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맹자(孟子).趙岐 注/1.양혜왕~7.진심篇

『맹자(孟子)』진심(盡心)-下

by 석담 김한희 2022. 2. 5.
728x90

『맹자(孟子)

《맹자 장구(孟子章句)》

○ 조기(趙岐,108~201년, 漢)

동한(東漢때 사람인 조기(趙岐)가 맹자에 처음으로 주()를 달고 편장을 나누어 맹자장구(孟子章句)를 지었으며 송나라 때 손석(孫奭)이 소()를 붙여 맹자주소(孟子注疏)를 지었으며 맹자정의(孟子正義)라고도 한다.

 

진심(盡心)-

1

 

孟子曰: 不仁哉梁惠王也! 仁者以其所愛及其所不愛,不仁者以其所不愛及其所愛

公孫丑問曰: 何謂也?” “梁惠王以土地之故,糜爛其民而戰之,大敗,將復之,恐不能勝,故驅其所愛子弟以殉之,是之謂以其所不愛及其所愛也

맹자(孟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않도다, ()나라 혜왕(惠王)이여! 어진 자[仁者]는 그가 사랑하는 바를 가지고 그 사랑하지 않는 바에 미치고, 어질지 않은 자[不仁者]는 그가 사랑하지 않는 바를 가지고 그 사랑하는 바에 미치게 한다.

공손추(公孫醜)가 묻기를 “무슨 말씀입니까?”라고 말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양()나라 혜왕(惠王)은 토지의 연고(緣故)를 가지고 그의 백성이 썩어 문드러지도록 싸우게 하여 크게 패했는데, 장차 다시 [싸우려] 하면서 잘 이기지 못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그의 사랑하는 바 자제(子弟)를 내몰아 그로써 죽게 하였으니, 이를 일러 '그 사랑하지 않는 바를 가지고 그 사랑하는 바에 미치게 한다'고 하네.

 

 

《맹자 장구(孟子章句)

 조기(趙岐,108~201, )

동한(東漢) 때 조기(趙岐)가 《맹자(孟子)》에 처음으로 주()를 달고 편장을 나누어 《맹자장구(孟子章句)》를 지었다.

 

진심(盡心)-

1

孟子曰:「不仁哉!梁惠王也。仁者以其所愛,及其所不愛。不仁者以其所不愛,及其所愛。」

<맹자(孟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않도다, ()나라 혜왕(惠王)이여! 어진 자[仁者]는 그가 사랑하는 바를 가지고 그 사랑하지 않는 바에 미치고, 어질지 않은 자[不仁者]는 그가 사랑하지 않는 바를 가지고 그 사랑하는 바에 미치게 한다.>

【趙岐 注】: 梁,魏都也。以,用也。仁者用恩於所愛之臣民,王政不偏普施德,所不親愛者並蒙其恩澤也。用不仁之政加於所不親愛,則有災傷,所親愛之臣民亦並被其害。惠王好戰殺人,故孟子曰不仁哉。

【조기 注】: (), ()나라 도읍(都邑)이다. (, 써 이), 사용함이다. 어진 자[仁者], 사랑하는 바의 신하와 백성에게 은혜를 사용하고 왕이 정사를 넓리 베풀어 덕을 가르침이 치우치지 않으며, 친애(親愛)하지 않는 자는 나란히 그 은택(恩澤)을 받는 바이다. 어질지 않음의 정사를 사용하여 친애(親愛)하지 않는 바에 더하면 다치는 재앙이 있어서 친애(親愛)하는 신하와 백성이 또한 나란히 그 해로움을 당하는 바이다. 혜왕(惠王)이 전쟁과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맹자께서 '어질지 않도다!'라고 말했다.

 

公孫醜問曰:「何謂也?」

<공손추(公孫醜)가 묻기를 “무슨 말씀입니까?”라고 말했다. >

【趙岐 注】: 醜問及所愛之狀何謂也。

【조기 注】: 공손추[]가 사랑하는 바가 미치는 상황(狀況)이 무슨 말인가를 물었음이다.

 

「梁惠王以土地之故,糜爛其民而戰之,大敗。將複之,恐不能勝,故驅其所愛子弟以殉之,是之謂以其所不愛及其所愛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양()나라 혜왕(惠王)은 토지의 연고(緣故)를 가지고 그의 백성이 썩어 문드러지도록 싸우게 하여 크게 패했는데, 장차 다시 [싸우려] 하면서 잘 이기지 못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그의 사랑하는 바 자제(子弟)를 내몰아 그로써 죽게 하였으니, 이를 일러 '그 사랑하지 않는 바를 가지고 그 사랑하는 바에 미치게 한다'고 하네.>

【趙岐 注】: 孟子言惠王貪利鄰國之土地而戰,其民死亡於野,骨肉糜爛而不收兵,大敗而欲複戰,恐士卒少不能用勝,故複驅其所愛近臣及子弟而以殉之。殉,從也。所愛從其所不愛而往趨死亡,故曰及其所愛也。東敗於齊,長子死焉。

【조기 注】: 맹자께서 혜왕(惠王)이 이웃 나라의 토지가 이로움을 탐하여서 전쟁하여 그 백성들이 들에서 죽어 없어지고 뼈와 살이 썩어 문드러지는데도 병사를 수습하지 않고 크게 패하였는데 다시 싸우려 하면서 군졸이 적어 잘 이기지 못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다시 그 사랑하는 바의 가까운 신하와 자제들까지 내몰아서 그로써 죽게 하였음을 말함이다. (, 따라죽을 순)은 붙좇음이다. 사랑하는 바를 그 사랑하지 않는 바에 붙좇아 따라 가서 죽어 없어졌기 때문에 '그의 사랑하는 곳에 미쳤다.'라고 말했음이다. 동쪽으로 제()나라에서 패하여 맏아들이 그곳에서 죽었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

孟子曰: 《春秋》無義戰。彼善於此,則有之矣。

征者,上伐下也,敵國不相征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춘추(春秋)》에는 의로운 전쟁은 없지만,  [나라]가 이[나라] 보다 착한 경우는 있다.

정벌[]이라는 것은 위에서 아래를 치[]는 것이니, 대등[]한 나라는 서로 정벌하지 않는다.

 

 

 

진심(盡心)-

2

孟子曰:「《春秋》無義戰,彼善於此則有之矣。征者,上伐下也,敵國不相征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춘추(春秋)》에는 의로운 전쟁은 없지만, [나라]가 이[나라] 보다 착한 경우는 있다. 정벌[]이라는 것은 위에서 아래를 치[]는 것이니, 대등[]한 나라는 서로 정벌하지 않는다.>

【趙岐 注】: 《春秋》所載戰伐之事,無應王義者也。彼此相覺有善惡耳,孔子毫毛之善,貶纖芥之惡,故皆錄之於《春秋》也。上伐下謂之徵,諸侯敵國不相征。五霸之世,諸侯相征,於三王之法,皆不得其正者也。

【조기 注】: 《춘추(春秋)》에는 전쟁하여 정벌(征伐)하는 일을 실은 바인데, 왕의 의로움에 응당함이 없는 것이다. [나라]와 이[나라]가 서로 선악(善惡)이 있음을 깨달을 뿐인데 공자께서 가느다란 터럭의 착함을 들고 작은 겨자의 악함을 낮추었기 때문에 모두를 《춘추(春秋)》에 기록 하였다. 위에서 아래를 치[]는 것을 일러서 징(懲戒)이라 하며, 제후(諸侯)는 대등[]한 나라를 서로 정벌하지 않는다. 오폐(五霸)의 세상에는 제후가 서로 정벌을 하였는데 삼왕(三王)의 법도에는 모두 바름을 얻지 못하는 것 들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

孟子曰: 盡信《書》,則不如無《書》。

吾於《武成》,取二三策而已矣。

仁人無敵於天下,以至仁伐至不仁,而何其血之流杵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서경(書經)》의 내용을 모두 믿는다면, 《서경》이 없는 것만 못하다. 나는 〈무성(武成)〉에서 두세 쪽을 취할 뿐이다.

어진 사람은 천하에 대적할 사람이 없으며, 지극한 어짊을 가지고 지극히 어질지 않음을 정벌하였는데, 어찌 그[죽은 이의] 피가 절굿공이를 흐르게 하였겠는가?

 

 

진심(盡心)-

 

3

孟子曰:「盡信《書》,則不如無《書》。吾於《武成》,取二三策而已矣。仁人無敵於天下,以至仁伐至不仁,而何其血之流杵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서경(書經)》의 내용을 모두 믿는다면, 《서경》이 없는 것만 못하다. 나는 〈무성(武成)〉에서 두세 쪽을 취할 뿐이다. 어진 사람은 천하에 대적할 사람이 없으며, 지극한 어짊을 가지고 지극히 어질지 않음을 정벌하였는데, 어찌 그[죽은 이의] 피가 절굿공이를 흐르게 하였겠는가?>

【趙岐 注】: 《書》,《》。經有所美,言爭或過,若《康誥》曰「冒聞於上帝」,《甫刑》曰「帝問下民」,《梓材》曰「欲至於萬年」,又曰「子子孫孫,永保民」。人不能聞天,天不能問於民,萬年永保,皆不可得,豈可案文而皆信之哉。《武成》,逸《書》之篇名,言武王誅紂,戰殺人,血流舂杵。孟子言武王以至仁伐至不仁,殷人簞食壺漿而迎其師,何乃至於血流漂杵乎?故吾取《武成》兩三簡策可用者耳,其過辭則不取之也。

【조기 注】: 《서()》는 《상서()》이다. 경전은 아름다운 바가 있지만 혹 과장됨을 다투어 말했는데, 예컨대, 《강고(康誥)》에 “상제에게 듣고 이겼다.”고 말하고, 《보형(甫刑)》에 “하느님이 아래 백성들에게 맑게 물었다.”고 말하며, 《재재(梓材)》에 “만년(萬年)에 이르게 하고자 했다.”고 말하고, 또 “자자손손 대대로 영원히 백성을 보호했다.”라고 말했다. 사람이 능히 하늘에 듣지 못하고 하늘은 능히 백성에게 묻지 못하며 만년(萬年)을 영원히 보호함은 모두 책으로 해서는 얻을 수가 없는데 어찌 글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모두를 믿겠는가? 《무성(武成)》은 없어진 《서경(書經)》의 편 이름인데, 무왕(武王)이 주왕(紂王)을 벨 적에 전투(戰鬪)로 사람을 죽인 피가 절굿공이를 흘러가게 했다고 말하였는데, 맹자께서 무왕(武王)은 지극한 어짊을 가지고 지극히 어질지 않음을 정벌하였으며, ()나라 사람들이 소쿠리 밥과 병의 마실것으로 그 군대를 맞이했는데 어찌 이에 [죽은 이의] 피가 절굿공이를 흘러 떠내려 감에 이르렀겠는가? 그러므로 나는 〈무성(武成)〉에서 두세 쪽의 죽간을 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일 뿐이며 그 잘못된 말은 취하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4

孟子曰: 有人曰: 我善爲陳,我善爲戰 大罪也。

國君好仁,天下無敵焉。南面而征,北狄怨,東面而征,西夷怨,曰: 奚爲後我?

武王之伐殷也,革車三百兩,虎賁三千人。

王曰: 無畏! 寧爾也,非敵百姓也 若崩厥角稽首。【與《書》文小異

征之爲言正也,各欲正己也,焉用戰?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내가 진()을 잘 치며 나는 전쟁을 잘한다.’고 하면 큰 죄인이다. 나라의 군주가 어짊[]을 좋아하면 천하에 대적할 이가 없으며, 남쪽을 향하여 정벌하면 북쪽 오랑캐가 원망하고, 동쪽을 향하여 정벌하면 서쪽 오랑캐가 원망하며, 말하기를 ‘어찌하여 우리를 뒤에 [정벌]하시는가?’라고 한다.

무왕(武王)께서 은()나라를 정벌하실 적에 병장기 수레[革車] 3백 량()이었고, 호랑이처럼 날센 군사가 3천 명이었는데, 왕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들은 편안하니 두려워 말라, 여러 성[百姓]들을 대적하려는 것이 아니다.’고 하시자, 그 뿔이 무너지 듯이 머리를 조아렸다. 정벌[]을 함은, 바로잡는다는 말인데각각 자기를 바로잡으려 하면서전쟁을 어디에 쓰겠는가?

 

 

진심(盡心)-

4

孟子曰:「有人曰:『我善,我善。』大罪也。國君好仁,天下無敵焉。南麵而征,北夷怨;東麵而征,西夷怨。曰:『奚後我?』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내가 진()을 잘 치며 나는 전쟁을 잘한다.’고 하면 큰 죄인이다. 나라의 군주가 어짊[]을 좋아하면 천하에 대적할 이가 없으며, 남쪽을 향하여 정벌하면 북쪽 오랑캐가 원망하고, 동쪽을 향하여 정벌하면 서쪽 오랑캐가 원망하며, 말하기를 ‘어찌하여 우리를 뒤에 [정벌]하시는가?’라고 한다.>

【趙岐 注】: 此人慾勸諸侯以攻戰也,故謂之有罪。好仁無敵,四夷怨望遲,願見征,何後我。已說於上篇矣。

【조기 注】: 다른 사람들이 제후를 권하여 공격함으로써 전쟁을 하고자 함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죄가 있다고 하였다. 어짊[]을 좋아하면 대적할 이가 없으며, 네 오랑캐[四夷]가 바라기를 정벌을 당하기를 원하는데 늦으니, 어찌하여 우리를 뒤에 [정벌]하시는가?라고 원망하였음이다.

 

武王之伐殷也,革車三百兩,虎賁三千人。王曰:『無畏,寧爾也,非敵百姓也。』若崩厥角,稽首。征之言正也,各欲正己也,焉用戰?」

<무왕(武王)께서 은()나라를 정벌하실 적에 병장기 수레[革車] 3백 량()이었고, 호랑이처럼 날센 군사가 3천 명이었는데, 왕께서 말씀하시기를 ‘너희들은 편안하니 두려워 말라, 여러 성[百姓]들을 대적하려는 것이 아니다.’고 하시자, 그 뿔이 무너지 듯이 머리를 조아렸다. 정벌[]을 함은, 바로잡는다는 말인데각각 자기를 바로잡으려 하면서전쟁을 어디에 쓰겠는가?>

【趙岐 注】: 革車,兵車也。虎賁,武士小臣者也。《書》云:「虎賁贅衣,趣馬小尹。」三百兩,三百乘也。武王令殷人曰:無驚畏,我來安止爾也。百姓歸周,若崩厥角,額角犀厥地。稽首拜命,亦以首至地也。欲令武王來征己之國,安用善戰陳者!

【조기 注】: 혁거(革車), 병장기 수레이다. 호분(虎賁), 무사를 작은 신하로 삼은 자이다. 《서경()》에 이르기를 "호분(虎賁)과 철의(綴衣), 취마(趣馬)와 소윤(小尹)"라고 했다. 삼백 량(三百兩), 삼백 승이다. 무왕(武王)께서 은()나라 사람들에게 명령하여 말씀하시기를 "놀라고 두려워 말라, 나는 너희들이 편안히 살게 하려고 왔다."라고 하셨다. 여러 성[百姓]들이 주()나라에 귀의하기를 그 뿔과 이마의 솟은 뿔이 땅에 무너지 듯이 했다. 머리를 조아리고 명령에 절하며 또한 머리를 가지고 땅에 닿았음이다. 무왕(武王)으로 하여금 자기의 나라를 정벌하러 오기를 바랐는데, 어찌 착한 전쟁과 진()을 쓰는 자 이겠는가?

 

 

 

『맹자(孟子)

진심(盡心)-

5

孟子曰: 梓匠輪輿能與人規矩,不能使人巧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목수와 수레 바퀴 만드는 장인(匠人), 남에게 컴퍼스와 자를 잘 빌려주지만 사람들로 하여금 교묘(巧妙)하게는 잘 못한다.

