숙우간 음전우언)
간 땅을 나가 잠을 자고 언 땅에서 전별주 마시며
載脂載舝 還車言邁
(재지재할 환거언매)
기름 치고 비녀장 꽂은 수레로 언 땅 멀리 돌아가면
遄臻于衛 不瑕有害
(천진우위 불하유해)
위나라에 금세 도착하여 멀어도 해로울 것 없으련만
我思肥泉 玆之永歎
(아사비천 자지영탄)
나는 비천의 물을 생각하며 이에 길게 탄식하는데
思須與漕 我心悠悠
(사수여조 아심유유)
수 읍과 조 읍을 생각하니 나의 마음 아득하다네
駕言出遊 以寫我憂
(가언출유 이사아우)
수레타고 언 땅 나가 노닐며 나의 시름 덜어보네
<泉水> 四章 章六句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한(漢)나라 모형(毛亨, ?~?)이 『시』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정현(鄭玄)이 전(箋)을 달고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서 전해 오는 오늘날의 『시경』이다.
【毛詩序】 <泉水>, 衛女思歸也. 嫁於諸侯, 父母終, 思歸寧而不得故作是詩以自見也.
【모시 서】 <천수(泉水)>는 위(衛)나라 여인이 [친정에] 돌아갈 생각함이다. 제후에게 시집갔는데, [친정] 부모가 사망하니 돌아가 안부를 묻고 싶었으나 가지 못했기 때문에 이 시를 지어서 스스로 [슬픔을] 나타냈다.
毖彼泉水 亦流于淇
<졸졸 흐르는 저 샘물도 기수로 흘러가는데>
【毛亨 傳】 興也. 泉水始出 毖然流也. 淇 水名也.
【모형 전】 흥(興)이다. 샘물이 나오기 시작할적에는 졸졸하며 흐른다. 기(淇)는 강물[水]의 이름이다.
有懷于衛 靡日不思
<위나라를 그리워하며 생각 않는 날이 없다네>
孌彼諸姬 聊與之謀
<어여뿐 저 언니들과 돌아갈 일 의논해야겠네>
【毛亨 傳】 孌 好貌, 諸姬 同姓之女 聊 願也
【모형 전】 련(孌, 아름다울 련)은 좋은 모습이고, 제희(諸姬)는 같은 성(姓)의 여자이며, 료(聊)는 원함이다.
出宿于泲 飮餞于禰
<제 땅을 나가 잠 자고 니 땅에서 전별주 마시며>
【毛亨 傳】 泲 地名. 祖而舍軷 飮酒於其側曰餞, 重始有事於道也. 禰 地名.
【모형 전】 제(泲)는 땅의 이름이다. 조상과 길 신(神)에 제사 지낼적에 그 곁에서 술을 마시는 것을 전(餞, 보낼 전)이라 말하는데, 길을 나서는 시작함이 중함이다. 니(禰)는 땅의 이름이다.
女子有行 遠父母兄弟
<여자가 신행을 하니 부모와 형제에서 멀어졌다네>
問我諸姑 遂及伯姊
<나의 고모에게 물어보고 큰언니도 만나고 싶다네>
【毛亨 傳】 父之姊妹稱姑 先生曰姊.
【모형 전】 아버지의 자매(姊妹)를 고모라 칭하고, [자매 중에] 먼저 태어난 이를 언니라 말한다.
出宿于干 飮餞于言
<간 땅을 나가 잠을 자며 언 땅에서 전별주 마시고>
【毛亨 傳】 干言, 所適國郊也.
【모형 전】 간(干)과 언(言)은, 시집간[맞이할] 곳 나라의 교외이다.
載脂載舝 還車言邁
<기름 치고 비녀장 꽂은 수레로 언 땅 멀리 돌아가면>
【毛亨 傳】 脂舝其車 以還我行也.
【모형 전】 수레에 기름 치고 비녀장 꽂고 그[수레]로써 나는 돌아 간다.
遄臻于衛 不瑕有害
<위나라에 금세 도착하여 멀어도 해로울 것 없으련만>
【毛亨 傳】 遄 疾, 臻 至, 瑕 遠也.
【모형 전】 천(遄, 빠를 천)은 빠름이고, 진(臻, 이를 진)은 이르름이며, 하(瑕, 허물 하)는 멀리이다.
我思肥泉 玆之永歎
<나는 비천의 물을 생각하며 이에 길게 탄식하네>
【毛亨 傳】 所出同 所歸異爲肥泉.
【모형 전】 나온 곳은 같은데 돌아가는 곳이 다름이 비천(肥泉)이 된다.
思須與漕 我心悠悠
<수 읍과 조 읍을 생각하니 나의 마음 아득하다네>
【毛亨 傳】 須漕 衛邑也.
【모형 전】 수(須)와 조(漕)는 위(衛)나라의 읍이다.
駕言出遊 以寫我憂
<수레타고 언 땅 나가 노닐며 나의 시름 덜어내네>
【毛亨 傳】 寫 除也.
【모형 전】 사(寫, 베낄 사)는 덜어냄이다.
<泉水> 四章 章六句
'▣ 시경(詩經) > ◑毛詩傳 305篇[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경 41. 북풍(北風, 북쪽 바람)/毛詩傳 (0) | 2025.03.26 |
---|---|
◎ 『시경(詩經)』 40. 북문(北門, 북쪽 문)/毛詩傳 (0) | 2025.03.24 |
◎ 시경 38. 간혜(簡兮, 씩씩한 춤)/毛詩傳 (0) | 2025.03.20 |
◎ 시경 37. 모구(旄丘, 높은 언덕)/毛詩傳 (0) | 2025.03.18 |
◎ 시경 36.식미(式微, 쇠미한 권위)/毛詩傳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