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14 조풍(曹風)≫
151. 후인(候人, 빈객 영송관)
彼候人兮、何戈與祋。
(피후인혜 하과여대)
저 영송관원은 긴창과 짧은창을 메고 있는데
彼其之子、三百赤芾。
(피기지자 삼백적불)
저 사람들은 삼백이나 붉은 술갑을 입었구나
維鵜在梁、不濡其翼。
(유제재량불유기익)
가마우지 어살에 앉아 날개를 적시지 않는데
彼其之子、不稱其服。
(피기지자불칭기복)
저기 저 사람들은 그 옷이 어울리지 않구나
維鵜在梁、不濡其咮。
(유제재량불유기주)
가마우지 어살에 앉아 부리를 적시지 않는데
彼其之子、不遂其媾。
(피기지자 불수기구)
저기 저 사람들이 그 은총 따르지 않는구나
薈兮蔚兮、南山朝隮。
(회혜울혜 남산조제)
뭉게구름 일더니 남산에 아침 무지개 떴는데
婉兮孌兮、季女斯飢。
(완혜련혜 계녀사기)
예쁘고 아름다운 아가씨들 소녀들이 굶주리네
《候人》四章,章四句。
譯註 1: 『周禮』 ≪夏官 司馬≫⇒候人, 上士六人下士十有二人史六人徒百有二十人. 夏, 候人, 各掌其方之道治與其禁令以設候人. 若有方治則帥而致于朝及歸送之于竟.
『주례(周禮)』 ≪하관 사마(夏官 司馬)≫⇒후인(候人)에는, 상사 6인, 하사 12인, 사(史) 6인, 도(徒)가 120인이다. 하관[夏]의 후인(候人)은, 각각 그 사방의 길을 관장하며 그 금하는 령(令)으로써 후인(候人)을 설치하여 함께 다스리는데, 만일 사방에 다스림이 있으면 인솔하여서 조정에 이르게 하고, 돌아갈 적에는 다시 경계에서 전송(餞送)을 한다.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候人》,刺近小人也。共公遠君子而好近小人焉。
【모시 서】 <후인(候人)>은 소인(小人)을 가까이 함을 풍자한 시(詩)이다. 공공(共公)이 군자를 멀리하면서 소인을 가까이 하기를 좋아하였다.
譯註 2: 공공(共公, 미상 ~ BC 618)⇒춘추시대 조(曹)나라 16대 군주이며,
성(姓)은 희(姬). 씨(氏)는 조(曹)이고 이름은 양(襄)이며 조(曹)나라 소공(昭公)의 아들이다. 진(晉)나라 공자(公子) 중이(重耳)가 달아나다가 조나라를 지나갔는데, 중이의 통갈비뼈를 보려고 하는 무례를 범했다. 나중에 중이가 귀국하여 즉위해 진문공(晉文公)이 되자 조나라를 정벌하고 공공(共公)을 포로로 잡았다가 나중에 귀국시켰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彼候人兮、何戈與祋。
(피후인혜 하과여대)
저 영송관원은 긴창과 짧은창을 메고 있는데
【毛亨 傳】 候人,道路送賓客者。何,揭。祋,殳也。言賢者之官,不過候人。
【모형 전】 후인(候人)은, 도로(道路)의 빈객(賓客)을 전송(餞送)하는 자이다. 하(何, 멜 하)는 높이 쳐듦이고, 대(祋, 창 대)는 몽둥이이다. 현명한 자의 관리는 영송관[候人]을 지나치지 않음을 말한다.
彼其之子、三百赤芾。
(피기지자 삼백적불)
저 사람들은 삼백이나 붉은 술갑을 입었구나
【毛亨 傳】 彼,彼曹朝也。芾,韠也。一命縕芾黝珩,再命赤芾黝珩,三命赤芾蔥珩。大夫以上赤芾乘軒。
【모형 전】 피(彼, 저 피)는, 저 조(曹)나라 조정이다. 불(芾, 슬갑 불)은 슬갑인데, 일명(一命)은 주황색 슬갑에 검은 패옥이고, 재명(再命)은 붉은 슬갑에 검은 패옥이며, 삼명(三命)은 붉은 슬갑에 푸른 패옥을 차며, 대부(大夫) 이상은 붉은 슬갑에 수레를 탄다.
