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11 진풍(陳風)

137. 동문지분(東門之枌, 동문의 느릅나무)

 

東門之枌宛丘之栩

(동문지분 완구지허

동문에 느릅나무 완구에는 상수리나무 있는데

子仲之子婆娑其下

(자중지자 파사기하)

자중의 자식이 그 아래에서 덩실덩실 춤추네

 

穀旦于差南方之原

(곡단우차 남방지원

길한 날 아침에 택하니 남쪽 방향 원씨인데

不績其麻市也婆娑

(부적기마 시야파사)

삼베길쌈 안하고 시장에서 덩실덩실 춤추네

 

穀旦于逝越以鬷邁

(곡단우서 월이종매)

길한 날 아침에 가는데 언덕 넘어 몰려가네요

視爾如荍貽我握椒

(시이여교 이아악초)

그대 당아욱 같이 예뿐데 산초 한줌을 주시네

 

東門之枌三章章四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東門之枌》,疾亂也幽公淫荒風化之所行男女棄其舊業亟會於道路歌舞於市井爾

모시 서<동문지분(東門之枌)>은 혼란함을 미워한 시()이다. 유공(幽公)이 음란하고 거칠어 풍속이 달라지게 행하는 바이니 남녀가 옛날의 하던 일을 버리고 자주 도로에 모이며 저잣거리에서 노래하고 춤을 추었기 때문이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東門之枌宛丘之栩

(동문지분 완구지허

동문에 느릅나무 완구에는 상수리나무 있는데

毛亨 白榆也杼也國之交會男女之所聚

모형 전(, 흰느릅나무 분)은 흰 느릅나무이다. (, 상수리나무 허)는 상수리나무이다. 나라의 사귀고 모임은, 남녀(男女)가 모이는 곳이다.

子仲之子婆娑其下

(자중지자 파사기하)

자중의 자식이 그 아래에서 덩실덩실 춤추네

毛亨 子仲陳大夫氏婆娑舞也

모형 전자중(子仲), ()나라 대부의 씨()이다. 파사(婆娑)는 춤춤이다.

 

穀旦于差南方之原

(곡단우차 남방지원

길한 날 아침에 택하니 남쪽 방향 원씨인데

毛亨 善也大夫氏

모형 전( 곡식 곡), 좋음이다. (), 대부의 씨()이다.

不績其麻市也婆娑

(부적기마 시야파사)

삼베길쌈 안하고 시장에서 덩실덩실 춤추네

 

穀旦于逝越以鬷邁

(곡단우서 월이종매)

길한 날 아침에 가는데 언덕 넘어 몰려가네요

毛亨 行也

모형 전(, 갈 서), 감이다. ( 가마솥 종), 자주함이다. (, 멀리 갈 매)는 감이다.

視爾如荍貽我握椒

(시이여교 이아악초)

그대 당아욱 같이 예뿐데 산초 한줌을 주시네

毛亨 芘芣也芬香也

모형 전(, 당아욱 교)는 당아욱이다. (, 산초나무 초)는 매우 향기로움이다.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東門之枌宛丘之栩

(동문지분 완구지허

동문에 느릅나무 완구에는 상수리나무 있는데

況浦反常與反,《說文丈與反

音義(, 상수리나무 허), 황과 포의 반절음이다. (, 상수리나무 서), 상과 여의 반절음이고 설문(說文)에는 장과 여의 반절음이다

子仲之子婆娑其下

(자중지자 파사기하)

자중의 자식이 그 아래에서 덩실덩실 춤추네

鄭玄 箋雲之子男子也

정현 전()에 이르기를 지자(之子)는 남자이다.라고 하였다.

 

穀旦于差南方之原

(곡단우차 남방지원

길한 날 아침에 택하니 남쪽 방향 원씨인데

鄭玄 箋雲擇也朝日善明曰相擇矣以南方原氏之女可以為上處

정현 전()에 이르기를 (, 아침 단)은 밝음이고, ()는 말함이다. (, 매길 치)는 택함이다. 아침에 좋은 밝은 날에 말하여 서로 택하는데, 남쪽 방향 원씨의 딸로써 최상의 혼처로 할 수 있다고 여겼음이다.라고 하였다.

不績其麻市也婆娑

(부적기마 시야파사)

삼베길쌈 안하고 시장에서 덩실덩실 춤추네

鄭玄 箋雲績麻者婦人之事也疾其今不為

정현 전()에 이르기를 삼을 길삼[績麻]한다는 것은, 부인의 일인데 지금 빨리하지 않았음이다.라고 하였다.

 

穀旦于逝越以鬷邁

(곡단우서 월이종매)

길한 날 아침에 가는데 언덕 넘어 몰려가네요

鄭玄 箋雲總也朝旦善明曰往矣謂之所會處也於是以總行欲男女合行

정현 전()에 이르기를 (, 넘을 월)은 어조사이고, (, 가마솥 종)은 모두이다. 이른 아침 좋은 밝음을 말하며 감은, 모이는 처소를 말함이고 이에 모두 감으로써 남녀가 가서 합하기를 바람이다.”라고 하였다.

視爾如荍貽我握椒

(시이여교 이아악초)

그대 당아욱 같이 예뿐데 산초 한줌을 주시네

鄭玄 箋雲男女交會而相說曰我視女之顏色美如芘芣之華然女乃遺我一握之椒交情好也此本淫亂之所由

정현 전()에 이르기를 남녀가 모여 사귀면서 서로 설득하여 말하기를 내가 본 여자의 안색은 당아욱의 꽂처럼 아름다웠으며, 여자가 마침내 나에게 한 움큼의 산초를 선물하여 사귀는 정이 좋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래 음란함을 말미암는 바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모형(毛亨)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東門之枌》,疾亂也幽公淫荒風化之所行男女棄其舊業亟會於道路歌舞於市井爾(○,符雲反欺冀反。)

 

「《東門之三章章四句井爾」。○正義曰男棄其業子仲之子是也女棄其業不績其麻是也會於道路者首章上二句是也歌舞於市井者婆娑是也經先言歌舞之處然後責其棄業序以棄業而後敖遊故先言棄業所以經序倒也此實歌舞於市而謂之市井者,《白虎通:「因井為市故曰市井。」應劭風俗通:「恃也養贍老少恃以不匱也俗說市井謂至市者當於井上洗濯其物香潔及自嚴飾乃到市也謹案古者二十畝為一井因為市交易故稱市井。」然則由本井田之中交易為市故國都之市亦因名市井案禮製九夫為井應劭二十畝為井者劭依漢書·食貨誌一井八家家有私田百畝公田十畝餘二十畝以為井灶廬舍據其交易之處在廬舍故言二十畝耳因井為市或如劭言三章皆述淫亂之事首章獨言男婆娑於栩之下下二章上二句言女子候善明之日從男子於會處下二句陳男女相說之辭明歌舞之處皆男女相從故男女互見之

 

東門之宛丘之栩白榆也杼也國之交會男女之所聚。○況浦反常與反,《說文丈與反。)

 

疏傳所聚」。○正義曰:《釋木:「榆白,。」孫炎曰:「榆白者。」郭璞曰:「,先生葉卻著莢皮色白。」是為白榆也。「」,《釋木序雲:「亟會於道路。」知此二木是國之道路交會男女所聚之處也

 

子仲之子婆娑其下子仲陳大夫氏婆娑舞也箋雲之子男子也。○步波反,《說文」,音同桑何反。)

 

疏傳子仲舞也」。○正義曰知子仲是陳大夫氏者以其風俗之敗自上行之今此所刺宜刺在位之人若是庶人不足顯其名氏此雲子仲之子」,猶雲彼留之子」。舉氏姓言之明子仲是大夫之氏姓也。《公羊傳》:「孫以王父字為氏。」此人上祖必有字子仲者故氏子仲也婆娑舞也」 《釋訓李巡曰:「婆娑盤辟舞也。」孫炎曰:「舞者之容婆娑然。」○之子男子」。○正義曰序雲男女棄業則經之所陳有男有女下雲績麻是女知此之子是男子也定本雲之子是子也」。

