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준괘(屯卦)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何晏) 등에게 인정받아 젊은 나이에 상서랑(尙書郞)에 등용되었고,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玄學, 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저서는 『주역주(周易注)』와『노자주(老子注)』가 있다.
3. 屯卦(준괘)[卦象:수뢰준]
☵ 坎上
☳ 震下
진[雷.우뢰]이 아래에 있고 감[水.물]이 위에 있다.
屯,元亨利貞。
준[屯]은, [두터워진(屯) 뒤에] 시작해야 형통하고 바로잡아야 이로우며,
【王弼 注】 剛柔始交,是以屯也。不交則否,故屯乃大亨也。大亨則无險,故利貞。
【왕필 주】 강함과 부드러움이 사귀기 시작하니, 이로써 어려움[屯]이다. 사귀지 않으면 막히기 때문에 준(屯)은 이에 크게 형통한다. 크게 형통하면 험함이 없기 때문에 이롭고 곧음이다.
勿用有攸往,
[小人은] 다스릴[攸]데가 있어도 가지 말고
【왕필 주】 가면 어려움을 더한다.
利建侯。
[君子는] 제후를 세워야 이롭다.
【王弼 注】 往益屯也。
【王弼 注】 得主則定。
【왕필 주】 주인을 얻으면 안정된다.
《彖》曰:屯,剛柔始交而難生,動乎險中,大亨貞。
《단전》에서 말하였다 : 준은, 굳셈과 유순함이 처음 사귀어서 어렵게 생겨나고, 험한 가운데 움직이는 것이니, 곧아야 크게 통한다.
【王弼 注】 始於險難,至於大亨,而後全正,故曰「屯,元亨利貞」。
【왕필 주】 험하고 어려움을 시작하니 크게 형통함에 이르른 이후에 온전히 바르기 때문에 말하기를 "준(屯)은 크고 형통하며 이롭고 곧음이다."라고 하였다.
雷雨之動滿盈,
우레와 비의 움직임이 가득 차고,
【王弼 注】 雷雨之動,乃得滿盈,皆剛柔始交之所為。
【왕필 주】 우뢰와 비가 움직여서 이에 가득 참은, 모두 강함과 부드러움이 사귀기 시작하여 [가득차게] 하는 바이다.
天造草昧, 宜建侯而不寧。
하늘이 어지럽고 어두움을 창조하니 마땅히 제후를 세워도 편안하지 못하다.
【王弼 注】 屯體不寧,故利建侯也。屯者,天地造始之時也,造物之始,始於冥昧,故曰草昧也。處造始之時,所宜之善,莫善建侯也。
【왕필 주】준(屯)의 몸이 평안하지 않기 때문에 제후를 세움이 이롭다. 준(屯)이라는 것은, 하늘과 땅을 창조하기 시작하는 때인데, 만물을 창조하는 시작은 아득한 어두움에서 시작이기 때문에 말하기를 "풀처럼 어두움[草昧]"이라고 하였다. 창조를 시작하는 때에 처하여, 선함이 마땅한 바이니 제후를 세움보다 좋음이 없다.
《象》曰:雲雷屯,君子以經綸。
《상전》에서 말했다:구름과 우레가 준이니, 군자가 그로서 경륜한다.
【王弼 注】 君子經綸之時。
【왕필 주】 군자가 경륜을 하는 때이다.
初九,磐桓,利居貞,利建侯。
초구(初九)는 주저함이니, 곧음에 머물러 있어야 이롭고 제후를 세움이 이롭다.
【王弼 注】 處屯之初,動則難生,不可以進,故磐桓也。處此時也,其利安在?不唯居貞建侯乎?夫息亂以靜,守靜以侯,安民在正,弘正在謙。屯難之世,陰求於陽,弱求於強,民思其主之時也。初處其首而又下焉。爻備斯義,宜其得民也。
【왕필 주】준(屯)의 초(初)효에 처하고 움직이면 어려움이 생겨 나아갈 수 없기 때문에 머뭇거린다. 이 때에 처하여, 그 이로움은 편안함에 있으니 오직 제후(諸侯)를 세워서 곧음에 거주하지 않겠는가? 고요함으로써 그 어려움을 그치게 하고 제후로써 고요함을 지키며, 백성의 편안함은 바름에 있고 넓은 바름은 겸손함에 있다.