 

 

진심(盡心)-

5

孟子曰:「梓匠輪輿,能與人規矩,不能使人巧。」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목수와 수레 바퀴 만드는 장인(匠人), 남에게 컴퍼스와 자를 잘 빌려주지만 사람들로 하여금 교묘(巧妙)하게는 잘 못한다.>

【趙岐 注】: 梓匠輪輿之功,能以規矩與人。人之巧在心,拙者雖得規矩,亦不能成器也。蓋人不誌仁,雖誦典憲,不能以善。

【조기 注】: 목수와 수레 바퀴 만드는 장인(匠人)의 공(), 컴퍼스와 자를 가지고 남에게 잘 준다. 사람의 교묘(巧妙)함은 마음에 있는데 옹졸한 자는, 비록 컴퍼스와 자를 얻어도 또한 그릇을 잘 만들지 못함이다. 대개 어짊에 뜻하지 않고 비록 법()과 명령(命令)을 외우더라도 잘하지 못함을 비유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6

孟子曰: 舜之飯糗茹草也,若將終身焉,及其爲天子也,被袗衣,鼓琴,二女果【作婐】,若固有之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순()이 마른밥 먹고 채소[]를 먹을 적에는 장차 그곳에서 자신을 마칠 듯이 했었는데, 천자(天子)가 됨에 미쳐서는 수 놓은 옷을 입고 거문고를 연주하며 두 아내[아황(娥皇)과 여영(女英)]가 시중하는 것을 본래 있는 것 같이 하였다.

 

 

진심(盡心)-

6

孟子曰:「舜之飯糗茹草也,若將終身焉。及其天子也,被袗衣,鼓琴,二女果,若固有之。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순()이 마른밥 먹고 채소[]를 먹을 적에는 장차 그곳에서 자신을 마칠 듯이 했었는데, 천자(天子)가 됨에 미쳐서는 수 놓은 옷을 입고 거문고를 연주하며 두 아내[아황(娥皇)과 여영(女英)]가 시중하는 것을 본래 있는 것 같이 하였다.>

【趙岐 注】: 糗,飯乾。袗,畫也。果,侍也。舜耕、陶之時,飯糗茹草,若將終身如是。及天子,被畫衣黼黻絺繡也;鼓琴以協音律也;以堯二女自侍,亦不佚豫,如固自當有之也。

【조기 注】: (, 볶은 살 구), 건조하여 말린 밥이다. (, 홑옷 진), 그림그린 옷이다. (, ), 시중듬이다. ()이 농사짓고 도자기 굽던 시절에 마른밥 먹고 채소[]를 먹을 적에는, 장차 이와 같이 자신을 마칠 듯이 했었다. 천자(天子)가 됨에 미쳐서는, 그림 그린 옷[화의6(畫衣六章)]과 수 놓은 치마[수상6(繡裳六章)]를 입고, 거문고를 가지고 음률(音律)을 연주하며, 그로써 요()임금의 두 딸[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스스로 시중하니 또한 즐거움을 잃지 않고 본래 스스로 마땅히 있는 것 같이 하였다.

 

【石潭齋 案】 : 천자(天子)의 예복(禮服)⇒천자(天子) 12장복(十二章服)인데 윗 저고리인 화의6(畫衣六章)과 아래 치마인 수상6(繡裳六章)을 말한다.

1) 화의6(畫衣六章)은 일() () 성신(星辰) 5(五嶽) () 화충(華蟲)을 그리는데, ()·월()은 어깨에, 성신(星辰) 5(五嶽)은 뒤에, ()과 화충(華蟲)은 양 소매에 그린다.

2) 수상6(繡裳六章), () () 종이(宗彛) () () 분미(粉米)를 수놓는데, 치마[]는 앞 3폭 뒤 4폭이 연속하여 휘장과 같으며, 6장문을 4행으로 나누어 화()·종이(宗彛)·조() 2행으로 하고, 분미(粉米)·보()·불() 2행으로 하여 수를 놓았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7

孟子曰: 吾今而後知殺人親之重也,殺人之父,人亦殺其父,殺人之兄,人亦殺其兄。然則非自殺之也,一間耳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지금 이후에야 친한 사람을 죽임의 중요함을 알았다. 남의 아버지를 죽이면 남이 또한 그의 아버지를 죽이고, 남의 형을 죽이면 남이 또한 그의 형을 죽인다. 그렇다면 스스로 [부형(父兄)] 죽인 것은 아니지만,  [사람] 사이일 뿐이다.

 

 

진심(盡心)-

 

7

孟子曰:「吾今而後知殺人親之重也。殺人之父,人亦殺其父。殺人之兄,人亦殺其兄。然則非自殺之也,一間耳。」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지금 이후에 친한 사람을 죽임의 중요함을 알았다. 남의 아버지를 죽이면 남이 또한 그의 아버지를 죽이고, 남의 형을 죽이면 남이 또한 그의 형을 죽인다. 그렇다면 스스로 [부형(父兄)] 죽인 것은 아니지만,  [사람] 사이일 뿐이다.>

【趙岐 注】: 父仇不同天,兄仇不同國,以惡加人,人必加之,知其重也。一間者,我往彼來間一人耳,與自殺其親何異哉!

【조기 注】: 아버지 원수는 하늘을 함께하지 못하고 형의 원수는 나라를 같이하지 못하며, ()을 가지고 남에게 더하면 남이 반드시 더해주는 것의 그 중요함을 알았음이다. 한 칸[一間]이라는 것은, 내가 가고 저이가 옴은 한 사람 사이일 뿐인데, 스스로 그 어버이를 죽임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맹자(孟子)

진심(盡心)-

8

孟子曰: 古之爲關也,將以禦暴。

今之爲關也,將以爲暴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에 관문(關門)을 만듦은, 장차 그로써 포악함를 막으려 함인데, 지금의 관문 만듦은, 장차 그로써 포악하기 위해서이다.

 

 

진심(盡心)-

 

8

孟子曰:「古之關也,將以禦暴。今之關也,將以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의 관문(關門)을 만듦은, 장차 그로써 포악함를 막으려 함인데, 지금의 관문 만듦은, 장차 그로써 포악하기 위해서이다.>

【趙岐 注】: 古之,將以禦暴亂,譏閉非常也。今之,反以徵稅出入之人,將以暴虐之道也

【조기 注】: 옛날의 관문(關門) 만듦은, 장차 그로써 난폭함을 막으려 함인데 항상 닫혀있지 않음을 비웃었음이다. 지금의 관문 만듦은, 도리어 드나드는 사람에게 세금을 거둠으로써 장차 그로써 모질게 사나움의 도()를 실천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9

孟子曰: 身不行道,不行於妻子,使人不以道,不能行於妻子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신이 도()를 행하지 않으면 처자식에게 행해지지 않고, 사람을 부리기를 도로써 하지 않으면 처자식에게 잘 행해지지 않는다.

 

 

진심(盡心)-

9

孟子曰:「身不行道,不行於妻子;使人不以道,不能行於妻子。」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신이 도()를 행하지 않으면 처자식에게 행해지지 않고, 사람을 부리기를 도로써 하지 않으면 처자식에게 잘 행해지지 않는다.>

【趙岐 注】: 身不自履行道德,而欲使人行道德,雖妻子不肯行之,言無所則效。使人不順其道理,不能使妻子順之,而況他人乎?

【조기 注】: 자신이 스스로 도덕(道德)을 이행하지 않으면서 남을 부려서 도덕을 행하게 하고자 해더라도, 비록 처자식이 행하기를 즐겨하지 않으면 법칙(法則)을 본받는 바가 없다는 말이다. 남을 시켰는데 그 도리에 순종하지 않으면 처자식을 시켜도 잘 순종을 하지 않는데 하물며 다른 사람들이 따르겠는가?

 

 

 

『맹자(孟子)

진심(盡心)-

10

孟子曰: 周于利者凶年不能殺,周于德者邪世不能亂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익에 두루 통달한 자는 흉년(凶年)도 능히 죽이지 못하고, ()에 두루 통달한 자는 사악한 세상도 잘 어지럽히지 못한다.

 

 

진심(盡心)-

10

孟子曰:「周於利者,凶年不能殺。周於德者,邪世不能亂。」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익에 두루 통달한 자는 흉년(凶年)도 능히 죽이지 못하고, ()에 두루 통달한 자는 사악한 세상도 잘 어지럽히지 못한다.>

【趙岐 注】: 周達於利,營苟得之利而趨生,雖凶年不能殺之。周達於德,身欲行之,雖遭邪世,不能亂其誌也。

【조기 注】: 이익에 두루 통달하면 경영이 진실하여 이익을 얻으면서 삶을 재촉하는데, 비록 흉년이라도 능히 죽이지 못함이다. 덕에 두루 통달하면 자신이 행하기를 바라는데, 비록 사악한 세상을 만나더라도 그 뜻을 잘 어지럽히지 못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1

孟子曰: 好名之人能讓千乘之國,苟非其人,簞食豆羹見於色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름을 좋아하는 사람은 천승(千乘)의 나라도 잘 사양하지만, 진실로 그러한 사람이 아니면 밥 한 그릇과 국 한 그릇에도 기색을 드러낸다.

 

 

진심(盡心)-

11

孟子曰:「好名之人能讓千乘之國。苟非其人,簞食豆羹見於色。」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름을 좋아하는 사람은 천승(千乘)의 나라도 잘 사양하지만, 진실로 그러한 사람이 아니면 밥 한 그릇과 국 한 그릇에도 기색을 드러낸다.>

【趙岐 注】: 好不朽之名者,輕讓千乘,伯夷、季之類是也。誠非好名者,爭簞食豆羹變色,訟之致禍,鄭公子染指羹之類是也

【조기 注】: 이름이 잊혀지지 않음을 좋아하는 자는, 천승(千乘)을 가볍게 사양하는데 백이(伯夷)와 계찰()의 부류가 이들이다. 진실로 이름을 좋아하지 않는 자는 밥 한 그릇과 국 한 그릇에 다투어 기색이 변하고 송사를 하면 재앙에 이르게 되며 정()나라 공자(公子)가 자라 국을 가리켜 더럽혔음이 이러한 부류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2

孟子曰: 不信仁賢,則國空虛。

無禮義,則上下亂。

無政事,則財用不足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고 현명한 이를 믿지 않으면 나라가 텅 비게 되고, 예의(禮義)가 없으면 위아래가 어지러우며, 정사(政事)가 없으면 사용할 재물이 부족해진다.

 

 

진심(盡心)-

12

孟子曰:「不信仁賢,則國空虛。無禮義,則上下亂。無政事,則財用不足。」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고 현명한 이를 믿지 않으면 나라가 텅 비게 되고, 예의(禮義)가 없으면 위아래가 어지러우며, 정사(政事)가 없으면 사용할 재물이 부족해진다.>

【趙岐 注】: 不親信仁賢,仁賢去之,國無賢人,則曰空虛也。無禮義以正尊卑,則上下之泯亂。無善政以人農時,貢賦則不入,故財用有所不足故也。

【조기 注】: 어질고 현명한 이를 친히 믿지 않으면, 어질고 현명한 이가 떠나가서 나라에 현명한 사람이 없으면 "텅 비었다."라고 말한다. 예의(禮義)를 가지고 높고 낮음에 바름이 없으면 위아래의 차례가 뒤섞여 어지러워진다. 착한 정사로써 사람들에게 농사하는 때를 가르침이 없으면 바치는 부세(賦稅)가 곧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재물이 넉넉하지 않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3

孟子曰: 不仁而得國者,有之矣,不仁而得天下,未之有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않으면서 나라를 얻은 자는 있지만, 어질지 않으면서 천하를 얻은 자는 없다.

 

 

진심(盡心)-

13

孟子曰:「不仁而得國者有之矣。不仁而得天下者,未之有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지 않으면서 나라를 얻은 자는 있지만, 어질지 않으면서 천하를 얻은 자는 없다.>

【趙岐 注】: 不仁得國者,謂象封於有庳,叔鮮、叔度封於管、蔡,以親親之恩而得國也。雖有誅亡,其世有土。丹朱、商均,天下元子,以其不仁,天下不與,故不得有天下焉。

【조기 注】: 어질지 않은데 나라를 얻은 자는, [; ()임금 동생]을 유비(有庳) 땅에 봉하고, 숙선(叔鮮)과 숙도(叔度)를 관()나라와 채()나라에 봉하여, 친족으로써 친함을 은혜하여서 나라를 얻었음을 말함이다. 비록 베고 없앨 수는 있었지만 그 세상의 관리는 있었다. 단주[丹朱;()임금 아들]와 상균[商均;()임금 아들]은 천하의 원자인데도 그 어질지 않음으로써 천하를 주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은 천하를 얻지 못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4

孟子曰: 民爲貴,社稷次之,君爲輕。

是故得乎丘民而爲天子,得乎天子爲諸侯,得乎諸侯爲大夫。

諸侯危社稷,則變置。

犧牲旣成,粢盛旣絜,祭祀以時,然而旱乾水溢,則變置社稷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은 귀함이 되고, 사직(社稷)은 그 다음이며, 임금을 가벼움으로 한다.

이 때문에 언덕의 백성에게 [민심을] 얻으면 천자(天子)가 되고, 천자에게 [신임을] 얻으면 제후(諸侯)가 되며, 제후에게 [신임을] 얻으면 대부(大夫)가 된다.

제후가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제후를] 바꾸어버리고, 희생(犧牲)이 이미 준비되고 성대한 곡식이 이미 깨끗하며 제사를 때맞게 지냈는데도, 가뭄이 들고 물이 넘치면 사직을 바꾸어 설치한다.

 

 

진심(盡心)-

 

14

孟子曰:「民,社稷次之,君。是故得乎丘民而天子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성은 귀함이 되고, 사직(社稷)은 그 다음이며, 임금을 가벼움으로 한다. 이 때문에 언덕의 백성에게 [민심을] 얻으면 천자(天子)가 되고, >

【趙岐 注】: 君輕於社稷,社稷輕於民。丘,十六井也。天下丘民皆樂其政,則天子,殷湯、周文是也。

【조기 注】: 군주는 사직 보다 가볍고 사직은 백성 보다 가벼움이다. (, 언덕 구) 16()이다. 천하의 언덕 백성이 모두 그의 정사를 즐기면 천자가 되는데 은()나라 탕왕과、주()나라 문왕이 이들이다.

 

得乎天子諸侯

<천자에게 [신임을] 얻으면 제후(諸侯)가 되며, >

【趙岐 注】: 得天子之心,封以諸侯

【조기 注】: 천자의 마음을 얻으면 제후(諸侯)로 여겨서 봉한다.

 

得乎諸侯大夫

<제후에게 [신임을] 얻으면 대부(大夫)가 된다.>

【趙岐 注】: 得諸侯之心,諸侯能以大夫

【조기 注】: 제후의 마음을 얻으면 제후가 능히 대부로 여김이다.

 

諸侯危社稷,則變置,

<제후가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제후를] 바꾸어버리고,>

【趙岐 注】: 諸侯危社稷之行,則變更立賢諸侯也。

【조기 注】: 제후가 사직의 행함을 위태롭게 하면 현명한 제후를 세워서 변경함이다.

 

犧牲,粢盛,祭祀以時,然而旱乾水溢,則變置社稷。」

<희생(犧牲)이 이미 준비되고 성대한 곡식이 이미 깨끗하며 제사를 때맞게 지냈는데도, 가뭄이 들고 물이 넘치면 사직을 바꾸어 설치한다.>

【趙岐 注】: 犧牲已成肥,粱稻已成絜精,祭祀社稷常以春秋之時,然而其國有旱乾水溢之災,則得社稷而更置之

【조기 注】: 희생(犧牲)이 이미 비대(肥大)하게 살찌고 기장과 벼가 이미 깨끗하게 이루어져서 사직(社稷) 제사를 항상 봄 가을로써 때맞았는데도 그 나라가 가뭄이 들고 물이 넘치는 재난이 있으면 사직을 헐고서 고쳐 설치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5

孟子曰: 聖人,百世之師也,伯夷、柳下惠是也。故聞伯夷之風者,頑夫廉,懦夫有立志,聞柳下惠之風者,薄夫敦,鄙夫寬。奮乎百世之上,百世之下,聞者莫不與起也。非聖人而能若是乎? ,而況於親炙之者乎?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성인(聖人)은 백 세대(世代)의 스승이며, 백이(伯夷)와 유하혜(柳下惠)가 이런 분이시다.

그러므로 백이(伯夷)의 풍도(風道)를 들은 자는, 완고(頑固)한 사내가 청렴해지고 나약한 사내는 뜻을 세우게 된다. 유하혜(柳下惠)의 풍도(風道)를 들은 자는 야박(野薄)한 사내가 도타워[]지고 비루(鄙陋)한 사내가 너그러워진다. 백 세대의 위에서 [풍도(風道)] 떨치면 백 세대의 아래에서 들은 자가 떨쳐 일어나지 않은 이가 없는데, 성인이 아니고서야 이와 같이 잘 하겠는가? 하물며 친히 가르침을 받은 자는 어떠하겠는가?

