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도덕경(道德經)/1.도덕경[1章~81章]

◎ 도덕경(道德經) 39장

by 석담 김한희 2023. 9. 23.
728x90

▣ 도덕경(道德經) 39장

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侯王得一以爲天下貞, 其致之一也.

天無以淸, 將恐裂,

地無以寧, 將恐廢,

神無以靈, 將恐歇,

谷無以盈, 將恐竭,

萬物無以生, 將恐滅,

侯王無以貴高, 將恐蹶.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謂孤, 寡, 不穀,

此非以賤爲本邪? 非乎?

故致數譽無譽,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옛날에 하나를 얻은 것인데, 하늘은 하나를 얻어서 맑고,

땅은 하나를 얻어서 편안하며, 신은 하나를 얻어서 신령하고,

계곡은 하나를 얻어서 가득하며, 만물은 하나를 얻어서 생겨나고,

제후와 왕은 하나를 얻어서 천하를 곧게하여 하나에 이르르게 한다.

하늘은 맑음이 없으면 장차 찢어질까 두렵고,

땅은 편안함이 없으면 장차 꺼질까 두려우며,

신은 신령함이 없으면, 장차 그칠까 두렵고,

계곡은 가득함이 없으면 장차 마를까 두려우며,

만물은 생겨남이 없으면 장차 소멸될까 두렵고,

제후와 왕은 고귀함이 없으면 장차 밀려날까 두렵다.

그러므로 귀함은 천함으로 근본을 삼고 높음은 낮음을 터전으로 삼는다.

이로서 제후와 왕은 스스로 "고독하고, 작으며, 복록이 없다"라고 말했다.

이는 천함으로 근본을 삼음이 아니겠는가? 그렇지 아니한가?

그러므로 영예를 헤아리면 영예가 없음에 이르르니,

녹녹한 작은 옥 같기를 바라지 말고, 낙낙하고 많은 돌 같이 하라.

 

 

◎ 도덕경 백서(帛書)본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에서 발굴된 백서(帛書)는 ‘도덕경 통행본’과 거의 같은 두 종류의 ‘노자 백서본(老子 帛書本)이 발견되었는데 갑본(甲本)은 한고조(漢高祖, 재위 BC206∼BC195) 이전의 것이고 을본(乙本)은 그 이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 백서(帛書)본 39장

갑본(甲本)

昔之得一者天得一以清地得□以寧神得一以霝浴得一以盈侯□□□而以為正亓致之也胃天毌已清將恐□胃地毌□□將恐□胃神毌已霝將恐歇胃浴毌已盈將恐渴胃侯王毌已貴□□□□□故必貴而以賤為本必高矣而以下為基夫是以侯王自胃□孤寡不穀此亓賤□□與非□故致數與無與是故不欲□□若玉硌﹦□□

을본(乙本)

昔得一者天得一以清地得一以寧神得一以霝浴得一盈侯王得一以為天下正亓至也胃天毌已清將恐蓮地毌已寧將恐發神毌□□□恐歇谷毌已□將渴侯王毌已貴以高將恐蹶故必貴以賤為本必高矣而以下為基夫是以侯王自胃孤寡不穀此亓賤之本與非也故至數輿無輿是故不欲祿﹦若玉硌﹦若石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