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와 한강백(韓康伯)의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18. 고괘(蠱卦)[卦象:산풍고]

 艮上

 巽下

[.바람]가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元亨利涉大川先甲三日後甲三日
()는 크게 형통하고 큰 시내를 건너야 이로우니()보다 3일 먼저하고 갑보다 3일 뒤에 한다.
[孔穎達 疏]蠱元亨後甲三日」。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고원형(蠱元亨)에서 후갑삼일(後甲三日)까지.}
正義曰蠱者事也有事營為則大得亨通有為之時利在拯難利涉大川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라는 것은일이다일이 있어 경영하면 크게 통하여 형통함을 얻으며일을 하는 때에는 이로움이 어려움을 건짐에 있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로움[利涉大川]이다.
先甲三日後甲三日甲者創制之令既在有為之時不可因仍舊令
()보다 3일 먼저하고 갑보다 3일 뒤에 한다[先甲三日 後甲三日]”라는 것의, ‘()’이란 것은 처음으로 지은 법령이며이미 [일을하는 때에 있으면 옛 법령을 그대로 인습할 수가 없음이다.
今用創制之令以治於人人若犯者未可即加刑罰以民未習故先此宣令之前三日殷勤而語之又如此宣令之後三日更丁寧而語之其人不從乃加刑罰也
이제 처음으로 지은 법령을 사용하여 그로써 사람을 다스리는데사람들이 만약 [법령을범하면 아직 즉시 형벌을 가할 수가 없으며그로써 백성들이 아직 [법령을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먼저 이 법령을 선포하기 3일 전에 부지런히 많이 말해주고 또 이와 같이 법령을 선포한 3일 뒤에 다시 친절하고 편안하게 말해주고서그 사람이 따르지 않으면 비로소 형벌을 가하는 것이다.
其褚氏何氏周氏等並同鄭義以為者造作新令之日甲前三日取改過自新故用辛也甲後三日取丁寧之義故用丁也
저씨[褚氏(褚仲都)]와 하씨[何氏(何妥)]와 주씨[周氏(周宏正)] 등은 모두 정현(鄭玄)의 뜻과 같이 하여, “()이란 것은새로운 법령을 지어 만든 날이며()의 3일 전에는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로움을 취하기 때문에 신()을 쓰고()의 3일 뒤에는 친절하고 편안함의 뜻을 취하기 때문에 정()을 쓴다고 여겼다.
今案輔嗣》,「甲者創制之令」,不云創制之日巽卦九五先庚三日後庚三日」,輔嗣》:「申命令謂之庚」。
지금 살펴보면 보사[輔嗣(王弼)]의 주()에 ()이란 것은 처음으로 지은 명령이다.”고 하고 처음으로 지은 날이다.”라고 일러주지 않았으며또 손괘(巽卦5(九五)에 선경삼일(先庚三日후경삼일(後庚三日)”라고 하였는데,
보사(輔嗣)의 주()에 명령을 펼침을 경()이라 한다[申命令謂之庚]”라고 하였다.
輔嗣又云:「庚皆申命之謂」。則輔嗣不以甲為創制之日而諸儒不顧輔嗣妄作異端非也
보사(輔嗣)가 또 이르기를 ()과 은 모두 명령을 펼침을 말한다.”고 하였으니곧 보사(輔嗣)는 갑()을 창제(創制)하는 날로 여기지 않았으며여러 유학자들이 보사(輔嗣)의 주()의 뜻을 돌아보지 않고 함부로 이단(異端)을 만들었는데잘못이다.


[孔穎達 疏]蠱元亨後甲三日」。

正義曰蠱者事也有事營為則大得亨通有為之時利在拯難利涉大川。「先甲三日後甲三日甲者創制之令既在有為之時不可因仍舊令今用創制之令以治於人人若犯者未可即加刑罰以民未習故先此宣令之前三日殷勤而語之又如此宣令之後三日更丁寧而語之其人不從乃加刑罰也其褚氏何氏周氏等並同鄭義以為者造作新令之日甲前三日取改過自新故用辛也甲後三日取丁寧之義故用丁也今案輔嗣》,「甲者創制之令」,不云創制之日巽卦九五先庚三日後庚三日」,輔嗣》:「申命令謂之庚」。輔嗣又云:「庚皆申命之謂」。則輔嗣不以甲為創制之日而諸儒不顧輔嗣妄作異端非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 {고원형(蠱元亨)에서 후갑삼일(後甲三日)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라는 것은, 일이다. 일이 있어 경영하면 크게 통하여 형통함을 얻으며, 일을 하는 때에는 이로움이 어려움을 건짐에 있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로움[利涉大川]이다.

