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11 진풍(陳風)≫
136. 완구(宛丘, 완구 언덕)
子之湯兮、宛丘之上兮。
(자지탕혜 완구지상혜)
그대가 방탕하게 완구의 위에서 노는데
洵有情兮、而無望兮。
(순유정혜 이무망혜)
참으로 마음에 있어도 바라는 건 없다네
坎其擊鼓、宛丘之下。
(감기격고 완구지하)
둥둥 북을 치면서 완구 아래에서 노는데
無冬無夏、值其鷺羽。
(무동무하 치기로우)
겨울 여름 없이 백로깃 부채 들고 춤추네
坎其擊缶、宛丘之道。
(감기격부 완구지도)
둥둥 질장구 치면서 완구 길에서 노는데
無冬無夏、值其鷺翿。
(무동무하 치기로도)
겨울 여름 없이 백로깃 일산 들고 춤추네
《宛丘》三章,章四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宛丘》,刺幽公也。淫荒昏亂,遊蕩無度焉。
【모시 서】 <완구(宛丘)>는 유공(幽公)을 풍자한 시(詩)이다. 음란하고 거칠며 혼란하여 방탕하게 놀며 법도가 없었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子之湯兮、宛丘之上兮。
(자지탕혜 완구지상혜)
그대가 방탕하게 완구의 위에서 노는데
【毛亨 傳】 子,大夫也。湯,蕩也。四方高,中央下,曰宛丘。
【모형 전】 자(子)는 대부이다. 탕(湯, 끓일 탕)은 방탕함이다. 사방이 높고 중앙이 낮음을 완구(宛丘)라고 말한다.
洵有情兮、而無望兮。
(순유정혜 이무망혜)
참으로 마음에 있어도 바라는 건 없다네
【毛亨 傳】 洵,信也。
【모형 전】 순(洵, 참으로 순)은 믿음이다.
坎其擊鼓、宛丘之下。
(감기격고 완구지하)
둥둥 북을 치면서 완구 아래에서 노는데
【毛亨 傳】 坎坎,擊鼓聲。
【모형 전】 감감(坎坎)은, 북을 두드리는 소리이다.
無冬無夏、值其鷺羽。
(무동무하 치기로우)
겨울 여름 없이 백로깃 부채 들고 춤추네
【毛亨 傳】 值,持也。鷺鳥之羽,可以為翳。
【모형 전】 치(值, 값 치)는 잡음이다. 백로의 새의 깃은 깃 일산으로 할 수가 있다.
坎其擊缶、宛丘之道。
(감기격부 완구지도)
둥둥 질장구 치면서 완구 길에서 노는데
【毛亨 傳】 盎謂之缶。
【모형 전】 앙(盎, 동이 앙)을 말하기를 질장구라고 한다.
無冬無夏、值其鷺翿。
(무동무하 치기로도)
겨울 여름 없이 백로깃 일산 들고 춤추네
【毛亨 傳】 翿,翳也。
【모형 전】 도(翿,깃 일산 도)는 깃 일산이다.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子之湯兮、宛丘之上兮。
(자지탕혜 완구지상혜)
그대가 방탕하게 완구의 위에서 노는데
【鄭玄 箋】 箋雲:子者,斥幽公也,遊蕩無所不為。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자(子)라는 것은, 유공(幽公)을 배척함인데 방탕하게 놀며 하지 못하는 바가 없음이다.”라고 하였다.
洵有情兮、而無望兮。
(순유정혜 이무망혜)
참으로 마음에 있어도 바라는 건 없다네
【鄭玄 箋】 箋雲:此君信有淫荒之情,其威儀無可觀望而則傚。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이는 군주가 진실로 음란하고 거칠게 하는 마음[情]이 있어서 그 위엄있는 거동이 바라볼 수 있는 본받을 법칙이 없음이다.”라고 하였다.
