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11 진풍(秦風)

 

132. 신풍(晨風, 새매)

 

歍彼晨風鬱彼北林

(율피신풍 울피북림)

새매가 쏜살같이 날아가고 저 북녘 숲은 울창한데

未見君子憂心欽欽

(미견군자 우심흠흠)

내님이 보이지 않아서 근심하는 마음 한이 없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山有苞櫟隰有六駁

(산유포력 습유육박)

산에 상수리나무 꽃피고 펄에 육박나무 빽빽한데

未見君子憂心靡樂

(미견군자 우심미락)

내님이 보이지 않아 근심하는 마음 즐겁지 않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山有苞棣隰有樹檖

(산유포체 습유수수)

산에 아가위나무 꽃피고 펄에 팥배나무 빽빽한데

未見君子憂心如醉

(미견군자 우심여취)

내님이 보이지 않아 근심하는 마음 취한 듯하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晨風三章章六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晨風》,刺康公也忘穆公之業始棄其賢臣焉

모시 서<신풍(晨風)>은 강공(康公)을 풍자한 시()이다. 목공(穆公)의 왕업[]을 잊어버리고 어진 신하를 버리기 시작해서이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歍彼晨風鬱彼北林

(율피신풍 울피북림)

새매가 쏜살같이 날아가고 저 북녘 숲은 울창한데

毛亨 興也疾飛貌晨風鸇也積也北林林名也先君招賢人賢人往之駛疾如晨風之飛入北林

모형 전일으킴[]이다. (, 빨리 날 율), 빨리 날아가는 모양이다. 신풍(晨風)은 송골매이다. (, 울창할 울), 쌓임이다. 북림(北林), 숲의 이름이다. 선군(先君)이 현명한 사람을 부르면 현명한 사람이 가는데 송골매가 날아가는 것 같이 빨리 달려서 북쪽 숲으로 들어감이다.

未見君子憂心欽欽

(미견군자 우심흠흠)

내님이 보이지 않아서 근심하는 마음 한이 없네

毛亨 思望之心中欽欽然

모형 전마음속에 매우 공경하는 것처럼 바라는 생각이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毛亨 今則忘之矣

모형 전이제는 잊어 버렸음이다.

 

山有苞櫟隰有六駁

(산유포력 습유육박)

산에 상수리나무 꽃피고 펄에 육박나무 빽빽한데

毛亨 木也駮如馬倨牙食虎豹

모형 전(, 상수리나무 력)은 나무이다. (, 얼룩말 박)은 말과 같은데, 어금니가 굽었으며 범과 표범을 잡아 먹는다.

未見君子憂心靡樂

(미견군자 우심미락)

내님이 보이지 않아 근심하는 마음 즐겁지 않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山有苞棣隰有樹檖

(산유포체 습유수수)

산에 아가위나무 꽃피고 펄에 팥배나무 빽빽한데

毛亨 唐棣也赤羅也

모형 전(, 산앵두나무 체)는 산 앵두이다. (, 돌배나무 수), 돌배[赤羅]이다.

未見君子憂心如醉

(미견군자 우심여취)

내님이 보이지 않아 근심하는 마음 취한 듯하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歍彼晨風鬱彼北林

(율피신풍 울피북림)

새매가 쏜살같이 날아가고 저 북녘 숲은 울창한데

鄭玄 箋雲先君謂穆公

정현 전()에 이르기를 선군(先君)은 목공(穆公)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未見君子憂心欽欽

(미견군자 우심흠흠)

내님이 보이지 않아서 근심하는 마음 한이 없네

鄭玄 箋雲言穆公始未見賢者之時思望而憂之

정현 전()에 이르기를 목공(穆公)이 현자의 시절을 아직 보지 못해서 생각하고 바라면서 근심을 함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鄭玄 箋雲此以穆公之意責康公如何如何乎女忘我之事實多

정현 전()에 이르기를 이는 목공(穆公)의 뜻으로써 강공(康公)이 어찌할까 어찌할까?라고 책망함이다.라고 하였다.