 

穀旦於差南方之原善也大夫氏箋雲擇也朝日善明曰相擇矣以南方原氏之女可以為上處。○鄭音旦本亦作」,王七也反苟且也徐子餘反鄭初佳反王音嗟,《韓詩」,徐七何反沈雲:「毛意不作嗟。」案毛無改字宜從鄭讀曰相音越曰往矣。)

 

不績其麻市也婆娑箋雲績麻者婦人之事也疾其今不為。)

 

穀旦婆娑」。○正義曰言陳國男女棄其事業候良辰美景而歌舞淫泆見朝日善明無陰雲風雨則曰可以相擇而行樂矣彼南方之原氏有美女國中之最上處可以從之也男既如是彼原氏之女即不複績麻於市也與男子聚會婆娑而舞是其可疾之甚。○善也大夫氏」。○正義曰: 「」,《釋詁文也。○《春秋莊二十七年,「季友如陳葬原仲」。是陳有大夫姓原氏也。○旦明上處」。○正義曰旦謂早朝故為明也。《釋詁:「於也。」故於得為曰。「」,《釋詁佚遊戲樂不宜風故見朝日善明乃雲相擇刺其以美景廢業故舉之也發意相擇則是男子擇女故知南方原氏之女可以為上處上處者言是一國最上之處也

 

穀旦於逝越以鬷邁行也箋雲總也朝旦善明曰往矣謂之所會處也於是以總行欲男女合行。○子公反昌慮反。)

視爾如荍貽我握椒芘芣也芬香也箋雲男女交會而相說曰我視女之顏色美如芘芣之華然女乃遺我一握之椒交情好也此本淫亂之所由。○祁饒反郭雲:「荊葵也。」芘音毗又芳耳反芣音浮又芳九反說音悅唯季反呼報反。)

 

穀旦握椒」。○毛以為陳之女人見美景而說曰朝日善明曰可以往之所會之處矣女人即棄其事業假有績者於是以麻總而行至於會所要見男子男子乃陳往日相好之事語女人雲我往者語汝雲我視汝顏色之美如荍之華然見我說汝則遺我以一握之椒棄其事業作如此淫荒故疾之也。○ 鄭唯以鬷為總言於是男女總集合行為此淫亂餘同。○逝往邁行」。○正義曰:「」,《釋詁。「」,《釋言鬷謂麻縷每數一升而用繩紀之故鬷為數王肅雲:「鬷數績麻之縷也。」○越於合行」。○正義曰:「」,《釋詁。《商頌鬷假無言」,為總集之意則此亦當然故以鬷為總謂男女總集而合行也上章於差」,謂男言擇女此言於逝」,謂女往從男故雲曰往矣謂之所會之處謂女適與男期會之處也。○芘芣芬香」。○正義曰:「芘芣」,《釋草舍人曰:「一名蚍衃。」郭璞曰:「今荊葵也似葵紫色。」謝氏雲:「小草多華少葉葉又翹起。」陸機:「芘芣一名荊葵似蕪菁華紫綠色可食微苦。」是也椒之實芬香故以相遺也定本雲芳物」。○男女所由」。○正義曰言相說者男說女而言其色美女說男而遺之以椒交相說愛故言相也知此二句皆是男辭者言我視爾顏色之美如芘芣之華若是女辭不得言男子色美如華也思其往日相愛今複會為淫亂詩人言此者本其淫亂化之所由耳

 

東門之枌三章章四句

 

728x90
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 ~ 249)의 주(注)와 한강백(韓康伯, 332~380)의 주를 채용하여 당나라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였다.​

 

4. 몽괘(蒙卦)[卦象:산수몽()]

艮上

坎下

[.]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匪我求童蒙童蒙求我初筮告再三瀆瀆則不告

()은 형통하니, 내가 철부지 아이를 구함이 아니라, 철부지 아이가 나를 구함이다. 처음 점치면 일러주고 두 번 세 번 점치면 모독하니, 모독하면 알려주지 않는다.

 

王弼 注 筮者決疑之物也童蒙之來求我欲決所惑也決之不一不知所從則復惑也故初筮則告三則瀆蒙也能為初筮其唯二乎以剛處中能斷夫疑者也

왕필 주시초점[]이라는 것은, 사물의 의심을 결단함이다. 철부지 아이[童蒙]가 와서 나를 구함은, 의혹하는 바를 결단하고자 함이다. 결단 함이 하나가 아니어서 따를 바를 알지 못한다면 다시 헷갈린다. 그러므로 처음 첨치면 일러주는데 두번 세번하면 모독한다. (, 더럽힐 독)은 어리석음이다. 처음 점을 잘 침은, 오직 구2(九二)이겠지? 굳셈으로 가운데[; 九二]에 처하여 그 의심을 잘 끊어내는 자이다.

 

[孔穎達 疏]蒙亨瀆則不告」。

正義曰蒙者微昧闇弱之名物皆蒙昧唯原亨通故云」。「匪我求童蒙童蒙求我物既闇弱而意原亨通即明者不求於闇即匪我師德之高明往求童蒙之闇但闇者求明明者不諮於闇故云童蒙求我。「初筮告初者發始之辭筮者決疑之物童蒙既來求我我當以初始一理剖決告之。「再三瀆瀆則不告師若遲疑不定或再或三是褻瀆瀆則不告童蒙來問本為決疑師若以廣深二義再三之言告之則童蒙聞之轉亦瀆亂故不如不告也自此以上蒙亨之義順此上事乃得文在此事之上也不云謂時當蒙弱未有元也

初筮告」。

正義曰:「初筮則告童蒙既來求我我當以初心所念所筮之義一理而剖告之。「再三則瀆蒙也若以棄此初本之意而猶豫遲疑岐頭別說則童蒙之人聞之褻瀆而煩亂也再三則瀆蒙也」。「能為初筮其唯二乎初筮告以剛中剛而得中故知是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몽형(蒙亨)에서 독즉불고(瀆則不告)까지.}

바른 [正義] 말한다. (,어두울 몽)이라는 것은, 작고 어두우며 어둡고 약함의 이름인데, 물은 모두 어리고 어두워서 오직 근본이 형통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 형통하다.”라고 하였.

내가 철부지 아이[童蒙]를 구함이 아니라, 철부지 아이가 나를 구함이다[匪我求童蒙 童蒙求我]”라는 것은, 물이 이미 어둡고 약하지만 마음의 근원은 형통하며, 밝은 자가 어두움을 구함이 아니고, () 높고 밝은 나의 스승이 철부지 아이의 어두움을 가서 구함이 아니며, 다만 어두운 자가 밝음을 구하고, 밝은 자는 어두운 자에게 자문하지 않기 때문에 이르기를 철부지 아이가 나를 구한다.[童蒙求我]”라고 하였.

처음 점치면 일러주고[初筮告]”라는 것의, ‘()는 것은, 시작하여 펼치는 말이고, ‘(, 점 서) 것은, 의심하는 사물 결단함이다. 철부지 아이[童蒙]가 이미 와서 나를 구하면, 나는 마땅히 처음 시작하는 가지 이치를 가지고 분석하고 결단하여 일러 주어야 한.

두 번 세 번 [점치면] 모독하니, 모독하면 일러주지 않는다[再三瀆 瀆則不告]”라는 것은, 스승이 만약 지체하고 의심을 결정하지 않았는데 두번 하고 세번 하면 이는 깔보고 더럽힘이며, 모독(冒瀆)하면 일러주지 않는다.

