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31. 함괘(咸卦)[卦象:택산함]
☱ 兌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가 위에 있다.
咸,亨利貞,取女吉。
함(咸)은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
《彖》曰:咸,感也。 柔上而剛下,二氣感應以相與,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함(咸)은 느낌이다. 위쪽은 부드럽고 아래는 굳세니, 두 기운이 감응하여 그로써 서로 함께하여,
【王弼 注】 是以亨也。
【왕필 주】이로써 형통함이다.
止而說。
그치면서 설득된다
【王弼 注】 故利貞也。
【왕필 주】그러므로 곧아야 이로움이다.
男下女,
남자가 여자에게 낮춘다.
【王弼 注】 取女吉也。
【왕필 주】 여자를 취하면 길함이다.
是以亨利貞,取女吉也。 天地感而萬物化生,
이로써 형통하니 곧아야 이롭고 여자를 취하면 길하다. 하늘과 땅이 느껴서 만물이 달라져 생겨나고,
【王弼 注】 二氣相與,乃化生也。
【왕필 주】두 기운이 서로 더블어 마침내 달라져 생겨난다.
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성인(聖人)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서 천하가 고르게 어울리니, 그 느끼는 바를 보면 천지 만물의 실정을 볼 수 있다."
【王弼 注】 天地萬物之情見於所感也。凡感之為道,不能感非類者也,故引取女以明同類之義也。同類而不相感應,以其各亢所處也。故女雖應男之物,必下之而後取女乃吉也。
【왕필 주】천지 만물의 실정은 느끼는 곳에서 보는데, 대체로 느낌이 도가 됨을 무리가 아닌 것은 잘 감동시키지 못한다, 그러므로 여자를 취함을 인용하여 같은 부류의 뜻을 밝힌 것이다. 같은 부류이면서 서로 느껴서 응(應)하지 않음은 그로써 각각 처한 바를 높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자가 비록 남자에 응(應)하는 사람[사물]이지만 반드시 아래로 낮춘 뒤에 여자를 취해야 비로소 길(吉)함이다.
《象》曰:山上有澤,咸,君子以虛受人。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못이 있음이 함(咸)괘이니, 군자가 그로써 비우고[낮춤] 남을 받아 들임이다.”
【王弼 注】 以虛受人,物乃感應。
【왕필 주】비움으로써 남을 받아들임은, 사람[사물]이 이에 느껴서 응(應)한다.
初六,咸其拇。
초육(初六)은 그 엄지발가락에서 느낀다.
【王弼 注】 處咸之初,為感之始,所感在末,故有志而已。如其本實,未至傷靜。
【왕필 주】함(咸)의 처음에 처하고 느낌의 시작이 되어서 느끼는 바가 [몸체]끝에 있기 때문에 뜻이 있을 뿐이다. 만약 그 근본이 충실하면 고요함을 상하게 함에 이르지는 않는다.
《象》曰:咸其拇,志在外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발가락에서 느낌은, 뜻이 밖에 있음이다."
【王弼 注】 四屬外卦*。*或作「四屬外也」。
【왕필 주】사지(四肢)의 바같 괘(卦)이다.
六二,咸其腓,凶,居吉。
육이(六二)는 그 장딴지에서 느끼면 흉하니, 머물러[居]야 길하다.
【王弼 注】 咸道轉進,離拇升腓。腓體動躁者也,感物以躁,凶之道也。由躁故凶,居則吉矣。處不乘剛,故可以居而獲吉。
【왕필 주】느낌[咸]의 도(道)가 굴러서 나아가 발가락을 떠나서 장딴지에 오르니, 몸의 장딴지를 조급하게 움직이는 자이며, 사람[사물]이 조급함으로써 느낌이 흉함의 도이다. 조급함을 말미암은 연고가 흉하니 머물러[居]야 길하다. 처하기를 굳셈에 타지 않았기 때문에 그침[居]으로써 길함을 얻을 수 있다.
《象》曰:雖凶居吉,順不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비록 흉하더라도 그쳐[居]야 길함은, 순리를 따르니 해롭지 않음이다."
【王弼 注】 陰而為居,順之道也。不躁而居,順不害也。
【왕필 주】음(陰)이면서 머물러[居]야 됨은 순응함의 도(道)이다. 조급하지 않으면서 그침[居]은 순응해야 해롭지 않음이다.
九三,咸其股,執其隨 往 吝。
구삼(九三)은 그 넓적다리에서 느끼는데, 그를 따라서 잡고 가면 부끄럽다.