譯註 3: 『禮記』 玉藻⇒一命縕韍幽衡,再命赤韍幽衡,三命赤韍蔥衡。
예기(禮記) 옥조(玉藻)편⇒일명(一命)은 주황색 슬갑에 검은 패옥이고, 재명(再命)은 붉은 슬갑에 검은 패옥이며, 삼명(三命)은 붉은 슬갑에 푸른 패옥을 찬다.
維鵜在梁、不濡其翼。
(유제재량불유기익)
가마우지 어살에 앉아 날개를 적시지 않는데
【毛亨 傳】 鵜,洿澤鳥也。梁,水中之梁。鵜在梁,可謂不濡其翼乎?
【모형 전】 제(鵜, 사다새 제)는, 웅덩이나 못에 사는 새이고, 량(들보 량)은 물 속의 어량(魚梁)이며, 사다새가 어살에 있는데 거의 그 날개를 적시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彼其之子、不稱其服。
(피기지자불칭기복)
저기 저 사람들은 그 옷이 어울리지 않구나
維鵜在梁、不濡其咮。
(유제재량불유기주)
가마우지 어살에 앉아 부리를 적시지 않는데
【毛亨 傳】 咮,喙也。
【모형 전】 주(咮, 부리 주)는, 부리이다.
彼其之子、不遂其媾。
(피기지자 불수기구)
저기 저 사람들이 그 은총 따르지 않는구나
【毛亨 傳】 媾,厚也。
【모형 전】 구(媾, 화친할 구)는, 두터이 함이다.
薈兮蔚兮、南山朝隮。
(회혜울혜 남산조제)
뭉게구름 일더니 남산에 아침 무지개 떴는데
【毛亨 傳】 薈、蔚,雲興貌。南山,曹南山也。隮,升雲也。
【모형 전】 회(薈, 무성할 회)와 울(蔚, 고을이름 울)은, 구름이 일어나는 모양이다. 남산(南山)은, 조(曹)나라의 남산이다. 제(隮, 오를 제)는 [무지개가] 구름에 오름이다.
婉兮孌兮、季女斯飢。
(완혜련혜 계녀사기)
예쁘고 아름다운 아가씨들 소녀들이 굶주리네
【毛亨 傳】 婉,少貌。孌,好貌。季,人之少子也。女,民之弱者。
【모형 전】 완(婉, 아름다울 완)은 작은 모양이이고, 련(孌, 아름다울 련)은 좋은 모양이다. 계(季, 계절 계)는, 사람의 막내이다. 여자는 백성 중에 약한 자이다.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彼候人兮、何戈與祋。
(피후인혜 하과여대)
저 영송관원은 긴창과 짧은창을 메고 있는데
【鄭玄 箋】 箋雲:是謂遠君子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이 말은, 군자를 멀리함이다.”라고 하였다.
彼其之子、三百赤芾。
(피기지자 삼백적불)
저 사람들은 삼백이나 붉은 술갑을 입었구나
【鄭玄 箋】 箋雲:之子,是子也。佩赤芾者三百人。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지자(之子)는, 이 사람이며, 적불(赤芾)을 찬 자들이 삼백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維鵜在梁、不濡其翼。
(유제재량불유기익)
가마우지 어살에 앉아 날개를 적시지 않는데
【鄭玄 箋】 箋雲:鵜在梁,當濡其翼,而不濡者,非其常也。以喻小人在朝亦非其常。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사다새가 어량에 있으니 마땅히 그 날개를 적셔야 하는데도 적시지 않는 것은 늘상 함이 아니다. 그로써 소인(小人)이 조정에 있음 또한 늘 함이 아님을 비유하였다.”라고 하였다.
