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注)와 한강백(韓康伯)의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19. 임괘(臨卦)[卦象:지택림]
☷ 坤上
☱ 兌下
태[澤.못]가 아래에 있고, 곤[地.땅]이 위에 있다.
臨,元亨利貞,至于八月有凶。 임(臨)은 크게 형통하고 이로움에 곧으며, 여덟 달에 이르러 흉함이 있다. |
[孔穎達 疏]「臨元亨」至「有凶」。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임원형(臨元亨)에서 유흉(有凶)까지.} ○正義曰:案《序卦》云:「臨,大也。」以陽之浸長,其德壯大,可以監臨於下。故曰「臨」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살펴보건대, 〈서괘전(序卦傳)〉에 이르기를 “임(臨)은 큼이다.”고 하였으며, 그로써 양(陽)이 점점 자라서 그 덕(德)이 장대(壯大)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고 임(臨)할 수 있기 때문에 ‘임(臨)’이라 말한 것이다. 剛既浸長,說而且順,又以剛居中,有應於外,大得亨通而利正也,故曰「元亨利貞」也。 굳셈이 이미 잠기어 자라고 설득되어서 또 따르며, 또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밖에 응(應)이 있으며 크게 통하여 형통함을 얻어서 바름이 이롭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이로움에 곧다[元亨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至於八月有凶」者,以物盛必衰,陰長陽退,臨為建醜之月,從建醜至於七月建申之時,三陰既盛,三陽方退,小人道長,君子道消,故八月有凶也。以盛不可終保,聖人作《易》以戒之也。 “여덟 달에 이르러 흉함이 있다[至于八月 有凶]”라는 것은, 그로써 사물이 성대하면 반드시 쇄(衰)하고 음(陰)이 자라면 양(陽)이 물러나며, 임(臨)괘는 건축[建丑; 建醜]의 달이 되고, 건축(建丑)로부터 7월의 건신(建申)의 때에 이르면 세 음(陰)이 이미 성(盛)하고 세 양(陽)이 바야흐로 물러가서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라고 군자(君子)의 도(道)가 사라지기 때문에 여덟 달이면 흉함이 있다. 그로써 성대함을 끝까지 보존할 수 없으며, 성인(聖人)이 ≪주역(周易)≫을 지어 그로써 경계를 하였다.」 |
[孔穎達 疏]「臨元亨」至「有凶」。
○正義曰:案《序卦》云:「臨,大也。」以陽之浸長,其德壯大,可以監臨於下。故曰「臨」也。剛既浸長,說而且順,又以剛居中,有應於外大,得亨通而利正也,故曰「元亨利貞」也。「至於八月有凶」者,以物盛必衰,陰長陽退,臨為建醜之月,從建醜至於七月建申之時,三陰既盛,三陽方退,小人道長,君子道消,故八月有凶也。以盛不可終保,聖人作《易》以戒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임원형(臨元亨)에서 유흉(有凶)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살펴보건대, 〈서괘전(序卦傳)〉에 이르기를 “임(臨)은 큼이다.”고 하였으며, 그로써 양(陽)이 점점 자라서 그 덕(德)이 장대(壯大)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고 임(臨)할 수 있기 때문에 ‘임(臨)’이라 말한 것이다.