철부지 아이[童蒙] 와서 묻음은 본래 의심을 결단하기 위함인데, 스승이 만약 넓고 깊은 가지 뜻으로써 두 번 세 번의 [점치는] 말을 일러주면 철부지 아이[童蒙] 그것 듣고 풀어도 또한 모독(冒瀆)하고 혼란하기 때문에 일러주 않음만 못함이다.

이로부터 이상은 몽형(蒙亨)’의 뜻을 해석하였는데, 이 위의 일을 따르면 이에 형통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형통함[]’의 글월이 이 일의 위에 있다. ‘()’을 일러주지 않은 것은, 시절이 마땅히 몽매하고 약함을 말하였으니 아직 원()이 있지는 않다.

왕필 (王弼 ) 초시고(初筮告)까지

바른 [正義] 말한다. 처음 첨치면 일러주는데[初筮則告]”라는 것은, 철부지 아이[童蒙] 이미 와서 나를 구하면 나는 마땅히 처음 마음에 생각한 바와 점친 바의 뜻을 가지고 가지 이치로서 분석하여 일러 준.

두번 세번하면 모독한다. ()은 어리석음이다[再三則瀆 瀆蒙也]”라는 것은, 만약 처음 본래의 뜻을 버림으로써 오히려 미리 의혹을 늦추고 머리를 갈래하여 나누어 설명하 어리석은 사람이 듣고서 깔보고 더렵혀서 번거롭고 어지러워진다. 그러므로 두번 세번하면 모독(冒瀆)하며, ()은 어리석음이다.

처음 점을 잘 침은, 오직 구2(九二)이겠지?[能爲初筮 其唯二乎]”라는 것은, 단전(彖傳) 처음 점치면 일러줌, 굳셈으로써 적중함이.”라고 것은, 굳세면서 () 얻었기 때문에 이는 구2(九二)임을 알게 된.

 

 

[孔穎達 疏]蒙亨瀆則不告」。

공영달소(孔穎達 疏)(){몽형(蒙亨)에서 독즉불고(瀆則不告)까지.}

正義曰蒙者微昧闇弱之名物皆蒙昧唯原亨通故云」。

바른 [正義] 말한다. (,어두울 몽)이라는 것은, 작고 어두우며 어둡고 약함의 이름인데, 물은 모두 어리고 어두워서 오직 근본이 형통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 형통하다.”라고 하였.

匪我求童蒙童蒙求我闇弱而意原亨通即明者不求於闇即匪我師德之高明往求童蒙之闇但闇者求明明者不諮於闇故云童蒙求我

내가 철부지 아이[童蒙]를 구함이 아니라, 철부지 아이가 나를 구함이다[匪我求童蒙 童蒙求我]”라는 것은, 물이 이미 어둡고 약하지만 마음의 근원은 형통하며, 밝은 자가 어두움을 구함이 아니고, () 높고 밝은 나의 스승이 철부지 아이의 어두움을 가서 구함이 아니며, 다만 어두운 자가 밝음을 구하고, 밝은 자는 어두운 자에게 자문하지 않기 때문에 이르기를 철부지 아이가 나를 구한다.[童蒙求我]”라고 하였.

初筮告初者發始之辭筮者決疑之物童蒙來求我我當以初始一理剖決告之

처음 점치면 일러주고[初筮告]”라는 것의, ‘()는 것은, 시작하여 펼치는 말이고, ‘(, 점 서) 것은, 의심하는 사물 결단함이다. 철부지 아이[童蒙]가 이미 와서 나를 구하면, 나는 마땅히 처음 시작하는 가지 이치를 가지고 분석하고 결단하여 일러 주어야 한.

再三瀆瀆則不告師若遲疑不定或再或三是褻瀆瀆則不告

두 번 세 번 [점치면] 모독하니, 모독하면 일러주지 않는다[再三瀆 瀆則不告]”라는 것은, 스승이 만약 지체하고 의심을 결정하지 않았는데 두번 하고 세번 하면 이는 깔보고 더럽힘이며, 모독(冒瀆)하면 일러주지 않는다.

童蒙來問決疑師若以廣深二義再三之言告之則童蒙聞之轉亦瀆亂故不如不告也

철부지 아이[童蒙] 와서 묻음은 본래 의심을 결단하기 위함인데, 스승이 만약 넓고 깊은 가지 뜻으로써 두 번 세 번의 [점치는] 말을 일러주면 철부지 아이[童蒙] 그것 듣고 풀어도 또한 모독(冒瀆)하고 혼란하기 때문에 일러주 않음만 못함이다.

自此以上蒙亨之義順此上事乃得文在此事之上也不云謂時當蒙弱未有元也

이로부터 이상은 몽형(蒙亨)’의 뜻을 해석하였는데, 이 위의 일을 따르면 이에 형통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형통함[]’의 글월이 이 일의 위에 있다. ‘()’을 일러주지 않은 것은, 시절이 마땅히 몽매하고 약함을 말하였으니 아직 원()이 있지는 않다.

 

初筮告」。

왕필 (王弼 ) 초시고(初筮告)까지

正義曰:「初筮則告童蒙來求我我當以初心所念所筮之義一理而剖告之

바른 [正義] 말한다. 처음 첨치면 일러주는데[初筮則告]”라는 것은, 철부지 아이[童蒙] 이미 와서 나를 구하면 나는 마땅히 처음 마음에 생각한 바와 점친 바의 뜻을 가지고 가지 이치로서 분석하여 일러 준.

再三則瀆蒙也若以棄此初本之意而猶豫遲疑岐頭別說則童蒙之人聞之褻瀆而煩亂也再三則瀆蒙也」。

두번 세번하면 모독한다. ()은 어리석음이다[再三則瀆 瀆蒙也]”라는 것은, 만약 처음 본래의 뜻을 버림으로써 오히려 미리 의혹을 늦추고 머리를 갈래하여 나누어 설명하 어리석은 사람이 듣고서 깔보고 더렵혀서 번거롭고 어지러워진다. 그러므로 두번 세번하면 모독(冒瀆)하며, ()은 어리석음이다.

初筮其唯二乎初筮告以剛中剛而得中, 故知是二也

처음 점을 잘 침은, 오직 구2(九二)이겠지?[能爲初筮 其唯二乎]”라는 것은, 단전(彖傳) 처음 점치면 일러줌, 굳셈으로써 적중함이.”라고 것은, 굳세면서 () 얻었기 때문에 이는 구2(九二)임을 알게 된.

 

 

利貞

곧음이 이롭다

 

王弼 注 蒙之所利乃利正也夫明莫若聖昧莫若蒙蒙以養正乃聖功也然則養正以明失其道矣

왕필 주 ()괘의 이로운 바는, 이에 바름이 이롭다. 그 밝음은 성스러움 같은게 없고 어두움은 철부지 같음이 없다. 철부지는 기름으로써 바르게 되니 이에 공이 성스럽다. 그러한 즉 바름으로써 밝음을 기르면 그 도를 잃는다.

 

[孔穎達 疏]利貞」。

正義曰正也言蒙之為義利以養正蒙以養正」,聖功也」。若養正以明即失其道也

然則養正以明失其道」。

正義曰:「然則養正以明失其道言人雖懷聖德若隱默不言人則莫測其淺深不知其大小所以聖德彌遠而難測矣若彰顯其德苟自發明即人知其所為識其淺深明夷注云明夷蒞眾顯明於外巧所避是也此卦,《系辭皆以人事明之

공영달소(孔穎達 疏)(){이정(利貞)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은 바름이다. ()괘의 뜻을 함인데, 바름을 기름으로써 이로움이기 때문에 단전(彖傳)에 이르기를 어리석음은 바름을 기름으로써 이에 성스러운 공()이 된다.”라고 하였는데, 만약 바름을 가지고 밝음을 기르면 즉 그 도()를 잃게 된다.

