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논어(論語) 

論語集解(논어집해) 卷十九

 

  ◎ 자장(子張)

 

19-1)子張曰: ", 見危致命, 見得思義, 祭思敬, 喪思哀, 其可已矣."

(자장왈: ", 견위치명, 견득사의, 제사경, 상사애, 기가이의.")

자장이 말하였다. “관리는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고, 이득을 보면 옳음을 생각하며, 제사는 경건함을 생각하고, 상사는 슬픔을 생각한다면, 그것으로 이미 [관리라고]할 수 있다.”

 

集解子張曰:「士見危致命孔曰:「致命不愛其身。」 ◎안국이 말하였다치명은 그 자신을 아끼지 않음이다.)見得思義祭思敬喪思哀其可已矣。」

 

 

19-2)子張曰: "執德不弘, 信道不篤, 焉能爲有? 焉能爲亡?"

(자장왈: "집덕불홍, 신도불독, 언능위유? 언능위무?")

자장이 말하였다. “덕을 가지고 넓히지 않고, 도를 믿음이 두텁지 않다면, 어찌 있도록 함을 잘 하고, 어찌 없어지도록 함을 잘 하겠는가?”

 

集解子張曰:「執德不弘信道不篤焉能為有焉能為亡?」孔曰:「言無所輕重。」 ◎안국이 말하였다가볍고 무거운 바 없다는 말이다.)

 

 

19-3)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 子張曰: "異乎吾所聞. 君子尊賢而容衆, 嘉善而矜不能. 我之大賢, 與於人何所不容? 我之不賢, 與人將拒我, 如之何其拒人也!"

(자하지문인문교어자장, 자장왈: "자하운하?" 대왈: "자하왈: '가자여지, 기불가자거지.'" 자장왈: "이호오소문. 군자존현이용중, 가선이긍불능. 아지대현, 여어인하소불용? 아지불현, 여인장거아, 여지하기거인야?")

자하의 문인이 자장에게 사귐을 물었다. 자장이 말하였다. “자하께서는 무엇이라 하던가?”

대답하기를 자하께서는 할 수 있는 사람이면 그와 사귀고 그가 할 수 없는[사귈 수 없는] 사람이면 거부하라고 하셨습니다.”

자장이 말하였다. “내가 들은 바와 다르다. 군자는 현명함을 높이면서 무리를 포용하고, 선 함을 아름답게 하며 잘 하지 못해도 아낀다. 나를 크게 현명하게 하면, 남에게 어찌 용납되지 않는 바 이겠는가? 나를 현명하지 않게 하면, 남들이 장차 나를 물리치겠지만, 그와 같다[사귈 수 없는 사람]하여 어찌 남을 거부하겠는가?”

 

集解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孔曰:「問與人交接之道。」 ◎안국이 말하였다사람들과 더블어 사귀고 접대하는 도리를 물었다.)子張曰:「子夏云何?」對曰:「子夏曰:『可者與之其不可者拒之。』」子張曰:「異乎吾所聞君子尊賢而容眾嘉善而矜不能我之大賢與於人何所不容 我之不賢與人將拒我如之何其拒人也?」包曰:「 友交當如子夏汎交當如子張。」 ◎포함이 말하였다벗을 사귐은 마땅히 자하와 같아야 하나, 여럿을 사귐은 마땅히 자장과 같아야 한다.)

 

 

19-4)子夏曰: "雖小道, 必有可觀者焉, 致遠恐泥, 是以君子不爲也."

(자하왈: "수소도, 필유가관자언, 치원공니, 시이군자불위야.")

자하가 말하였다. “비록 작은 도[이단]라 하여도 반드시 그 곳에 관찰 할 만한 것이 있지만, 이르름이 멀면 진흙길이 두렵다, 이것이 군자가 하지 않음이다.”

 

集解子夏曰:「雖小道必有可觀者焉小道謂異端。◎  : “소도는 이단을 일컫는다.)致遠恐泥包曰:「泥難不通。」 ◎포함이 말하였다란 어려워 통하지 않음이다.)是以君子不為也。」

 

 

19-5)子夏曰: "日知其所亡, 月無忘其所能, 可謂好學也已矣."

(자하왈: "일지기소무, 월무망기소능, 가위호학야이의.")