()보다 3일 먼저하고 갑보다 3일 뒤에 한다[先甲三日 後甲三日]”라는 것의, ‘()’이란 것은 처음으로 지은 법령이며, 이미 [일을] 하는 때에 있으면 옛 법령을 그대로 인습할 수가 없음이다.

이제 처음으로 지은 법령을 사용하여 그로써 사람을 다스리는데, 사람들이 만약 [법령을] 범하면 아직 즉시 형벌을 가할 수가 없으며, 그로써 백성들이 아직 [법령을] 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먼저 이 법령을 선포하기 3일 전에 부지런히 많이 말해주고 또 이와 같이 법령을 선포한 3일 뒤에 다시 친절하고 편안하게 말해주고서, 그 사람이 따르지 않으면 비로소 형벌을 가하는 것이다.

저씨[褚氏(褚仲都)]와 하씨[何氏(何妥)]와 주씨[周氏(周宏正)] 등은 모두 정현(鄭玄)의 뜻과 같이 하여, “()이란 것은, 새로운 법령을 지어 만든 날이며, () 3일 전에는 허물을 고쳐 스스로 새로움을 취하기 때문에 신()을 쓰고, () 3일 뒤에는 친절하고 편안함의 뜻을 취하기 때문에 정()을 쓴다고 여겼다.

지금 살펴보면 보사[輔嗣(王弼)]의 주() ()이란 것은 처음으로 지은 명령이다.”고 하고 처음으로 지은 날이다.”라고 일러주지 않았으며, 또 손괘(巽卦) 5(九五) 선경삼일(先庚三日) 후경삼일(後庚三日)”라고 하였는데,

보사(輔嗣)의 주() 명령을 펼침을 경()이라 한다[申命令謂之庚]”라고 하였다.

보사(輔嗣)가 또 이르기를 () 은 모두 명령을 펼침을 말한다.”고 하였으니, 곧 보사(輔嗣)는 갑()을 창제(創制)하는 날로 여기지 않았으며, 여러 유학자들이 보사(輔嗣)의 주()의 뜻을 돌아보지 않고 함부로 이단(異端)을 만들었는데, 잘못이다.

 

剛上而柔下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는 강함이 위쪽이고 부드러움이 아래이며,


王弼 注】 上剛可以斷制下柔可以施令
왕필 주】 위의 강함은 지음을 결단할 수 있고아래 부드러움은 령()을 베풀 수가 있다.
巽而止
공순(恭順)하고 그침이 고()이다


王弼 注】 既巽又止不競爭也有事而无競爭之患故可以有為也
왕필 주】 이미 공순(恭順)한데 또 그치고겨루고 다투지 않는다일이 있으면서 겨루고 다툼의 근심이 없기 때문에 함이 있음으로 할 수 있다.
[孔穎達 疏]「《止蠱」。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단왈(彖曰)에서 지고(止蠱)까지.}
正義曰:「剛上而柔下巽而止蠱此釋蠱卦之名並明稱蠱之義也以上剛能制斷下柔能施令巽順止靜故可以有為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강함이 위쪽이고 부드러움이 아랫니며 공순(恭順)하고 그침이 고()이다[剛上而柔下 巽而止蠱]”라는 것은이는 고괘(蠱卦)의 이름을 해석하고 아울러 고()라고 칭함의 뜻을 밝힌 것이다위의 강함이 잘 제어하여 결단함으로써 아래의 부드러움이 법령을 잘 펼 수 있으며따름이 공손하고 고요하게 그치기 때문에 [일을할 수 있는 것이다.
褚氏云:「蠱者惑也物既惑亂終致損壞當須有事也有為治理也序卦'蠱者事也'謂物蠱必有事非謂訓蠱為事義當然也
저씨(褚氏)가 이르기를 ()라는 것은미혹(迷惑)함이며사물이 이미 미혹하여 어지러워서 끝내 손해로 무너짐을 이루면 마땅히 결과는 일이 있음이니이치가 다스림을 하는 것이다그러므로 서괘전(序卦傳)에 이르기를 ()라는 것은일이다.’라고 하였고사물의 뱃속벌래[]는 반드시 일이 있음을 말함이며()를 일을 함으로 새김을 말한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는데뜻이 마땅히 그러하다.