왕필 (王弼 ) 연즉양정이명 실기도(然則養正以明 失其道)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러한 즉 바름으로써 밝음을 기르면 그 도를 잃는다[然則養正以明 失其道]”라는 것은, 사람이 비록 성스러운 덕()을 품고 있지만 만약 숨기고 침묵하여 말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어서 그 크고 작음을 알지 못함은, 성스러운 덕()이 더욱 멀어지면서 측량하기 어려워 지는 까닭이다.

만약 () 밝게 드러내어 진실로 스스로 밝음을 펼치, 사람들이 하는 바를 알고 [] 얕음과 깊음을 알기 때문에 명이(明夷)괘의 () 이르기를 밝고 온화함으로 무리 다다라서 밝음을 밖에 드러냄은 교묘(巧妙)함을 피하는 이다.”라고 함이 이것이다.

() 묶인 말은 모두 사람의 일을 가지고 밝혔음이다.

 

 

[孔穎達 疏]利貞」。

공영달소(孔穎達 疏)(){이정(利貞)까지.}

正義曰正也言蒙之利以養正蒙以養正」,聖功也」。若養正以明即失其道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은 바름이다. ()괘의 뜻을 함인데, 바름을 기름으로써 이로움이기 때문에 단전(彖傳)에 이르기를 어리석음은 바름을 기름으로써 이에 성스러운 공()이 된다.”라고 하였는데, 만약 바름을 가지고 밝음을 기르면 즉 그 도()를 잃게 된다.

 

然則養正以明失其道」。

왕필 (王弼 ) 연즉양정이명 실기도(然則養正以明 失其道)까지

正義曰:「然則養正以明失其道言人雖懷聖德若隱默不言人則莫測其淺深不知其大小所以聖德彌遠而難測矣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러한 즉 바름으로써 밝음을 기르면 그 도를 잃는다[然則養正以明 失其道]”라는 것은, 사람이 비록 성스러운 덕()을 품고 있지만 만약 숨기고 침묵하여 말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어서 그 크고 작음을 알지 못함은, 성스러운 덕()이 더욱 멀어지면서 측량하기 어려워 지는 까닭이다.

若彰顯其德苟自發明即人知其所識其淺深明夷注云明夷顯明於外巧所避是也

만약 () 밝게 드러내어 진실로 스스로 밝음을 펼치, 사람들이 하는 바를 알고 [] 얕음과 깊음을 알기 때문에 명이(明夷)괘의 () 이르기를 밝고 온화함으로 무리 다다라서 밝음을 밖에 드러냄은 교묘(巧妙)함을 피하는 이다.”라고 함이 이것이다.

此卦系辭皆以人事明之

() 묶인 말은 모두 사람의 일을 가지고 밝혔음이다.

 

 

山下有險險而止

단전에서 말하였다()은 산 아래 험함이 있는데, 험하여서 그침이 몽이다

 

王弼 注 退則困險進則閡山不知所適蒙之義也

왕필 주물러나면 험함에 곤란하고 나아가면 산에 막히며, 갈 바를 알지 못함이 몽()괘의 뜻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山下有險坎在艮下是山下有險艮為止坎上遇止是險而止也恐進退不可故蒙昧也此釋蒙卦之名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산 아래 험함이 있는데[山下有險]”라는 것은, ()이 간() 아래에 있으며 이는 산() 아래에 험함이 있음이다. ()은 그침이 되고 감()이 위에서 그침을 만났는데 이는 험하여서 그치는 것이다.

나아가고 물러감이 불가함을 염려했기 때문에 몽매(蒙昧)함이며, 이는 몽괘(蒙卦)의 이름을 해석하였다.

 

 

蒙亨以亨行時中也

()의 형통함은 형통함으로써 행함이니, 때에 적중함이다.

 

王弼 注 時之所願唯願亨也以亨行之得時中也

왕필 주때의 원하는 바는 오직 형통함을 원함이며, 형통함으로써 행하면 때의 적중함을 얻는다.

 

[孔穎達 疏]正義曰蒙亨之義言居之時人皆願」。若以亨道行之于時則得中也故云時中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의 형통함[蒙亨]”의 뜻을 거듭 하였는데, 철부지[]의 때에 거주하여 사람들이 모두 형통하기를 원하는데, 만약 형통한 도()로써 때맞게 행하면 적중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때에 적중함이다.[時中也]”라고 하였다.

 

 

匪我求童蒙童蒙求我志應也

내가 철부지 아이를 구함이 아니라, 철부지 아이가 나를 구함은 뜻이 응()함이다

 

王弼 注 我謂非童蒙者也非童蒙者即陽也凡不識者求問識者識者不求所告闇者求明明者不諮於闇之為義,「匪我求童蒙童蒙求我童蒙之來求我志應故也

왕필 주내가 철부지 아이가 아니라 말한 것은, 철부지 아이가 아니라는 것은 곧 양()이다. 모든 알지 못하는 자는 아는 자에게 물어 구하고, 아는 자는 고하는 바를 구하지 않으며, 어두운 자는 밝음을 구하고, 밝은 자는 어두움에 상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몽()괘의 뜻 함은 "내가 동몽(童蒙)을 구함이 아니라 동몽이 나를 구함"이다. 동몽이 나를 구하러 옴은 뜻이 응()하기 때문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以童蒙闇昧之志而求應會明者故云志應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철부지 아이[童蒙]의 어두운 뜻을 가지고 밝은 자를 응()하여 구하여 만나기 때문에 이르기를 뜻이 응함이다.[志應]”라고 하였다.

 

初筮告以剛中也

처음 점치거든 알려 줌은 굳셈으로써 적중함이다.

 

王弼 注 謂二也二為眾陰之主也无剛決中何由得初筮之告乎

왕필 주2(九二)를 일컬음이다. 2(九二)는 여러 음()의 주체이다. 굳셈이 없이 가운데를 결단하는데 무엇을 말미암아 처음 점을 쳐서 고함을 얻겠는가?

 

再三瀆瀆則不告瀆蒙也蒙以養正聖功也

“[점을] 두번 세번 치면 모독(冒瀆)함이니, 모독하면 일러주지 않음은 철부지의 모독이다. 철부지가 바름을 기름으로써 공이 성스러워 진다

 

[孔穎達 疏]正義曰:「再三瀆瀆則不告所以再三不告恐瀆亂蒙者自此以上,《辭總釋蒙亨之義。「蒙以養正聖功也能以蒙昧隱默自養正道乃成至聖之功此一句釋經之利貞」。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점을] 두번 세번 치면 모독하니, 모독하면 일러주지 않음은 철부지의 모독이다[再三瀆 瀆則不告 瀆蒙]“라는 것은, 두번 세번을 알려주지 않는 까닭은, 철부지가 더럽히고 어지럽힘을 염려해서이다.

이로부터 이상은 단사(彖辭)몽형(蒙亨)’의 뜻을 총괄하여 해석하였다.

철부지가 바름을 기름으로써 공이 성스러워 진다[蒙以養正 聖功也]”라는 것은, 철부지의 어두움으로써 숨기고 침묵하여 스스로 바른 도()를 잘 기르면 마침내 지극한 성인의 공()이 이르러 이룬다. 이 한 구()는 경문(經文)이정(利貞)’을 해석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再三瀆瀆則不告所以再三不告恐瀆亂蒙者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점을] 두번 세번 치면 모독하니, 모독하면 일러주지 않음은 철부지의 모독이다[再三瀆 瀆則不告 瀆蒙]“라는 것은, 두번 세번은 알려주지 않는 까닭은, 철부지가 더럽히고 어지럽힘을 염려해서이다.

自此以上,《辭總釋蒙亨之義

이로부터 이상은 단사(彖辭)몽형(蒙亨)’의 뜻을 총괄하여 해석하였다.

蒙以養正聖功也能以蒙昧隱默自養正道乃成至聖之功此一句釋經之利貞」。

철부지가 바름을 기름으로써 공이 성스러워 진다[蒙以養正 聖功也]”라는 것은, 철부지의 어두움으로써 숨기고 침묵하여 스스로 바른 도()를 잘 기르면 마침내 지극한 성인의 공()이 이르러 이룬다. 이 한 구()는 경문(經文)이정(利貞)’을 해석함이다.