 

山有苞櫟隰有六駁

(산유포력 습유육박)

산에 상수리나무 꽃피고 펄에 육박나무 빽빽한데

鄭玄 箋雲山之櫟隰之駮皆其所宜有也以言賢者亦國家所宜有之

정현 전()에 이르기를 산의 상수리나무와 습지의 육박나무가 모두 그 마땅히 있을 곳이다. 그로써 현자(賢者) 또한 나라와 집안에 마땅히 있어야 할 바임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未見君子憂心靡樂

(미견군자 우심미락)

내님이 보이지 않아 근심하는 마음 즐겁지 않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樂音洛

音義(, 즐거울 락), 음이 락(, 물 이름 락)이다

 

山有苞棣隰有樹檖

(산유포체 습유수수)

산에 아가위나무 꽃피고 펄에 팥배나무 빽빽한데

棣音悌檖音遂或作遂

音義(, 산앵두나무 체), 음이 제(, 공손할 제)이다

 

未見君子憂心如醉

(미견군자 우심여취)

내님이 보이지 않아 근심하는 마음 취한 듯하네

如何如何忘我實多

(여하여하 망아실다)

어찌하여 어찌하여 이렇게 오래도록 날 잊으셨나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毛亨鄭玄. ()나라, 孔穎達

()나라 모형(毛亨)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晨風》,刺康公也忘穆公之業始棄其賢臣焉

 

鴥彼晨風鬱彼北林興也疾飛貌晨風鸇也積也北林林名也先君招賢人賢人往之駛疾如晨風之飛入北林箋雲先君謂穆公。 ○說又作」,尹橘反疾飛貌」,《字林於叔反字又作<>」,之然反。《草木疏:「似鷂青色。」《說文止仙反,《字林屍先反所吏反。)

未見君子憂心欽欽思望之心中欽欽然箋雲言穆公始未見賢者之時思望而憂之。)

如何如何忘我實多今則忘之矣箋雲此以穆公之意責康公如何如何乎女忘我之事實多。)

 

鴥疾實多」。○正義曰鴥然而疾飛者彼晨風之鳥也鬱積而茂盛者彼北林之木也北林由鬱茂之故故晨風飛疾而入之以興疾歸於秦朝者是彼賢人能招者是彼穆公穆公由能招賢之故故賢者疾往而歸之太穆公招賢人之時如何乎穆公未見君子之時思望之其憂在心欽欽然唯恐不見故賢者樂往今康公乃棄其賢臣故以穆公之意責之雲汝康公如何乎忘我之功業實大多也。○鴥疾北林」。○正義曰鴥者鳥飛之狀故為疾貌。 「晨風」,《釋鳥舍人曰:「晨風一名鸇摯鳥也。」郭璞曰:「鷂屬。」陸機:「鸇似鷂青黃色燕頷勾喙向風搖翅乃因風飛急疾擊鳩鴿燕雀食之。」鬱者林木積聚之貌故雲:「積也。」北林者據作者所見有此林也以下句說思賢之狀故此喻賢人從穆公也

 

山有苞櫟隰有六駮木也駮如馬倨牙食虎豹箋雲山之櫟隰之駮皆其所宜有也以言賢者亦國家所宜有之。○盧狄反邦角反獸名。《草木疏:「駮馬木名梓榆也。」倨音據。)

 

疏傳櫟木虎豹」。○正義曰:《釋木:「其實梂。」孫炎曰:「櫟實橡也有梂彙自裹也。」陸機:「秦人謂柞櫟為櫟河內人謂木蓼為櫟椒榝之屬也其子房生為梂木蓼子亦房生故說者或曰柞櫟或曰木蓼機以為此秦詩也宜從其方土之言柞櫟是也。」《釋畜:「駮如馬倨牙食虎豹。」郭璞引山海經:「有獸名駮如白馬黑尾倨牙音如鼓食虎豹。」然則此獸名駮而已言六駮者王肅雲:「言六據所見而言也。」倨牙者蓋謂其牙倨曲也言山有木隰有獸喻國君宜有賢也陸機:「駮馬梓榆也其樹皮青白駮犖遙視似駮馬故謂之駮馬下章雲山有苞棣隰有樹檖』,皆山隰之木相配不宜雲獸。」此言非無理也但箋傳不然

 

未見君子憂心靡樂

如何如何忘我實多(○樂音洛。)

 

山有苞棣隰有樹檖唐棣也赤羅也。○棣音悌檖音遂或作遂。)

 

疏傳棣唐赤羅」。○正義曰:《釋木有唐棣常棣傳必以為唐棣未詳聞也。《釋木:「赤羅。」郭璞雲:「今揚檖也實似梨而小酢可食。」陸機:「檖一名赤羅一名山梨今人謂之楊檖實如梨但小耳一名鹿梨一名鼠梨今人亦種之極有脆美者亦如梨之美者。」

 

未見君子憂心如醉

如何如何忘我實多

 

晨風三章章六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