 

[孔穎達 疏]「《止蠱」。

正義曰:「剛上而柔下巽而止蠱此釋蠱卦之名並明稱蠱之義也以上剛能制斷下柔能施令巽順止靜故可以有為也褚氏云:「蠱者惑也物既惑亂終致損壞當須有事也有為治理也序卦'蠱者事也'謂物蠱必有事非謂訓蠱為事義當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 {단왈(彖曰)에서 지고(止蠱)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강함이 위쪽이고 부드러움이 아랫니며 공순(恭順)하고 그침이 고()이다[剛上而柔下 巽而止蠱]”라는 것은, 이는 고괘(蠱卦)의 이름을 해석하고 아울러 고()라고 칭함의 뜻을 밝힌 것이다. 위의 강함이 잘 제어하여 결단함으로써 아래의 부드러움이 법령을 잘 펼 수 있으며, 따름이 공손하고 고요하게 그치기 때문에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저씨(褚氏)가 이르기를 ()라는 것은, 미혹(迷惑)함이며, 사물이 이미 미혹하여 어지러워서 끝내 손해로 무너짐을 이루면 마땅히 결과는 일이 있음이니, 이치가 다스림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괘전(序卦傳)에 이르기를 ()라는 것은, 일이다.’라고 하였고, 사물의 뱃속벌래[]는 반드시 일이 있음을 말함이며, ()를 일을 함으로 새김을 말한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뜻이 마땅히 그러하다.

 

元亨而天下治也
(:)는 크게 형통하여 천하가 다스려진다.


王弼 注】 有為而大亨非天下治而何也
왕필 주】 함이 있는데 크게 형통하니천하가 어찌 다스려지지 않겠는가?
[孔穎達 疏]正義曰元亨之義以有為而得元亨」,是天下治理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원형(元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일을함이 있음으로써 크게 형통함[元亨]’을 얻으며이는 천하가 다스려지는 이치이다.

 

利涉大川往有事也先甲三日後甲三日終則有始天行也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가야 일이 있음이다. '()보다 3일 앞서고 갑보다 3일 뒤'는 마치면 시작이 있음이 하늘의 운행이다.