彼其之子、不稱其服。
(피기지자불칭기복)
저기 저 사람들은 그 옷이 어울리지 않구나
【鄭玄 箋】 箋雲:不稱者,言德薄而服尊。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칭하지 않는다는 것은, 덕(德)이 엷은데도 벼슬[服]이 높음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維鵜在梁、不濡其咮。
(유제재량불유기주)
가마우지 어살에 앉아 부리를 적시지 않는데
彼其之子、不遂其媾。
(피기지자 불수기구)
저기 저 사람들이 그 은총 따르지 않는구나
【鄭玄 箋】 箋雲:遂猶久也。不久其厚,言終將薄於君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수(遂, 따를 수)는 오래함과 같다. 그 두터움을 오래하지 않음은, 끝내 장차 군주에게 [따름이] 엷어짐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薈兮蔚兮、南山朝隮。
(회혜울혜 남산조제)
뭉게구름 일더니 남산에 아침 무지개 떴는데
【鄭玄 箋】 箋雲:薈蔚之小雲,朝升於南山,不能為大雨,以喻小人雖見任於君,終不能成其德教。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회(薈, 무성할 회)와 울(蔚, 고을이름 울)의 적은 구름은, 아침에 남산에 올라 큰 비가 잘 되지 않으니 그로써 소인이 비록 군주에게 임무를 받더라도 종내 그 덕(德)의 가르침을 잘 이루지 못함을 비유함이다.”라고 하였다.
婉兮孌兮、季女斯飢。
(완혜련혜 계녀사기)
예쁘고 아름다운 아가씨들 소녀들이 굶주리네
【鄭玄 箋】 箋雲:天無大雨,則歲不熟,而幼弱者饑,猶國之無政令,則下民困病。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하늘이 큰 비를 내리지 않으면 결실[歲]이 익지 않으면서 어리고 약한 자가 굶주리는데, 나라의 정치와 명령이 없으면 아래 백성이 곤궁하여 병듦을 비유함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候人》,刺近小人也。共公遠君子而好近小人焉。(○候人,官名。近,附近之近,下同。共音恭,下篇同。遠,於萬反,下注同。好,呼報反。)
疏「《候人》四章,章四句」至「人焉」。○正義曰:首章上二句言其遠君子,以下皆近小人也。此詩主刺君近小人。以君子宜用而被遠,小人應疏而卻近,故經先言遠君子也。
彼候人兮,何戈與祋。(候人,道路送賓客者。何,揭。祋,殳也。言賢者之官,不過候人。箋雲:是謂遠君子也。○何,何可反,又音何。祋,都外反,又都律反。揭音竭,又其謁反。殳,市朱反。)
彼其之子,三百赤芾。(彼,彼曹朝也。芾,韠也。一命縕芾黝珩,再命赤芾黝珩,三命赤芾蔥珩。大夫以上赤芾乘軒。箋雲:之子,是子也。佩赤芾者三百人。○其音記,下皆同。芾音弗,祭服謂之芾,沈又甫味反。朝,直遙反,下「在朝」同。縕,音溫,何烏本反,赤黃之色。黝,於糾反,黑色。珩音衡。以上,時掌反。)