 

진심(盡心)-

15

孟子曰:「聖人,百世之師也,伯夷、柳下惠是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성인(聖人)은 백 세대(世代)의 스승이며, 백이(伯夷)와 유하혜(柳下惠)가 이런 분이시다.>

【趙岐 注】: 伯夷之,柳下惠之和,聖人之一

【조기 注】: 백이(伯夷)의 청빈함과 유하혜(柳下惠)의 화목함은 성인(聖人)의 전부[]이다.

 

故聞伯夷之風者,頑夫廉,懦夫有立誌。聞柳下惠之風者,薄夫敦,鄙夫寬。奮乎百世之上,百世之下聞者莫不興起也。非聖人而能若是乎?而況於親炙之者乎?」

<그러므로 백이(伯夷)의 풍도(風道)를 들은 자는, 완고(頑固)한 사내가 청렴해지고 나약한 사내는 뜻을 세우게 된다. 유하혜(柳下惠)의 풍도(風道)를 들은 자는 야박(野薄)한 사내가 도타워[]지고 비루(鄙陋)한 사내가 너그러워진다. 백 세대의 위에서 [풍도(風道)] 떨치면 백 세대의 아래에서 들은 자가 떨쳐 일어나지 않은 이가 없는데, 성인이 아니고서야 이와 같이 잘 하겠는가? 하물며 친히 가르침을 받은 자는 어떠하겠는가?>

【趙岐 注】: 頑,貪。懦,弱。鄙,狹也。百世,言其遠也。興起,誌意興起也。非聖人之行,何能感人若是!,況於親見而薰炙之者乎?

【조기 注】: (, 완고할 완), 탐함이다. (, 나약할 나), 약함이다. (, 더러울 비), 협소함이다. 백세(百世), 그 멀리를 말함이다. 흥기(興起), 뜻하는 마음이 떨쳐 일어남이다. 성인(聖人)의 행함이 아니라면 어찌 사람들이 이와 같이 잘 감동하겠는가? 더욱 그러함을 들었는데 하물며 친함을 보이는 데에서 가르침을 받은 자는 어떠하겠는가?

 

 

 

『맹자(孟子)

진심(盡心)-

16

孟子曰: 仁也者,人也。合而言之,道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짊[]이라는 것은, [] 사람이며, [두 사람이] 합하여서 말을 하는 도()이다.

 

 

진심(盡心)-

16

孟子曰:「仁也者,人也。合而言之道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짊[]이라는 것은, [] 사람이며, [두 사람이] 합하여서 말을 하는 도()이다.>

【趙岐 注】: 能行仁恩者,人也。人與仁合而言之,可以謂之有道也。

【조기 注】: 어짊[]의 은혜를 잘 행하는 자가 사람이고, 사람이 어짊을 더블어 합하여서 말을 하면 일컫기를 도()가 있다고 할 수 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7

【孟子曰: 孔子之去魯,曰: 遲遲吾行也,去父母國之道也 去齊,接淅而行,去他國之道也 重出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자께서 노()나라를 떠나실 적에 ‘내 걸음이 더디고 더디구나!’라고 말씀 하셨는데, 부모의 나라를 떠나는 도리이고, ()나라를 떠나실 적에는 쌀을 씻다가 건져서 떠나셨는데, 타국(他國)을 떠나는 도리이다.

重出<거듭 나왔다>

 

 

진심(盡心)-

17

孟子曰:「孔子之去魯,曰『遲遲吾行也』,去父母國之道也。去齊,接淅而行,去他國之道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자께서 노()나라를 떠나실 적에 ‘내 걸음이 더디고 더디구나!’라고 말씀 하셨는데, 부모의 나라를 떠나는 도리이고, ()나라를 떠나실 적에는 쌀을 씻다가 건져서 떠나셨는데, 타국(他國)을 떠나는 도리이다.>

【趙岐 注】: 遲遲,接淅,說已見上篇言矣,此不複說焉。

【조기 注】: 지지(遲遲)와 접석(接淅), 설명이 이미 앞 편[만장(萬章) -1]에 말이 보이며 이를 여기에 다시 설명하지 않았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8

孟子曰: 君子之戹於陳、蔡之間,無上下之交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곤액(困厄), 상하[君臣]의 사귐이 없었기 때문이다.

 

 

진심(盡心)-

18

孟子曰:「君子之厄於陳、蔡之間,無上下之交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곤액(困厄), 상하[君臣]의 사귐이 없었기 때문이다.">

【趙岐 注】: 君子,孔子也。《論語》曰:「君子之道三,我無能焉。」孔子乃,不敢當君子之道,故可謂孔子君子也。孔子所以厄於陳、蔡之間者,其國君臣皆惡,上下無所交接,故厄也。

【조기 注】: 군자(君子), 공자(孔子)이다. 《논어(論語)》에 말하기를 "군자의 도()는 세 가지인데 나는 잘하는게 없다."라고 했는데, 공자께서는 이에 오히려 겸손함이고, 군자의 도()를 감히 당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자께서 군자가 되었다고 말 할 수 있음이다. 공자께서 진()나라와 채()나라의 사이에서 곤란했던 것의 까닭은, 그 나라 군주와 신하가 모두 악하여 상하가 사귀어 접할 바가 없었기 때문에 곤액(困厄)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19

稽曰: 稽大不理於口

孟子曰: 無傷也。士憎【當作增】玆多口。

《詩》云: 憂心悄悄,慍于 孔子也。肆不殄厥慍,亦不隕厥問【聞通】 文王也

맥계()가 말하였다. “저[] [남들의] 입에 크게 의뢰(依賴)하지 않습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애태울거 없네. 관리는 미워함이 입에 더욱 많다네.

《시경》 [백주(柏舟)]에 이르기를 ‘걱정하는 마음에 근심하는데 여러 소인(小人)들에게 노여움을 받는구나.’라고 하였으니 공자가 그러하였고, [《대아.(大雅綿)》에] ‘그들의 노여움을 없애지 못했으나 또한 그들의 명성을 잃지는 않았다.’라고 하였는데 문왕이 그러하였네.

 

 

진심(盡心)-

19

稽曰:「稽大不理於口。」

<맥계()가 말하였다. “저[] [남들의] 입에 크게 의뢰(依賴)하지 않습니다.>

【趙岐 注】: ,姓;稽,名。仕者也。眾口所訕。理,賴也。謂孟子曰:稽大不賴人之口,如之何也。

【조기 注】: ()은 성()이고 계()는 이름이다。 벼슬하는 자는, 여러 구설(口舌)이 헐뜯는 바가 된다. (, 다스릴 리), 의뢰(依賴)함이다. 맹자께서 일컫기를 "맥계()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남의 구설에 크게 의뢰(依賴)하지 않는다."라고 말했음이다.

 

孟子曰:「無傷也,士憎茲多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애태울거 없네. 관리는 미워함이 입에 더욱 많다네.>

【趙岐 注】: 審己之德,口無傷也。離於凡人而仕者,亦益多口。

【조기 注】: 자기의 덕()을 살펴야 입이 다침이 없음이다. 보통 사람에게 붙어서 벼슬하는 자는 또한 구설(口舌)이 더욱 많다.

 

《詩》云:『憂心悄悄,慍於群小。』孔子也。『肆不殄厥慍,亦不殞厥問。』文王也。」

<《시경》 [백주(柏舟)]에 이르기를 ‘걱정하는 마음에 근심하는데 여러 소인(小人)들에게 노여움을 받는구나.’라고 하였으니 공자가 그러하였고, [《대아.(大雅綿)》에] ‘그들의 노여움을 없애지 못했으나 또한 그들의 명성을 잃지는 않았다.’라고 하였는데 문왕이 그러하였네.>

【趙岐 注】: 《詩柏舟》之篇,曰「憂心悄悄」,憂在心也,「慍於群小」,怨小人聚而非議賢者也。孔子論此詩,孔子亦有武叔之口,故曰孔子之所苦也。《大雅綿》之篇曰「肆不殄厥慍」,殄,;慍,怒也。「亦不殞厥問」,殞,失也。言文王不殞畎夷之慍怒,亦不能殞失文王之善聲問也。

【조기 注】: 《시경》 [패풍 백주(.柏舟)]의 편에 "걱정하는 마음에 근심하는데"라고 했는데 근심이 마음에 있음이고, "여러 소인(小人)들에게 노여움을 받는구나."라고 했음은 소인들이 모여서 현명하게 의논하지 않는 것을 원망함이다. 공자께서 이 시()를 논함은, 공자 또한 무숙(武叔)의 구설(口舌)에 있었기 때문에 공자의 고난인 바라고 말했음이다. 《대아.(大雅綿)》의 편에, "'그들의 노여움을 없애지 못했으나'라고 했는데, (, 다할 진)은 끊음이고 온(, 성낼 온)은 성냄이다. '또한 그들의 명성을 잃지는 않았다.'라고 했는데, (, 죽을 운)은 잃음이다. 문왕께서 견이(畎夷)의 성내어 노여워함을 끊어 없애지 못했지만 또한 문왕(文王)의 선한 소문이 들림을 잘 잃어버리지는 않았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0

孟子曰: 賢者以其昭昭使人昭昭,今以其昏昏使人昭昭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현자(賢者)는 그의 밝음을 밝게 함으로써 남의 밝음을 밝게 하는데, 지금 그의 어두움을 어둡게 함으로써 남의 밝음을 밝게 하려고 하는구나!

 

 

진심(盡心)-

20

孟子曰:「賢者以其昭昭,使人昭昭。今以其昏昏,使人昭昭。」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현자(賢者)는 그의 밝음을 밝게 함으로써 남의 밝음을 밝게 하는데, 지금 그의 어두움을 어둡게 함으로써 남의 밝음을 밝게 하려고 하는구나!>

【趙岐 注】: 賢者治國,法度昭明。明於道德,是躬行之道可也。今之治國,法度昏昏,亂潰之政也,身不能治,而欲使人昭明,不可得也。

【조기 注】: 현자(賢者)가 나라를 다스림은, 법률(法律)과 제도(制度)를 밝게 밝힘이다. ()와 덕()을 밝힘은, 바로 몸이 행함의 도()를 할 수 있음이다. 지금의 나라를 다스림은, 법률(法律)과 제도(制度)가 매우 어둡고 정사가 어지럽게 무너져 자신을 잘 다스리지 못하면서 남의 밝음을 밝게 하기를 바라지만 할 수가 없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1

孟子謂高子曰: 山徑之蹊,間介然用之而成路,爲間不用,則茅塞之矣。今茅塞子之心矣

맹자께서 고자(高子)에게 일컫기를 “산 지름길의 작은 길은 사이에 낀 것처럼 사용을 하면 길이 이루어지지만, 잠깐 사용을 하지 않으면 띠풀이 그[]를 막는데, 지금 띠풀이 그대의 마음을 막고 있구나!”라고 말했다.

 

 

진심(盡心)-

21

孟子謂高子曰:「山徑之蹊間介然用之而成路,間不用,則茅塞之矣。今茅塞子之心矣。」

<맹자께서 고자(高子)에게 일컫기를 “산 지름길의 작은 길은 사이에 낀 것처럼 사용을 하면 길이 이루어지지만, 잠깐 사용을 하지 않으면 띠풀이 그[]를 막는데, 지금 띠풀이 그대의 마음을 막고 있구나!”라고 말했다.>

【趙岐 注】: 高子,齊人也,學於孟子道而未明,則學於他術。孟子謂之曰:山徑,山之嶺有微蹊介然,人遂用之不止,則蹊成,有間也,謂廢而不用,則茅草生而塞之,不複。以高子學於仁義之道,當遂行之而反中止,正若山路。故曰:「茅塞子之心也。」

【조기 注】: 고자(高子)는 제()나라 사람이며, 맹자에게 배움을 경험(經驗)하고서 향리 길인데도 밝지 않으면 다른 기술을 배워야함이다. 맹자께서 일컬어 말씀하셨다. "산의 지름길[山徑], 산의 고개에 미세한 작은길이 낀 것처럼 있음인데 사람이 비록 사용함을 그치지 않으면 작은길이 길이 되어 이루어짐이고, 잠깐 함[]이란, 사이가 있음인데 폐하여서 사용하지 않으면 띠와 풀이 생겨나서 그[]것이 막혀 다시 길이 되지 않음을 말한다." 고자(高子)가 인의(仁義)의 도를 배움을 비유함으로써 마땅히 널리 행하여야 하는데 도리어 중도에 그치니 바름이 산의 길과 같기 때문에 "띠풀이 그대의 마음을 막았다."라고 말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2

高子曰: 禹之聲尙文王之聲

孟子曰: 何以言之 : 以追蠡

: 是奚足哉? 城門之軌,兩馬之力與

고자(高子)가 말하였다. “우왕(禹王)의 음악소리가 문왕(文王)의 음악소리 보다 훌륭합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무엇을 가지고 그렇게 말하는가?

[고자가] 말하였다. “종의 끈이 좀먹었기 때문입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것이 어찌 [근거로] 충분하겠는가? 성문(城門)의 바퀴 자국이 말 두 마리의 힘이겠는가?

 

 

진심(盡心)-

22

高子曰:「禹之聲文王之聲。」孟子曰:「何以言之?」

<고자(高子)가 말하였다. “우왕(禹王)의 음악소리가 문왕(文王)의 음악소리 보다 훌륭합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무엇을 가지고 그렇게 말하는가? >

【趙岐 注】: 高子以禹之聲樂過於文王。孟子難之,曰何以言之。

【조기 注】: 고자(高子)는 우왕(禹王)의 음악소리가 문왕(文王)의 음악소리 보다 훌륭하다고 여겼는데, 맹자께서 비난(非難)을 하여 "무엇을 가지고 그렇게 말하는가?"라고 말하였음이다.

 

譯註 1: 『說文解字』 “聲”, 音也。音下曰, 聲也。<說文解字注> 宮商角徵羽、聲也。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소리[]는 음()이고, 음의 아래가 소리[]라고 말한다. <설문해자주(說文解字注)>에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가 소리[]이다。

【石潭齋 案】 : ()⇒목소리로 내는 그 자체의 다섯가지 소리[五聲]를 말한다.

오성(五聲)은선율을 배열한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인데, () 4(四聲)의 근본이 되는 중앙의 주음(主音)이고, () 성숙시킴이며, ()은 솟아오름이고, () 그침이며, () 4(四聲)을 덮음이다. () : 여러 소리를 혼합하여 고저와 강약으로 연주하는 곡조(曲調)이다.

 

曰:「以追蠡。」

<[고자가] 말하였다. “종의 끈이 좀먹었기 때문입니다.>

【趙岐 注】: 高子曰:禹時鍾在者,追蠡也。追,鍾磨齧處深矣。蠡,欲之貌也。文王之鍾不然。以禹為尚樂也

【조기 注】: 고자(高子)가 말하기를 "우왕(禹王) 시절 종에 있는 것은, 종 끈이 좀먹었다."라고 했다. (, 쫓을 추)는 종 손잡이 이며, 종 손잡이가 씹힌 곳이 심하게 닳았음이다. (, 좀먹을 려), 끊어지려고 하는 모양이다. 문왕(文王)의 종은 그러하지 않으니, 그로써 우왕(禹王)의 음악을 숭상(崇尙) 하였음이다.