王弼 注】 蠱者有事而待能之時也可以有為其在此時矣物已說隨則待夫作制以定其事也進德脩業往則亨矣故元亨利涉大川也甲者創制之令也創制不可責之以舊故先之三日後之三日使令治而後乃誅也因事申令終則復始若天之行用四時也
왕필 주】 (,)라는 것은일이 있으면 잘하는 때를 기다림이다함이 있음을 할 수 있음은그 있음은 이 때이다사물이 이미 설득되어 따르면 그가 제작(制作)하기를 기다려 그로써 그 일을 정한다.
()에 나아가고 업()을 닦고서 가면 형통하다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큰 시내를 건너야 이롭다()이란 것은 처음 지은 법령이며처음 지어졌는데 옛날[법령]로서 책망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3일과 뒤로 3일에 법령으로 하여금 다스리게 한 이후에 주벌한다일을 인하여 법령을 펼침은 마치면 다시 시작하는데하늘의 운행이 4[四時]에 쓰임과 같다.
[孔穎達 疏]正義曰:「利涉大川往有事也利涉大川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가야 일이 있음이다[利涉大川 往有事也]”라는 것은, ‘큰 내를 건넘이 이로움[利涉大川]’을 해석한 것이다.
蠱者有為之時拔拯危難往當有事利涉大川」。此則假外象以喻危難也
()라는 것은, [일을함이 있는 때이며위태로움과 어려움을 뽑아서 구원하려고 가면 마땅히 일이 있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이는 밖의 모습[]을 빌려서 그로써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비유한 것이다.
先甲三日後甲三日終則有始天行先甲三日後甲三日之義也
()보다 3일 앞서고 갑보다 3일 뒤는마치면 시작이 있음이 하늘의 운행이다[先甲三日 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라는 것은, ‘()보다 3일 앞서고 갑보다 3일 뒤에 함[先甲三日 後甲三日]’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民之犯令告之巳終更復從始告之殷勤不巳若天之行四時既終更復從春為始象天之行故云天行也」。
백성이 법령을 반포[]할 적에 고함이 이미 끝나면 다시 처음부터 해서 고하기를 매우 부지런하게 그치지 않으며하늘의 운행이 사철[四時]이 이미 끝나면 다시 봄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으며 하늘이 운행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운행[天行]”이라고 한 것이다.
蠱者四時也」。
○ 【왕필 주(王弼 注)의 고자(蠱者)에서 사시야(四時也)까지
正義曰:「蠱者有事待能之時物既蠱壞須有事營為所作之事非賢能不可幹父之蠱」,幹則能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라는 것은일이 있으면 잘하는 때를 기다림이다[蠱者 有事待能之時]”라는 것은사물이 이미 일이 무너지면 결국 일이 있어야 경영을 하고일을 만드는 바는 어질지 않으면 자하기가 불가하기 때문에 경문(經文)에 이르기를 아버지의 일을 주간한다[幹父之蠱]”라고 하였으며, ‘()’은 곧 잘함이다.
甲者創制之令甲為十日之首創造之令為在後諸令之首故以創造之令謂之為甲故漢時謂令之重者謂之甲令」,則此義也
()이란 것은 처음 지은 법령이며[甲者 創制之令]”라는 것은()은 10일의 머리가 되고처음 지어진 명령이 뒤의 여러 법령의 머리에 있게 되기 때문에 처음 지어진 명령으로써 말하기를 갑()이라고 한 것이다그러므로 한()나라 때에 법령의 중요한 것을 말하기를 갑령(甲令)이라 말하였으니바로 이러한 뜻이다.
創制不可責之以舊以人有犯令而致罪者不可責之舊法有犯則刑
처음 지어졌는데 옛날[법령]로서 책망할 수 없다[創制 不可責之以舊]”라는 것은그로써 사람이 법령을 범하여서 죄를 지은 자가 있으면옛 법령으로 책망하지만 범함이 있더라도 형벌할 수가 없다.
故須先後三日殷勤語之使曉知新令而後乃誅誅謂兼通責讓之罪非專謂誅殺也
그러므로 모름지기 앞과 뒤 3일 동안 간곡하게 말을 해서 [백성들로하여금 새 법령을 환하게 알도록 한 뒤에 비로소 주벌(誅罰)하며, ‘(벨 주)’는 꾸짖고[사양[]함을 겸하여 통한 죄를 말하며 오로지 베고[죽임[]만을 말함이 아니다.

 

 [孔穎達 疏]正義曰:「利涉大川往有事也利涉大川蠱者有為之時拔拯危難往當有事利涉大川」。此則假外象以喻危難也。「先甲三日後甲三日終則有始天行先甲三日後甲三日之義也民之犯令告之巳終更復從始告之殷勤不巳若天之行四時既終更復從春為始象天之行故云天行也」。

蠱者四時也」。

正義曰:「蠱者有事待能之時物既蠱壞須有事營為所作之事非賢能不可幹父之蠱」,幹則能也。「甲者創制之令甲為十日之首創造之令為在後諸令之首故以創造之令謂之為甲故漢時謂令之重者謂之甲令」,則此義也。「創制不可責之以舊以人有犯令而致罪者不可責之舊法有犯則刑故須先後三日殷勤語之使曉知新令而後乃誅誅謂兼通責讓之罪非專謂誅殺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큰 내를 건너야 이로움은 가야 일이 있음이다[利涉大川 往有事也]”라는 것은, ‘큰 내를 건넘이 이로움[利涉大川]’을 해석한 것이다.

()라는 것은, [일을] 함이 있는 때이며,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뽑아서 구원하려고 가면 마땅히 일이 있기 때문에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운 것이다. 이는 밖의 모습[]을 빌려서 그로써 위태로움과 어려움을 비유한 것이다.