坎其擊鼓、宛丘之下。
(감기격고 완구지하)
둥둥 북을 치면서 완구 아래에서 노는데
○坎,苦感反。
【音義】 ○감(坎, 구덩이 감)은, 고와 감의 반절음이다。
無冬無夏、值其鷺羽。
(무동무하 치기로우)
겨울 여름 없이 백로깃 부채 들고 춤추네
【鄭玄 箋】 箋雲:翳,舞者所持以指麾。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예(翳, 깃 일산 예)는 춤추는 자가 [일산을] 잡은 바로써 지휘(指揮)를 함이다.”라고 하였다.
坎其擊缶、宛丘之道。
(감기격부 완구지도)
둥둥 질장구 치면서 완구 길에서 노는데
○缶,方有反。盎,本亦作「{央瓦}」,烏浪反。
【音義】 ○부(缶, 장군 부)는, 방과 유의 반절음이다。앙(盎, 동이 앙)은, 본래 또한 {央瓦}으로 쓰였으며, 오와 랑의 반절음이다。
無冬無夏、值其鷺翿。
(무동무하 치기로도)
겨울 여름 없이 백로깃 일산 들고 춤추네
○翿音導,又音陶。
【音義】 ○도(翿, 깃 일산 도)의 음은 도(導)이며, 또 음이 도(陶)이다。
《모시정의(毛詩正義)》
ㅡ 한(漢)나라, 毛亨傳 鄭玄箋. 당(唐)나라, 孔穎達疏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宛丘》,刺幽公也。淫荒昏亂,遊蕩無度焉。(○宛丘,怨阮反。《爾雅》雲:「宛中,宛丘。」郭雲:「中央隆高。」)
疏「《宛丘》三章,章四句」至「無度焉」。○正義曰:淫荒,謂耽於女色。昏亂,謂廢其政事。遊蕩無度,謂出入不時,聲樂不倦,遊戲放蕩,無複節度也。遊蕩,自是翱翔戲樂,非獨淫於婦人,但好聲好色俱是荒廢,故以淫荒總之。毛以此序所言是幽公之惡,經之所陳是大夫之事,由君身為此惡,化之使然,故舉大夫之惡以刺君。鄭以經之所陳,即是幽公之惡,經、序相符也。首章言其信有淫情,威儀無法,是淫荒也。下二章言其擊鼓持羽,冬夏不息,是無度。無度者,謂無複時節度量。《賓之初筵序》雲「飲酒無度」,與此同。
子之湯兮,宛丘之上兮。(子,大夫也。湯,蕩也。四方高,中央下,曰宛丘。箋雲:子者,斥幽公也,遊蕩無所不為。○湯,他郎反,舊他浪反。)
洵有情兮,而無望兮。(洵,信也。箋雲:此君信有淫荒之情,其威儀無可觀望而則傚。○洵音荀。傚,戶教反。)
疏「子之」至「望兮」。○毛以為,子大夫之遊蕩兮,在於彼宛丘之上兮。此人信有淫荒之情兮,其威儀無可觀望兮。大夫當朝夕恪勤助君治國,而遊蕩高丘,荒廢政事,此由幽公化之使然,故舉之以刺幽公也。○鄭以為「子者斥幽公」為異,其義則同。○傳「子大」至「宛丘」。○正義曰:傳以下篇說大夫淫亂,此與相類,則亦是大夫。但大夫稱子,是其常稱,故以子為大夫。序雲「遊蕩」,經言「湯兮」,故知湯為蕩也。《釋丘》雲:「宛中,宛丘。」言其中央宛宛然,是為四方高,中央下也。郭璞曰:「宛丘,謂中央隆峻,狀如負一丘矣。」為丘之宛中,中央高峻,與此傳正反。案《爾雅》上文備說丘形有左高、右高、前高、後高,若此宛丘中央隆峻,言中央高矣,何以變言宛中?明毛傳是也,故李巡、孫炎皆雲「中央下」,取此傳為說。○箋「子者」至「不為」。○正義曰:箋以下篇刺大夫淫荒,序雲「疾亂」,此序主刺幽公,則經之所陳,皆幽公之事,不宜以為大夫。隱四年《公羊傳》公子翬謂隱公曰「百姓安子,諸侯說子」,則諸侯之臣亦呼君曰子。《山有樞》雲「子有衣裳」,「子有車馬」,子者斤昭公,明此子止斥幽公,故易傳也。雲「無所不為」,言其戲樂之事,幽公事事皆為也。○傳「洵,信」。○正義曰:《釋詁》文。