 

曰:「是奚足哉?城門之軌,兩馬之力與?」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것이 어찌 [근거로] 충분하겠는가? 성문(城門)의 바퀴 자국이 말 두 마리의 힘이겠는가?>

【趙岐 注】: 孟子曰:是何足以樂乎?先代之樂器,後王皆用之,禹在文王之前千有餘歲,用鍾日久,故追欲。譬若城門之軌齧,其限切深者,用之多耳,豈兩馬之力使之然乎?兩馬者,《春秋外傳》曰:「國馬足以行關,公馬足以稱賦。」是兩馬也。

【조기 注】: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이것이 어찌 우왕(禹王)의 음악을 훌륭하게 여김으로 충분하겠는가? 선대의 악기는, 후대의 왕들이 모두 사용을 하였으며 우왕이 문왕의 앞에 천 여년의 세월이 있었는데 종을 날마다 오래 사용했기 때문에 종 끈이 끊어지려고 했을 뿐이다. 만약 성문의 바퀴 자국이 씹혀서 그 끊어진 한계가 심한 것은, 사용을 많이 하여서일 뿐임을 비유함이며, 어찌 말 두필의 힘으로 그렇게 만들었겠는가? 말 두필[兩馬]이라는 것은, 《춘추외전(春秋外傳)》에 말하기를 “나라의 말은 관문(關門)을 행함으로 넉넉함하고, 공의 말은 군비(軍費)를 칭함으로서 넉넉하다.”라고 했는데, 이것이 말 두필[兩馬]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3

齊饑。陳臻曰: 國人皆以夫子將復爲發棠,殆不可復

孟子曰: 是爲馮婦也。晉人有馮婦者,善搏虎,卒爲善士。則之野,有衆逐虎。虎負嵎,莫之敢。望見馮婦,趨而迎之。馮婦攘臂下車。衆皆悅之,其爲士者笑之

제나라에 흉년이 들자, 진진(陳臻)이 말하였다. “나라 사람들이 모두 선생님께서 장차 다시 당읍(棠邑) [창고를] 열어 주신다고 여기는데, 거의 다시 할 수 없을 듯합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다시 한다면] 이는 풍부(馮婦)가 되는 것이네. ()나라 사람 중에 풍부라는 자가 있었는데, 범을 잘 잡아서 갑자기[) 훌륭한 관리가 되었네. 곧 들에 가서 범을 쫓는 무리들이 있었는데 범이 산모퉁이를 등지고 있자 감히 잡으려고 하지 못하다가 풍부를 멀리서 바라보고는 달려가서 맞이하였네. 풍부가 팔소매를 걷어붙이고 수레에서 내려오자, 무리가 모두 기뻐하였으며 그 관리들은 비웃게 되었다네.

 

 

진심(盡心)-

23

齊饑。陳臻曰:「國人皆以夫子將複發棠,殆不可複。」

<제나라에 흉년이 들자, 진진(陳臻)이 말하였다. “나라 사람들이 모두 선생님께서 장차 다시 당읍(棠邑) [창고를] 열어 주신다고 여기는데, 거의 다시 할 수 없을 듯합니다.>

【趙岐 注】: 棠,齊邑也。孟子勸齊王發棠邑之倉,以振貧窮,時人賴之。今齊人複饑,陳臻言一國之人皆以夫子將複若發棠時勸王也,殆不可複言之也。

【조기 注】: ()은 제()나라 읍()이다. 맹자께서 일찍이 제()나라 왕에게 당읍(棠邑)의 창고를 열도록 권하여 그로써 가난함의 궁함을 그치게 하고 시절[흉년]의 사람들을 의뢰하였었다. 이제 제()나라 사람들이 다시 흉년이 들자 진진(陳臻)이 말하기를 "한 나라의 사람들이 모두 선생님께서 장차 다시 시절[흉년]을 왕에게 권하여 당읍(棠邑) [창고를] 열어 주신다고 여기는데, 거의 다시 할 수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였음이다.

 

孟子曰:「是馮婦也。晉人有馮婦者,善搏虎,卒善士。則之野,有眾逐虎,虎負嵎,莫之敢。望見馮婦,趨而迎之。馮婦攘臂下車,眾皆悅之。其士者笑之。」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다시 하면] 이는 풍부(馮婦)가 되는 것이네. ()나라 사람 중에 풍부라는 자가 있었는데, 범을 잘 잡아서 갑자기[) 훌륭한 관리가 되었네. 곧 들에 가서 범을 쫓는 무리들이 있었는데 범이 산모퉁이를 등지고 있자 감히 잡으려고 하지 못하다가 풍부를 멀리서 바라 보고는 달려가서 맞이하였네. 풍부가 팔소매를 걷어붙이고 수레에서 내려오자, 무리가 모두 기뻐하였으며 그 관리들은 비웃게 되었다네.>

【趙岐 注】: 馮,姓;婦,名也。勇而有力,能搏虎。卒,後也。善士者,以善搏虎有勇名也,故進以。之於野外,複見逐虎者,,迫也。虎依陬而怒,無敢迫近者也。馮婦恥不如前,見虎走而迎之,攘臂下車,欲複搏之,眾人悅其勇猛。其士之黨笑其不知止也。故孟子謂陳臻今欲複使我如發棠時言之於君,是則我馮婦也,必知者所笑也

【조기 注】: ()은 성이고, ()는 이름인데 용감하면서 힘이 있어서 범을 잘 잡았다. ()은 뒤이다. 훌륭한 관리[善士]라는 것은, 범을 잘 잡음으로써 용맹스러운 명성이 있었음이다, 그러므로 나아가 그로써 관리가 되었다. 들의 밖에 가서 다시 범을 좇아가 보려는 것이다, (,얽힐 영)은 압박(壓迫)함이다. 범이 산모퉁이를 의지하면서 성을 내니 감히 가까이 압박하지 못하는 것이다. 풍부(馮婦)가 전날과 같지 않음이 부끄러워 범이 달아남을 보고서 맞이하여 팔소매를 걷어붙이고 수레에서 내려와서 다시 그것[]을 잡으려고 하니 무리가 그 용맹함에 기뻐하였는데, 그 관리의 패들이 웃음을 그칠 줄 몰랐다. 그러므로 맹자께서 진진(陳臻)에게 말하기를 "지금 다시 나를 시켜서 만약 군주에게 시절[흉년]을 말하여 당읍(棠邑) [창고를] 열게 한다면 이는 곧 나를 풍부(馮婦)가 되도록 함이니, 반드시 지혜로운 자의 웃음꺼리가 될 것이다."라고 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4

孟子曰: 口之於味也,目之於色也,耳之於聲也,鼻之於臭也,四肢之於安佚也,性也,有命焉,君子不謂性也。

仁之於父子也,義之於君臣也,禮之於賓主也,智之於賢者【或曰當作否】也,聖人【或曰人衍字】之於天道也,命也,有性焉,君子不謂命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입은 맛에 대함이고, 눈은 좋은 색에 대함이며, 귀는 음악소리에 대함이고, 코는 냄새에 대함이며, 사지(四肢)가 편안함에 편안해함은 본성(本性)이지만, 거기에는 명()이 있으므로, 군자는 본성이라 말하지 않는다.

아버지와 아들에게는 어짊[]이고, 군주와 신하에게는 의로움[]이며, 손님과 주인에게는 예()이고, 현자(賢者)에게는 지혜[]이며, 성인(聖人)의 천도(天道)에는 명()이지만 본성(本性)이 그곳에 있으므로, 군자는 명()이라 말하지 않는다.

 

 

진심(盡心)-

24

孟子曰:「口之於味也,目之於色也,耳之於聲也,鼻之於臭也,四肢之於安佚也,性也。有命焉,君子不謂性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입은 맛에 대함이고, 눈은 좋은 색에 대함이며, 귀는 음악소리에 대함이고, 코는 냄새에 대함이며, 사지(四肢)가 편안함에 편안해함은 본성(本性)이지만, 거기에는 명()이 있으므로, 군자는 본성이라 말하지 않는다.>

【趙岐 注】: 口之甘美味,目之好美色,耳之樂五音,鼻之喜芬香。臭,香也,《易》曰:「其臭如蘭。」四體謂之四肢,四肢懈倦,則思安佚不勞苦。此皆人性之所欲也,得居此樂者,有命祿,人不能皆如其願也。凡人則有情從欲而求可身,君子之道,則以仁義,禮節,不以性慾而苟求之也,故君子不謂之性也。

【조기 注】: 입은 아름다운 맛에 달아하고, 눈은 아름다운 색을 좋아하며, 귀는 다섯가지 음에 즐거워하고, 코는 향기나는 향에 기뻐한다. (,냄새 취)는 향기이고, 《역()》에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라고 말했으며, 사체(四體)는 네 팔다리[四肢]를 말하는데 사지(四肢)가 나태하여 게으르면 생각이 편안함에 편안해하고 수고로움을 괘로워하지 않는다. 이 모두 사람 본성이 하려고 하는 바이고 이 즐거움에 거주함을 얻는 것은, ()과 녹(祿)이 있음이며 사람은 모두 그 원하는 것과 같이 잘하지는 못한다. 모든 사람은 정()이 있어서 하고자함을 따르면서 자신이 할 수 있음을 구함이 군자의 도()이며 즉 그로써 인의(仁義)를 먼저 실천하고 예절을 짓게 되며 본성으로써 하고자 하면서도 진실로 구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군자는 말하기를 본성(本性)이라 하지 않음이다.

 

仁之於父子也,義之於君臣也,禮之於賓主也,知之於賢者也,聖人之於天道也,命也。有性焉,君子不謂命也。

<아버지와 아들에게는 어짊[]이고, 군주와 신하에게는 의로움[]이며, 손님과 주인에게는 예()이고, 현자(賢者)에게는 지혜[]이며, 성인(聖人)의 천도(天道)에는 명()이지만 본성(本性)이 그곳에 있으므로, 군자는 명()이라 말하지 않는다.>

【趙岐 注】: 仁者得以恩愛施於父子,義者得以義理施於君臣,好禮者得以禮敬施於賓主,知者得以明知知賢達善,聖人得以天道王於天下,此皆命祿,遭遇乃得居而行之,不遇者不得施行。然亦才性有之,故可用也。凡人則歸之命祿,在天而已,不複治性。以君子之道,則修仁行義,修禮學知,庶幾聖人亹不倦,不但坐而聽命,故曰君子不謂命也。

【조기 注】: 어짊[]이라는 것은 은혜와 사랑으로써 아버지와 아들에게 베풀어 얻음이고, 의로움[]이라는 것은 의로운 이치로써 군주와 신하에게 베풀어 얻어지며, ()를 좋아한다는 것은 예()와 공경함으로써 손님과 주인에게 베풀어 얻음이고, 지혜[]라는 것은 밝은 지혜로써 선()을 현달하여 얻음이며, 성인은 하늘의 도()를 가지고 천하에 왕으로서 얻음인데, 이 모두 명()과 녹(祿)이 우연히 만나 마침내 거주하면서 행함을 얻고 만나지 못하는 자는 베풀어 행함을 얻지 못하지만, 그러나 또한 본성의 재질은 있기 때문에 사용 할 수는 있다. 모든 사람이 곧 명()과 녹(祿)에 돌아가서 하늘에 있을 뿐이며 다시는 본성을 다스리지 못한다. 군자의 도를 가지고 어짊[]을 닦고 의로움[]을 행하며 예()를 닦고 지혜[]를 배운다면, 거의 성인이 힘써서 게으르지 않음이며, 다만 앉아서 명()을 청하지 않기 때문에 말하기를 “군자는 명()이라 말하지 않는다.”라고 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5

浩生不害問曰: 樂正子何人也。? 孟子曰: 善人也,信人也

何謂善? 何謂信?

: 可欲之謂善。

有諸己之謂信。

充實之謂美。

充實而有光輝之謂大。

大而化之之謂聖。

聖而不可知之之謂神。

樂正子,二之中,四之下也

호생불해(浩生不害)가 물었다. “악정자(樂正子)는 어떠한 사람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한 사람[善人]이며, 믿을만한 사람이오.

“무엇을 선()이라 말하고, 무엇을 신()이라 말합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할 수 있으면 하고자 하는 것을 ‘선()’이라 말하고, 모두 자기에게 있게 하는 것을 ‘신()’라 말하며, [믿음()] 알차게 채워지는 것을 ‘미()’라고 말하고, 충실(充實)하면서 빛이 빛남이 있는 것을 ‘대()’라고 말하며, []인데도 변하여 나가는 것을 ‘성()’이라 말하고, ()스러운데도 알 수 없음에 나가는 것을 ‘신()’이라 말한다. 악정자(樂正子) [] 둘의 중간이고, [] 넷의 아래이다.

 

 

진심(盡心)-

25

浩生不害問曰:「樂正子何人也?」

<호생불해(浩生不害)가 물었다. “악정자(樂正子)는 어떠한 사람입니까? >

【趙岐 注】: 浩生,姓;不害,名。齊人也。見孟子聞樂正子政於魯而喜,故問樂政子何等人也。

【조기 注】: 호생(浩生)은 성이고 불해(不害)는 이름이며 제()나라 사람인데, 맹자를 뵙고 악정자(樂正子)가 노()나라에서 정치를 하는데 기뻐한다고 들었기 때문에 악정자(樂正子)는 어떤 등급의 사람인가를 물었음이다.

 

孟子曰:「善人也,信人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한 사람[善人]이며, 믿을만한 사람이오.>

【趙岐 注】: 樂正子人有善有信也

【조기 注】: 악정자(樂正子)의 사람됨이 선()함이 있고 믿음도 있음이다.

 

「何謂善?何謂信?」

<“무엇을 선()이라 말하고, 무엇을 신()이라 말합니까?>

【趙岐 注】: 不害、信之行謂何?

【조기 注】: ()을 실천하고 믿음을 행함을 해치지 않음이란 무엇을 말함입니까?

 

曰:「可欲之謂善,有諸己之謂信,充實之謂美,充實而有光輝之謂大,大而化之之謂聖,聖而不可知之之謂神。樂正子二之中,四之下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할 수 있으면 하고자 하는 것을 ‘선()’이라 말하고, 모두 자기에게 있게 하는 것을 ‘신()’라 말하며, [믿음()] 알차게 채워지는 것을 ‘미()’라고 말하고, 충실(充實)하면서 빛이 빛남이 있는 것을 ‘대()’라고 말하며, []인데도 변하여 나가는 것을 ‘성()’이라 말하고, ()스러운데도 알 수 없음에 나가는 것을 ‘신()’이라 말한다. 악정자(樂正子) [] 둘의 중간이고, [] 넷의 아래이다.>

【趙岐 注】: 己之可欲,乃使人慾之,是善人。己所不欲,勿施於人也。有之於己,乃謂人有之,是信人。不意不信也。充實善信,使之不虛,是美人。美德之人也。充實善信而宣揚之,使有光輝,是大人。大行其道,使天下化之,是聖人。有聖知之明,其道不可得知,是神人。人有是六等,樂正子能善能信,在二者之中,四者之下也。

【조기 注】: 자기가 할 수 있음을 하려고 하고, 마침내 남을 시켜서 욕심나게 함이 바로 선()한 사람이 실천함이다. 자기가 욕심나지 않는 바는 남에게 베풀지 말고, 자기에게 있게 함인데 이에 남에게 있게 함을 말하며 이는 믿음[]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불의(不意)와 불신(不信), 착함[]과 믿음[]이 충실(充實)하여 텅 비지 않게 시키면 이는 사람을 아름답게 함이다. ()이 아름다운 사람은, 착함[]과 믿음[]이 충실(充實)하면서 마땅히 드러나게 하고 빛이 빛남이 있게 하는데 이는 대인(大人)이 실천함이다. 그 도()를 크게 행하고 천하로 하여금 변하게 시키는데 이는 성인(聖人)이 실천함이다. 성스러운 지혜가 밝음이 있고 그 도()가 지혜를 얻을 수가 없는데 이는 신인(神人)이 실천함이다. 사람은 이 여섯 가지 등급이 있으며, 악정자(樂正子)는 착함[]을 잘하고 믿음[]을 잘하는 두 가지의 중간과 네 가지의 아래에 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6

孟子曰: 逃墨必歸於楊,逃楊必歸於儒。歸,斯受之而已矣。

今之與楊、墨辯者,如追放豚,旣入其,又從而招之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묵적(墨翟) 파에서 도피하면 반드시 양주(楊朱) 파로 돌아가고, 양주(楊朱)에서 도피하면 반드시 유학(儒學)으로 돌아온다. 돌아오면 이들을 받아줄 뿐이다.

지금의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을 변론하는 자들이, 만약 달아난 돼지를 쫓으면 이미 그 우리로 들어갔는데 또 따라가서 [돼지를] 얽어 묶는다.