어려운 혼란한 세상에는, 음(陰)이 양(陽)을 구하고 약함이 강함을 구하며, 백성이 그 군주를 그리워하는 때이다. 초(初)효가 그 첫머리에 처하고 또 아래에 있으며, 효(爻)가 이 뜻을 갖추었으니, 마땅히 그 백성을 얻는다.
《象》曰:雖磐桓,志行正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비록 주저하더라도 뜻을 행함은 바르다.
【王弼 注】 不可以進,故磐桓也;非為宴安,棄成務也。故「雖磐桓,志行正」也。
【왕필 주】 나아 갈 수 없기 때문에 머뭇거리고, 잔치가 편안하지만 이루는 업무를 버리려고 함은 아니다. 그러므로 "비록 머뭇거리더라도 뜻을 바르게 행함"이다.
以貴下賤,大得民也。
귀함으로서 천함에 아래하니 크게 백성을 얻는다.
【王弼 注】 陽貴而陰賤也。
【왕필 주】 양(陽)은 귀하고 음(陰)은 천함이다.
六二,屯如邅如,乘馬班如。匪寇婚媾,女子貞不字,十年乃字。
육이(六二)는 어려운 듯이 머뭇거리는 듯이 말을 탔다가 내려오는 듯 한다. 도적이 아니고 혼인을 청하는데, 여자가 곧아서 혼인을 않하다가 십년이 되어서야 혼잉한다.
【王弼 注】 志在乎五,不從於初。屯難之時,正道未行,與初相近而不相得,困於侵害,故屯邅也。時方屯難,正道未通,涉遠而行,難可以進,故曰乘馬班如也。寇謂初也。无初之難,則與五婚矣,故曰「匪寇婚媾」也。志在於五,不從於初,故曰女子貞不字也。屯難之世,勢不過十年者也。十年則反常,反常則本志斯獲矣。故曰十年乃字。
【왕필 주】 뜻이 오(五)효에 있고 초(初)효를 따르지 않는다. 준(屯)은 어려운 때이고 바른 도가 행해지지 않으며 더블어 초(初)효와 서로 가까우면서 서로 얻지 못하며 침해에 곤궁하기 때문에 어려워 머뭇거림이다. 바야흐로 준(屯)의 어려운 때인데 바른 도가 통하지 않고 멀리 건너서 가며 어렵지만 나아갈 수 있기 때문에 말하기를 "말을 타고 맴돈다."라고 말했다. 도적은 초구(初九)를 가리킨다.
[육이(六二)가] 초구(初九)의 어려움이 없다면 구5(九五)와 혼인한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도적이 아니고 혼인을 청한다"라고 하였다. 뜻이 구5(九五)에 있고 초효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말하기를 "여자가 곧아서 혼인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준(屯)은 어려운 세상이 10년이 지나가지 않은 형세라는 것이다. 10년이면 떳떳함으로 돌아오고 떳떳함으로 돌아오면 근본 뜻이 이를 얻음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10년이면 이에 혼인한다"라고 하였다.
《象》曰:六二之難,乘剛也。十年乃字,反常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육이(六二)의 어려움은 굳셈을 올라타고 있기 때문이다. 십년이 되어서야 결혼함은 상도로 돌아옴이다.
六三,即鹿无虞,惟入于林中,君子幾不如舍。往吝!
육삼(六三)은 사슴을 추적하는데 길잡이가 없어서 오직 산림 속에 들어간다. 군자는 기미를 [차라리] 버리는 것만 못하니, 가면 부끄럽게 된다.
【王弼 注】 三既近五,而无寇難。四雖比五,其志在初,不妨已路,可以進而无屯邅也。見路之易,不揆其志,五應在二,往必不納,何異无虞以從禽乎?雖見其禽而无其虞,徒入于林中,其可獲乎?幾,辭也。夫君子之動,豈取恨辱哉!故不如舍。往吝,窮也。
【왕필 주】 육3(六三)은 이미 구5(九五)에 가까워서 도적의 어려움은 없고, 육4(六四)가 비록 구5(九五)에 맞닿았지만 뜻이 초구(初九)에 있어서 자기의 길을 방해하지 아니하여, 나아갈 수 있어서 어려움이나 머뭇거림은 없다. 길의 쉬움만 보고 그[六四]의 뜻을 헤아리지 않으면, 구5(九五)의 응(應)함이 육2(六二)에 있어서 [九五에] 가더라도 반드시 받아들이지 않는데, 어찌 우관(虞官)이 없는데도 짐승을 좇음과 다르겠는가? 비록 짐승을 보아도 우관(虞官)이 없는데 무리[六二와 六三]가 숲속으로 들어가면, 잡을 수 있겠는가? ‘기(幾)’는 어조사이다. 대저 군자의 움직임이 어찌 원한과 치욕을 취하겠는가! 그러므로 그만두는 것만 못하며, 가면 부끄럽고 곤궁함이다.
