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33. 둔괘(遯卦)[卦象:천산둔]

 乾上

 艮下

()[.]이 아래에 있고, ()[.하늘]이 위에 있다.

 

小利貞

()은 형통하니, 곧음이 조금 이롭다

 

遯亨遯而亨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은 형통함이란, 물러나[]서 형통함이니,

王弼 注 遯之為義遯乃通也

왕필 주물러남[]의 뜻이 됨은, 물러나야 비로소 통함이다.

剛當位而應與時行也

굳셈이 지위가 마땅하고 응()을 하니, 때에 더블어 행한다.

王弼 注 謂五也剛當位而應非否亢也遯不否亢能與時行也

왕필 주5(九五)효를 가리킨다. 굳셈이 지위가 마땅하면서 응()함은, 높지 않음이 아니다. 물러남은 높지 않아서가 아니고 때에 맞추어 잘 행함이다.

小利貞浸而長也

곧음이 조금 이로움은, 잠기면서 자라남이다

王弼 注 陰道欲浸而長正道亦未全滅故小利貞也

왕필 주()의 도()가 잠기면서 자라려고 하니 바른 도 또한 아직 완전히 소멸하지 않았기 때문에 곧음이 조금 이롭다.

遯之時義大矣哉

물러남의 때와 뜻이 크도다!"

  

天下有山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하늘 아래에 산이 있음이 둔()괘이니,

 王弼 注 天下有山陰長之象

왕필 주하늘 아래 산이 있음은 음()이 자라는 모습[]이다.

君子以遠小人不惡而嚴

군자(君子)가 그로써 소인(小人)을 멀리하며, 미워하지 않으면서 엄하게 한다."

 

初六遯尾勿用有攸往

초육(初六)은 물러남의 꼬리라서 위태로우니, 가서 펼치[]려고 하지 말라.

王弼 注 遯之為義辟內而之外者也尾之為物最在體後者也處遯之時不往可災而為遯尾禍所及也危至而後求行難可免乎厲則勿用有攸往也

왕필 주()의 뜻이 됨은 안을 피하면서 밖으로 가는 것이며, 꼬리가 사물 됨은 가장 몸체의 뒤에 있는 것이다. 물러나는 때에 처하여 가지 않으면 재앙을 허락하여서 물러나는 꼬리가 재앙이 미치는 곳이 되었다. 위태로움이 이르고서 뒤에 가니, 어려움을 면할 수 있겠는가? 위태로우면 가서 펼치[]려고 하지 말아야한다.

遯尾之厲不往何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물러나는 꼬리의 위태로움은, 가지 않았는데 무슨 재앙이겠는인가?”

  

六二執之用黃牛之革莫之勝說

육이(六二)는 황소의 가죽을 써서 잡고 있으니, 이겨 벗겨 낼 수가 없다

 王弼 注 居內處中為遯之主物皆遯己何以固之若能執乎理中厚順之道以固之也則莫之勝解

왕필 주안에 거주하고 가운데 처하며 물러남의 주체가 되었다. 사람[사물]들이 모두 자기에서 물러나는데 무엇으로 굳게 잡겠는가? 만약 가운데에 이치를 잘 잡고 두텁고 유순함의 도()로서 굳게 잡는다면 이겨 풀 수가 없다.

執用黃牛固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황소를 써서 잡음은, 뜻을 견고히 함이다."

  

九三係遯有疾, 厲畜臣妾, 

구삼(九三)은 물러나는데 묶여서 질병이 있어 위태로우니 신하와 첩을 길러야 길하다.

 王弼 注 在內近二以陽附陰宜遯而繫故曰繫遯遯之為義宜遠小人以陽附陰繫於所在不能遠害亦已憊矣宜其屈辱而危厲也繫於所在畜臣妾可也施於大事凶之道也

왕필 주()괘에 있으면서 육2(六二)에 가까워서, ()으로써 음()에 붙으려고 물러남이 마땅한데도 묶였기 때문에 "물러남에 묶였다."라고 말했다. ()괘의 뜻이 됨은 마땅히 소인을 멀리함인데 양()으로써 음()에 붙는데 있는 곳에 매여 있어서 해로움을 잘 멀리하지 못하고, 또한 이미 고달프니, 그 욕()됨에 굽혀서 위태로움이 마땅하다. 있는 곳에 매여 있음은, 신하와 첩을 기름은 괜찮지만 큰 일에 베풀기에는 흉한 도()이다.

係遯之厲有疾憊也畜臣妾吉不可大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물러나는데 묶임의 위태로움은, 병이 있어서 고단함이다. 신하와 첩을 길러야 길함은 큰 일에는 안 됨이다."

 

九四好遯君子吉小人否

구사(九四)는 물러나기를 좋아하니, 군자(君子)는 길하고 소인(小人)은 아니다

王弼 注 處於外而有應於內君子好遯故能舍之小人繫戀是以否也

왕필 주[외괘]에 처하면서 안[내괘]에 응()이 있으니, 군자(君子)는 물러나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잘 버리지만, 소인(小人)은 묶임을 그리워하니 이로서 아니다.

君子好遯小人否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군자(君子)는 물러나기를 좋아하지만, 소인(小人)은 아님이다."

王弼 注 音臧否之否

왕필 주()이 장부(臧否; 착함과 아님)의 부()이다.

 

九五嘉遯貞吉

구오(九五)는 물러남이 아름답고 곧으니 길하다

王弼 注 遯而得正反制於內小人應命率正其志不惡而嚴得正之吉遯之嘉也

왕필 주물러나면서 바름을 얻어서, 돌이켜 내()괘를 제어한다. 소인이 명에 응()하고 그 뜻에 따라 바로잡으며 미워하지 않으면서 엄하고 바름의 길함을 얻으니 물러남의 아름다움이다.

嘉遯貞吉以正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물러남의 아름다움은 곧아야 길함은, 그로써 뜻을 바로잡음이다."

 

上九肥遯无不利

상구(上九)는 물러남이 넉넉하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最處外極无應於內超然絕志心无疑顧憂患不能累矰繳不能及是以肥遯无不利也

왕필 주가장 바깥 꼭대기에 처하고 안에는 응()이 없으며 뛰어넘 듯이 뜻을 끊으니 마음에 의심함과 돌아봄이 없다. 근심과 걱정이 잘 묶지를 못하고 끈 달린 주살[증작(矰繳)]이 잘 미치지 못하니, 이로서 물러남이 넉넉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

肥遯无不利无所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물러남이 넉넉하니 이롭지 않음이 없음은, 의심할 바가 없음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