자하가 말하였다. “날로 그 없어지는 바를 알고, 달마다 그 잘 하던 바를 잊음이 없다면, 이미 배움을 좋아했다 일컫을 수 있다.”

 

集解子夏曰:「日知其所亡孔曰:「 日知其所未聞。」 ◎안국이 말하였다날마다 그 듣지 않은 바를 안다)月無忘其所能可謂好學也已矣。」

 

 

19-6)子夏曰: "博學而篤志, 問而近思, 仁在其中矣."

(자하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자하가 말하였다. “배우기를 널리 하고 뜻을 두터이 하며, 물음을 절실(切實)하게 하고 생각을 가까이 하면, 어짊이 그 가운데 존재한다.”

 

集解子夏曰:「博學而篤志孔曰:「 廣學而厚識之。」 ◎안국이 말하였다배움을 넓게하면서 지식을 두텁게 함이다.)切問而近思切問者切問於己所學未悟之事近思者思己所未能及之事汎問所未學, 遠思所未達則於所習者不精所思者不解。◎  : “절문이라는 것은, 자기가 배운 바에서 아직 깨닫지 못한 일을 간절하게 물음이다. “근사라는 것은, 자기가 아직 잘 미치지 않는 바의 일을 생각함이다. 여러 아직 배우지 않은 바를 물어서, 아직 도달되지 않는 바를 멀리 생각하면 익힌 것이 정밀하지 않는 바이며, 생각한 것이 풀리지 않는 바이다.)仁在其中矣。」

 

 

19-7)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자하왈: "백공거사이성기사, 군자학이치기도.")

자하가 말하였다. “모든 기술자는 점포에 머물면서 그들의 일을 이루고, 군자는 배움으로서 그 도에 이르렀다.”

 

集解子夏曰:「百工居肆以成其事君子學以致其道。」包曰:「言百工處其肆則事成猶君子學以致其道。」 ◎포함이 말하였다모든 장인들은 그들이 펼쳐놓은 곳에서 일을 이루는데, 오히려 군자는 배움으로서 그 도에 이르렀다.)

 

 

19-8)子夏曰: "小人之過也必文."

(자하왈: "소인지과야필문.")

자하가 말하였다. “소인은 잘못을 반드시 꾸며댄다.”

 

集解子夏曰:「小人之過也必文。」孔曰:「文飾其過不言情實。」 ◎안국이 말하였다그의 잘못을 무늬로 꾸미고, 실제 뜻을 말하지 않는다.)

 

 

19-9)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 卽之也溫, 聽其言也厲."

(자하왈: "군자유삼변: 망지엄연, 즉지야온, 청기언야려.")

자하가 말하였다. “군자에게는 세 가지 변함이 있다. 바라보면 위엄이 있는데, 그에 나아가면 온화하며, 그의 말을 들어보면 엄히 닦달한다.”

 

集解子夏曰:「君子有三變望之儼然即之也溫聽其言也厲。」鄭曰:「嚴正。」 ◎정현이 말하였다는 엄히 바로잡음이다.)

 

 

19-10)子夏曰: "君子, 信而後勞其民, 未信則以爲厲己也; 信而後諫, 未信則以爲謗己也."

(자하왈: "군자, 신이후로기민, 미신즉이위려기야; 신이후간, 미신즉이위방기야.")

자하가 말하였다. “군자는 믿게 한 뒤에 그 백성들을 수고롭게 하고, 아직 믿지 않았으면 그로서 자기를 닦달함이 된다. 믿게 한 뒤에 간언을 하고, 아직 믿지 않았으면 그로서 자기를 비방함이 된다.”

 

集解子夏曰:「君子信而後勞其民未信則以為厲己也王曰:「猶病也。」 ◎왕숙이 말하였다는 병과 같다.)信而後諫未信則以為謗己也。」

 

 

19-11)子夏曰: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

(자하왈: "대덕불유한, 소덕출입가야.")

자하가 말하였다. “큰 덕은 목책(木柵) 넘지 못하나, 작은 덕은 출입을 할 수 있다.”