()보다 3일 앞서고 갑보다 3일 뒤는, 마치면 시작이 있음이 하늘의 운행이다[先甲三日 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라는 것은, ‘()보다 3일 앞서고 갑보다 3일 뒤에 함[先甲三日 後甲三日]’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백성이 법령을 반포[]할 적에 고함이 이미 끝나면 다시 처음부터 해서 고하기를 매우 부지런하게 그치지 않으며, 하늘의 운행이 사철[四時]이 이미 끝나면 다시 봄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으며 하늘이 운행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운행[天行]”이라고 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 고자(蠱者)에서 사시야(四時也)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라는 것은, 일이 있으면 잘하는 때를 기다림이다[蠱者 有事待能之時]”라는 것은, 사물이 이미 일이 무너지면 결국 일이 있어야 경영을 하고, 일을 만드는 바는 어질지 않으면 자하기가 불가하기 때문에 경문(經文)에 이르기를 아버지의 일을 주간한다[幹父之蠱]”라고 하였으며, ‘()’은 곧 잘함이다.

()이란 것은 처음 지은 법령이며[甲者 創制之令]”라는 것은, () 10일의 머리가 되고, 처음 지어진 명령이 뒤의 여러 법령의 머리에 있게 되기 때문에 처음 지어진 명령으로써 말하기를 갑()이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나라 때에 법령의 중요한 것을 말하기를 갑령(甲令)이라 말하였으니, 바로 이러한 뜻이다.

처음 지어졌는데 옛날[법령]로서 책망할 수 없다[創制 不可責之以舊]”라는 것은, 그로써 사람이 법령을 범하여서 죄를 지은 자가 있으면, 옛 법령으로 책망하지만 범함이 있더라도 형벌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앞과 뒤 3일 동안 간곡하게 말을 해서 [백성들로] 하여금 새 법령을 환하게 알도록 한 뒤에 비로소 주벌(誅罰)하며, ‘(, 벨 주)’는 꾸짖고[] 사양[]함을 겸하여 통한 죄를 말하며 오로지 베고[] 죽임[]만을 말함이 아니다.

 

山下有風君子以振民育德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이 고()이며군자가 그로써 백성들을 거두어 덕()을 길러준다.”


王弼 注】 蠱者有事而待能之時也故君子以濟民養德也
왕필 주】 ()라는 것은일이 있으면 잘하는 때를 기다린다그러므로 군자는 그로써 백성을 구제(救濟)하여 덕()을 길러준다.
[孔穎達 疏]正義曰必云山下有風風能搖動散佈潤澤山下有風」,取君子能以恩澤下振於民育養以德。「振民」,山下有風」;「育德象山在上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반드시 으르기를 산 아래에 바람이 있다[山下有風]”라고 한 것은바람이 잘 요동쳐 움직여서 윤택함을 흩어서 펼침이며지금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은 군자(君子)가 은택을 가지고 아래로 백성을 잘 구제하여 덕()으로 길러줌을 취한 것이다. ‘백성을 구제함[振民]’은 산 아래에 바람이 있음[山下有風]의 모습[]이며, ‘()을 길러줌[育德]’은 산이 위에 있음[山在上]을 모습[]한 것이다.

 

初六幹父之蠱有子考无咎厲終吉
초육(初六)은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자식이 있어야 돌아가신 어버지가 허물이 없으며 괴롭지만 마침은 길하다.


王弼 注】 處事之首始見任者也以柔巽之質幹父之事能承先軌堪其任者也故曰有子也任為事首能堪其事考乃无咎也故曰有子考无咎也當事之首是以危也能堪其事故終吉
왕필 주】 일의 머리에 처하고임무를 시작하는 자이다부드러운 손()의 재질로써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고 앞의 자취를 잘 계승하며 그 임무를 잘 감당한다그러므로 "자식이 있다."라고 말했다.
일 머리를 하는데 임하여 그 일을 잘 감당하니돌아가신 아버지가 이에 허물이 없다그러므로 "자식이 있어야 돌아가신 아버지가 허물이 없다라고 말했다일의 머리를 당하였으니 이로써 위태하지만 그 일을 잘 감당하였기 때문에 마침은 길하다
[孔穎達 疏]初六厲終吉」。
正義曰:「幹父之蠱處事之首以柔巽之質幹父之事堪其任也。「有子考無咎有子既能堪任父事,「無咎以其處事之初若不堪父事有咎也。「厲終吉危也既為事初所以危也能堪其事所以終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초육(初六)에서 여종길(厲終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幹父之蠱]”라는 것은일의 머리에 처하여부드러운 손()의 자질로써 아버지의 일을 주간하여 그 임무를 감당하는 것이다.
자식이 있어야 돌아가신 어버지가 허물이 없으며[有子 考无咎]”라는 것은자식이 있으면 이미 아버지의 일을 잘 감당하며 돌아가신 아버지가 비로소 허물이 없음[無咎]이며그로써 일의 처음에 처하는데 만약 아버지의 일을 감당하지 못하면 돌아가신 아버지가 허물이 있는 것이다.
괴롭지만 마침은 길하다[厲 終吉]”라는 것은, ‘()’는 괴로움이다이미 일의 처음이 되었으니 괴로운 까닭이며그 일을 잘 감당하니 이 때문에 마침내 길한[終吉까닭이다.
幹父之蠱意承考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함은뜻이 돌아가신 아버지를 계승함이다."