굳셈이 이미 잠기어 자라고 설득되어서 또 따르며, 또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밖에 응(應)이 있으며 크게 통하여 형통함을 얻어서 바름이 이롭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이로움에 곧다[元亨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여덟 달에 이르러 흉함이 있다[至于八月 有凶]”라는 것은, 그로써 사물이 성대하면 반드시 쇄(衰)하고 음(陰)이 자라면 양(陽)이 물러나며, 임(臨)괘는 건축[建丑; 建醜]의 달이 되고, 건축(建丑)로부터 7월의 건신(建申)의 때에 이르면
세 음(陰)이 이미 성(盛)하고 세 양(陽)이 바야흐로 물러가서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라고 군자(君子)의 도(道)가 사라지기 때문에 여덟 달이면 흉함이 있다. 그로써 성대함을 끝까지 보존할 수 없으며, 성인(聖人)이 ≪주역(周易)≫을 지어 그로써 경계를 하였다.」
《彖》曰:臨,剛浸而長,說而順,剛中而應,大亨以正,天之道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임(臨)은 굳셈이 잠기어 자라고 설득되어서 따르며, 굳센 가운데이면서 응(應)하고 크게 형통함으로써 바르니, 하늘의 도(道)이다." 【王弼 注】 陽轉進長,陰道日消。君子日長,小人日憂。大亨以正之義。 【왕필 주】 양(陽)이 옮겨져 나아가 자라며 음(陰)의 도(道)가 날마다 소멸한다. 군자(君子)는 날마다 자라고 소인(小人)은 날마다 근심한다. 바름의 뜻으로 크게 형통함이다. |
[孔穎達 疏]「《彖》曰」至「天之道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천지도야(天之道也)까지.} ○正義曰:「臨剛浸而長說而順」者,此釋卦義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임(臨)은 굳셈이 잠기어 자라고 설득되어서 따르며[臨剛浸而長 說而順]”라는 것은, 이는 괘(卦)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凡諸卦之例,說而順之,下應以「臨」字結之。此無「臨」字者,以其剛中而應,亦是「臨」義,故不得於剛中之上而加「臨」也。 무릇 여러 괘(卦)의 예(例)에 설득되어서 따라 가면 아래에 응(應)이 ‘임(臨)’자로써 맺어야 하는데, 이 ‘임(臨)’자가 없는 것은, 그로써 굳센 가운데[中]이면서 응(應)함 또한 바로 임(臨)의 뜻이기 때문에 굳센 가운데[剛中]의 위에 얻지 못하고서 ‘임(臨)’을 더하였다. 「剛中而應,大亨以正,天之道」者,天道以剛居中而下,與地相應,使物大得亨通而利正,故《乾卦》「元、亨、利、貞」。今此《臨》卦,其義亦然,故云「天之道也」。 “굳센 가운데이면서 응(應)하고 크게 형통함으로써 바르니, 하늘의 도(道)이다[剛中而應 大亨以正 天之道]”라는 것은, 하늘의 도(道)가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면서 아래로 땅과 서로 응(應)하여 사물로 하여금 크게 형통함을 통하여 얻어서 바름이 이롭기 때문에 건괘(乾卦)에 “원형이정(元亨利貞)”이라 하였으며, 지금 이 임괘(臨卦)도 그 뜻이 또한 그러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道이다[天之道也]”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彖》曰」至「天之道也」。
○正義曰:「臨剛浸而長說而順」者,此釋卦義也。凡諸卦之例,說而順之,下應以「臨」字結之。此無「臨」字者,以其剛中而應,亦是「臨」義,故不得於剛中之上而加「臨」也。「剛中而應,大亨以正,天之道」者,天道以剛居中而下,與地相應,使物大得亨通而利正,故《乾卦》「元、亨、利、貞」。今此《臨》卦,其義亦然,故云「天之道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천지도야(天之道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임(臨)은 굳셈이 잠기어 자라고 설득되어서 따르며[臨剛浸而長 說而順]”라는 것은, 이는 괘(卦)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무릇 여러 괘(卦)의 예(例)에 설득되어서 따라 가면 아래에 응(應)이 ‘임(臨)’자로써 맺어야 하는데, 이 ‘임(臨)’자가 없는 것은, 그로써 굳센 가운데[中]이면서 응(應)함 또한 바로 임(臨)의 뜻이기 때문에 굳센 가운데[剛中]의 위에 얻지 못하고서 ‘임(臨)’을 더하였다.