 

集解子夏曰:「大德不逾閑孔曰:「猶法也。」 ◎안국이 말하였다은 법도와 같다.)小德出入可也。」孔曰:「小德不能不逾法故曰出入可。」 ◎안국이 말하였다작은 덕은 잘하지 않아도 법도를 넘지 않기 때문에, 출입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19-12)子游曰: "子夏之門人小子, 當洒掃應對進退, 則可矣, 抑末也. 本之則無, 如之何?" 子夏聞之曰: "! 言游過矣! 君子之道, 孰先傳焉? 孰後倦焉? 譬諸草木, 區以別矣. 君子之道, 焉可誣也? 有始有卒者, 其惟聖人乎?"

(자유왈: "자하지문인소자, 당세소응대진퇴, 즉가의, 억말야. 본지즉무, 여지하?" 자하문지왈: "! 언유과의! 군자지도, 숙선전언? 숙후권언? 비제초목, 구이별의. 군자지도, 언가무야? 유시유졸자, 기유성인호?")

자유가 말하였다. “자하의 문하 제자들은 마땅히 씻고 비질하거나, [손님] 응대하며 나아가고 물러남이라면 할 수 있지만, 겨우[억지로] 말단이다. 근본함이 곧 없는데, 어찌 하겠는가?”

자하가 듣고서 말하였다. “! [자유]의 말이 지나치구나! 군자의 도를 누구에게 먼저 전하고 누구를 뒤로 게을리 하겠는가? 비유하면 여러 풀과 나무를 구분 지어서 나눔이다. 군자의 도를 어찌 속일 수 있겠는가? 시작이 있고 마침이 있는 것은, 오직 성인 이겠지?”

 

集解子遊曰:「子夏之門人小子當灑掃應對進退則可矣抑末也本之則無如之何?」包曰:「言子夏弟子但當對賓客脩威儀禮節之事則可然此但是人之末事耳不可無其本故云本之則無如之何?」 ◎포함이 말하였다자하의 제자들은, 다만 마땅히 손님과 나그네를 접대하고 위엄있는 거동과 예의 범절의 일이라면 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이러한 사람의 말단의 일일 뿐인데, 그 근본이 없으면 불가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근본함이 곧 없는데 어찌 하겠는가?’라고 하였다.)子夏聞之:「孔曰:「心不平之聲。」 ◎안국이 말하였다는 마음이 평안하지 않음의 소리이다.)言遊過矣君子之道孰先傳焉孰後倦焉包曰:「言先傳業者必先厭倦故我門人先教以小事後將教以大道。」 ◎포함이 말하였다먼저 학업을 전한 것은 반드시 먼저 싫어하고 게을리하기 때문에, 나의 문인들에게 먼저 작은 일로서 본받게 하고 뒤에 장차 큰 도를 본받게 함이라고 말하였다.)譬諸草木區以別矣馬曰:「言大道與小道殊異譬如草木異類區別言學當以次。」 ◎마융이 말하였다큰 도와 작은 도의 다름을 달리한다는 말이다. 비유하면 풀과 나무가 다른 종류로 구분지어 나누어짐과 같이, 배움을 마땅히 차례로서 한다는 말이다.)君子之道焉可誣也馬曰:「君子之道焉可使誣. 言我門人但能灑掃而已。」 ◎마융이 말하였다군자의 도를 어찌 속일 수 있는가?”. 나의 문인들은 단지 청소하고 물뿌림을 잘 할 뿐이라는 말이다.)有始有卒者其唯聖人乎?孔曰:「終始如一唯聖人耳。」 ◎안국이 말하였다마침과 시작이 하나 같음은, 오직 성인일 뿐이다.)

 

 

19-13)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자하왈: "사이우즉학, 학이우즉사.")

자하가 말하였다. “벼슬하면서 여유가 있으면 배우고, 학문을 하면서 여유가 있으면 벼슬을 한다.”

 

集解子夏曰:「仕而優則學馬曰:「行有餘力則以學文。」 ◎마융이 말하였다행하고 남는 힘이 있으면 배움으로 빛낸다.)學而優則仕。」

 

 

19-14)子游曰: "喪致乎哀而止."

(자유왈: "상치호애이지.")

자유가 말하였다. “상례는 슬픔에 이르르면 그친다.”

 

集解子遊曰:「喪致乎哀而止。」孔曰:「毀不滅性。」 ◎안국이 말하였다헐어서 본성을 없앰이 아니다.)

 

 

19-15)子游曰: "吾友張也爲難能也, 然而未仁."

(자유왈: "오우장야위난능야, 연이미인.")