 

 

진심(盡心)-

26

孟子曰:“逃墨必歸於楊,逃楊必歸於儒。歸,斯受之而已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묵적(墨翟)파에서 도피하면 반드시 양주(楊朱)파로 돌아가고, 양주(楊朱)에서 도피하면 반드시 유학(儒學)으로 돌아온다. 돌아오면 이들을 받아줄 뿐이다.>

【趙岐 注】: 墨翟之道,兼愛無親疏之別,最違禮。楊朱之道,己愛身,雖違禮,得不敢傷之義。逃者去也,去邪歸正,故曰歸。去墨歸楊,去楊歸儒,則當受而安之也。

【조기 注】: 묵적(墨翟)의 도(), 친하고 먼 사람의 나눔이 없이 똑같이 사랑하는데 가장 예()에 어긋남을 실천함이다. 양주(楊朱)의 도(), 자기를 위하여 자신을 사랑하는데 비록 예()에 어긋나지만 오히려 감히 의로움[]를 헐어서 다침을 얻지는 않는다. (, 도망할 도)는 달아남이며, 간사함에서 달아나면 바름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돌아온다[]."라고 말했다. 묵적(墨翟)에서 달아나 양주(楊朱)로 돌아가고 양주(楊朱)에서 달아나 유학(儒學)으로 돌아오면 마땅히 받아주어서 편안하게 됨이다.

 

今之與楊、墨辯者,如追放豚,入其,又從而招之。

<지금의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을 변론하는 자들이, 만약 달아난 돼지를 쫓으면 이미 그 우리로 들어갔는데 또 따라가서 [돼지를] 얽어 묶는다.>

【趙岐 注】: ,欄也。招,。今之與楊、墨辯爭道者,譬如追放逸之豕豚,追而還之入欄則可,又複從而,太甚。以言去楊、墨歸儒則可,又複從而非之,亦云太甚。

【조기 注】: (, 구릿대 립), 외양간이다. (, 부를 초)는 얽어맴이다. 지금의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을 변론하여 도()를 다투는 자들이, 만약 달아난 돼지와 새끼돼지를 쫓으면, 쫓아서 돌아오게 하여 우리에 들어갔으면 됐는데도 또 다시 따라가서 비난을 함이 또한 크게 심함을 말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7

孟子曰: 有布縷之征,粟米之征,力役之征。君子用其一,緩其二。用其二而民有殍,用其三而父子離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베와 실로 내는 세()와 좁쌀과 쌀로 내는 세()와 힘으로 부역하는 세()가 있다. 군자는 그 한 가지만 쓰고 두 가지는 늦추어준다. 그 두 가지를 쓰면 백성들이 굶어 죽는 이가 있고, 세 가지를 함께 쓰면 부모와 자식이 이별한다.

 

 

진심(盡心)-

27

孟子曰:“有布縷之征,粟米之征,力役之征。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베와 실로 내는 세()와 좁쌀과 쌀로 내는 세()와 힘으로 부역하는 세()가 있는데, >

【趙岐 注】: 征,賦也。國有軍旅之事,則橫興此三賦也。布,軍卒以衣也,縷,鎧甲之縷也。粟米,軍糧也。力役,民負荷廝養之役也。

【조기 注】: (, 부를 징), 세금을 거둠이다. 나라에 군대(軍隊) 여단(旅團)의 일이 있게 되면 변칙(變則)으로 이 세 가지 세금을 거두게 된다. (, 베 포)는 군졸이 그로써 옷으로 입으며, (,실 루), 갑옷의 껍질을 꿰매는 실이다. 좁쌀과 쌀[속미(粟米)], 군대(軍隊)의 양식이다. 힘으로 부역함[력역(力役)], 백성들이 비천한 것을 짊어지고 길러주는 부역을 부담함이다.

 

君子用其一,緩其二。用其二而民有殍,用其三而父子離。”

<군자는 그 한 가지만 쓰고 두 가지는 늦추어준다. 그 두 가지를 쓰면 백성들이 굶어 죽는 이가 있고, 세 가지를 함께 쓰면 부모와 자식이 이별한다.>

【趙岐 注】: 君子,雖遭軍旅,量其民力,不並此三役,更發異時。急一緩二,民不苦之。若並用二,則路有餓殍。若並用三,則分崩不振,父子離析,忘禮義矣。

【조기 注】: 군자가 정치를 하면 비록 군대(軍隊)의 여단(旅團)을 만나더라도 그 백성의 힘을 헤아려 이 세 가지 부역(賦役)을 모두 하지 않으며 고쳐서 다른 때에 발령한다. 하나를 급히 하면 둘을 늦추어 백성들이 괴롭지 않게 한다. 만약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하면, 길에 굶주려 죽는 이가 있게 된다. 만약 세 가지를 모두 사용하면, 나누어져 무너져서 구원(救援)하지 못하고 아버지와 자식이 쪼개어져 이별하며 예의(禮義)를 잊어버린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8

孟子曰: 諸侯之寶三,土地,人民,政事。寶珠玉者,殃必及身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제후(諸侯)의 보배가 세 가지인데, 토지(土地)와 인민(人民)과 정사(政事)이다. 주옥(珠玉)을 보배로 하는 자는 재앙이 반드시 자신에게 미친다.

 

 

진심(盡心)-

28

孟子曰:“諸侯之寶三:土地、人民、政事。寶珠玉者,殃必及身。”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제후(諸侯)의 보배가 세 가지인데, 토지(土地)와 인민(人民)과 정사(政事)이다. 주옥(珠玉)을 보배로 하는 자는 재앙이 반드시 자신에게 미친다.>

【趙岐 注】: 諸侯正其封疆,不侵鄰國,鄰國不犯,寶土地也;使民以時,居不離散,寶人民也;修其德,布其惠政,寶政事也。若寶珠玉,求索和氏之璧、隋氏之珠,與國爭之國加害,殃及身也。

【조기 注】: 제후(諸侯)는 그 봉지의 강역을 자로하고 이웃 나라를 침략하지 않으며 이웃 나라를 범하지 않음이 토지(土地)를 보배로함이고, 백성들로 하여금 때맞게 험으로써 거주를 흩어져 이별하지 않게함이 인민(人民)을 보배로함이며, 그 덕의 가름침을 닦고 은혜의 정치를 펼침이 정사(政事)를 보배로함이다. 먼약 주옥(珠玉)을 보배로 하여 화씨(和氏)의 벽옥과 수씨(隋氏)의 주옥을 찾아 구하면 강한 나라와 더블어 다투게 되고 강한 나라가 가해(加害)를 하여 재앙이 자신에게 미친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29

盆成括仕於齊,孟子曰: 死矣盆成括! 盆成括見殺,門人問曰: 夫子何以知其將見殺? : 其爲人也小有才,未聞君子之大道也,則足以殺其軀而已矣

분성괄(盆成括)이 제()나라에 벼슬하였는데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죽겠구나, 분성괄이여!

분성괄(盆成括)이 죽임을 당하자, 문인(門人)이 묻기를 “선생님께서는 무엇을 가지고 그가 장차 죽임을 당할 줄 아셨습니까?”라고 말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의 사람됨이 조금은 재주가 있으나 군자의 대도(大道)를 듣지 못했으니, 그의 몸을 죽게함으로 넉넉할 뿐이네.

 

 

진심(盡心)-

29

盆成括仕於齊。孟子曰:“死矣,盆成括!”

<분성괄(盆成括)이 제()나라에 벼슬하였는데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죽겠구나, 분성괄이여! >

【趙岐 注】: 盆成,姓;括,名也。欲學於孟子,問道未達而去,後仕於齊。孟子聞而嗟歎,曰:死矣盆成括。知其必死。

【조기 注】: 분성(盆成)은 성이고, ()은 이름이다. 일찍이 맹자에게 배우고자 하며 도를 들음에 도달하지 못했는데 떠났으며, 뒤에 제()나라에 벼슬했었다. 맹자께서 듣고서 탄식하여 한탄하면서 “죽겠구나, 분성괄이여!”라고 말했는데, 반드시 죽을 줄 알았음이다.

 

盆成括見殺,門人問曰:“夫子何以知其將見殺?”

<분성괄(盆成括)이 죽임을 당하자, 문인(門人)이 묻기를 “선생님께서는 무엇을 가지고 그가 장차 죽임을 당할 줄 아셨습니까?”라고 말했다.>

【趙岐 注】: 門人問孟子,何以知之也。

【조기 注】: 문인이 맹자에게 무엇을 가지고 그것을 알았는가를 물었음이다.

 

曰:“其人也小有才,未聞君子之大道也,則足以殺其軀而已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의 사람됨이 조금은 재주가 있으나 군자의 대도(大道)를 듣지 못했으니, 그의 몸을 죽게함으로 넉넉할 뿐이네.>

【趙岐 注】: 孟子答門人,言括之,小有才慧,而未知君子仁義謙順之道,適足以害其身也。

【조기 注】: 맹자께서 문인에게 답하기기를, 분성괄[]의 사람됨은 조금은 슬기로운 재주가 있지만 군자의 인의(仁義)와 겸순(謙順)의 도()를 알지 못하였으니 그 자신을 해침으로 충분히 알맞다고 말하였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0

孟子之滕,館於上宮。有業屨於牖上,館人求之弗得。

或問之曰: 若是乎從者之廋也 : 子以是爲竊屨來與? : 殆非也。夫子之設科也,往者不追,來者不拒。苟以是心至,斯受之而已矣

맹자께서 등()나라에 가서 상궁(上宮)에 머무셨다.

[관인(館人)] 작업하던 신을 창문 위에 두었는데, 관사(官舍) 사람이 찾아도 찾지 못하였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따르는 자들이 숨기기를 이와 같이 합니까?”라고 말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자네는 이 사람들이 신을 훔치러 왔다고 여기는가?

[관인(館人)] 말했다. “거의 아닙니다, 선생님의 설치(設置)하신 과목은, 가는 자를 붙잡지 않고 오는 자는 막지 않으며, 진실로 이러한 마음으로 이르면 이들을 받아주셨을 뿐입니다.

 

 

진심(盡心)-

30

孟子之滕,館於上宮。

<맹자께서 등()나라에 가서 상궁(上宮)에 머무셨다. >

【趙岐 注】: 館,舍也。上宮,樓也。孟子舍止賓客所館之樓上也。

【조기 注】: (, 집 관)은 관사(館舍)이다. 상궁(上宮), 망루(望樓)이다. 맹자께서 빈객으로 집에 머무는 곳은 관사의 망루 위이다.

 

有業屨於牖上,館人求之弗得。或問之曰:“若是乎從者之廋也?”

<[관인(館人)] 작업하던 신을 창문 위에 두었는데, 관사(官舍) 사람이 찾아도 찾지 못하였다. 어떤 사람이 묻기를 “따르는 자들이 숨기기를 이와 같이 합니까?”라고 말했다.>

【趙岐 注】: 屨,屨也。業,織之有次,業而未成也。置之窗牖之上,客到之後,求之不得。有來問孟子者曰:是客從者之廋?廋,匿也。孟子與門徒相隨,從車數十,故曰侍從者所竊匿也。

【조기 注】: (, 신 구)는 짚신이다. (), 만들고 있던 차례에 작업을 하면서 아직 완성하지 못했음이다. 들창 창문의 위에 그것을 두었는데 객이 이르른 뒤에 찾았으나 찾지를 못했다. 맹자에게 와서 물은 자가 있었는데 "이 빈객 종자가 숨겼습니까?"라고 말했다. (, 숨길 수), 숨김이다. 맹자께서 문하의 무리와 더블어 서로 따랐는데 따르는 수레가 수십대이었기 때문에 "시중드는 자가 훔쳐서 숨겼는 바인가?"라고 말했음이다.

 

曰:“子以是竊屨來與?”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자네는 이 사람들이 신을 훔치러 왔다고 여기는가? >

【趙岐 注】: 孟子謂館人曰:子以是眾人來隨事我,本欲竊屨故來邪

【조기 注】: 맹자께서 관사(官舍) 사람에게 말하기를 “자네는 이로써 여러 사람들이 나를 따르는 일로 왔는데, 본래 신을 훔치려고 하는 연고로 왔다고 여기는가?”라고 말했다.

 

曰:“殆非也。”

<[관인(館人)] 말했다. “거의 아닙니다,>

【趙岐 注】: 館人曰:殆非是來事夫子也。自知問之過也。

【조기 注】: 관인(館人)이 말했다. “거의 아니고, 이들이 선생님을 섬기려 왔다고 여기며, 스스로 잘못을 듣고서 알고 있습니다.

 

“夫予之設科也,往者不追,來者不拒。苟以是心至,斯受之而已矣。”

<선생님의 설치(設置)하신 과목은, 가는 자를 붙잡지 않고 오는 자는 막지 않으며, 진실로 이러한 마음으로 이르면 이들을 받아주셨을 뿐입니다.>

【趙岐 注】: 孟子曰:夫我設授之科人以道德也,其去者亦不追呼,來者亦不拒逆,誠以是學道之心來至我,則斯受之,亦不知其取之與否, 君子不保其異心也。見館人殆非是來,亦云不能保知,謙以益之而已。

【조기 注】: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설치(設置)하여 가르치는 과목은, 도덕(道德)으로써 사람들을 가르치는데 떠나는 자는 또한 쫓아가 부르지 않고 오는 자는 또한 거절하여 막지 않으며, 진실로 이러함으로써 도()를 배우려는 마음으로 나에게 이르러 오면 이들을 받아 주고, 또한 그 취하는 여부를 알지 못하지만 군자는 그 다른 마음을 보호받지 못한다.” 관인(館人)이 보기에 [훔치려고] 여기에 오도록 했음이 거의 아니며, 또한 잘 보호 받을지를 알지 못하고 겸손함으로써 더해 줄 뿐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1

孟子曰: 人皆有所不忍,達之於其所忍,仁也,人皆有所不爲,達之於其所爲,義也。

人能充無欲害人之心,而仁不可勝用也,人能充無穿踰之心,而義不可勝用也。

人能充無受爾汝之實,無所往而不爲義也。

士未可以言而言,是以言之也,可以言而不言,是以不言之也。是皆穿踰之類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은 모두 참지 못하는 바가 있는데, 그 참는 바에 도달함이 어짊[]이다.

사람은 모두 실천하지 않는 바가 있는데, 그 실천하는 바에 도달함이 의로움[]이다.

사람이 남을 해치려고 함이 없는 마음을 잘 채우면 어짊[]을 이루 다 쓸 수가 없으며, 사람이 협문을 뚫으려는 마음이 없음을 잘 채우면 의로움[]을 이루 다 쓸 수가 없다.

사람들이 [무시 하는]너와 자네를 받음이 없음의 실()함을 잘 채우면 가는 곳에서 의로움[]을 실천하지 못함이 없다.

관리가 말을 해서는 안 되는 데도 말하면 이는 말함으로써 낚으려 함이고, 말을 해야 하는 데도 말하지 않으면 이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낚으려 함이며, 이는 모두 [담장을] 뚫거나 넘어가려 하는 종류이다.

 

 

진심(盡心)-

31

孟子曰:“人皆有所不忍,達之於其所忍,仁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은 모두 참지 못하는 바가 있는데, 그 참는 바에 도달함이 어짊[]이다. >

【趙岐 注】: 人皆有所愛,不忍,加惡推之,以通於所不愛,皆令被德,此仁人也。

【조기 注】: 사람은 모두 사랑하는 바가 있는데, 참지 못함은, 미움을 더하여 밀어붙여서 그로써 사랑하지 않는 바에 통함이며, 모두로 하여금 덕을 입게 하면 이가 어진 사람이다.

 

人皆有所不,達之於其所,義也。

<사람은 모두 실천하지 않는 바가 있는데, 그 실천하는 바에 도달함이 의로움[]이다.>

【趙岐 注】: 人皆有不喜,謂貧賤也,通之於其所喜,謂富貴也。抑情止欲,使若所不喜,此者義人也。

【조기 注】: 사람은 모두 실천함을 기뻐하지 않음은, 가난하고 천함을 가리키고, 그 실천함을 기뻐하는 바에 통함은 부유하고 귀함을 말한다. 마음을 억제하여 욕망을 그치게 하고 실천함을 기뻐하지 않는 바와 같게 시키면 이러한 자가 의로운[] 사람이다.

 

人能充無欲害人之心,而仁不可勝用也。

<사람이 남을 해치려고 함이 없는 마음을 잘 채우면 어짊[]을 이루 다 쓸 수가 없으며, >

【趙岐 注】: 人皆有不害人之心,能充大之以,仁不可勝用也。

【조기 注】: 사람은 모두 남을 해치지 않으려고 하는 마음이 있는데, 크게 잘 채워서 그로써 어짊[]을 실천하면 어짊[]을 이루 다 쓸 수가 없음이다.