疏「彼候」至「赤芾」。○正義曰:言共公疏遠君子。曹之君子正為彼候迎賓客之人兮,荷揭戈與祋在於道路之上。言賢者之官,不過候人,是遠君子也。又親近小人,彼曹朝上之子三百人皆服赤芾,是其近小人也。諸侯之製,大夫五人。今有三百赤芾,愛小人過度也。○傳「候人」至「候人」。○正義曰:《夏官》序雲:「候人,上士六人,下士十有二人,史六人,徒百有二十人。」注雲:「候人,迎賓客之來者。」彼天子之官,候人是上士、下士,則諸侯之候人亦應是士。此說賢者為候人,乃身荷戈祋,謂作候人之徒屬,非候人之官長也。天子候人之徒百二十人,諸侯候人之徒數必少於天子。賢者之身,充此徒中之一員耳。其職雲:「候人各掌其方之道治,與其禁令,以設候人。」注雲:「禁令,備奸寇也。以設候人者,選士卒以為之。」引此詩雲:「彼候人兮,何戈與祋。」言以設候人,是其徒亦名為候人也。鄭言選士卒為之,即引此詩,明知此詩所陳,是彼候人之士卒者。若居候人之職,則是官為上士,不宜身荷戈祋,不得刺遠君子。以此知賢者所為,非候人之官長也。其職又雲:「若有方治,則帥而致於朝。及歸,送之於境。」注雲:「方治,其方來治國事者也。《春秋傳》曰『晉欒盈過周,王使候人出諸轘轅。』是其送之也。」官以候迎為名,有四方來者則致之於朝,歸則送之於境,以是知候人是道路送迎賓客者。案《秋官·環人》:「掌送迎邦國之賓客,以路節達諸四方。」又《掌訝》:「掌待賓客。有賓客至,逆於境為前驅而入。及歸,送亦如之。」若候人主送迎賓客,而環人、掌訝又掌送迎賓客者,環人掌執節導引,使門關無禁;掌訝以禮送迎,詔讚進止;候人則荷戈兵防衛奸寇,雖複同是送迎,而職掌不同,故異官也。戈祋須人擔揭,故以荷為揭也。《考工記·廬人》雲:「戈柲六尺有六寸,殳長尋有四尺。」戈、殳俱是短兵,相類故也。且祋字從殳,故知祋為殳也。《說文》雲:「祋,殳也。」本刺遠君子,而舉候人,是作者之意言賢者之官不過候人也。賢者所作候人,乃是候人之士卒,言官者,以賢人宜為大官。今在官任使,唯為候人,故以官言之。○傳「彼彼」至「乘軒」。○正義曰:桓二年《左傳》雲「袞、冕、黻、珽」,則芾是配冕之服。《易·困卦》「九五,困於赤芾」,知用享祀則芾服,祭祀所用也。《士冠禮》「陳服皮弁、素韠、玄端、爵韠」,則韠之所用,不施於祭服矣。《玉藻》說韠之製雲:「下廣二尺,上廣一尺,長三尺,其頸五寸,肩革帶博二寸。」《書傳》更不見芾之別製,明芾之形製亦同於韠,但尊祭服,異其名耳。言「芾,韠」者,以其形製大同,故舉類以曉人。其禮別言之,則祭服謂之芾,他服謂之韠,二者不同也。一命縕芾黝珩,再命赤芾黝珩,三命赤芾蔥珩,皆《玉藻》文。彼注雲:「玄冕爵弁服之韠,尊祭服,異其名耳。韍之言蔽也。縕,赤黃之間色,所謂韍也。珩,珮玉之珩也。黑謂之黝,青謂之蔥。《周禮》公侯伯之卿三命,下大夫再命,上士一命。」然則曹為伯爵大夫再命,是大夫以上皆服赤芾,於法又得乘軒,故連言之。定十三年《左傳》雲:「齊侯斂諸大夫之軒。」哀十五年傳稱衛太子謂渾良夫曰:「苟使我入國,服冕乘軒。」是大夫乘軒也。閔二年傳稱齊桓公遺衛夫人以魚軒。以夫人乘軒,則諸侯亦乘軒,故雲 「大夫以上」也。傳因赤芾,遂言乘軒者,僖十八年《左傳》稱「晉文公入曹,數之以其不用僖負羈,而乘軒者三百人也,且曰獻狀」。杜預雲:「軒,大夫之車也。言其無德而居位者,多故責其功狀。」彼正當共公之時,與此三百文同,故傳因言乘軒,以為共公近小人之狀。
維鵜在梁,不濡其翼。(鵜,洿澤鳥也。梁,水中之梁。鵜在梁,可謂不濡其翼乎?箋雲:鵜在梁,當濡其翼,而不濡者,非其常也。以喻小人在朝亦非其常。○鵜,徒低反。洿音烏,一音火故反。)
彼其之子,不稱其服。(箋雲:不稱者,言德薄而服尊。○稱,尺證反,注同。)