 

 

山下出泉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산 아래에 샘이 솟아남이 몽이니,

 

王弼 注 山下出泉未知所適蒙之象也

왕필 주 산 아래 샘이 나옴은 아직 갈 곳을 알지 못하는 몽()괘의 모습[]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山下出泉未有所適之處是險而止故蒙昧之象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아래에서 샘물이 나옴은, 아직 맞이하여 처할 곳이 있지 못하니, 이는 험하여서 그침이기 때문에 어두운 철부지의 모습[]이다.

 

 

君子以果行育德

군자가 그로서 과감하게 행하며 덕()을 기른다

 

王弼 注 果行者初筮之義也育德者養正之功也

왕필 주"과감히 행함[果行]"이라는 것은, 처음 점 침의 뜻이며, "덕을 기름[育德]"이라는 것은, 바름을 기르는 공()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君子當發此蒙道以果決其行告示蒙者初筮之義」。「育德謂隱默懷藏不自彰顯以育養其德。「果行」、「育德自相違錯若童蒙來問則果行也尋常處眾則育德是不相須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君子가 마땅히 이 철부지의 도()를 계발(啓發)하고 그로써 행실을 과단성 있게 결단하며 철부지에게 알리고 보여주는 것은 곧 처음 점 침의 뜻이다.[初筮之義]”

"덕을 기름[育德]", 침묵을 지켜 마음에 간직하고 스스로 밝게 드러내지 않으며 그로써 그 덕()을 길러서 키움을 말함이다.

과행(果行)과 육덕(育德)이라는 것은, 스스로 서로 어긋나 모순(矛盾)되는데, 만약 철부지 아이[童蒙]가 와서 물으면 행실을 과단성 있게 하고, 일상의 여러 거주하는데서 찾으면 덕()이 길러지는데, 이는 서로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孔穎達 疏]正義曰君子當發此蒙道以果決其行告示蒙者初筮之義」。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君子가 마땅히 이 철부지의 도()를 계발(啓發)하고 그로써 행실을 과단성 있게 결단하며 철부지에게 알리고 보여주는 것은 곧 처음 점 침의 뜻이다.[初筮之義]”

育德謂隱默懷藏不自彰顯以育養其德

"덕을 기름[育德]", 침묵을 지켜 마음에 간직하고 스스로 밝게 드러내지 않으며 그로써 그 덕()을 길러서 키움을 말함이다.

果行」、「育德自相違錯若童蒙來問則果行也尋常處眾則育德是不相須也

과행(果行)과 육덕(育德)이라는 것은, 스스로 서로 어긋나 모순(矛盾)되는데, 만약 철부지 아이[童蒙]가 와서 물으면 행실을 과단성 있게 하고, 일상의 여러 거주하는데서 찾으면 덕()이 길러지는데, 이는 서로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初六發蒙利用刑人用說桎梏以往吝

초육(初六)은 철부지를 계발(啓發)함은, 사람에게 형벌을 써서 질곡을 벗겨줌이 이로우니, 그로써 나가면 부끄러울 것이다

 

王弼 注 處蒙之初二照其上故蒙發也蒙發疑明刑說當也以往吝刑不可長也

왕필 주()괘의 처음에 처하고 구2(九二)가 그 위에 비추기 때문에 철부지를 계발(啓發)함이다. 철부지를 계발(啓發)하고 의심이 밝아지니, 형벌이 벗겨짐이 마땅하다. "그로서 가면 부끄럽다[以往吝]"는 형벌을 길게 할 수 없음이다.

 

[孔穎達 疏]初六以往吝」。

正義曰:「發蒙以初近於九二二以陽處中而明能照闇故初六以能發去其蒙也。「利用刑人用說桎梏蒙既發去無所疑滯故利用刑戮於人又利用說去罪人桎梏以蒙既發去疑事顯明刑人說桎梏皆得當在足曰桎在手曰梏。《小雅:「杻謂之梏械謂之桎。」「以往吝若以正道而往即其事益善矣若以刑人之道出往往之即有鄙吝

공영달소(孔穎達 ) () {초육(初六)에서 이왕인(以往吝)까지.}

바른 [正義] 말한다. 철부지를 계발(啓發)[發蒙]”이라는 것은, 초육(初六) 2(九二) 가까우니, 2(九二) ()으로써 가운데[; 九二] 처하면서 밝음이 어둠을 비추기 때문에 초육(初六) 철부지를 잘 계발(啓發)함으로써 제거한다.

사람에게 형벌을 써서 질곡(桎梏)을 벗겨줌이 이로우니[利用刑人 用說桎梏]”라는 것은, 철부지[]를 이미 계발(啓發)하여 제거하고 의심과 막히는 바가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 형벌을 사용함이 이롭고 또 죄인의 질곡을 벗겨 제거해 줌이 이로우며, 그로써 철부지[]가 이미 계발(啓發)하여 제거하였고 의심스러운 일이 밝게 드러났으며 사람을 처벌하고 질곡을 벗겨줌이 모두 마땅함을 얻었음이다.

발에 있는 것을 차꼬[()] 하고, 손에 있는 것을 수갑[()]이라 하는데, 소아(小雅) 이르기를 (, 수갑 추) 일컫기를 ()이라 하고, (, 기계 계) 일컫기를 ()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그로서 가면 부끄럽다[以往吝]"라는 것은, 만약 바른 도()로써 가면 일이 더욱 좋아 지는데, 만약 사람을 형벌하는 ()로써 떨쳐 나가면 나아감에 바로 더러운 인색(吝嗇) 있음이다.

 

 

[孔穎達 疏]初六以往吝」。

공영달소(孔穎達 ) () {초육(初六)에서 이왕인(以往吝)까지.}

正義曰:「發蒙以初近於九二二以陽處中而明能照闇故初六以能發去其蒙也

바른 [正義] 말한다. 철부지를 계발(啓發)[發蒙]”이라는 것은, 초육(初六) 2(九二) 가까우니, 2(九二) ()으로써 가운데[; 九二] 처하면서 밝음이 어둠을 비추기 때문에 초육(初六) 철부지를 잘 계발(啓發)함으로써 제거한다.

利用刑人用說桎梏發去無所疑滯故利用刑戮於人又利用說去罪人桎梏以蒙發去疑事顯明刑人說桎梏皆得當

사람에게 형벌을 써서 질곡(桎梏)을 벗겨줌이 이로우니[利用刑人 用說桎梏]”라는 것은, 철부지[]를 이미 계발(啓發)하여 제거하고 의심과 막히는 바가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 형벌을 사용함이 이롭고 또 죄인의 질곡을 벗겨 제거해 줌이 이로우며, 그로써 철부지[]가 이미 계발(啓發)하여 제거하였고 의심스러운 일이 밝게 드러났으며 사람을 처벌하고 질곡을 벗겨줌이 모두 마땅함을 얻었음이다.

在足曰桎在手曰梏。《小雅:「杻謂之梏械謂之桎。」。

발에 있는 것을 차꼬[()] 하고, 손에 있는 것을 수갑[()]이라 하는데, 소아(小雅) 이르기를 (, 수갑 추) 일컫기를 ()이라 하고, (, 기계 계) 일컫기를 ()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以往吝若以正道而往即其事益善矣若以刑人之道出往往之即有鄙吝

그로서 가면 부끄럽다[以往吝]"라는 것은, 만약 바른 도()로써 가면 일이 더욱 좋아 지는데, 만약 사람을 형벌하는 ()로써 떨쳐 나가면 나아감에 바로 더러운 인색(吝嗇) 있음이다.