 

人能充無穿窬之心,而義不可勝用也。

<사람이 협문을 뚫으려는 마음이 없음을 잘 채우면 의로움[]을 이루 다 쓸 수가 없다.>

【趙岐 注】: 穿牆逾屋,奸利之心也。人無此心,能充大之以,義不可勝用也。

【조기 注】: 집에 담장 협문을 뚫음은, 이로움에 간사한 마음이다. 사람이 모두 이런 마음이 없음을, 크게 잘 채워서 그로써 의로움[]을 실천하면 의로움[]을 이루 다 쓸 수가 없음이다.

 

人能充無受爾汝之實,無所往而不義也

<사람들이 [무시 하는]너와 자네를 받음이 없음의 실()함을 잘 채우면 가는 곳에서 의로움[]을 실천하지 못함이 없다.>

【趙岐 注】: 爾汝之實,德行可輕賤,人所爾汝者也。不見輕賤,不人所爾汝,能充大而以自行,所至皆可以義也

【조기 注】: 너와 자네의 실()함은, ()을 행함이 가볍고 천하게 할 수 있어서 사람들이 이놈저놈 하는 바이다. 나아가 가볍고 천함을 당하지 않으니 사람들이 이놈저놈 하는 바를 하지 않음을, 크게 잘 채워 스스로 행함으로써 모두 의로움[]을 실천함으로 할 수 있음에 이르는 바이다.

 

士未可以言而言,是以言之也。可以言而不言,是以不言之也。是皆穿逾之類也。”

<관리가 말을 해서는 안 되는 데도 말하면 이는 말함으로써 낚으려 함이고, 말을 해야 하는 데도 말하지 않으면 이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낚으려 함이며, 이는 모두 [담장을] 뚫거나 넘어가려 하는 종류이다.>

【趙岐 注】: ,取也。人之士者,見尊貴者未可與言而與之言,欲以言取之也,是失言也。見可與言者而不與之言,不知賢人可與之言,而反欲以不言取之,是失人也。是皆趨利入邪無知之人,故曰穿逾之類也。

【조기 注】: (, 낚을 첨), 취함이다. 사람의 관리를 하는 자가, 높고 귀한 자를 보고 아직 함께 말을 할 수 있지 않은데도 강제로 더블어서 말하면, 말함으로써 그것을 취하고자 함이니 이는 말을 잃음[失言]이다. 보고서 말을 함께 할 수 있는 자인데도 함께 말하지 않으면, 현명한 사람과 더블어서 말할 수 있음을 알지 못하여서 도리어 말하지 않음으로써 취하려고 함이니 이는 사람을 잃음[失人]이다. 이는 모두 이익을 좇아서 지혜가 없이 간사함에 들어가는 사람이기 때문에 “[담장을] 뚫거나 넘어가려하는 종류이다.”라고 말했음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2

孟子曰: 言近而指遠者,善言也,守約而施博者,善道也。君子之言也,不下帶而道存焉。

君子之守修其身,而天下平。

人病舍其田而芸人之田,所求於人者重,而所以自任者輕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은 가까우면서 가리킴이 먼 것이 좋은 말[善言]이고, 지킴은 간략하면서 넓게 베풀어지는 것이 좋은 도[善道]이다.

군자의 말은, 허리띠까지 낮추지 않는데도 도()가 그곳에 존재하고, 군자의 지킴은 그 자신을 닦으면서 천하가 화평(和平)해진다.

사람의 병통은 그의 밭을 버려두고서 남의 밭을 김매는 것인데, 남에게 요구하는 것을 무겁게 하면서 스스로 책임지는 것은 가볍게 하기 때문이다.

 

 

진심(盡心)-

32

孟子曰:“言近而指遠者,善言也。守約而施博者,善道也。君子之言也,不下帶而道存焉。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은 가까우면서 가리킴이 먼 것이 좋은 말[善言]이고, 지킴은 간략하면서 넓게 베풀어지는 것이 좋은 도[善道]이다. 군자의 말은, 허리띠까지 낮추지 않는데도 도()가 그곳에 존재하고,>

【趙岐 注】: 言近指遠,近言正心,遠可以事天也;守約施博,約守仁義,大可以施德於天下也:二者可謂善言善道也。正心守仁,皆在焜臆,吐口而言之,四體不與焉,故曰不下帶而道存焉。

【조기 注】: 말은 가까운데 가리킴을 멀리함은, 말이 가깝고 마음이 바르면 멀리 하늘을 섬길 수가 있음이고, 지킴은 간략하고 넓게 베풂은, 지킴이 간략하고 뜻이 어질면 천하에 덕을 크게 베풀 수가 있으며, 두 가지를 좋은 말[善言]과 좋은 도[善道]라고 말할 수 있다. 마음을 바로하고 어짊을 지킴은, 모두 빛나는 가슴에 있는데 입으로 토하면서 말이 되고 팔다리는 그곳에 함께하지 않기 때문에 말하기를 "허리띠까지 낮추지 않는데도 도()가 그곳에 존재한다."라고 했다.

 

君子之守,脩其身而天下平。

<군자의 지킴은 그 자신을 닦으면서 천하가 화평(和平)해진다.>

【趙岐 注】: 身正物正,天下平矣。

【조기 注】: 자신이 바르면 사물이 바르고 천하가 화평(和平) 해진다.

 

人病舍其田而芸人之田,所求於人者重,而所以自任者輕。”

<사람의 병통은 그의 밭을 버려두고서 남의 밭을 김매는 것인데, 남에게 요구하는 것을 무겁게 하면서 스스로 책임지는 것은 가볍게 하기 때문이다.>

【趙岐 注】: 芸,治也。田以,舍身不治,而欲責人治,是求人太重,自任太輕也。

【조기 注】: (, 심을 예), 다스림이다. 밭을 가지고 자신에 비유함이며, 자신을 다스리지 않고 버리면서 남을 다스려 꾸짖으려고 하니 이는 남에게 크고 무겁게 요구하면서 자신의 책임은 매우 가볍게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3

孟子曰: 堯、舜,性者也,湯、武,反之也。

動容周旋中禮者,盛德之至也。哭死而哀,非爲生者也。經德不回,非以干祿也。言語必信,非以正行也。

君子行法,以俟命而已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임금과 순()임금께서는 본성[]대로 하신 분이시고, ()왕과 무()왕께서는 그것[]을 회복하셨다.

행동과 용모를 두루 힘써서 예()에 맞는 것은 성대한 덕()의 지극함이고, 죽은 이에 곡()하면서 슬퍼함은 산 자를 위해서가 아니며, ()을 실천하여 어기지 않음은 그로써 녹(祿)을 구함이 아니고, 말을 반드시 미덥게 말함은 그로써 행실을 바로잡음이 아니다.

군자는 법()을 행하고 그로써 명()을 기다릴 뿐이다.

 

 

진심(盡心)-

33

孟子曰:“堯、舜,性者也。湯、武,反之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임금과 순()임금께서는 본성[]대로 하신 분이시고, ()왕과 무()왕께서는 그것[]을 회복하셨다.>

【趙岐 注】: 堯、舜之體性自善者也。殷湯、周武,反之於身,身安乃以施人,謂加善於民也。

【조기 注】: ()임금과 순()임금께서는 몸의 본성[]이 스스로 선()한 분이시다. ()나라 탕()왕과 주()나라 무()왕이 자신에게 돌이키는 것은, 자신이 편안함을 비로소 그로써 남에게 베풂인데 백성들에게 착함을 더해줌을 말한다.

 

動容周旋中禮者,盛德之至也。

<행동과 용모를 두루 힘써서 예()에 맞는 것은 성대한 덕()의 지극함이고, >

【趙岐 注】: 人動作容儀周旋中禮者,盛德之至。

【조기 注】: 사람이 용모와 거동의 동작을 두루 힘써서 예()에 맞는 것은 성대한 덕()의 지극함이다.

 

哭死而哀,非生者也

<죽은 이에 곡()하면서 슬퍼함은 산 자를 위해서가 아니며, >

【趙岐 注】: 死者有德,哭者哀也。

【조기 注】: 죽은 자가 덕()이 있으면 곡하는 자가 슬퍼함이다.

 

經德不回,非以幹祿也。言語必信,非以正行也。

<()을 실천하여 어기지 않음은 그로써 녹(祿)을 구함이 아니고, 말을 반드시 미덥게 말함은 그로써 행실을 바로잡음이 아니다.>

【趙岐 注】: 經,行也。體德之人,行其節操自不回邪,非以求祿位也。庸言必信,非必欲以正行名也,性不忍欺人也。

【조기 注】: (, 지날 경), 행함이다. ()이 몸에 베인 사람은, 그 절개(節介)와 지조(志操)를 행하고 스스로 간사함에 돌아가지 않으며 그로써 녹(祿)과 지위를 구하지 않는다. 말은 반드시 믿음에 떳떳하고 반드시 바른 행동으로써 이름을 삼으려고 해서는 안 되며 본성은 사람 속임을 참지 못함이다.

君子行法以俟命而已矣。”

<군자는 법()을 행하고 그로써 명()을 기다릴 뿐이다.>

【趙岐 注】: 君子順性蹈德,行其法度,夭壽在天,行命以待之而已矣。

【조기 注】: 군자는 본성에 따르고 덕()을 실천하며 그 법도(法度)를 행하고, 요절(夭折)과 장수(長壽)는 하늘에 있으며 명()을 행하고 그로써 기다릴 뿐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4

孟子曰: 說大人,則藐之,勿視其巍巍然。

堂高數仞,榱題數尺,我得志,弗爲也。食前方丈,侍妾數百人,我得志,弗爲也。般樂飮酒,驅騁田獵,後車千乘,我得志,弗爲也。在彼者,皆我所不爲也,在我者,皆古之制也,吾何畏彼哉?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대인(大人)을 설득하려면 그를 멀리하고우뚝 솟은 듯이 보지 말아야 한다.

집 높이가 몇 길이 되고 서까래 머리가 몇 자라도, 나는 [그 집에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앞에 음식이 사방 열자이고 모시는 첩이 수백 명이라도, 나는 [그 집에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매우 즐겁게 술을 마시고 말을 달려 사냥하는데 수레 천 대가 따르더라도, 나는 [거기에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저기에 있는 것들은 모두 내가 하지 않는 바이고나에게 있는 것들은 모두 옛날의 제도인데내가 어찌 저들을 두려워하겠는가?

 

 

진심(盡心)-

34

孟子曰:“說大人則藐之,勿視其巍巍然。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대인(大人)을 설득하려면 그를 멀리하고우뚝 솟은 듯이 보지 말아야 한다. >

【趙岐 注】: 大人,謂當時之尊貴者也。孟子言說大人之法,心當有以輕藐之,勿敢視之巍巍富貴,若此而不畏之,則心舒意展,言語得盡而已。

【조기 注】: 대인(大人)은 당시의 존귀한 자를 말한다. 맹자께서 대인(大人)의 법을 설득하려면 마음을 마땅히 가벼이 함으로써 멀리함이 있어야 하고 감히 우뚝 솟아 부유하고 귀하게 보지는 말아야 하며, 이와 같은데도 두려워하지 않으면 마음을 펼쳐서 뜻을 펴게 되고 말을 말함을 모두 얻을 뿐이라고 말하였음이다.

 

堂高數仞,榱題數尺,我得誌弗

<집 높이가 몇 길이 되고 서까래 머리가 몇 자라도, 나는 [그 집에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

【趙岐 注】: 仞,八尺也。榱題,屋。堂高數仞,榱題數尺,奢太之室,使我得誌,不居此堂也。大屋無尺丈之限,故言數仞也。

【조기 注】: (, 길 인), 여덟 자이다. 최제(榱題), 집의 처마 끝이다. 집 높이가 몇 길[堂高數仞]과 서까래 머리가 몇 자[榱題數尺], 사치가 큰 집인데 나로 하여금 뜻을 얻게 하더라도 이러한 집에 거주하지 않음이다. 큰 집은 자의 길이에 한계가 없기 때문에 몇 길이라 말하였다.

 

食前方丈,侍妾數百人,我得誌弗

<앞에 음식이 사방 열자이고 모시는 첩이 수백 명이라도, 나는 [그 집에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

【趙岐 注】: 極五味之饌食,列於前方一丈,侍妾眾多至數百人也。

【조기 注】: 다섯 가지 맛이 지극한 반찬과 밥이 사방 한 장을 앞에 벌려놓고 모시는 첩의 무리가 수백 명에 이르러서 많음이다.

 

般樂,驅騁田獵,後車千乘,我得誌弗

<매우 즐겁게 술을 마시고 말을 달려 사냥하는데 수레 천 대가 따르더라도, 나는 [거기에서] 뜻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

【趙岐 注】: 般,大也。大作樂而,驅騁田獵,後車千乘,般於遊田也。

【조기 注】: (, 가지 반)은 큼이다. 크게 즐겁게 즐기면서 술을 마시고 말을 달려 사냥을 하는데 수레 천대가 뒤따름은 놀이와 사냥이 큼이다.

 

在彼者皆我所不,在我者皆古之製也,吾何畏彼哉!”

<저기에 있는 것들은 모두 내가 하지 않는 바이고나에게 있는 것들은 모두 옛날의 제도인데내가 어찌 저들을 두려워하겠는가?>

【趙岐 注】: 在彼貴者驕佚之事,我所恥。在我所行,皆古聖人所製之法,謂恭儉也。我心何當畏彼人乎哉

【조기 注】: 저기에 있는 귀한 것들은 교만(驕慢)하고 방자(放恣)한 일이라서 나를 부끄럽게 하는 바이다. 나에게 있는 행하는 바는, 모두 옛 성인이 지은 바의 법으로 공손(恭遜)하고 검소(儉素)함을 말함인데 나의 마음이 어찌 저 사람들을 두려워함이 마땅하겠는가?

 

 

 

『맹자(孟子)

진심(盡心)-

35

孟子曰: 養心莫善於寡欲。其爲人也寡欲,雖有不存焉者,寡矣,其爲人也多欲,雖有存焉者,寡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음을 기름은, 욕심이 적음 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 사람됨이 욕심이 적으면, 비록 그곳에 보존하지 못한 것이 있더라도 [못한 것이] 적고, 그 사람됨이 욕심이 많으면 비록 그곳에 보존된 것이 있더라도 [보존된 것이] 적다.

 

 

진심(盡心)-

35

孟子曰:“養心莫善於寡欲。其人也寡欲,雖有不存焉者,寡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음을 기름은, 욕심이 적음 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그 사람됨이 욕심이 적으면, 비록 그곳에 보존하지 못한 것이 있더라도 [못한 것이] 적고, >

【趙岐 注】: 養,治也。寡,少也。欲,利欲也。雖有少欲而亡者,謂遭橫暴,若單豹臥深山而遇饑虎之類也,然亦寡矣。

【조기 注】: (, 기를 양), 다스림이다. (, 적을 과), 적음이다. (, 하고자 할 욕)은 이롭게 하고자 함이다. 비록 욕심이 작거나 없는 자가 부당한 사나움을 만나면, 깊은 산속에 표범 한 마리가 누워있더라도 굶주린 범의 무리를 만난 것같이 함을 말한다, 그러나 또한 적음이다.

 

人也多欲,雖有存焉者,寡矣。”

<그 사람됨이 욕심이 많으면 비록 그곳에 보존된 것이 있더라도 [보존된 것이] 적다.>

【趙岐 注】: 謂貪而不亡,蒙先人德業,若晉國欒黶之類也,然亦少矣,不存者眾。

【조기 注】: 탐하면서 없애지 않고 앞 사람의 덕업에 어두운 이는, ()나라 난염(欒黶)과 같은 무리이다, 그러나 또한 적으며 보존하지 못한 자가 여럿이다.

譯註 : 난염(欒黶, 미상~BC 552)⇒춘추 시대 진()나라 사람인데 시호는 환자(桓子)이며 난서(欒書)의 아들이다. 진도공(晉悼公)이 즉위하여 그 사람됨이 과감하여 공족대부(公族大夫)로 삼아서 하장군(下將軍)에 임명하였다. 도공 14년 진()나라를 공격하는데, 주장(主將) 순언(荀偃)이 멋대로 군대를 지휘하자 돌아와 버렸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6

曾晳嗜羊棗。而曾子不忍食羊棗。

公孫丑問曰: 膾炙與羊棗孰美? 孟子曰: 膾炙哉! 公孫丑曰: 然則曾子何爲食膾炙而不食羊棗? : 膾炙所同也,羊棗所獨也。諱名不諱姓,姓所同也,名所獨也

증석(曾晳)이 양대추[羊棗]를 좋아하셨는데, 증자(曾子)는 양대추를 차마 먹지 못했다. 공손추(公孫丑)가 묻기를 “생선회와 불고기하고 양대추는 어느 것이 맛있습니까?”라고 말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생선회와 불고기일 것이네.