《象》曰,既鹿无虞,以從禽也。君子舍之,往吝窮也。
《상전》에서 말하였다:사슴을 추적하면서 길잡이가 없는데 그로서 짐승을 쫓아갔다. 군자가 버리고 떠나감은 추적하여 가면 부끄럽고 곤궁하게 된다.
六四,乘馬班如。求婚媾,往吉,无不利。
육사(六四)는 말을 탔다가 내려오는 듯이 한다. 혼인을 청하려고 찾아서 가면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二雖比初,執貞不從,不害己志者也。求與合好,往必見納矣。故曰「往吉,无不利」。
【왕필 주】육2(六二)가 비록 초구(初九)와 가깝지만 곧음을 고집하며 따르지 않으니 자기[六四] 뜻을 해치지 않는 자이다. 더블어 합하기 좋음을 구하여 가면 반드시 받아들여 보게된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가면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했다.
《象》曰:求而往,明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찾아서 감”은 밝힘이다.
【王弼 注】 見彼之情狀也。
【왕필 주】 저쪽의 마음 상태를 본 것이다.
九五,屯其膏,小貞吉,大貞凶。
구오(九五)는 기름지[은택]기는 어려우니, 조금 곧아야 길하고 크게 곧으면 흉하다.
【王弼 注】 處屯難之時,居尊位之上,不能恢弘博施,无物不與,拯濟微滯,亨于群小,而繫應在二,屯難其膏,非能光其施者也。固志同好,不容他間,小貞之吉,大貞之凶。
【왕필 주】 어렵고 혼란한 때에 처하고 높은 지위의 위에 거주하며, 크고 널리 베풂을 잘하고 만물에 함께하지 않음이 없으며 미약하고 침체함을 건져 구제하며 여러 작은 것에도 형통하지 못하였으니, 묶여서 응(應)함이 육2(六二)에 있지만 그 기름지기[은택]를 매우 어렵게 하니, 그 베풂이 잘 빛나지 않는 것이다. 뜻을 굳게 하고 함께 좋아하여 다른 이를 사이에 용납하지 않으니, 조금 곧게 함은 길하고 크게 곧게 함은 흉하다.
《象》曰:屯其膏,施未光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은택을 베풀기 어려움”은 베풂이 아직 빛나지 않음이다.
上六,乘馬班如,泣血漣如。
상육(上六)은 말을 탔다가 내리는 듯이 하고, 피눈물을 줄줄 흐르는 듯 한다.
【王弼 注】 處險難之極,下无應援,進无所適,雖比於五,五屯其膏,不與相得,居不獲安,行无所適,窮困闉厄,无所委仰,故泣血漣如。
【왕필 주】 험한 혼란의 꼭대기에 처하고 아래에 지원하는 응(應)함이 없으며 나아가 맞을 곳도 없다. 비록 구5(九五)에 가까이 있지만 구5(九五)가 은택을 어렵게 하여 서로 더블어 얻지 못하고 거주함이 편안함을 얻지 못하며 가더라도 맞을 곳이 없고 곤궁한 재액을 우러러 맏길 곳이 없기 때문에 피눈물이 줄줄 흐르는 듯 함이다.
《象》曰:泣血漣如,何可長也。
《상전》에서 말하였다: “피눈물을 줄줄 흘림”을 어떻게 오래도록 할 수 있겠는가!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왕필 주역주/6. 송괘(訟卦)[卦象:천수송] (0) | 2022.05.27 |
---|---|
▣ 왕필 주역주/5. 수괘(需卦)[卦象:수천수] (0) | 2022.05.26 |
▣ 왕필 주역주 /4. 蒙卦 (몽괘)[卦象:산수몽] (0) | 2022.05.25 |
▣ 왕필 주역주(周易注)/2. 坤卦(곤괘)[卦象:중지곤] (0) | 2022.05.23 |
▣ 왕필 주역주(王弼 周易注)/1. 건괘(乾卦)[卦象:중천건]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