 

 

利用刑人以正法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사람에게 형벌을 씀이 이로움은 이로서 법이 바르게 됨이다

 

王弼 注 刑人之道道所惡也以正法制故刑人也

왕필 주사람을 벌하는 도(), 도를 미워하는 바이다. 바름으로서 법을 지었기 때문에 사람을 벌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且刑人之道乃賊害於物是道之所惡以利用刑人者以正其法制不可不刑矣故刑罰不可不施於國鞭撲不可不施於家此經刑人說人二事,《直云利用刑人一者但舉刑重故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또 사람을 형벌함의 도()는 이에 사물을 해침이며, 이러한 도()를 싫어하는 바인데, 그로써 사람에게 형벌을 사용함이 이로운 것은 바름으로써 그 법을 지었으니 형벌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형벌을 다스림은 나라에서 시행하지 않을 수 없고 채찍과 회초리를 집안에서 시행하지 않을 수가 없다.

살펴보건대 이 경문(經文), 사람을 형벌함과 사람의 [질곡을] 벗겨주는 두 가지 일인데, 상전(象傳)에서 직접 이르기를 사람에게 형벌을 사용함이 이로움[利用刑人]”의 한 가지는 다만 형벌이 중함을 들었기 때문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且刑人之道乃賊害於物是道之所惡以利用刑人者以正其法制不可不刑矣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또 사람을 형벌함의 도()는 이에 사물을 해침이며, 이러한 도()를 싫어하는 바인데, 그로써 사람에게 형벌을 사용함이 이로운 것은 바름으로써 그 법을 지었으니 형벌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故刑罰不可不施於國鞭撲不可不施於家此經刑人說人二事,《直云利用刑人一者但舉刑重故也

그러므로 형벌을 다스림은 나라에서 시행하지 않을 수 없고 채찍과 회초리를 집안에서 시행하지 않을 수가 없다.

살펴보건대 이 경문(經文), 사람을 형벌함과 사람의 [질곡을] 벗겨주는 두 가지 일인데, 상전(象傳)에서 직접 이르기를 사람에게 형벌을 사용함이 이로움[利用刑人]”의 한 가지는 다만 형벌이 중함을 들었기 때문이다.

 

 

九二包蒙納婦吉子克家

구이(九二)는 철부지를 품어야 길하고, 부인을 들이면 길하며, 자식이 집안을 다스린다

 

王弼 注 以剛居中童蒙所歸包而不距則遠近咸至故曰包蒙吉婦者配己而成德者也體陽而能包蒙以剛而能居中以此納配物莫不應故納婦吉也處于卦內以剛接柔親而得中能幹其任施之於子克家之義

왕필 주가운데[; 九二]에 거주하니 어린 철부지가 귀의(歸依)하는 바인데 품으면서 거리두지 않으면 멀고 가까운데서 모두 이르르기 때문에 말하기를 "철부지를 품어야 길하다[包蒙吉]"라고 하였다. "부인[]"이라는 것은, 자기 배필이면서 덕()을 이루는 자인데, 몸체[]이 양()이면서 철부지를 잘 품으니, 굳셈으로써 가운데[; 九二]에 잘 거주하고, 그로써 이 배필을 받아들이면 사물이 응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부인을 받아들이면 길함이다.

()의 안에 처하고 굳셈으로써 부드러움을 접하여 친하면서 가운데[; 九二]를 얻어서 그 임무를 잘 주관하여 자식에게 베풀어 가니 집안을 의롭게 다스림이다.

 

[孔穎達 疏]九二子克家」。

正義曰:「謂包含九二以剛居中童蒙悉來歸己九二能含容而不距皆與之決疑故得吉也九二以剛居中陰來應之。「謂配也故納此匹配而得吉也此爻在下體之中能包蒙納婦任內理中幹了其任即是子孫能克荷家事故云子克家

親而得中」。

正義曰:「親而得中言九二居下卦之中央上下俱陰以己之兩陽迎接上下二陰陰陽相親故云親而得中。「能幹其任既能包蒙又能納匹是能幹其任

공영달소(孔穎達 ) () {구이(九二)에서 자극가(子克家)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는 머금어 품음을 말하며, 2(九二)가 굳셈으로써 가운데[; 九二]에 거주하며 철부지 아이[童蒙]가 모두 와서 자기에게 귀의(歸依)하는데, 2(九二)가 포용을 잘하면서도 거리를 두지 않으니 모두 더블어서 의심을 결단하기 때문에 길함을 얻음이다.

2(九二)가 굳셈으로써 가운데[; 九二]에 거주하니 음()이 와서 그에 응()한다.

()’는 짝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 배필을 받아들여 길함을 얻는 것이다.

이 효()가 하체(下體)의 가운데에 있어서 철부지를 잘 품고 부인을 받아들이며 안을 맡아 가운데를 다스리고 그 임무를 주관하여 마치니, 즉 이는 자손이 집안일을 잘 맡아 다스리기 때문에 이르기를 자식이 집안을 다스린다.[子克家]”라고 하였음이다.

왕필 (王弼 ) 친이득중(親而得中)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친하면서 가운데[; 九二]를 얻어서[親而得中]”라는 것은, 2(九二)가 아래 괘()의 중앙에 거주함을 말하며 위와 아래가 모두 음()이고 자기의 두 양()으로써 위와 아래의 두 음()을 영접하여 음()과 양()이 서로 친해지기 때문에 이르기를 친하면서 중()을 얻었다[親而得中]”라고 함이다.

그 임무를 잘 주관하여[能幹其任]”라는 것은, 이미 철부지를 잘 품고 또 배필을 잘 받아들이니, 이는 그 임무를 잘 주관하였음이다.

 

 

[孔穎達 疏]九二子克家」。

공영달소(孔穎達 ) () {구이(九二)에서 자극가(子克家)까지.}

正義曰:「謂包含九二以剛居中童蒙悉來歸己九二能含容而不距皆與之決疑故得吉也九二以剛居中陰來應之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는 머금어 품음을 말하며, 2(九二)가 굳셈으로써 가운데[; 九二]에 거주하며 철부지 아이[童蒙]가 모두 와서 자기에게 귀의(歸依)하는데, 2(九二)가 포용을 잘하면서도 거리를 두지 않으니 모두 더블어서 의심을 결단하기 때문에 길함을 얻음이다.

2(九二)가 굳셈으로써 가운데[; 九二]에 거주하니 음()이 와서 그에 응()한다.

謂配也故納此匹配而得吉也

()’는 짝을 말한다, 그러므로 이 배필을 받아들여 길함을 얻는 것이다.

此爻在下體之中能包蒙納婦任內理中幹了其任即是子孫能克荷家事故云子克家

이 효()가 하체(下體)의 가운데에 있어서 철부지를 잘 품고 부인을 받아들이며 안을 맡아 가운데를 다스리고 그 임무를 주관하여 마치니, 즉 이는 자손이 집안일을 잘 맡아 다스리기 때문에 이르기를 자식이 집안을 다스린다.[子克家]”라고 하였음이다.

親而得中」。

왕필 (王弼 ) 친이득중(親而得中)까지

正義曰:「親而得中言九二居下卦之中央上下俱陰以己之兩陽迎接上下二陰陰陽相親故云親而得中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친하면서 가운데[; 九二]를 얻어서[親而得中]”라는 것은, 2(九二)가 아래 괘()의 중앙에 거주함을 말하며 위와 아래가 모두 음()이고 자기의 두 양()으로써 위와 아래의 두 음()을 영접하여 음()과 양()이 서로 친해지기 때문에 이르기를 친하면서 중()을 얻었다[親而得中]”라고 함이다.

能幹其任既能包蒙又能納匹是能幹其任

그 임무를 잘 주관하여[能幹其任]”라는 것은, 이미 철부지를 잘 품고 또 배필을 잘 받아들이니, 이는 그 임무를 잘 주관하였음이다.