王弼 注】 幹事之首時有捐益不可盡承故意承而已
왕필 주】 일의 머리를 주관함은 때때로 덜어내고 더함이 있는데 계승을 다 할 수 없기 때문에 뜻 만 승계할 뿐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幹父之蠱凡堪幹父事不可小大損益一依父命當量事制宜以意承考而巳對文父沒稱」,若散而言之生亦稱」。康誥:「大傷厥考心。」是父在稱考此避幹父之文故變云考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버지의 일을 주간함[幹父之蠱]’의 뜻을 해석함이다무릇 아버지의 일을 감당할 적에는 작게 하고 크게 함과 덜고 더함을 하나같이 아버지의 명령에 의거할 수가 없으며마땅히 일을 헤아려 마땅하게 지어서 뜻으로써 돌아가신 아버지를 받들 뿐이다상대하는 글[對文]에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라고 칭하지만 만약 산문(散文)에서 말을 하면 살아 있음 또한 고()라고 칭한다예컨대 서경.강고(書經.康誥)에 이르기를 그 아버지[]의 마음을 크게 상한다.”라고 하였는데이는 아버지가 살아 계실적에 고()라고 칭하였다이는 간부(幹父)’의 글을 피하였기 때문에 바꾸어 이르기를 ()’라고 한 것이다.

 

九二幹母之蠱不可貞
구이(九二)는 어머니의 일을 주관하는데곧으면 할 수 없다.


王弼 注】 居於內中宜幹母事故曰幹母之蠱也婦人之性難可全正宜屈己剛既幹且順故曰不可貞也幹不失中得中道也
왕필 주】 내괘(內卦)의 가운데[]에 거주하여 마땅히 어머니의 일을 주관하기 때문에 "어머니의 일을 주관한다."라고 말했다부인의 성품은 어렵지만 온전히 바를 수 있고 마땅히 자기의 강함을 굽혀야 하며 이미 주관하고 또 순하기 때문에 "곧으면 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가운데[]를 잃지 않고 주관함은 중도(中道)를 얻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居內處中是幹母事也。「不可貞婦人之性難可全正宜屈己剛不可固守貞正故云不可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괘에 거주하고 가운데[]에 처하였으며이는 어머니의 일을 주간하는 것이다.
곧으면 할 수 없다[不可貞]”라는 것은부인의 성품은 온전히 바르게 하기가 어려워서 마땅히 자기의 강함을 굽혀야 하며굳게 곧고 바름을 지켜서는 안 되기 때문에 이르기를 곧으면 할 수 없다[不可貞]”라고 한 것이다.
幹母之蠱得中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어머니의 일을 주관함은 적절한 도리[中道]를 얻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得中道幹母之蠱雖不能全正猶不失在中之道故云得中道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적절한 도리[中道]를 얻었다[得中道]”라는 것은, ‘어머니의 일을 주간함[幹母之蠱]’의 뜻을 해석한 것이며비록 온전히 바름을 잘 하지 못하지만 오히려 가운데[]에 있는 도()를 잃지 않았기 때문에 이르기를 적절한 도리[中道]를 얻었다[得中道]”라고 한 것이다.

 

九三幹父之蠱小有悔无大咎
구삼(九三)은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조금 후회가 있지만 큰 허물은 없다.


王弼 注】 以剛幹事而无其應故有悔也履得其位以正幹父雖小有悔終无大咎
왕필 주】 강함으로써 일을 주관하여서 그 응()이 없기 때문에 후회가 있다그 지위를 얻어 나아가 바름으로써 아버지의 [일을주관하니 비록 조금 후회는 있으나 마침은 크게 허물이 없다.
[孔穎達 疏]正義曰:「幹父之蠱小有悔以剛幹事而無其應小有悔。「無大咎履得其位故終無大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조금 후회가 있지만[幹父之蠱 小有悔]”라는 것은굳셈으로써 일을 주간하면서 그 응()이 없기 때문에 조금 후회가 있는 것이다.
큰 허물은 없다[无大咎]”라는 것은그 지위를 얻어서 나아가기 때문에 마침은 큰 허물이 없는 것이다.
幹父之蠱終无咎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 마침은 허물이 없다."