“굳센 가운데이면서 응(應)하고 크게 형통함으로써 바르니, 하늘의 도(道)이다[剛中而應 大亨以正 天之道]”라는 것은, 하늘의 도(道)가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면서 아래로 땅과 서로 응(應)하여 사물로 하여금 크게 형통함을 통하여 얻어서 바름이 이롭기 때문에 건괘(乾卦)에 “원형이정(元亨利貞)”이라 하였으며, 지금 이 임괘(臨卦)도 그 뜻이 또한 그러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道이다[天之道也]”라고 한 것이다.」
至于八月有凶,消不久也。 여덟 달에 이르러 흉함이 있음은 사라져 오래하지 못함이다. 【王弼 注】 八月陽衰而陰長,小人道長,君子道消也,故曰有凶。 【왕필 주】 여덟 달은 양(陽)이 줄어들고 음(陰)은 자라며 소인(小人)의 (道)가 자라고 군자(君子)의 도가 사라진다, 그러므로 "흉함이 있다"라고 말했다. |
[孔穎達 疏]「至於八月」至「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지우팔월(至于八月)에서 구야(久也)까지.} ○正義曰:證「有凶」之義,以其陽道既消,不可常久,故「有凶」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흉함이 있음[有凶]’의 뜻을 증명하였으며, 그로써 그 양(陽)의 도(道)가 이미 사라져서 항상하고 오래할 수 없기 때문에 흉함이 있음[有凶]이다. 但復卦一陽始復,剛性尚微,又不得其中,故未有「元亨利貞」。 다만 복괘(復卦)는 하나의 양(陽)이 회복을 시작하여 굳셈의 성질이 오히려 미약하고 또 그 가운데[中]를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원형이정(元亨利貞)이 있지 않음이다. 泰卦三陽之時,三陽在下,而成乾體,乾下坤上,象天降下,地升上,上下通泰,物通則失正,故不具四德。 태괘(泰卦)의 세 양(陽)의 때에는 세 양(陽)이 아래에 있으면서 건(乾)이 몸[體]을 이루고 건(乾)이 아래에 있으며 곤(坤)이 위에 있으니 하늘이 아래로 내려가고 땅이 위로 올라가서 위와 아래가 크게 통함을 모습[象]하였으며, 사물이 통하면 바름을 잃기 때문에 4덕(四德)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 唯此卦二陽浸長,陽浸壯大,特得稱臨,所以四德具也。然陽長之卦,每卦皆應「八月有凶」。 오직 이 괘(卦)는 두 양(陽)이 잠기어 자라나서 양(陽)이 점점 장대(壯大)해져 특별히 ‘임(臨)’을 칭함을 얻었으며, 4덕(四德)을 갖춘 까닭이다. 그러나 양(陽)이 자라는 괘(卦)에는 매 괘(卦)마다 모두 응당 여덟 달에 흉함이 있다[八月有凶]’라고 하였다. 但此卦名臨,是盛大之義,故於此卦特戒之耳。若以類言之,則陽長之卦,至其終末皆有凶也。 다만 이 괘(卦)는 이름이 ‘임(臨)’이니, 바로 성대함의 뜻이기 때문에 이 괘(卦)에 특별히 경계를 할 뿐이다. 만약 이런 종류로써 말을 하면 양(陽)이 자라는 괘(卦)는 그 마침에 이르면 다 흉함이 있는 것이다.」 ○注「八月」至「有凶」。 ○ 【왕필 주(王弼 注)】의 “팔월(八月)에서 유흉(有凶)까지” ○正義曰:云「八月」者,何氏云:「從建子陽生至建未為八月。」褚氏云:「自建寅至建酉為八月。」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르기를 여덟 달[八月]이라고 한 것은, 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양(陽)이 생기는 건자[建子; 11월]로부터 건미[建未; 6월]에 이르면 8개월이 된다.”라고 하였고, 저씨[褚氏(褚仲都)]는 “건인[建寅; 1월]로부터 건유[建酉; 8월]에 이르면 8개월이 된다.”라고 하였다. 今案:此注云「小人道長,君子道消」,宜據否卦之時,故以臨卦建醜,而至否卦建申為八月也。 이제 살펴보건대, 이 주(注)에 이르기를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라고 군자(君子)의 도(道)가 사라진다[小人道長,君子道消]”라고 하였는데, 마땅히 비괘(否卦)의 때를 근거해야 하기 때문에 임괘(臨卦)의 건축[建丑; 12월]을 가지고 비괘(否卦)의건신[建申; 7월]에 이르면 8개월이 되는 것이다.」 |
[孔穎達 疏]「至於八月」至「久也」。
○正義曰:證「有凶」之義,以其陽道既消,不可常久,故「有凶」也。但復卦一陽始復,剛性尚微,又不得其中,故未有「元亨利貞」。泰卦三陽之時,三陽在下,而成乾體,乾下坤上,象天降下,地升上,上下通泰,物通則失正,故不具四德。唯此卦二陽浸長,陽浸壯大,特得稱臨,所以四德具也。然陽長之卦,每卦皆應「八月有凶」。但此卦名臨,是盛大之義,故於此卦特戒之耳。若以類言之,則陽長之卦,至其終末皆有凶也。
○注「八月」至「有凶」。
○正義曰:云「八月」者,何氏云:「從建子陽生至建未為八月。」褚氏云:「自建寅至建酉為八月。」今案:此注云「小人道長,君子道消」,宜據否卦之時,故以臨卦建醜,而至否卦建申為八月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지우팔월(至于八月)에서 구야(久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흉함이 있음[有凶]’의 뜻을 증명하였으며, 그로써 그 양(陽)의 도(道)가 이미 사라져서 항상하고 오래할 수 없기 때문에 흉함이 있음[有凶]이다.
