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47. 곤괘(困卦)[卦象:택수곤]
☱ 兌上
☵ 坎下
감(坎)[水.물]이 아래에 있고, 태(兌)[澤.못]가 위에 있다.
【卦辭(괘사)】 문왕作
困,亨。貞,大人吉,无咎。有言不信。
곤(困)은 형통하고 곧으니, 대인이라서 길하고 허물이 없으니, 말을 해도 믿지 않는다.
《彖》曰:困,剛揜也。險以說困而不失其所亨。其唯君子乎!貞大人吉,以剛中也。有言不信,尚口乃窮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곤괘는 굳셈이 가려진 것이니, 험함으로 괴로움이 설득되면서 그 형통한 바를 잃지 않으니, 오직 군자일 것이다. 곧은 대인이니 길하고 굳셈으로서 가운데함이다, 말을 해도 믿지 않음은 입을 숭상하니 이에 궁함이다.
《象》曰:澤无水,困,君子以致命遂志。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못에 물이 없는 것이 곤괘이니, 군자가 그로서 목숨을 바쳐서 뜻을 이룬다.
【爻辭(효사)】 주공作
初六,臀困于株木,入于幽谷,三歲不覿。
초육(初六)은 엉덩이가 나무 등걸에 괴롭다. 어두운 골짜기로 들어가 삼년을 지나도 만나보지 못한다.
《象》曰:入于幽谷,幽不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어두운 골짜기로 들어감”은 어두워 밝지 않음이다.
九二,困于酒食,朱紱方來,利用亨祀。征凶, 无咎。
구이(九二)는 술과 밥에 괴로운데 붉은 인끈[天子]이 바야흐로 내려오니 제사를 누리게 해야 이롭고, 바로잡으면 흉하지만 허물은 없다.
※ 朱紱(주불) : 왕이 입는 제복(祭服)의 무릎 덮개[폐슬(蔽膝)]이다.
《象》曰:困于酒食,中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술과 밥에 괴로움”은 가운데에 경사가 있음이다.
六三,困于石,據于蒺蔾。入于其宮,不見其妻。凶!
육삼(六三)은 돌에 괴롭고 남가새 가시풀에 근거하니, 그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보지 못하니 흉하다.
《象》曰:據于蒺蔾,乘剛也。入于其宮,不見其妻,不祥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남가새 가시풀에 근거함”은 굳셈을 타고 있음이다. “그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보지 못함”은 상서롭지 못함이다.
九四,來徐徐,困于金車,吝,有終。
구사(九四)가 아주 천천히 옴은 쇠 수레에 괴로우니, 부끄럽지만 마침은 있다.
《象》曰:來徐徐,志在下也,雖不當也,有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느리게 옴”은 뜻이 아래에 있기 때문이니, 비록 자리가 마땅하지 않으나 함께 하는 이가 있다.
九五,劓刖,困于赤紱,乃徐有說,利用祭祀。
구오(九五)는 코를 베이고 발을 베이며 붉은 인끈에 괴로우니 이에 천천히 설득됨이 있다, 제사를 지내야 이롭다.
《象》曰:劓刖,志未得也。乃徐有說,以中直也。利用祭祀,受福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구오가 코를 베이고 발을 베임”은 뜻을 아직 얻지 못했음이다. “이에 천천히 설득됨이 있음”은 가운데로서 곧음이다. “제사를 지냄이 이로움”은 복을 받기 때문이다.
上六,困于葛藟,于臲卼,曰動悔有悔,征吉。
상육(上六)은 칡넝쿨과 위태로움에 괴로우니, 말하기를 뉘우치고 움직여도 후회가 있지만 바로잡으면 길하다.
《象》曰:困于葛藟,未當也。動悔有悔,吉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칡넝쿨에 괴로움”은 아직 마땅하지 않음이다. “뉘우치고 움직여도 후회가 있다.”함은 행하면 길함이다.
※ (臀)볼기 둔, (覿)볼 적, (據)근거 거, (蒺)남가새 질, (蔾)남가새 리, (劓)코 벨 의, (刖)벨 월, (葛)칡 갈, (藟)등나무 덩굴 류, (臲)위태할 얼, (卼)위태할 올,
▣ 【序卦傳(서괘전)】 공자作
升而不已必困, 故受之以困.
올라가서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곤궁하기 때문에 곤괘(困卦)로 받는다.
'■ 주역(周易) > 1.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49. 혁괘(革卦)[卦象:택화혁] (0) | 2022.02.18 |
---|---|
『주역(周易)』48. 정괘(井卦)[卦象:수풍정] (0) | 2022.02.17 |
『주역(周易)』46. 승괘(升卦)[卦象:지풍승] (0) | 2022.02.14 |
『주역(周易)』45. 췌괘(萃卦)[卦象:택지췌] (0) | 2022.02.11 |
『주역(周易)』44. 구괘(姤卦)[卦象:천풍구]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