 

六四裕父之蠱往見吝
육사(六四)는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하지만가면 부끄러움을 당한다.


王弼 注】 體柔當位幹不以剛而以柔和能裕先事者也然无其應往必不合故曰往見吝
왕필 주】 []은 부드러운데 지위를 담당(擔當)하여 주관함을 굳셈으로 하지 않고 부드러움으로써 어울리니 선대의 일을 여유롭게 잘하는 자이다그러나 그 응()이 없어서 가면 반드시 합하지 않기 때문에 "가면 부끄러움을 당한다."라고 말했다.
[孔穎達 疏]「《見吝」。
正義曰:「裕父之蠱體柔當位幹不以剛而以柔和能容裕父之事也。「往見吝以其無應所往之處見其鄙吝往未得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상왈(象曰)에서 견인(見吝)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하지만[裕父之蠱]”라는 것은몸체[]가 부드러운데 지위를 담당(擔當)하여 주관함을 굳셈으로 하지 않고 부드러움으로써 어울리니 선대의 일을 여유롭게 잘하는 자이다.
가면 부끄러움을 당한다[往見吝]”라는 것은그 응()이 없음으로써 가는 곳의 처함이 비루하고 인색함을 당하기 때문에 가면 얻지 못하는 것이다.
裕父之蠱往未得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 여유롭게 함은가더라도 [일을얻지 못한다."

 

六五幹父之蠱用譽
육오(六五)는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명예를 사용한다.


王弼 注】 以柔處尊用中而應承先以斯用譽之道也
왕필 주】 부드러움으로써 높은데 처하고 가운데[]를 사용하면서 응()하며 선친을 이로써 받들며 명예의 도()를 사용한다.
[孔穎達 疏]「《用譽」。
正義曰:「幹父之蠱用譽以柔處尊用中而應以此承父用有聲譽
공영달소(孔穎達 疏)】 ()의 {상왈(象曰)에서 용예(用譽)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아버지의 일을 주관하는데명예를 사용한다[幹父之蠱 用譽]”라는 것은부드러움으로써 높은데 처하고 가운데[]를 써서 응()하니이로써 아버지를 받들면 소문나는 명예가 있을 것이다.
幹父用譽承以德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아버지의 [일을주관하고 명예를 사용함은 덕()으로서 승계함이다."


王弼 注】 以柔處中不任威力也
왕필 주】 부드러움으로써 가운데[]에 처하고 위엄과 힘에 맡기지 않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幹父用譽之義奉承父事唯以中和之德不以威力故云承以德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아버지의 일을 주관하여 명예가 있음[幹父用譽]’의 뜻을 해석하였으며아버지의 일을 이어 받들기를 오직 가운데어울림[中和]의 덕()으로써 위엄과 무력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르기를 ()으로써 받든다.”고 한 것이다.

  

上九不事王侯高尚其事
상구(上九)는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고[아버지일을 높이고 숭상(崇尙)한다.


王弼 注】 最處事上而不累於位不事王侯高尚其事也
왕필 주】 가장 윗 일에 처하면서 지위에 묶이지 않고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으며 높이고 숭상(崇尙)한다.
[孔穎達 疏]正義曰最處事上不復以世事為心不系累於職位故不承事王侯但自尊高慕尚其清虛之事故云高尚其事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일의 가장 위에 처하여 다시 세상일을 마음에 두지 않고 직책과 지위에 얽매이지 않기 때문에 왕후(王侯)를 받들어 섬기지 않으며다만 스스로 그 맑게 비움의 일을 높이고 사모하여 숭상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 일을 높이고 숭상 한다.”고 한 것이다.
不事王侯志可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음은 뜻을 본받을 만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不事王侯之義身既不事王侯志則清虛高尚可法則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음[不事王侯]’의 뜻을 해석하였으며몸이 이미 왕후(王侯)를 섬기지 않아 뜻이 맑게 비우고 높게 숭상하여 법칙으로 할 수 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