【王弼 注】 股之為物,隨足者也。進不能制動,退不能靜處,所感在股,志在隨人者也。志在隨人,所執亦以賤矣。用斯以往,吝其宜也。
【왕필 주】넓적다리가 사물이 됨은 발을 따르는 것이다. 나아감은 움직임의 제어를 잘하지 못하고 물러남은 고요함에 처하기를 잘하지 못하며 느끼는 곳이 넓적다리에 있으면 뜻이 남을 따름에 있는 자이다. 뜻이 남을 따름에 있으니 잡은 곳이 그로써 천함이다. 이를 사용하여 그로써 가면 부끄러움이 마땅하다.
《象》曰:咸其股,亦不處也。志在隨人,所執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넓적다리에서 느낌은 또한 [거기에] 처함이 아니다. 뜻이 남을 따르는 데에 있으니 지키는 바가 낮다.”
九四,貞吉,悔亡。憧憧往來,朋從爾思。
구사(九四)는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지며, 매우 자주 가고 오면 벗이 너의 생각을 따른다.
【王弼 注】 處上卦之初,應下卦之始,居體之中,在股之上。二體始相交感,以通其志,心神始感者也。凡物始感而不以之於正,則至於害,故必貞然後乃吉,吉然後乃得亡其悔也。始在於感,未盡感極,不能至於无思以得其黨,故有憧憧往來然後朋從其思也。
【왕필 주】상괘(上卦)의 처음에 처하고 하괘(下卦)의 시작에 응(應)하며 몸의 가운데 거주하니 넓적다리의 위에 있음이다. 두 몸이 서로 사귀어 느끼기 시작하여, 그 뜻이 통함으로써 마음을 펼쳐 느끼기 시작하는 것이다. 모든 사물은 느끼기 시작하면서 바름으로써 하지 않으면 곧 해로움에 이르기 때문에 반드시 곧은 연후에 비로소 길하고 길 한 연후에 마침내 그 후회가 없어진다. 느낌을 시작함에 있지만 아직 느낌을 끝까지 다하지 않았으며 생각이 없음으로써 그 무리를 얻음에는 잘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자주 가고 온 연후에 벗이 그 생각을 따름이 있다.
《象》曰:貞吉悔亡,未感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곧아야 길하고 후회가 없어짐은, 아직 해로움을 느끼지 않았음이다."
【王弼 注】 未感於害,故可正之,得悔亡也。
【왕필 주】아직 해로움을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바로잡아 갈 수 있으니 후회가 없어짐을 얻는다.
憧憧往來,未光大也。
자주 자주 가고 옴은, 아직 빛이 크지 못함이다.
九五,咸其脢,无悔。
구오(九五)는 그 등살에서 느끼니, 후회가 없다.
【王弼 注】 脢者,心之上,口之下。進不能大感,退亦不為无志,其志淺末,故无悔而已。
【왕필 주】등살[매(脢, 등심 매)]이라는 것은, 심장의 위이고 입의 아래이다. 나아감은 크게 잘 느끼지 못하고 물러남은 또한 뜻을 없이 하지는 못하며 그 뜻의 끝이 얕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질 뿐이다.
《象》曰:咸其脢,志末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등살에서 느낌은, 뜻이 낮음이다.”
上六,咸其輔頰舌。
상육(上六)은 그 광대뼈와 뺨과 혀가 느낀다.
【王弼 注】 咸道轉末,故在口舌言語而已。
【왕필 주】느낌의 도가 굴러간 끝이기 때문에 입과 혀의 말을 논함[구설(口舌)]에 있을 뿐이다.
《象》曰:咸其輔頰舌,滕口說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뺨과 혀가 도와서 느낌은, 입이 말을 보냄이다."
【王弼 注】 輔頰舌者,所以為語之具也。咸其輔頰舌,則滕口說也。憧憧往來,猶未光大,況在滕口,薄可知也。
【왕필 주】뺨과 혀가 도운다는 것은, 말을 해 나가는 도구인 까닭이다. 뺨과 혀가 도와서 느낌은 곧 입이 설명하여 말을 내보냄이다. 자주 가고 옴은, 오히려 빛이 크지 않은데, 하물며 입이 말을 내보내고 있으니 엷음을 알 수 있음이다.
'■ 주역(周易) > 2.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33. 둔괘(遯卦)[천산둔]/王弼 注 (1) | 2022.11.11 |
---|---|
▣ 32. 항괘(恒卦)[卦象:뇌풍항]/왕필 주역주 (0) | 2022.07.02 |
▣ 30. 리괘(離卦)[卦象:중화리]/왕필 주역주 (0) | 2022.06.29 |
▣ 29. 감괘(坎卦)[卦象:중수감]/왕필 주역주 (0) | 2022.06.28 |
▣ 28. 대과괘(大過卦)[卦象:택풍대과]/왕필 주역주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