다만 복괘(復卦)는 하나의 양(陽)이 회복을 시작하여 굳셈의 성질이 오히려 미약하고 또 그 가운데[中]를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원형이정(元亨利貞)이 있지 않음이다.
태괘(泰卦)의 세 양(陽)의 때에는 세 양(陽)이 아래에 있으면서 건(乾)이 몸[體]을 이루고 건(乾)이 아래에 있으며 곤(坤)이 위에 있으니 하늘이 아래로 내려가고 땅이 위로 올라가서 위와 아래가 크게 통함을 모습[象]하였으며, 사물이 통하면 바름을 잃기 때문에 4덕(四德)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
오직 이 괘(卦)는 두 양(陽)이 잠기어 자라나서 양(陽)이 점점 장대(壯大)해져 특별히 ‘임(臨)’을 칭함을 얻었으며, 4덕(四德)을 갖춘 까닭이다. 그러나 양(陽)이 자라는 괘(卦)에는 매 괘(卦)마다 모두 응당 여덟 달에 흉함이 있다[八月有凶]’라고 하였다.
다만 이 괘(卦)는 이름이 ‘임(臨)’이니, 바로 성대함의 뜻이기 때문에 이 괘(卦)에 특별히 경계를 할 뿐이다. 만약 이런 종류로써 말을 하면 양(陽)이 자라는 괘(卦)는 그 마침에 이르면 다 흉함이 있는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팔월(八月)에서 유흉(有凶)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르기를 여덟 달[八月]이라고 한 것은, 하씨[何氏(何妥)]가 이르기를 “양(陽)이 생기는 건자[建子; 11월]로부터 건미[建未; 6월]에 이르면 8개월이 된다.”라고 하였고, 저씨[褚氏(褚仲都)]는 “건인[建寅; 1월]로부터 건유[建酉; 8월]에 이르면 8개월이 된다.”라고 하였다.
이제 살펴보건대, 이 주(注)에 이르기를 “소인(小人)의 도(道)가 자라고 군자(君子)의 도(道)가 사라진다[小人道長,君子道消]”라고 하였는데, 마땅히 비괘(否卦)의 때를 근거해야 하기 때문에 임괘(臨卦)의 건축[建丑; 12월]을 가지고 비괘(否卦)의건신[建申; 7월]에 이르면 8개월이 되는 것이다.」
《象》曰:澤上有地,臨,君子以教思无窮,容保民无疆。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못 위에 땅이 있음이 임(臨)이며, 군자(君子)가 그로써 본받을 생각을 다함이 없으며, 백성을 포용하여 보호함에 끝이 없다." 【王弼 注】 相臨之道,莫若說順也。不恃威制,得物之誠,故物无違也。是以君子教思无窮,容保民无疆也。 【왕필 주】 서로 임(臨)하는 도(道)는 설득되어 따름만 함이 없으며, 위엄이 억제함을 믿지 않아야 사물의 성실함을 얻기 때문에 사물은 어김이 없다. 이로써 군자가 본받을 생각을 다함이 없으며, 백성을 포용하여 보호함에 경계가 없음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無疆」。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무강(无疆)까지.} ○正義曰:「澤上有地」者,欲見地臨於澤,在上臨下之義,故云「澤上有地」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못 위에 땅이 있음[澤上有地]”라는 것은, 땅이 못에 임하여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임함의 뜻을 나타내고자 하였기 때문에 이르기를 “못 위에 땅이 있다[澤上有地]”고 한 것이다. 「君子以教思無窮」者,君子於此臨卦之時,其下莫不喜說和順,在上但須教化,思念無窮巳也,欲使教恒不絕也。 “군자(君子)가 그로써 본받을 생각을 다함이 없으며[君子以敎思无窮]”라는 것은, 군자(君子)는, 이 임괘(臨卦)의 때에 그 아래가 기쁘게 설득되고 어울리어 따르지 않음이 없고, 위에 있는 자는 다만 모름지기 본받아 달라져서 생각을 다함이 없어야 할 뿐이며, 본받음이 항상 끊이지 않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容保民無疆」者,容謂容受也。保安其民,無有疆境,象地之闊遠,故云「無疆」也。 “백성을 포용하여 보호함에 끝이 없다[容保民无疆]”라는 것은, ‘용(容)’은 허용하여 받음을 말하며, 그 백성을 보존하여 편안함이 강역의 경계가 없어서 땅의 넓고 먼 것을 모습[象]하였기 때문에 이르기를 “끝이 없다[無疆]”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無疆」。