자유가 말하였다. “내 벗 장[자장]은 어려움을 잘 하지만, 그러나 아직 어질지는 않다.”

 

集解子遊曰:「吾友張也為難能也包曰:「言子張容儀之難及。」 ◎포함이 말하였다자장은 거동의 드러남이 어려움에 미친다는 말이다.然而未仁。」

 

 

19-16)曾子曰: "堂堂乎張也! 難與並爲仁矣."

(증자왈: "당당호장야! 난여병위인의.")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자장은 당당하구나! 함께 나란히 어짊을 실천하기는 어렵다.”

 

集解曾子曰:「堂堂乎張也難與並為仁矣。」鄭曰:「言子張容儀盛而於仁道薄也。」 ◎정현이 말하였다자장은 거동의 드러남은 성대하지만 어짊의 도에는 엷다는 말이다.)

 

 

19-17)曾子曰: “吾聞諸夫子: ‘人未有自致者也, 必也親喪乎?’”

(증자왈: "오문제부자: 인미유자치자야, 필야친상호!")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스승님께 들은 것에 아직 사람들이 스스로 이르르는 것이 없더라도, 반드시 [해야]함은 부모의 상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셨다.”

 

集解曾子曰:「吾聞諸夫子人未有自致者也必也親喪乎?馬曰:「言人雖未能自致盡於他事至於親喪必自致盡。」 ◎마융이 말하였다사람이 비록 스스로 다른 일에는 다 잘 이르도록 못해도, 부모의 상에 이르름은 반드시 스스로 다 이르도록 한다는 말이다.)

 

 

19-18)曾子曰: "吾聞諸夫子: 孟莊子之孝也, 其他可能也, 其不改父之臣與父之政, 是難能也."

(증자왈: "오문제부자: 맹장자지효야, 기타가능야, 기불개부지신여부지정, 시난능야.")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스승님께 들은 것에 맹장자의 효도는 다른 것은 가능하지만, 아버지의 신하와 아버지의 정책은 고치지 않음인데, 이것이 잘 하기 어렵다라고 하셨다.”

 

集解曾子曰:「吾聞諸夫子孟莊子之孝也其他可能也其不改父之臣與父之政是難能也。」馬曰:「孟莊子魯大夫仲孫連也謂在諒陰之中父臣及父政雖有不善者不忍改也。」 ◎마융이 말하였다맹장자는 노나라 대부 중손연이다. 량음[상례의 빈청]에 있으면서 부모의 신하와 부모의 정책이 비록 선하지 않은 것이 있어도 차마 고치지 않음을 일컬었다.)

 

 

19-19)孟氏使陽膚爲士師, 問於曾子, 曾子曰: "上失其道, 民散久矣. 如得其情, 則哀矜而勿喜!"

(맹씨사양부위사사, 문어증자, 증자왈: "상실기도, 민산구의. 여득기정, 즉애긍이물희!")

맹씨가 양부를 [감옥의]사사를 시키자, [양부가] 증자에게 물었다.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윗사람이 그 도를 잃어 백성이 흩어진지 오래되었다. 만약 그 [죄수들의] 실정을 알았[얻음]다면, 슬픔을 표시하되 기뻐하지 말아야 한다!”

 

集解孟氏使陽膚為士師包曰:「陽膚曾子弟子士師典獄之官。」 ◎포함이 말하였다양부는 증자의 제자이다. “사사는 감옥을 관장하는 관리이다.)問於曾子曾子曰:「上失其道民散久矣如得其情則哀矜而勿喜!」馬曰:「民之離散為輕漂犯法乃上之所為非民之過當哀矜之勿自喜能得其情。」 ◎마융이 말하였다백성의 이별하여 흩어짐은 법을 어겨 가볍게 떠다니게 되는데, 위에서 한 바에 비롯되었고, 백성의 잘못이 아니니, 마땅히 그들에게 슬픔을 표하고 그들의 실정을 잘 알게 되어도 스스로 기뻐하지 말아야 한다.)

 

 

19-20)子貢曰: "紂之不善, 不如是之甚也. 是以君子惡居下流, 天下之惡皆歸焉."

(자공왈: "주지불선, 불여시지심야. 시이군자오거하류, 천하지오개귀언.")