 

 

子克家剛柔接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자식이 집안을 다스림은 굳셈과 부드러움이 만나서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以陽居於卦內接待群陰是剛柔相接故克幹家事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으로서 괘()의 안에 거주하며 여러 음()을 접대하니, 이는 굳셈과 부드러움이 서로 접하기 때문에 집안일을 주관하여 다스림이다.

 

 

六三勿用取女見金夫不有躬无攸利

육삼(六三)은 돈 많은 사내를 보고서 몸을 지키지 않는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 다스려[]도 이로움이 없다

 

王弼 注 童蒙之時陰求於陽晦求於明各求發其昧者也六三在下卦之上上九在上卦之上男女之義也上不求三而三求上女先求男者也女之為體正行以待命者也見剛夫而求之故曰不有躬也施之於女行在不順故勿用取女而无攸利

왕필 주철부지 아이[童蒙] 때에는 음()이 양()을 구하고 그뭄[어둠]은 밝음을 구하며 각각 그 어두움을 펼쳐 구하는 것이다. 육삼(六三)은 아래 하괘(下卦)의 위에 있고, 상구(上九)는 상괘(上卦)의 위에 있으며 남자와 여자를 뜻함이다. 상구(上九)가 육삼(六三)을 구함이 아니라 육삼(六三)이 상구(上九)를 구함이고, 여자가 먼저 남자를 구하는 것이다. 여자의 몸을 하고서 바른 행실로써 명()을 기다리는 것이다. 굳센 사내를 보고서 구하려고 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몸이 있지 않다"라고 했다. 여자의 행실을 베품이 순하지 않음에 있기 때문에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고 다스려[]도 이로움이 없음이다.

 

[孔穎達 疏]六三無攸利」。

正義曰:「勿用取女女謂六三言勿用取此六三之女所以不須者此童蒙之世陰求於陽是女求男之時也。「見金夫謂上九以其剛陽故稱金夫」。此六三之女自往求見金夫」。女之為禮正行以待命而嫁今先求於夫是為女不能自保其躬固守貞信乃非禮而動行既不順若欲取之無所利益故云不有躬無攸利

공영달소(孔穎達 ) () {육삼(六三)에서 무유리(无攸利)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勿用取女]”라는 것은, ‘여자[]’는 육삼(六三)을 가리키며, 이 육삼(六三)의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고 말하였음이다.

모름지기 [취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이 철부지 아이[童蒙]의 세상은 음()이 양()을 구함인데, 이는 여자가 남자를 구하는 때이기 때문이다.

돈 많은 사내를 보고[見金夫]”라는 것은, 상구(上九)가 굳센 양()임을 가리키기 때문에 금부(金夫)’라고 칭하였으며, 이는 육삼(六三)의 여자가 스스로 가서 돈 많은 사내를 찾아 보는 것이다.

여자의 예()를 실천함은, 바른 행실로써 명()을 기다리다가 시집감인데, 지금 먼저 남자를 구하면 이는 여자가 스스로 그 몸을 잘 보존해서 곧음과 믿음을 굳게 잘 지키지 못하게 되었음인데, 이에 예()가 아닌데도 움직여서

행실이 이미 순하지 않은데, 만약 그를 취하고자 하면 이로움을 더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이르기를 몸을 지키지 않았으니 다스려[]도 이로움이 없다.[不有躬 无攸利]”라고 한 것이다.

 

 

[孔穎達 疏]六三無攸利」。

공영달소(孔穎達 ) () {육삼(六三)에서 무유리(无攸利)까지.}

正義曰:「勿用取女女謂六三言勿用取此六三之女所以不須者此童蒙之世陰求於陽是女求男之時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勿用取女]”라는 것은, ‘여자[]’는 육삼(六三)을 가리키며, 이 육삼(六三)의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고 말하였음이다. 모름지기 [취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이 철부지 아이[童蒙]의 세상은 음()이 양()을 구함인데, 이는 여자가 남자를 구하는 때이기 때문이다.

見金夫謂上九以其剛陽故稱金夫」。此六三之女自往求見金夫」。

돈 많은 사내를 보고[見金夫]”라는 것은, 상구(上九)가 굳센 양()임을 가리키기 때문에 금부(金夫)’라고 칭하였으며, 이는 육삼(六三)의 여자가 스스로 가서 돈 많은 사내를 찾아 보는 것이다.

女之為禮正行以待命而嫁今先求於夫是為女不能自保其躬固守貞信乃非禮而動行既不順若欲取之無所利益故云不有躬無攸利

여자의 예()를 실천함은, 바른 행실로써 명()을 기다리다가 시집감인데, 지금 먼저 남자를 구하면 이는 여자가 스스로 그 몸을 잘 보존해서 곧음과 믿음을 굳게 잘 지키지 못하게 되었음인데, 이에 예()가 아닌데도 움직여서

행실이 이미 순하지 않은데, 만약 그를 취하고자 하면 이로움을 더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이르기를 몸을 지키지 않았으니 다스려[]도 이로움이 없다.[不有躬 无攸利]”라고 한 것이다.

 

 

勿用取女行不順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함은 행실이 순하지 않았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勿用取女之義所以勿用取此女者以女行不順故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勿用取女]”함의 뜻을 해석함이다.

이 여자를 취하여 쓰지 말라하는 것의 까닭은, 그로써 여자의 행실이 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六四困蒙

육사(六四)는 철부지의 곤란함이니 부끄럽다

 

王弼 注 獨遠於陽處兩陰之中闇莫之發故曰困蒙也困於蒙昧不能比賢以發其志亦以鄙矣故曰吝也

왕필 주홀로 양()에서 멀고 두 음()의 가운데 처하며 어둠을 떠쳐냄이 없기 때문에 말하기를 "철부지의 곤란"이라고 하였다. 철부지 어두움에 곤란함은 그 뜻을 잇닿은 현명함으로써 잘 펼쳐내지 못함이며, 또한 그로서 비루함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부끄럽다"라고 했다.

 

[孔穎達 疏]正義曰此釋六四爻辭也六四在兩陰之中去九二既遠無人發去其童蒙故曰困於蒙昧而有鄙吝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이는 육4(六四)의 효사(爻辭)를 해석하였다. 4(六四)가 두 음()의 가운데에 있고 구2(九二)와의 거리가 이미 멀어서 그 철부지 아이를 계발(啓發)하여 제거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말하기를 철부지가 어두움에 곤궁하여서 더럽고 부끄러움이 있다.”고 하였다.

 

 

困蒙之吝獨遠實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철부지의 곤란함이 부끄러움은 홀로 알참[]과 멀기 때문이다

 

王弼 注 陽稱實也

왕필 주()을 알참을 칭함이다.

 

[孔穎達 疏]「《獨遠實也」。

正義曰:「獨遠實實謂九二之陽也九二以陽故稱實也六三近九二六五近上九又應九二唯此六四既不近二又不近上故云獨遠實也」。

陽實也」。

正義曰陽主生息故稱實陰主消損故不得言實

공영달소(孔穎達 ) () {상왈(象曰)에서 독원실야(獨遠實也)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홀로 알참[]과 멀다[獨遠實]”라는 것의, ‘()’은 구2(九二)의 양()을 말하며, 2(九二)가 양()이기 때문에 알참[]’이라고 칭하였다.

3(六三)은 구2(九二)와 가깝고 육5(六五)는 상구(上九)와 가까우며 또 구2(九二)와 응()하는데, 오직 이 육4(六四)는 이미 구2(九二)와 가깝지 않고 또 상구(上九)와도 가깝지 않기 때문에 이르기를 홀로 알참[]과 멀다[獨遠實也]”라고 하였다.

왕필 (王弼 ) 양실야(陽實也)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 낳고 번식을 주()로 하기 때문에 알참[]이라 칭하였으며, ()은 사라지고 줄어듦을 주()로 하기 때문에 알참[]을 말하지 못함이다.