○正義曰:「澤上有地」者,欲見地臨於澤,在上臨下之義,故云「澤上有地」也。「君子以教思無窮」者,君子於此臨卦之時,其下莫不喜說和順,在上但須教化,思念無窮巳也,欲使教恒不絕也。「容保民無疆」者,容謂容受也。保安其民,無有疆境,象地之闊遠,故云「無疆」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무강(无疆)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못 위에 땅이 있음[澤上有地]”라는 것은, 땅이 못에 임하여 위에 있으면서 아래에 임함의 뜻을 나타내고자 하였기 때문에 이르기를 “못 위에 땅이 있다[澤上有地]”고 한 것이다.
“군자(君子)가 그로써 본받을 생각을 다함이 없으며[君子以敎思无窮]”라는 것은, 군자(君子)는, 이 임괘(臨卦)의 때에 그 아래가 기쁘게 설득되고 어울리어 따르지 않음이 없고, 위에 있는 자는 다만 모름지기 본받아 달라져서 생각을 다함이 없어야 할 뿐이며, 본받음이 항상 끊이지 않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백성을 포용하여 보호함에 끝이 없다[容保民无疆]”라는 것은, ‘용(容)’은 허용하여 받음을 말하며, 그 백성을 보존하여 편안함이 강역의 경계가 없어서 땅의 넓고 먼 것을 모습[象]하였기 때문에 이르기를 “끝이 없다[無疆]”라고 한 것이다.」
初九,咸臨,貞吉。 초구(初九)는 감응하여 임(臨)하는데,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咸,感也,感,應也。有應於四,感以臨者也。四履正位,而己應焉,志行正者也。以剛感順,志行其正,以斯臨物,正而獲吉也。 【왕필 주】 함(咸, 다 함)은 느낌이고 감(感, 느낄 감)은 응(應)함이다. 육사(六四)에 응함이 있고 임하여 느끼는 것이다. 육사(六四)는 바른 자리를 밟고 있는데 자기가 그곳에 응하니 뜻은 그 바름을 행하는 자이다. 굳셈으로써 순함에 감응하고 뜻은 그 바름을 행하며 이로써 사물에 임하니 바르면서 길함을 얻는다. |
[孔穎達 疏]正義曰:咸,感也。有應於四,感之而臨,志行得正,故「貞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함(咸, 다 함)은 느낌이다. 육4(六四)에 응(應)이 있어서 감응을 하여서 임하고 뜻이 행해져 바름을 얻기 때문에 ‘곧아야 길함[貞吉]’이다.」 |
《象》曰:咸臨貞吉,志行正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감응하여 임(臨)하는데 곧아야 길함은, 뜻을 바르게 행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咸臨貞吉,志行正」者,釋「咸臨貞吉」之義。四既履得正位,己往與之相應,是己之志意行而歸正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감응하여 임(臨)하는데 곧아야 길함은, 뜻을 바르게 행함[咸臨貞吉 志行正]”라는 것은, ‘감응하여 임하는데 곧아야 길함[咸臨貞吉]’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육4(六四)가 이미 바를 지위를 밟았는데 자기가 가서 더불어 거로 응(應)하니, 이는 자기의 뜻하는 마음이 행해져서 바름으로 돌아간 것이다.」 |
