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 이인(里仁) 卷 4 - 11
4-11)子曰: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
(자왈: "군자회덕, 소인회토; 군자회형, 소인회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덕을 품지만 소인은 땅을 품으며, 군자는 형법을 품지만 소인은 은혜를 품는다.”
《논어집해(論語集解)》
【集解】子曰:「君子懷德,(孔曰:「懷,安也。」 ◎공안국이 말하였다:“회(懷: 품을 회)”는 편안함이다.)小人懷土,(孔曰:「重遷。」 ◎공안국이 말하였다:옮기기를 무겁게 함이다.) 君子懷刑,(孔曰:「安於法。」 ◎공안국이 말하였다:법(法)에 편안함이다.)小人懷惠。」(包曰:「惠,恩惠。」 ◎포함이 말하였다:“혜(惠: 은혜 혜)”는 은혜(恩惠)이다.)
《논어주소(論語註疏)》
공자(孔子, B.C.551~B.C.479)가 지은 논어(論語)에 하안(何晏, 193~249 魏)이 주(註)를 달아 논어집해(論語集解)를 지었으며, 북송(北宋)의 형병(邢昺, 932~1010)이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소(疏)를 붙여서 논어주소(論語註疏)를 지었다.
○【註疏】 <경문(經文)의> "[자왈(子曰)]에서 [회혜(懷惠)]까지"
○正義曰:此章言君子小人所安不同也。
○正義曰:이 장(章)은 군자(君子)와 소인(小人)은 편안한 바가 같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君子懷德,小人懷土”者,懷,安也。
<경문(經文)에서> "군자는 덕을 품지만 소인은 땅을 품으며[君子懷德 小人懷土]"라는 것의, 회(懷: 품을 회)는 편안함이다.
君子執德不移,是安於德也。小人安安而不能遷者,難於遷徙,是安於土也。
군자는 덕을 잡고 옮기지 않으니, 이는 덕에 편안함이고, 소인은 편안함에 안주하면서 옮기려고 하지 않는 자이므로 옮기는 이사(移徙)를 어려워하니, 이것이 땅[土≒故鄕]에 편안한 것이다.
“君子懷刑,小人懷惠”者,刑,法製;惠,恩惠也。
<경문(經文)에서> "군자는 형법을 품지만 소인은 은혜를 품는다[君子懷刑 小人懷惠]"라는 것의, 형(刑: 형벌 형)은 법제(法制)이고, 혜(惠: 은혜 혜)는 은혜(恩惠)이다.
君子樂於法製齊民,是懷刑也。小人唯利是親,安於恩惠,是懷惠也。
군자(君子)는 법과 제도에 즐거워하며 백성을 다스리니 이는 형법을 편안히 여김이고, 소인(小人)은 오직 이익만 바로 친하며 은혜에 편안하니 이것이 은혜를 품은 것이다.
'◑논어注疏[刑昺]'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13 (0) | 2024.08.12 |
---|---|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12 (0) | 2024.08.10 |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10 (0) | 2024.08.06 |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9 (0) | 2024.08.04 |
◎ 『논어주소(論語註疏)』 이인(里仁) 卷 4 - 8 (0)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