자공이 말하였다. “주왕의 선하지 않음이 이의 심함과는 같지 않았다. 이로서 군자가 아래 부류에 머무름을 미워하여, 천하의 미움이 모두 그곳[주왕]에 되돌아갔다.”

 

集解子貢曰:「紂之不善不如是之甚也是以君子惡居下流天下之惡皆歸焉。」孔曰:「紂為不善以喪天下後世憎甚之皆以天下之惡歸之於紂。」 ◎안국이 말하였다주왕이 선하지 않은 [정치를]하여 그로서 천하를 잃었는데 뒤에 세상이 그[주왕]를 심하게 미워하여, 모두 그로서 천하의 미워함이 주왕에게 돌아갔다.)

 

 

19-21)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자공왈: "군자지과야, 여일월지식언. 과야, 인개견지; 경야, 인개앙지.")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의 잘못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다. 잘못은 사람들이 모두 보게 되고,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그를 우러러본다.”

 

集解子貢曰:「君子之過也如日月之食焉過也人皆見之更也人皆仰之。」孔曰:「改也。」 ◎안국이 말하였다은 고침이다.)

 

 

19-22)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子貢曰: "文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 焉不學而亦何常師之有?"

(위공손조문어자공왈: "중니언학?" 자공왈: "문무지도, 미추어지, 재인. 현자식기대자, 불현자식기소자. 막불유문무지도언. 부자, 언불학이역하상사지유?")

위나라의 공손조가 자공에게 물었다. “중니[공자]는 어떻게 배웠나요?”

자공이 말하였다. “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직 땅에 떨어지지 않고 사람들에게 있습니다. 현명한 사람은 그 큰 것을 기억하고 현명하지 않은 사람은 그 작은 것을 기억합니다. 그곳에는 문왕과 무왕의 도가 있지 아니함이 없습니다. 스승님께서 어느곳인들 배우지 않으시며, 또한 어찌 일정한 스승이 있었겠습니까?”

 

集解衛公孫朝馬曰:「公孫朝衛大夫。」 ◎마융이 말하였다공손조는 위나라 대부이다.)問於子貢曰:「仲尼焉學?」子貢曰:「武之道未墜於地在人賢者識其大者不賢者識其小者莫不有文武之道焉夫子焉不學孔曰:「文武之道未墜落於地賢與不賢各有所識夫子無所不從學。」 ◎안국이 말하였다문왕과 무왕의 도가 아직 무너져 땅에 떨어지지 않아 현명함과 현명하지 않음을 각각 기억하는 바가 있었다. 스승님께서 배움을 따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而亦何常師之有?」孔曰:「無所不從學故無常師。」 ◎안국이 말하였다배움을 붙좇지 않은 곳이 없기 때문에 일정한 스승이 없음이다.)

 

 

19-23)叔孫武叔語大夫於朝曰: "子貢賢於仲尼." 子服景伯以告子貢. 子貢曰: "譬之宮牆, 賜之牆也及肩, 竅見室家之好. 夫子之牆數仞, 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百官之富. 得其門者或寡矣, 夫子之云, 不亦宜乎?"

(숙손무숙어대부어조왈: "자공현어중니." 자복경백이고자공. 자공왈: "비지궁장, 사지장야급견, 규견실가지호. 부자지장수인, 불득기문이입, 불견종묘지미, 백관지부. 득기문자혹과의, 부자지운, 불역의호?")

숙손무숙이 조회에서 대부들과 토론하였다. “자공이 중니 보다 현명하다.” 자복경백이 이것을 자공에게 알려줬다. 자공이 말하였다. “그것을 궁의 담에 비유하면 나[]의 담장은 어깨에 미쳐서 집안 방의 좋음을 들여다 본다. 스승님의 담장은 여러 길이어서 그 문을 찾아서 들어가지 않으면 종가 사당의 아름다움과 여러 관리의 많음을 보지 못한다. 그 문을 찾아낸 사람이 혹 적었으니 그 분[숙손]의 말씀이 마땅함이 또한 아닙니까?”

 

集解叔孫武叔語大夫於朝馬曰:「魯大夫叔孫州仇。」 ◎마융이 말하였다노나라 대부 숙손주구이다. “는 시호이다.):「子貢賢於仲尼。」子服景伯以告子貢子貢曰:「譬之宮牆賜之牆也及肩闚見室家之好夫子之牆數仞不得其門而入不見宗廟之美百官之富得其門者或寡矣包曰:「七尺曰仞。」 ◎포함이 말하였다일곱자를 ()”이라 말한다.)夫子之云不亦宜乎?包曰:「夫子謂武叔。」 ◎포함이 말하였다부자는 무숙을 가리킨다.)