九二,咸臨 吉, 无不利。 구이(九二)는 감응하여 임하니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有應在五,感以臨者也。剛勝則柔危,而五體柔,非能同斯志者也。若順於五,則剛德不長,何由得吉,无不利乎?全與相違,則失於感應。其得咸臨吉无不利,必未順命也。 【왕필 주】 응(應)이 육5(六五)에 있고 느낌으로서 임하는 것이다. 굳셈이 이기면 부드러움은 위태로운데 육5(六五)는 몸이 부드러우니 이 뜻을 한가지로 잘할 자는 아니다. 만약 육5(六五)에 순종하면 굳센 덕(德)이 자라지 못하는데, 무엇을 말미암아 길함을 얻어 이롭지 않음이 없겠는가? 온전하게 더블어 서로 어긴다면 감응함을 잃고, 그 감응하여 임하면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음을 얻음은, 반드시 명령을 따르지는 않는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咸臨 吉’者,咸,感也,有應於五,是感以臨而得其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감응하여 임하니 길하여[咸臨 吉]”라는 것의, ‘함(咸, 다 함)’은 느낌이며, 육5(六五)에 응(應)이 있음은 이는 감응함으로써 임하여서 그 길함을 얻는 것이다. ‘无不利’者,二雖與五相應,二體是剛,五體是柔,兩雖相感,其志不同.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라는 것은, 구2(九二)가 비록 육5(六五)와 서로 응(應)하지만 구2(九二)의 몸[體]은 바로 굳세고 육5(六五)의 몸[體]은 바로 부드러워서 둘이 비록 서로 감응하나 그 뜻이 같지는 않다. 若純用剛往,則五所不從,若純用柔往,又損己剛性,必須商量事宜,有從有否,乃得无不利也. 만약 순수한 굳셈을 써서 가면 육5(六五)가 따르지 않을 바이고, 만약 순수한 부드러움을 써서 가면 또 자기의 굳센 성질을 덜게 되니, 반드시 결국 일의 마땅함을 헤아려 계산하여 따르는 것이 있고 따르지 않음이 있으니 비로소 ‘이롭지 않음이 없음[无不利]’을 얻게 된다.」 |
《象》曰:咸臨 吉, 无不利,未順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감응하여 임하니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음은, 명령에 순종함이 아니다." [孔穎達 疏]正義曰:「未順命」者,釋「無不利」之義。未可盡順五命,須斟酌事宜,有從有否,故得「無不利」也。則君臣上下獻可替否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명령에 순종함이 아니다[未順命]”라는 것은, ‘이롭지 않음이 없음[無不利]’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육5(六五)의 명령에 모두 순종할 수가 없고, 모름지기 일의 마땅함을 어림잡아 서 따르는 것이 있고 따르지 않음이 있기 때문에 ‘이롭지 않음이 없음[無不利]’을 얻으며, 즉 군신(君臣)과 상하(上下)가 할 수 있음은 올리고 아니면 바꿈의 뜻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咸臨 吉’者, 咸, 感也, 有應於五, 是感以臨而得其吉也. ‘无不利’者, 二雖與五相應, 二體是剛, 五體是柔, 兩雖相感, 其志不同. 若純用剛往, 則五所不從, 若純用柔往, 又損己剛性, 必須商量事宜, 有從有否, 乃得无不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감응하여 임하니 길하여[咸臨 吉]”라는 것의, ‘함(咸, 다 함)’은 느낌이며, 육5(六五)에 응(應)이 있음은 이는 감응함으로써 임하여서 그 길함을 얻는 것이다.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라는 것은, 구2(九二)가 비록 육5(六五)와 서로 응(應)하지만 구2(九二)의 몸[體]은 바로 굳세고 육5(六五)의 몸[體]은 바로 부드러워서 둘이 비록 서로 감응하나 그 뜻이 같지는 않다.