공손추(公孫丑)가 말했다. “그렇다면 증자께서는 어찌하여 생선회와 불고기는 드시려고 하시면서 양대추는 드시지 않았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생선회와 불고기는 무두 [좋아하는] 바이지만, 양대추는 [아버지] 혼자 좋아하신 것이네. 이름 부르기를 피하지만 성은 피휘(避諱)하지 않는데, 성은 함께 쓰는 바이지만 이름은 혼자 쓰기 때문이네.

 

 

진심(盡心)-

36

曾晳嗜羊棗,而曾子不忍食羊棗。公孫丑問曰:“膾炙與羊棗孰美?”

<증석(曾晳)이 양대추[羊棗]를 좋아하셨는데, 증자(曾子)는 양대추를 차마 먹지 못했다. 공손추(公孫丑)가 묻기를 “생선회와 불고기하고 양대추는 어느 것이 맛있습니까?”라고 말했다.>

【趙岐 注】: 羊棗,棗名也。曾子以父嗜羊棗,父沒之後,唯念其親不複食羊棗,故身不忍食也。公孫丑怪之,故問羊棗與膾炙孰美也。

【조기 注】: 양조(羊棗), 대추의 이름이다. 증자(曾子)는 아버지께서 양대추[羊棗]를 좋아하셨기 때문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뒤에도 오직 그 친애하시던 생각에 양대추를 다시 먹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차마 먹지 않았은이다. 공송추(公孫丑)가 괴이하게 여겼기 때문에 양대추[羊棗]하고 생선회와 불고기 중에 어느것이 맛있는가를 물었음이다.

 

孟子曰:“膾炙哉。”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생선회와 불고기일 것이네.>

【趙岐 注】: 言膾炙固美也,何比於羊棗。

【조기 注】: 생선회와 불고기가 확고(確固)하게 맛있는데, 어찌 양대추를 비교하는가?라는 말이다.

 

公孫丑曰:“然則曾子何食膾炙而不食羊棗?”曰:“膾炙所同也,羊棗所獨也。諱名不諱姓,姓所同也,名所獨也。”

<공손추(公孫丑)가 말했다. “그렇다면 증자께서는 어찌하여 생선회와 불고기는 드시려고 하시면서 양대추는 드시지 않았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생선회와 불고기는 무두 [좋아하는] 바이지만, 양대추는 [아버지] 혼자 좋아하신 것이네. 이름 부르기를 피하지만 성은 피휘(避諱)하지 않는데, 성은 함께 쓰는 바이지만 이름은 혼자 쓰기 때문이네.>

【趙岐 注】: 孟子言膾炙雖美,人所同嗜。獨曾子父嗜羊棗耳,故曾子不忍食也。譬如諱君父之名,不諱其姓。姓與族同之,名所獨也,故諱之也。

【조기 注】: 맹자께서 생선회와 불고기가 비록 맛있지만 사람들이 함께 좋아하는 바이기 때문이라 말하였음이다. 증자의 아버지께서 홀로 양대추를 좋아하셨을 뿐이기 때문에 증자가 차마 먹지 못했음이다. 비유하면 군주와 아버지의 이름을 피휘(避諱)하지만 그 성은 피휘하지 않음과 같다. 성은 동족이 함께 쓰지만 이름은 홀로 쓰는 바이다, 그러므로 피휘(避諱)를 함이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37

萬章問曰: 孔子在陳曰: 盍歸乎來! 吾黨之士狂簡,進取,不忘其初。孔子在陳,何思魯之狂士?

孟子曰: 孔子【當有曰字】不得中道【《論語》作行】而與之,必也狂【作狷】乎! 狂者進取,者有所不爲也 孔子豈不欲中道哉? 不可必得,故思其次也

敢問何如斯可謂狂矣?

: 如琴張、曾晳、牧皮者,孔子之所謂狂矣

何以謂之狂也?

: 其志嘐嘐然,曰: 古之人,古之人 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

狂者又不可得,欲得不屑不絜之士而與之,是,是又其次也。

孔子曰: 過我門而不入我室,我不憾焉者,其惟鄕原【作源】乎! 鄕原,德之賊也’”

: 何如斯可謂之鄕原矣? : “‘何以是嘐嘐也? 言不顧行,行不顧言,則曰: 古之人,古之人。行何爲踽踽凉凉? 生斯世也,爲斯世也,善斯可矣 閹然媚於世也者,是鄕原也

萬章曰: 一鄕皆稱原人焉,無所往而不爲原人,孔子以爲德之賊,何哉?

: 非之無擧也,刺之無刺也,同乎流俗,合乎汙世,居之似忠信,行之似廉絜,衆皆悅之,自以爲是,而不可與入堯、舜之道,故曰德之賊也。

孔子曰: 惡似而非者,惡莠,恐其亂苗也,惡佞,恐其亂義也,惡利口,恐其亂信也,惡鄭聲,恐其亂樂也,惡紫,恐其亂朱也,惡鄕原,恐其亂德也。

君子反經而已矣。經正,則庶民興,庶民興,斯無邪慝矣。

만장(萬章)이 여쭈었다.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시면서 말씀하시기를 ‘어찌 온데로 돌아가지 않겠는가? 나의 마을 젊은이들은 저돌적[]이고 단순하지만 진취적이며 그 처음을 잊지 않는다.'라고 하셨는데,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시면서 어찌 노()나라의 진취적인 관리들을 생각하셨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자께서는 ‘중용(中庸)의 도()를 얻어서 함께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저돌적[]이거나 곧게 지킴[]을 함께 했겠지? 광자(狂者)는 진취적이고 견자()는 하지 않는 바가 있다.’라고 하셨는데, 공자께서 어찌 중용(中庸)의 도()를 바라지 않았겠는가마는, 반드시 얻지 못했기 때문에 그 다음을 생각하셨네.

[만장이 말하였다] “감히 여쭙겠습니다, 이를 어찌하여야 저돌적[]이라 일컬을 수 있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금장(琴張)증석(曾晳)목피(牧皮)와 같은 자가, 공자께서 일러주신 바 저돌적[]인 자들이네.

[만장이 말하였다] “어찌하여 그들로써 저돌적[]이라 일컫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뜻이 높은 것처럼 ‘옛사람이여, 옛사람이여!’라고 말하지만, 평소에 그의 행실을 살펴보면 그곳에 숨기는 자는 아니라네.

광자(狂者)를 또 얻을 수 없으면 깨끗하지 않음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관리를 얻어서 함께하려고 하셨는데, 이것이 ‘곧게 지킴[]’이며 이 또한 그 다음이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의 문 앞을 지나면서 내 집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내가 그를 섭섭해하지 않은 자는 오직 향원(鄕原)이겠지! 향원은 덕()의 도적이다.’라고 하셨네.

[만장이] 말했다. "어찌해야 이를 향원이라 일컬을 수 있습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광자(狂者)] 무엇으로써 이렇게 기고만장(氣高萬丈)하며, 말은 행실을 돌아보지 않고 행실은 말을 돌아보지 않으면서 '옛사람이여, 옛사람이여!'라고 말하고, [견자()] 행실은 어찌 외롭고 쓸쓸하게 하며, 이 세상에 태어나서 이 세상을 위하여 이를 할 수 있으면 좋지않은가?’라고 하며, 고자(鼓子)처럼 세상에 아첨하는 자가 바로 향원이네.

만장[萬子]이 말했다. “한 지방이 모두 그를 근본(根本)되는 사람이라고 칭하면 [그가] 가는 곳마다 근본 되는 사람이 되지 않음이 없는데, 공자께서 덕()의 도적이라 여기셨음은 어째서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비난하려 해도 거론할 게 없고, 풍자하려 해도 풍자할 게 없으며, 흐르는 세속에 함께하고 더러운 세상에 영합하여, 거주함에는 미더움에 충실함을 닮았고 행함은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닮아서 무리가 모두 기뻐하여 스스로 옳다고 여기지만 요순(堯舜)의 도()에는 함께 들어갈 수가 없기 때문에 ‘덕()의 도적'이라고 하셨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닮았지만 아닌 것을 미워하는데, 가라지[]를 미워함은 그 벼싹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말재주꾼을 미워함은 그 의로움[]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이롭게 하는 입을 미워함은 그 믿음[]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나라 성악을 미워함은 그 음악[]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자주색[間色]을 미워함은 그 붉은색[正色]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향원을 미워함은 그 덕()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다.’라고 하셨네.

군자는 도리(道理)를 돌이킬 뿐이며, 도리(道理)가 바로잡히면 여러 백성이 [바른 도리가] 일어나고 여러 백성이 [바른 도리가] 일어나면 이러한 간사하고 요사스러움[邪慝]이 없어지네.

 

 

진심(盡心)-

37

萬章問曰:“孔子在陳,曰:‘盍歸乎來?吾黨之小子狂簡進取,不忘其初。’ 孔子在陳,何思魯之狂士?”

<만장(萬章)이 여쭈었다.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시면서 말씀하시기를 ‘어찌 온데로 돌아가지 않겠는가? 나의 마을 젊은이들은 저돌적[]이고 단순하지만 진취적이며 그 처음을 잊지 않는다.'라고 하셨는데,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시면서 어찌 노()나라의 진취적인 관리들을 생각하셨습니까?>

【趙岐 注】: 孔子厄陳,不遇賢人,上下無所交,蓋歎息思歸,欲見其黨之士也。簡,大也。狂者,進取大道而不得其正者也。不忘其初,孔子思故舊也。《周禮》“五黨,五州為鄉”,故曰吾黨之士也。萬章怪孔子何思魯之狂士者也

【조기 注】: 공자(孔子)의 진()나라 횡액(橫厄), 현명한 사람을 만나지 못하고 상하가 사귀는 바가 없었으며, 대개 돌아갈 생각에 탄식하며 그 고향 마을의 관리들을 보고자 하였음이다. (, 대쪽 간)은 큼이다. (, 미칠 광)이란 것은, 큰 도()에 진취적이지만 그 바름을 얻지 못한 자이다. 그 처음을 잊지 않음은, 공자께서 옛 친구들을 생각함이다.

《주례(周禮)》에, "다섯 당()이 주()가 되고 다섯 주()가 향()이 된다"라고 했기 때문에 "우리 마을의 관리"라고 말했다. 만장(萬章)이 공자께서 어찌하여 노()나라의 진취적인 관리들을 생각하게 되었는가 괴이하게 여겼음이다.

 

孟子曰:“孔子‘不得中道而與之,必也狂?狂者進取,者有所不’。孔子豈不欲中道哉?不可必得,故思其次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자께서는 ‘중용(中庸)의 도()를 얻어서 함께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저돌적[]이거나 곧게 지킴[] 함께 했겠지? 광자(狂者)는 진취적이고 견자()는 하지 않는 바가 있다.’라고 하셨는데, 공자께서 어찌 중용(中庸)의 도()를 바라지 않았겠는가마는, 반드시 얻지 못했기 때문에 그 다음을 생각하셨네.">

【趙岐 注】: 中道,中正之大道也。狂者能進取,者能不不善。時無中道之人,以狂,次善者,故思之也。

【조기 注】: 중도(中道), 가운데로 바로잡아 가는 큰 도()이다. 광자(狂者)는 잘 나아감을 취하고, 견자()는 잘 하지 않고 착하지도 않음이다. 때맞은 중도(中道)가 없는 사람은, 그로써 저돌적[]이거나 곧게 지킴[]이 다음으로 좋은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생각했음이다.

 

“敢問,何如斯可謂狂矣?”

<[만장이 말하였다] “감히 여쭙겠습니다, 이를 어찌하여야 저돌적[]이라 일컬을 수 있습니까?>

【趙岐 注】: 萬章曰:人行何如斯則可謂之狂也。

【조기 注】: 만장(萬章)이 말하기를 "사람이 이를 어떻게 행실하면 일컫기를 저돌적[]이라 할 수 있습니까?"라고 했다.

 

曰:“如琴張、曾晳、牧皮者,孔子之所謂狂矣。”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금장(琴張)증석(曾晳)목피(牧皮)와 같은 자가, 공자께서 일러주신 바 저돌적[]인 자들이네.>

【趙岐 注】: 孟子言人行如此三人者,孔子謂之狂也。琴張,子張也。子張之踔譎詭,《論語》曰“師也僻”,故不能純善而稱狂也,又善鼓琴,號曰琴張。曾晳,曾參父也。牧皮,行與二人同皆,事孔子學者也。

【조기 注】: 맹자께서 사람의 행실은 이와 같은 세 사람을 공자께서 일러 주신 저돌적[]이라고 말하셨다. 금장(琴張)은 자장(子張)인데, 자장(子張)의 사람됨은 글이 둔하여[침탁()] 속이고 헐뜯는데 《논어(論語)》에 말하기를 “사()는 치우친다.”라고 했기 때문에 순수한 착함을 잘하지 못하여 저돌적[]이라 칭하였고, 또 거문고를 잘 타서 호를 금장(琴張)이라 말하였으며, 증석(曾晳)은 증삼의 아버지이다. 목피(牧皮)는 두 사람과 함께 행하여 모두 공자의 일을 배운자들이다.

 

“何以謂之狂也?”

<[만장이 말하였다] “어찌하여 그들로써 저돌적[]이라 일컫습니까?>

【趙岐 注】: 萬章問何以謂此人

【조기 注】: 만장(萬章)이 무었으로써 이 사람을 저돌적[]으로 하여 말하는가를 물었음이다.

 

曰:“其誌嘐嘐然,曰古之人,古之人。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뜻이 높은 것처럼 ‘옛사람이여, 옛사람이여!’라고 말하지만, 평소에 그의 행실을 살펴보면 그곳에 숨기는 자는 아니라네.>

【趙岐 注】: 嘐嘐,誌大言大者也。重言古之人,欲慕之也。夷,平也。考察其行,不能掩覆其言,是其狂也。

【조기 注】: 효효(嘐嘐, 큰소리 효), 뜻이 커서 말을 크게하는 자이다. 거듭하여 옛 사람[古之人]을 말함은, [古之人]를 그리워함이다. (, 오랑캐 이), 평평함이다. 그 행실을 헤아려 살펴보면, 그 말을 잘 숨기거나 번복(飜覆)하지 못하니 바로 그 저돌적[]인 것이다.

 

狂者又不可得,欲得不屑不絜之士而與之,是,是又其次也。

<광자(狂者)를 또 얻을 수 없으면 깨끗하지 않음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관리를 얻어서 함께하려고 하셨는데, 이것이 ‘곧게 지킴[]’이며 이 또한 그 다음이네.>

【趙岐 注】: 屑,絜也。不絜,汙穢也。不能得狂者,欲得有介之人,能恥賤惡行不絜者,則可與言矣。是人次於狂者也

【조기 注】: (, 달갑게 여길 설), 깨끗함이다. 깨끗하지 않음은, 거칠고 더러움이다. 이미 저돌적[]인 자를 잘 얻지 못하고, 끼어 있는 사람을 얻으려고 하니, 능히 천함을 부끄러워하며 불결하지 않음을 행하는 자를 미워하면 함께 말 할 수 있음이다. 이는 곧게 지키는[] 사람이 광자(狂者)에 다음함이다.

 

孔子曰:‘過我門而不入我室,我不憾焉者,其惟原乎,德之賊也。’”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의 문 앞을 지나면서 내 집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내가 그를 섭섭해하지 않은 자는 오직 향원(鄕原)이겠지! 향원은 덕()의 도적이다.’라고 하셨네.">

【趙岐 注】: 憾,恨也。人過孔子之門不入,則孔子恨之,獨原不入者無恨心耳。以其原賊德故也

【조기 注】: (, 섭섭할 감), 유감(遺憾)이다. 사람들이 공자의 문을 지나며 들어오지 않으면 공자께서 한탄을 하는데, 들어오지 않는 자가 향원 홀로이지만 섭섭한 마음이 없다는 뜻이다. 그로써 향원이 덕()의 도적인 연고(緣故)이다.