 

 

19-24)叔孫武叔毁仲尼,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 他人之賢者, 丘陵, 猶可踰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 人雖欲自絶, 其何傷於日月乎? 多見其不知量也."

(숙손무숙훼중니, 자공왈: "무이위야! 중니불가훼야. 타인지현자, 구릉야, 유가유야; 중니, 일월야, 무득이유언. 인수욕자절, 기하상어일월호? 다견기부지량야.")

숙손무숙이 공자를 헐뜯자, 자공이 말하였다. “[그 말을]없음으로 하세요! 중니는 헐뜯을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의 현명한 것은 언덕이기에 오히려 넘을 수 있지만, 중니는 해와 달이기에 그곳을 넘을 수 없습니다. 사람이 비록 스스로 끊으려 하여도, 그 어찌 해와 달을 해치겠습니까? 그 분량[분수]을 알지 못함이 많이 드러납니다.”

 

集解叔孫武叔毀仲尼子貢曰:「無以為也仲尼不可毀也他人之賢者丘陵也猶可逾也仲尼日月也無得而逾焉人雖欲自絕其何傷於日月乎多見其不知量也。」言人雖自絕棄於日月其何能傷之乎適足自見其不知量也。◎  : 사람이 비록 스스로 해와 달에서 끊어 버리고자 하지만, 그 어찌 잘 상하게 할 수 있겠는가? 그 량을 알지 못함을 스스로 드러내어 충분히 맞이한다는 말이다.)

 

 

19-25)陳子禽謂子貢曰: "子爲恭也, 仲尼豈賢於子乎?" 子貢曰: "君子一言以爲知, 一言以爲不知, 言不可不愼也. 夫子之不可及也, 猶天之不可階而升也. 夫子之得邦家者, 所謂立之斯立, 道之斯行, 綏之斯來, 動之斯和. 其生也榮, 其死也哀, 如之何其可及也?"

(진자금위자공왈: "자위공야, 중니개현어자호?" 자공왈: "군자일언이위지, 일언이위부지, 언불가불신야. 부자지불가급야, 유천지불가계이승야. 부자지득방가자, 소위립지사립, 도지사행, 수지사래, 동지사화. 기생야영, 기사야애, 여지하기가급야?")

진자금이 자공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공손하십니다, 중니가 어찌 선생보다 현명하겠습니까?” 자공이 말하였다. “군자는 한 마디 말로서 알도록 하고, 한 마디 말로서 알지 못하도록 하기에, 말을 삼가하지 않으면 안 되오. 스승님에 미칠 수 없음은 하늘을 사다리로 올라갈 수 없음과 같소. 스승님께서 나라나 집안을 다스리신다면, 이른바 세우시면 이것이 서고, 인도하시면 이들이 행하며, 편안케 하시면 이들이 오고, 움직이시면 이들이 어울리십니다. 그분의 삶은 영광스럽고, 그 죽음은 애처로웠는데, 어떻게 하여 그분께 미칠 수 있겠소?”

 

集解陳子禽謂子貢曰:「子為恭也仲尼豈賢於子乎?」子貢曰:「君子一言以為知一言以為不知言不可不慎也夫子之不可及也猶天之不可階而升也夫子之得邦家者孔曰:「謂為諸侯若卿大夫。」 ◎안국이 말하였다제후가 하는 것이 경과 대부와 같음을 일컫는다.)所謂立之斯立道之斯行綏之斯來動之斯和其生也榮其死也哀如之何其可及也?」孔曰:「安也言孔子為政其立教則無不立道之則莫不興行安之則遠者來至動之則莫不和睦故能生則榮顯死則哀痛。」 ◎안국이 말하였다는 편안함이다. 공자가 정책을 펼침에 그 세워서 본받게 하시면 서지 않음이 없고 그들을 인도하시면 흥하여 행하지 않음이 없으며, 편안케 해주시면 먼데 사람이 이르러 오고, 움직여 주시면 어울리어 친해지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잘 산다면 영화가 나타나고 죽으면 애통해 한다는 말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