坎其擊鼓,宛丘之下。(坎坎,擊鼓聲。○坎,苦感反。)
無冬無夏,值其鷺羽。(值,持也。鷺鳥之羽,可以為翳。箋雲:翳,舞者所持以指麾。)
疏「坎其」至「鷺羽」。○毛以為,坎坎然為聲者,其是大夫擊鼓之聲,在於宛丘之下,無問冬,無問夏,常持其鷺鳥羽翳身而舞也。鼓舞戲樂,當有時節,今幽公化之,大夫遊蕩,無複節度,故舉以刺公也。○鄭以「刺幽公」為異,其文義同。○傳「值持」至「為翳」。○正義曰:鷺羽,執持之物,故以值為持。鷺鳥之羽,可以為舞者之翳,故持之也。《釋鳥》雲:「鷺,舂鉏。」郭璞曰:「白鷺也。頭翅背上皆有長翰毛,今江東人取以為睫摛,名之曰白鷺縗。」陸機雲: 「鷺,水鳥也,好而潔白,故謂之白鳥。齊、魯之間謂之舂鉏,遼東樂浪吳楊人皆謂之白鷺。青腳,高尺七八寸,尾如鷹尾,喙長三寸,頭上有毛十數枚,長尺餘,毿毿然與眾毛異好,欲取魚時則弭之。今吳人亦養焉。楚威王時,有朱鷺合遝飛翔而來舞。則複有赤者,舊鼓吹朱鷺曲是也。然則鳥名白鷺,赤者少耳。」此舞所持,持其白羽也。
坎其擊缶,宛丘之道。(盎謂之缶。○缶,方有反。盎,本亦作「{央瓦}」,烏浪反。)
疏傳「盎謂之缶」。○正義曰:《釋器》文。孫炎曰:「缶,瓦器。」郭璞曰:「盎,盆也。」此雲「擊缶」,則缶是樂器。《易·離卦》「九三,不鼓缶而歌,則大耋之嗟。」注雲:「艮爻也,位近醜,醜上值弁星,弁星似缶。詩雲『坎其擊缶』。」則樂器亦有缶。又《史記》藺相如使秦王鼓缶。是樂器為缶也。案《坎卦》「六四,樽酒簋弍,用缶。」注雲:「爻辰在醜,醜上值鬥,可以斟之象。鬥上有建星,建星之形似簋。弍,副也。建星上有弁星,弁星之形又如缶。天子大臣以王命出會諸侯,主國尊於簋,副設玄酒以缶。」則缶又是酒器也。《比卦》初六爻「有孚盈缶」,注雲:「爻辰在未,上值東井,井之水人所汲,用缶。缶汲器。」襄九年宋災,《左傳》曰:「具綆缶,備水器。」則缶是汲水之器。然則缶是瓦器,可以節樂,若今擊甌。又可以盛水、盛酒,即今之瓦盆也。
無冬無夏,值其鷺翿。(翿,翳也。○翿音導,又音陶。)
疏傳「翿,翳」。○正義曰:《釋言》文。郭璞曰:「舞者所以自蔽翳。」彼翿作「纛」,音義同。
《宛丘》三章,章四句。
'■ 시경(詩經) > 2.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38. 형문(衡門, 누추한 대문) (0) | 2021.10.23 |
---|---|
『시경(詩經)』137. 동문지분(東門之枌, 동문의 느릅나무) (0) | 2021.10.17 |
『시경(詩經)』135. 권여(權輿, 권세와 부귀) (0) | 2021.10.02 |
『시경(詩經)』134. 위양(渭陽, 위수 북쪽) (0) | 2021.09.20 |
『시경(詩經)』133. 무의(無衣, 옷이 없다하여) (0) | 2021.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