 

曰:“何如斯可謂之原矣?”

<[만장이] 말했다. "어찌해야 이를 향원이라 일컬을 수 있습니까?>

【趙岐 注】: 萬章問願之惡如何

【조기 注】: 만장이 향원의 악()함이 무엇인가를 물었음이다.

 

曰:“何以是嘐嘐也, 言不顧行,行不顧言,則曰‘古之人,古之人。行何踽踽涼涼?生斯世也,斯世也,善斯可矣’。閹然媚於世也者,是原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광자(狂者)] 무엇으로써 이렇게 기고만장(氣高萬丈)하며, 말은 행실을 돌아보지 않고 행실은 말을 돌아보지 않으면서 '옛사람이여, 옛사람이여!'라고 말하고, [견자()] 행실은 어찌 외롭고 쓸쓸하게 하며, 이 세상에 태어나서 이 세상을 위하여 이를 할 수 있으면 좋지않은가?’라고 하며, 고자(鼓子)처럼 세상에 아첨하는 자가 바로 향원이네.>

【趙岐 注】: 孟子言原之人言何以嘐嘐,若有大誌也,其言行不顧,則亦稱曰古之人、古之人。行何踽踽涼涼,有威儀如無所施之貌也。原者,外欲慕古之人,而其心曰古之人何空自踽踽涼涼,而生於今之世無所用之乎。以生斯世,但當取人所善善人則可矣。其實但合眾之行。媚,愛也。故閹然大見愛於世也,若是者謂之原也

【조기 注】: 맹자께서 향원의 사람됨을 말하시기를, “무엇으로써 기고만장(氣高萬丈)하여 큰 뜻이 있는 것 같이 하고 그 말과 행실을 돌아보지 않으면서 또한 칭하기를 '옛사람이여, 옛사람이여!'라고 말하는가?”라고 말하였음이다. 행실은 어찌 외롭고 쓸쓸하게 함[行何踽踽涼涼], 위엄과 거동이 베푸는 바가 없는 것 같은 모양이 있음이다. 향원()이라는 자는, 밖으로 옛 사람을 사모하고자 하면서 그 마음은, “옛 사람이 어찌 스스로 외롭고 쓸쓸하다고 헛되이 하면서 지금의 세상에 태어났는데 쓰여지는 곳이 없는가?”라고 말한다. 이 세상에 태어나 다만 마땅히 남이 하는 선한 바를 취하여 착한 사람이면 된다고 여기지만, 그 실제는 다만 여럿이 합한 행실을 함이다. (, 아첨할 미)는 사랑함이다. 그러므로 고자(鼓子)처럼 세상에 크게 사랑을 받는데, 이와 같은 자를 향원이라고 말한다.

 

萬子曰:“一皆稱原人焉,無所往而不原人,孔子以德之賊,何哉?”

<만장[萬子]이 말했다. “한 지방이 모두 그를 근본(根本)되는 사람이라고 칭하면 [그가] 가는 곳마다 근본 되는 사람이 되지 않음이 없는데, 공자께서 덕()의 도적이라 여기셨음은 어째서입니까?>

【趙岐 注】: 萬子即萬章也,孟子錄之,以其不解於聖人之意,故謂之萬子。子,男子之通稱也。美之者,欲以責之也。萬子言人皆以原善,所至亦謂之善人。若是,孔子以賊德,何

【조기 注】: 만자(萬子)는 곧 만장이며, 맹자께서 [만자(萬子)라고] 기록을 하여 그로써 성인의 뜻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만자(萬子)라고 말을 하였다. (), 남자 직위의 통칭이며, 찬미[美之]를 한 것은, 그로써 책망을 하고자 함이다. 만자(萬子)가 사람들이 모두 근본(根本)이 착하다고 여기면 이르는 곳마다 또한 착한 사람이라 말을 하는데, 이와 같은데도, 공자께서 덕()을 도적질한다고 여기셨음은 어째서입니까?라고 말함이다.

 

曰:“非之無,刺之無刺也。同乎流俗,合乎汙世。居之似忠信,行之似廉絜,眾皆悅之,自以,而不可與入堯、舜之道,故曰德之賊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비난하려 해도 거론할 게 없고, 풍자하려 해도 풍자할 게 없으며, 흐르는 세속에 함께하고 더러운 세상에 영합하여, 거주함에는 미더움에 충실함을 닮았고 행함은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닮아서 무리가 모두 기뻐하여 스스로 옳다고 여기지만 요순(堯舜)의 도()에는 함께 들어갈 수가 없기 때문에 ‘덕()의 도적'이라고 하셨네.>

【趙岐 注】: 孟子言原之人能匿蔽其惡,非之無可,刺之無可刺者,誌同於流俗之人,行合於汙亂之世。人謀,居其身若似忠信,行其身若似廉絜,行矣眾皆悅美之,其人自以所行,而無仁義之實,故不可與入堯、舜之道也。無德而人以有德,故曰德之賊也。

【조기 注】: 맹자께서 향원의 사람들은, 그 악함을 덮어 잘 숨겨서 비난하려 해도 거론할 것이 없고 풍자하려 해도 풍자할 것이 없으며 뜻은 흐르는 세속의 사람들에 함께하고 행함은 더럽고 어지러워진 세상에 영합한다고 말하였음이다. 사람이 꾀를 꾸며서 그 자신이 거주함은 미더움에 충실함을 닮은 것 같고 그 자신이 행함은 청렴결백(淸廉潔白)함을 닮은 것 같아서 행함을 실천하면 무리가 모두 기뻐하고 찬미를 하며 그 사람이 스스로 행하는 바를 가지고 옳다고 하지만 어짊과 의로움의 실질이 없기 때문에 요순(堯舜)의 도()에 함께 들어갈 수가 없다. ()이 없는데도 사람들이 덕이 있다고 여기기 때문에 ‘덕()의 도적'이라고 말했다.

 

孔子曰:‘惡似而非者,惡莠,恐其亂苗也;惡佞,恐其亂義也;惡利口,恐其亂信也;惡鄭聲,恐其亂樂也;惡紫,恐其亂朱也;惡,恐其亂德也。’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닮았지만 아닌 것을 미워하는데, 가라지[]를 미워함은 그 벼싹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말재주꾼을 미워함은 그 의로움[]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이롭게 하는 입을 미워함은 그 믿음[]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나라 성악을 미워함은 그 음악[]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자주색[間色]을 미워함은 그 붉은색[正色]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며, 향원을 미워함은 그 덕()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다.’라고 하셨네.>

【趙岐 注】: 而非,孔子之所惡也。莠之莖葉似苗;佞人詐飾,似有義者;利口辯辭,似若有信;鄭聲淫,人之聽似若美樂;紫色似朱,朱,赤也;原惑眾,似有德者:此六似者,孔子之所惡也。

【조기 注】: 진실을 닮았지만 진실이 아닌 것을 공자께서 미워하신 바이다. 가라지[]의 줄기와 잎은 벼싹을 닮았고, 말재주꾼인 사람의 꾸며서 속임은 의로움[]이 있는 자를 닮았으며, 이롭게하는 입이 변론하는 말은 믿음이 있는 것 같음을 닮았고, ()나라 음란한 성악은, 사람이 들으면 아름다운 음악과 같이 닮았으며, 자주색[間色]은 붉은색[正色]을 닮았고, (, 붉을 주)는 붉은색이다. 향원이 무리를 현혹(眩惑)시켜서 덕()이 있는 자를 닮았음은, 이 여섯 가지를 닮은 것인데 공자께서 미워하신 바이다.

 

君子反經而已矣。經正則庶民興,庶民興,斯無邪慝矣。”

<군자는 도리(道理)를 돌이킬 뿐이며, 도리(道理)가 바로잡히면 여러 백성이 [바른 도리가] 일어나고 여러 백성이 [바른 도리가] 일어나면 이러한 간사하고 요사스러움[邪慝]이 없어지네.>

【趙岐 注】: 經,常也。反,歸也。君子治國家歸於常經,謂以仁、義、禮、智道化之,則眾民興起而家給人足矣。倉廩實而知禮節,安有邪惡之行也

【조기 注】: (, 지날 경)은 변치않음이다. (, 돌이킬 반), 돌아옴이다. 군자(君子)가 변치않는 도리(道理)로 나라와 집안을 다스림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를 가지고 달라지게 하면 여러 백성이 흥하여 일어나서 집안의 사람이 넉넉하게 불어남이다. 창고와 곳집이 알차면서 예절을 알면 어찌 사악한 행실을 함이 있겠는가?

 

 

 

『맹자(孟子)

진심(盡心)-

38

孟子曰: 由堯、舜至於湯,五百有餘歲,若禹、皐陶,則見而知之,若湯,則聞而知之。

由湯至於文王,五百有餘歲,若伊尹、萊朱,則見而知之,若文王,則聞而知之。

由文王至於孔子,五百有餘歲,若太公望、散宜生,則見而知之,若孔子,則聞而知之。

由孔子而來至於今,百有餘歲,去聖人之世若此其未遠也,近聖人之居若此其甚也,然而無有乎爾,則亦無有乎爾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순(堯舜)을 말미암아서 탕왕(湯王)에 이르름이 500여 년이었는데, 우왕(禹王)과 고요(皐陶) 같은 분이라면 보고서 그것[요순의 도]을 알았고, ()왕 같은 분이라면 듣고서 그것[요순의 도]을 알았다.

()왕을 말미암아서 문왕(文王)에 이르름이 500여 년인데, 이윤(伊尹)과 내주(萊朱) 같은 분이라면 보고서 알았고, 문왕 같은 분이라면 듣고서 알았다.

문왕(文王)을 말미암아서 공자(孔子)에 이르름이 500여 년인데, 태공망(太公望)과 산의생(散宜生) 같은 분이라면 보고서 알았고, 공자 같은 분이라면 듣고서 알았다.

공자를 말미암은 이래로 지금에 이르름이 100여 년인데, 성인(聖人)의 세대와의 거리가 이와 같이 멀지 않고, 성인의 거처에 가까움이 이와 같이 심하다. 그런데도 너희에게 [성인의 도가] 있는 게 없다면 또한 있는 이도 없겠구나!

 

 

진심(盡心)-

38

孟子曰:“由堯、舜至於湯,五百有餘歲。若禹、皋陶則見而知之,若湯則聞而知之。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요순(堯舜)을 말미암아서 탕왕(湯王)에 이르름이 500여 년이었는데, 우왕(禹王)과 고요(皐陶) 같은 분이라면 보고서 그것[요순의 도]을 알았고, ()왕 같은 분이라면 듣고서 그것[요순의 도]을 알았다.>

【趙岐 注】: 言五百歲聖人一出,天道之常也。亦有遲速,不能正五百歲,故言有餘歲也。見而知之,謂輔佐也。通於大賢次聖者,亦得與在其間。親見聖人之道而佐行之,言易也。聞而知之者,聖人相去卓遠,數百歲之間變故眾多,逾聞前聖所行,追而遵之,以致其道,言難也。

【조기 注】: 500년에 성인(聖人) 한분이 나오며, 하늘의 도()가 늘 그렇다는 말이다. 또한 더딤과 빠름이 있어서, 500년이 정확하지는 않기 때문에 여년이라고 말했다. 보고서 그것을 앎은, 도와 주었음을 말함이다. 크게 현명함에 통하여 성인에 버금가는 것은, 그 사이에 있어서 더블어 얻으며, 성인(聖人)의 도()를 친히 보고서 행하는 것을 도우면 바뀐다는 말이다. 듣고서 아는 자는, 성인(聖人)과의 서로 거리가 높고 멀어서 수 백년 사이에 변한 연고(緣故)가 여럿으로 많아서 성인이 행하는 바를 앞에서 듣고 넘어서며 쫓아서 따라가는데, []로써 그 도()에 이르기는 어렵다는 말이다.

 

由湯至於文王,五百有餘歲。若伊尹、萊朱則見而知之,若文王則聞而知之。

<()왕을 말미암아서 문왕(文王)에 이르름이 500여 년인데, 이윤(伊尹)과 내주(萊朱) 같은 분이라면 보고서 알았고, 문왕 같은 분이라면 듣고서 알았다.>

【趙岐 注】: 伊尹,摯也。萊朱,亦湯賢臣也,一曰仲虺是也。《春秋傳》曰:“仲虺居薛,湯左相。”是則伊尹右相,故二人等德也。

【조기 注】: 이윤(伊尹)은 이름이 지()이다. 내주(萊朱), 또한 탕()왕의 현명한 신하였으며 한편으로 중훼(仲虺)라고 말하였는데 이 사람이다. 《춘추전(春秋傳)》에 말하기를 “중훼(仲虺)가 설()땅에 거주하고 탕()왕의 좌상(左相)이 되었다.”라고 했는데 이는 곧 이윤(伊尹)이 우상(右相)을 하였기 때문에 두 사람의 덕()이 같았음이다.

 

由文王至於孔子,五百有餘歲。若太公望、散宜生,則見而知之,若孔子則聞而知之。

<문왕(文王)을 말미암아서 공자(孔子)에 이르름이 500여 년인데, 태공망(太公望)과 산의생(散宜生) 같은 분이라면 보고서 알았고, 공자 같은 분이라면 듣고서 알았다.>

【趙岐 注】: 太公望,呂,號曰師。散宜生,文王四臣之一也。呂有勇謀而,散宜生有文德而,故以相配而言之也。

【조기 注】: 태공망(太公望)은 여상()인데, ()를 사상보()라고 말했다. 산의생(散宜生)은 문왕(文王)의 네 신하 중 한 사람이다. 여상()은 용기와 지모가 있어서 장수(將帥)를 하였으며 산의생(散宜生)은 글에 덕()이 있어서 재상(宰相)을 하였기 때문에 그로써 서로 짝하여서 말을 하였다.

 

由孔子而來,至於今,百有餘歲,去聖人之世,若此其未遠也;近聖人之居,若此其甚也。然而無有乎爾,則亦無有乎爾。”

<공자를 말미암은 이래로 지금에 이르름이 100여 년인데, 성인(聖人)의 세대와의 거리가 이와 같이 멀지 않고, 성인의 거처에 가까움이 이와 같이 심하다. 그런데도 너희에게 [성인의 도가] 있는 게 없다면 또한 있는 이도 없겠구나!>

【趙岐 注】: 至今者,至今之世,當孟子時也。聖人之間,必有大賢名世者,百有餘年,適可以出未遠而無有也。鄒、魯相近,《傳》曰:“魯擊柝聞於。”近之甚也。言己足以識孔子之道,能奉而行之,不遭聖人,若伊尹、呂望之輔佐,猶可應備名世,如傅說之中出於殷高宗也。然而世謂之無有,此乃天不欲使我行道也。故重言之,知天意之審也。言“則亦”者,非實無有也,則亦當使無有也。“乎爾”者,歎而不怨之辭也。

【조기 注】: 지금에 이르렀다[至今]는 것은, 지금의 세상에 이르렀음이 마땅히 맹자의 시절이다. 성인(聖人)의 사이는, 반드시 세상에 현명한 이름을 크게 하는 자가 백여 년에 있는데, 그로써 나오기를 멀리하지 않았는데도 맞이 할 수가 없음이다. ()땅은 노()나라에 가까워서 《춘추전[]》에 말하기를 “노()나라에서 딱따기를 치면 주()나라에서 들린다.”라고 했는데 가까움이 심함이다. 자기의 넉넉함으로써 공자의 도를 앎은, 잘 받들어서 행하고 이미 성인할만한 이를 만나지 못했지만 만약 이윤(伊尹)과 여망(呂望)이 보좌를 하여서 오히려 이름을 갖추어 세상에 응할 수 있으면 부열(傅說)이 은()나라 고종(高宗)에게 가운데로 나감과 같음이다. 그러한데도 세상에서 없다고 말을 하니 이는 마침내 하늘이 나로 하여금 도()를 행하지 못하게 하려고 함이다. 그러므로 거듭 말을 하여 하늘의 뜻을 살펴서 앎이다. “즉역(則亦)”이라고 말한 것은, 없음이 실제로 아니라면 또한 마땅히 있음이 없도록 시킴이다. “호이(乎爾)“라는 것은, 한탄하면서 원망하지는 않음의 말이다.

 

 『맹자장구(孟子章句)』 終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