만약 순수한 굳셈을 써서 가면 육5(六五)가 따르지 않을 바이고, 만약 순수한 부드러움을 써서 가면 또 자기의 굳센 성질을 덜게 되니, 반드시 결국 일의 마땅함을 헤아려 계산하여 따르는 것이 있고 따르지 않음이 있으니 비로소 ‘이롭지 않음이 없음[无不利]’을 얻게 된다.」
六三,甘臨,无攸利。既憂之,无咎。 육삼(六三)은, 달콤[아첨]함으로 임하여 이로움을 다스림[攸]이 없고, 이미 근심을 하였으니 허물이 없다. 【王弼 注】 甘者,佞邪說媚,不正之名也。履非其位,居剛長之世,而以邪說臨物,宜其无攸利也。若能盡憂其危,改脩其道,剛不害正,故咎不長。 【왕필 주】 감(甘)이라는 것은 아첨하고 간사하여 아첨함에 설득되어 바르지 않음의 이름이다.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 굳셈이 자라나는 세상에 거주하면서 사악함으로써 사물에 임하여 설득되면 마땅히 그 이로움을 다스릴 데[攸]가 없다. 만약 그 위태로움을 모두 잘 근심하여 그 도(道)를 고쳐 닦으면 굳셈이 바름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허물이 길지는 않다. |
[孔穎達 疏]正義曰:「甘臨」者,謂甘美諂佞也。履非其位,居剛長之世,而以邪說臨物,故「無攸利」也。「既憂之無咎」者,既,盡也。若能盡憂其危,則剛不害正,故「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달콤[아첨]함으로 임하여[甘臨]”라는 것은, 감미롭게 몹시 아첨함을 말한다.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 굳셈이 자라나는 세상에 거주하면서 간사함으로써 사물에 임하여 설득되기 때문에 이로움을 다스림[攸]이 없음[無攸利]이다. “이미 근심을 하였으니 허물이 없다[旣憂之 无咎]”라는 것은, ‘기(旣)’는 다함이며, 만약 그 위태로움을 모두 잘 근심하면 굳셈이 바름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象》曰:甘臨,位不當也。既憂之,咎不長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감응하여 임함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이미 근심을 하였음은 허물이 길게가지 않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既憂之,咎不長」者,能盡憂其事,改過自脩,其咎則止,不復長久,故「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미 근심을 하였음은 허물이 길게가지 않음이다[旣憂之 咎不長]”라는 것은, 그 일을 모두 잘 근심하여 허물을 고쳐 스스로 닦으면 그 허물이 그치며 다시 길게 오래하지 않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六四,至臨,无咎。 육사(六四)는 지극하게 임하니,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順應陽,不忌剛長,而乃應之,履得其位,盡其至者也。剛勝則柔危,柔不失正,乃得无咎也。 【왕필 주】 순함에 처하고 양(陽)에 응(應)하여 굳셈이 자람을 꺼리지 않으면서 이에 응(應)을 하고 그 지위를 얻어 밟고서 그 지극함이 다한 자이다. 굳셈이 이기면 부드러움이 위태롭지만, 부드러움이 바름을 잃지 않으니 이에 허물 없음을 얻었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履順應陽,不畏剛長,而巳應之,履得其位,能盡其至極之善而為臨,故云「至臨」。以柔不失正,故「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순한데를 밟고 양(陽)에 응(應)하여 굳셈이 자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자기가 응(應)을 하고 그 지위를 얻어 밟고서 그 지극함의 착함을 다 잘하면서 임하게 되기 때문에 이르기를 “지극히 임함[至臨]”이라고 하였다. 부드러움을 가지고 바름을 잃지 않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象》曰:至臨无咎,位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지극하게 임하니, 허물이 없음은 지위가 마땅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釋「無咎」之義。以六四以陰所居得正,柔不為邪,位當其處,故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허물이 없음[無咎]’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그로써 육4(六四)가 음(陰)으로써 바름을 얻어 거주한 바는 부드러움이 간사함이 되지 않고 그 처한데가 마땅한 지위이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六五,知臨,大君之宜,吉。 