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卷​ 5 - 3

5-3) 子謂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子賤: "君子哉!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자위자천: "군자재!약인, 노무군자자, 사언취사?")

공자께서 자천(子賤)을 평(評)하시기를 “군자로다! 만약 사람들이, 노(魯)나라에 군자가 없었다면 어디에서 이들이 이것[德]을 취했겠는가?”라고 하셨다.

 

《논어집해(論語集解)》

『논어집해(論語集解)』는 중국 위(魏)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였던 하안(何晏, 193 ~ 249)이 당시까지 전해지던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대한 주석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논어집해(論語集解)』에는 공안국(孔安國, BC156?~BC74), 정현(鄭玄, 127~200), 마융(馬融, 79~166), 왕숙(王肅, 195~256), 포함(包咸, BC6~65), 주생렬(周生烈, ?~220) 등의 주석이 실려있으며, 하안(何晏)의 견해 역시 수록되어 있다.

【集解】 子謂子賤,(孔曰:「子賤,魯人,弟子宓不齊。」 ◎공안국이 말하였다:“자천(子賤)”은 노(魯)나라 사람이고, 제자인 복부제(宓不齊)이다.)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包曰:「若人者,若此人也。如魯無君子,子賤 安得此行而學行之?」 ◎포함이 말하였다:“약인(若人)”이란 것은, 만약 이 사람이다. 만약 노(魯)나라에 군자가 없다면, 자천(子賤)이 어디에서 이러한 덕행(德行)을 얻어서 배움을 행하겠는가?)

 
 

《논어주소(論語註疏)》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하안(何晏, 193~249 魏)이 주(註)를 달아 논어집해(論語集解)를 지었으며, 북송(北宋)의 형병(邢昺, 932~1010)이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소(疏)를 붙여서 논어주소(論語註疏)를 지었다.

 

○【註疏】 “子謂子賤”至“取斯”。

○ 【註疏】 <경문(經文)의> "[자위자천(子謂子賤)]에서 [취사(取斯)]까지"

○正義曰:此章論子賤之德也。

○ 正義曰: 이 장(章)은 자천(子賤)의 덕(德)을 논한 것이다.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者,此評論之辭也。

<경문(經文)에서> "군자로다!만약 사람들이, 노(魯)나라에 군자가 없었다면 어디에서 이들이 덕(德)을 취했겠는가?[君子哉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라는 것은, 이것은 <자천을> 평론한 말이다.

因美魯多君子,故曰:“有君子之德哉,若此人也!魯國若更無君子者,斯子賤安得取斯君子之德行而學行之乎?”明魯多君子,故子賤得學為君子也。

인(因)하여 노(魯)나라에 군자가 많음을 찬미했기 때문에 말하기를 “군자의 덕(德)이 있도다, 이 사람이여! 노(魯)나라는 '나라에 만약 군자가 다시 없었다면'라는 것은, 이 자천(子賤)이 어디에서 이러한 군자의 덕행을 취하여 배워서 행할 수 있었겠는가.”라고 했는데, 노(魯)나라에 군자가 많기 때문에 자천이 배워서 군자가 될 수 있었음을 밝힌 것이다.

○注“孔曰”至“不齊”。

○ 【집해(集解)】 주(注)의 “[자왈(孔曰)]에서 [부제(不齊)]까지"

○正義曰:案《家語·弟子篇》云:“宓不齊,魯人,字子賤,少孔子四十九歲。

○正義曰: 상고해보니 《공자가어(孔子家語)》 〈제자편(弟子篇)〉에 이르기를 “복부재(宓不齊)는 노(魯)나라 사람으로 자가 자천(子賤)이며, 공자보다 49세가 적다.

為單父宰,有才知,仁愛百姓,不忍欺之,故孔子大之也。”

단부(單父)의 읍재(邑宰)가 되었고 재주와 지혜가 있었으며,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여 차마 속이지 않았기 때문에 공자께서 훌륭하게 여기셨다.”라고 하였다.

【 논어(論語) 원문 】

『論語』 《公冶長》 卷​ 5 - 3

○ 子謂子賤: "君子哉!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논어집해(論語集解)》

子謂子賤,(孔曰:「子賤,魯人,弟子宓不齊。」)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包曰:「若人者,若此人也。如魯無君子,子賤 安得此行而學行之?」)

《논어주소(論語註疏)》

疏 “子謂子賤”至“取斯”。

○正義曰:此章論子賤之德也。

“君子哉若人!魯無君子者,斯焉取斯”者,此評論之辭也。

因美魯多君子,故曰:“有君子之德哉,若此人也!魯國若更無君子者,斯子賤安得取斯君子之德行而學行之乎?”明魯多君子,故子賤得學為君子也。

○注“孔曰”至“不齊”。

○正義曰:案《家語·弟子篇》云:“宓不齊,魯人,字子賤,少孔子四十九歲。

為單父宰,有才知,仁愛百姓,不忍欺之,故孔子大之也。”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