疏「維鵜」至「其服」。○毛以為,維鵜鳥在梁,可謂不濡其翼乎?言必濡其翼。以興小人之在朝,可謂不亂其政乎?言必亂其政。彼其曹朝之子,謂卿大夫等,其人無德,不能稱其尊服,言其終必亂國也。鄭上二句別義,具箋。○傳「鵜洿」至「翼乎」。○正義曰:「鵜,洿澤」,《釋鳥》文。舍人曰:「鵜,一名洿澤。」郭樸曰:「今之鵜鶘也。好群飛,入水食魚,故名洿澤,俗呼之為淘河。」陸機《疏》雲:「鵜,水鳥,形如鶚而極大,喙長尺餘,直而廣,口中正赤,頷下胡大如數升囊。若小澤中有魚,便群共杼水滿其胡而棄之,令水竭盡,魚陸地,乃共食之,故曰淘河。」以鵜是食魚之鳥,故知梁是水中之梁,謂魚梁也。○箋 「鵜在」至「其常」。○正義曰:箋以經言「不濡其翼」,是怪其不濡,故知言非其常,以喻小人在朝亦非其常。
維鵜在梁,不濡其咮。(咮,喙也。○咮,陟救反,徐又都豆反。喙,虛穢反,又尺稅反,又陟角反,鳥口也。)
彼其之子,不遂其媾。(媾,厚也。箋雲:遂猶久也。不久其厚,言終將薄於君也。○媾,古豆反。)
疏傳「媾,厚」。○正義曰:重昏媾者,以情必深厚,故媾為厚也。
薈兮蔚兮,南山朝隮。(薈、蔚,雲興貌。南山,曹南山也。隮,升雲也。箋雲:薈蔚之小雲,朝升於南山,不能為大雨,以喻小人雖見任於君,終不能成其德教。)
婉兮孌兮,季女斯饑。(婉,少貌。孌,好貌。季,人之少子也。女,民之弱者。○箋雲:天無大雨,則歲不熟,而幼弱者饑,猶國之無政令,則下民困病。)
疏「薈兮」至「斯饑」。○正義曰:薈兮蔚兮之小雲,在南山而朝升,不能興為大雨,以興小人在上位而見任,不能成其德教。此接勢為喻,天若無大雨,則歲穀不熟。婉兮而少,孌兮而好,季子少女幼弱者,斯必饑矣。以喻德教不成,國無政令,則其民將困病矣。刺君近小人而病下民也。○傳「薈蔚」至「升雲」。 ○正義曰:言南山朝隮,則有物從山上升也,必是雲矣,故知「薈兮蔚兮」皆是雲興之貌。詩人之作,自歌土風,故雲「南山,曹南山也」。「隮,升」,《釋詁》文。定本及《集注》皆雲「隮,升雲也」。○箋「薈蔚」至「德教」。○正義曰:以經唯言雲興,不言雨降,故知薈蔚雲興者,是小雲之興也。○傳「婉少」至「弱者」。○正義曰:以季女謂少女、幼子,故以婉為少貌,孌為好貌。《齊·甫田》亦雲「婉兮孌兮」,而下句雲「總角丱兮」,丱是幼稚,故傳以婉孌並為少好貌。《野有蔓草》雲「清揚婉兮」,思以為妻,則非複幼稚,故以婉為美貌。《采蘋》雲「有齊季女」,謂大夫之妻,《車舝》雲「思孌季女逝兮」,欲取以配王,皆不得有男在其間,故以季女為少女。此言斯饑,當謂幼者並饑,非獨少女而已,故以季女為人之少子、女子。皆觀經為訓,故不同也。伯仲叔季,則季處其少。女比於男,則男強女弱,不堪久饑,故詩言少女耳。定本雲「季,人之少子。女,民之弱者」。○箋「天無」至「困病」。○正義曰:箋以此經輒言「斯饑」,文無致饑之狀,而上句取不雨為喻,是因不雨為興,故知此言歲穀不熟,則幼弱者饑,國無政令,則民困病。今定本直雲「歲不熟」,無「穀」字。
《候人》四章,章四句。
'◑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53. 하천(下泉, 흘러내려간 샘물) (0) | 2022.08.15 |
---|---|
『시경(詩經)』152. 시구(鳲鳩, 뻐꾸기) (0) | 2022.08.14 |
『시경(詩經)』150. 부유(蜉蝣, 하루살이) (0) | 2022.08.12 |
『시경(詩經)』149. 비풍(匪風, 바람이 아니라) (0) | 2022.08.11 |
『시경(詩經)』148. 습유장초(隰有萇楚, 진펄에 장초나무)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