육오(六五)는 지혜로 임하고, 대군(大君)의 마땅함이라야 길하다. 【王弼 注】 處於尊位,履得其中。能納剛以禮,用建其正,不忌剛長,而能任之。委物以能,而不犯焉,則聰明者竭其視聽,知力者盡其謀能,不為而成,不行而至矣!大君之宜,如此而已,故曰「知臨,大君之宜,吉」也。 【왕필 주】 높은 지위에 처하고 그 가운데[中]를 얻어서 밟았다. 예(禮)로서 강함[陽]을 잘 받아들이고 바름을 써서 세우며 굳셈이 자람을 꺼리지 않으면서 그에 잘 임한다. 사물을 맏기기를 잘 하면서 그것을 범하지는 않는다면, 총명한 자가 그 보고 듣기를 다하고 지혜와 힘 있는 자는 그의 꾀를 잘 쓰니, [인위적으로]하지 않으면서 이루며 행하지 않아도 이르게 된다. 대군(大君)의 마땅함은 이와 같을 뿐이기 때문에 말하기를 "지혜로 임하고, 대군(大君)의 마땅함이라야 길하다."라고 하였다. |
[孔穎達 疏]正義曰:「處於尊位,履得其中,能納剛以禮,用建其正,不忌剛長而能任之」,故「聰明者竭其視聽,知力者盡其謀能」,是知為臨之道,大君之所宜以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높은 지위에 처하고 그 가운데[中]를 얻어서 밟았다. 예(禮)로서 강함[陽]을 잘 받아들이고 바름을 써서 세우며 굳셈이 자람을 꺼리지 않으면서 그에 잘 임한다. 그러므로 총명한 자가 그의 보고 듣기를 다하고 지혜 있고 힘 있는 자가 그의 꾀를 잘써서 다하는데, 이는 임하는 도(道)를 아는 것이니, 대군(大君)이 길함이 마땅한 까닭이다.」 |
《象》曰:大君之宜,行中之謂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대군(大君)의 마땅함은 가운데[中]를 행함을 일컫는다.” [孔穎達 疏]正義曰:釋「大君之宜」,所以得宜者,止由六五處中,行此中和之行,致得「大君之宜」,故言「行中之謂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대군(大君)의 마땅함[大君之宜]’을 해석하였으며, 마땅함을 얻은 것의 까닭은 그침을 연유하여 육5(六五)가 가운데[中]에 처하고 이는 가운데[中] 어울림을 행실을 행하여 대군(大君)의 마땅함을 얻어 이루었기 때문에 “가운데[中]를 행함을 일컫는다[行中之謂也]”라고 말한 것이다.」 |
上六,敦臨,吉,无咎。 상육(上六)은 도탑게 임해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坤之極,以敦而臨者也。志在助賢,以敦為德,雖在剛長,剛不害厚,故无咎也。 【왕필 주】 곤(坤)의 꼭대기에 처하고 도타움으로써 임하는 자이다. 뜻이 현명함을 도움에 있고 도타움으로써 덕(德)을 삼으니, 비록 굳셈이 자람에 있지만 굳셈이 두터움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허물이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敦,厚也。上六處坤之上,敦厚而為臨,志在助賢,以敦為德,故云「敦臨,吉」。雖在剛長,而志行敦厚,剛所以不害,故「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돈(敦, 도타울 돈)은 두터움이다. 상6(上六)이 곤(坤)의 위에 처하며 돈후하게 임하고, 뜻이 현명함을 도와줌에 있어서 두터움을 덕(德)으로 삼기 때문에 이르기를 “두텁게 임해야 길하다[敦臨,吉]”라고 한 것이다. 비록 굳셈이 자람에 있으면서 뜻이 돈후함을 행하니 굳셈이 해치지 않는 끼닭이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象》曰:敦臨之吉,志在內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도타움으로 임함의 길함은 뜻이 안에 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釋「敦臨吉」之義。雖在上卦之極,志意恒在於內之二陽,意在助賢,故得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두텁게 임함이니 길함[敦臨吉]’의 뜻을 해석하였다. 비록 상괘(上卦)의 꼭대기에 있으나 뜻하는 마음이 항상 내괘(內卦)의 두 양(陽)에 있으며 뜻이 현명함을 도움에 있기 때문에 길함을 얻는 것이다.」 |
'◑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21. 서합괘(噬嗑卦)[卦象:화뢰서합]/周易正義 (1) | 2022.09.14 |
---|---|
주역 20. 관괘(觀卦)[卦象:풍지관]/周易正義 (1) | 2022.09.13 |
주역 18. 고괘(蠱卦)[卦象:산풍고]/周易正義 (1) | 2022.09.11 |
주역 17. 수괘(隨卦)[卦象:택뢰수]/周易正義 (0) | 2022.09.09 |
주역 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周易正義 (0) |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