 

 

[孔穎達 疏]「《獨遠實也」。

공영달소(孔穎達 ) () {상왈(象曰)에서 독원실야(獨遠實也)까지.}

正義曰:「獨遠實實謂九二之陽也九二以陽故稱實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홀로 알참[]과 멀다[獨遠實]”라는 것의, ‘()’은 구2(九二)의 양()을 말하며, 2(九二)가 양()이기 때문에 알참[]’이라고 칭하였다.

六三近九二六五近上九又應九二唯此六四既不近二又不近上故云獨遠實也」。

3(六三)은 구2(九二)와 가깝고 육5(六五)는 상구(上九)와 가까우며 또 구2(九二)와 응()하는데, 오직 이 육4(六四)는 이미 구2(九二)와 가깝지 않고 또 상구(上九)와도 가깝지 않기 때문에 이르기를 홀로 알참[]과 멀다[獨遠實也]”라고 하였다.

陽實也」。

왕필 (王弼 ) 양실야(陽實也)까지

正義曰陽主生息故稱實陰主消損故不得言實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 낳고 번식을 주()로 하기 때문에 알참[]이라 칭하였으며, ()은 사라지고 줄어듦을 주()로 하기 때문에 알참[]을 말하지 못함이다.

 

 

六五童蒙

육오(六五)는 철부지 아이가 길하다

 

王弼 注 以夫陰質居於尊位不自任察而委於二付物以能不勞聰明功斯克矣故曰童蒙吉

왕필 주그 음()의 자질(資質)로써 높은 자리에 거주하고, 스스로 임하여 살피지 않으면서 구2(九二)에 의지하고 사물을 부탁함을 잘하며 총명하여 수고롭지는 않고 공()을 잘 극복한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철부지 아이가 길하다."라고 했다.

 

[孔穎達 疏]正義曰言六五以陰居於尊位其應在二二剛而得中五則以事委任於二不勞巳之聰明猶若童稚蒙昧之人故所以得吉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5(六五)가 음()으로써 높은 지위에 거주하고, 그 응()함이 구2(九二;)에 있으며 구2(九二)가 굳세면서 중()을 얻었으니 육5(六五)가 구2(九二)에게 일을 위임함으로써 자기의 총명함을 수고롭게 하지 않으며, 오히려 철부지 어린 아이 같은 사람이기 때문에 길함을 얻는 까닭을 말하였음이다.

 

 

童蒙之吉順以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철부지 아이의 길함은 순응(順應)함으로써 겸손함이다

 

王弼 注 委物以能不先不為順以巽也

왕필 주물을 맡기기를 잘하여서 앞서지 않고 함도 없어서 순응(順應)함으로써 겸손함이다.

 

[孔穎達 疏]「《順以巽也」。

正義曰:「順以巽也」,釋童蒙之吉巽以順也猶委物於二順謂心順巽謂貌順故褚氏云:「順者心不違也巽者外跡相卑下也。」

委物以能順以巽也」。

正義曰:「委物以能」,謂委付事物與有能之人謂委二也。「不先不為五雖居尊位而專委任於二不在二先而首唱是順於二也。「不為謂不自造為是委任二也不先於二是心順也不自造為是貌順也

공영달소(孔穎達 ) () {상왈(象曰)에서 순이손야(順以巽也)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순응(順應)함으로써 겸손함이다[順以巽也]”, 철부지 아이[童蒙]의 길함이 겸손함으로써 따름을 해석하였는데, 사물을 구2(九二)에게 맡김과 같다.

()’은 마음을 따름을 말하고, ‘()’은 용모를 따름을 가리킴이다. 그러므로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이라는 것은, 마음이 어기지 않음이고, ()이라는 것은, 밖의 자취를 서로 낮추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왕필 (王弼 ) 위물이능(委物以能]에서 순이손야(順以巽也)까지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사물을 맡기기를 잘하여서[委物以能]”, 사물의 일을 주어서 맡김은 잘하는 사람에게 줌을 말하는데, 2(九二)에게 맡김을 말함이다.

앞서지 않고 함도 없어서[不先不爲]”라는 것은, 5(六五)가 비록 높은 지위에 거주하면서도 오로지 구2(九二)에게 위임하고 구2(九二)의 앞에 있으면서 먼저 부르지 않으니, 이는 구2(九二)를 따름이다.

함도 없어서[不爲]”라는 것은, 스스로 만들어 하지 않음을 말하는데, 이는 구2(九二)에게 위임함이다. 2(九二)보다 먼저 하지 않음은, 이는 마음을 따름이고, 스스로 만들어 하지 않음은, 이는 용모를 따름이다.

 

[孔穎達 疏]「《順以巽也」。

공영달소(孔穎達 ) () {상왈(象曰)에서 순이손야(順以巽也)까지.}

正義曰:「順以巽也」,釋童蒙之吉巽以順也猶委物於二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순응(順應)함으로써 겸손함이다[順以巽也]”, 철부지 아이[童蒙]의 길함이 겸손함으로써 따름을 해석하였는데, 사물을 구2(九二)에게 맡김과 같다.

順謂心順巽謂貌順故褚氏云:「順者心不違也巽者外跡相卑下也。」

()’은 마음이 따름을 말하고, ‘()은 용모가 따름을 가리킴이다. 그러므로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이라는 것은, 마음이 어기지 않음이고, ()이라는 것은, 밖의 자취를 서로 낮추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委物以能順以巽也」。

왕필 (王弼 ) 위물이능(委物以能]에서 순이손야(順以巽也)까지

正義曰:「委物以能」,謂委付事物與有能之人謂委二也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물을 맡기기를 잘하여서[委物以能]”, 사물의 일을 주어서 맡김은 잘하는 사람에게 줌을 말하는데, 2(九二)에게 맡김을 말함이다.

不先不為五雖居尊位而專委任於二不在二先而首唱是順於二也

앞서지 않고 함도 없어서[不先不爲]”라는 것은, 5(六五)가 비록 높은 지위에 거주하면서도 오로지 구2(九二)에게 위임하고 구2(九二)의 앞에 있으면서 먼저 부르지 않으니, 이는 구2(九二)를 따름이다.

不為謂不自造為是委任二也不先於二是心順也不自造為是貌順也

함도 없어서[不爲]”라는 것은, 스스로 만들어 하지 않음을 말하는데, 이는 구2(九二)에게 위임함이다. 2(九二)보다 먼저 하지 않음은, 이는 마음을 따름이고, 스스로 만들어 하지 않음은, 이는 용모를 따름이다.

 

 

上九擊蒙不利為寇利禦寇

상구(上九)는 철부지를 공격하는데, 도적이 됨은 이롭지 않고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

王弼 注 處蒙之終以剛居上能擊去童蒙以發其昧者也故曰擊蒙也童蒙願發而己能擊去之合上下之願故莫不順也為之扞禦則物咸附之若欲取之則物咸叛矣不利為寇利禦寇

왕필 주()괘의 마침에 처하고 굳셈으로써 위에 거주하며 철부지 아이를 잘 쳐서 내쫓으니 그로써 그 어두움을 계발(啓發)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격몽(擊蒙)"이라 하였다. 철부지 아이가 계발(啓發)하기를 원하여서 자기를 잘 쳐서 [몽매함을] 내쫓으니, 위와 아래의 바램에 부합하기 때문에 순응(順應)하지 않음이 없다. 방어(防禦)를 해 주면 사물은 모두 붙으려 하며, 만약 취하려고 하면 사물은 모두 배반한다, 그러므로 '도적이 됨은 이롭지 않고,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不利為寇利禦寇]'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處蒙之終以剛居上能擊去眾陰之蒙合上下之願故莫不順從也若因物之來即欲取之而為寇害物皆叛矣不利為寇若物從外來為之捍禦則物咸附之利用禦寇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괘의 끝에 처하고 굳셈으로써 위에 거주하며, 여러 음()의 철부지를 잘 공격하여 내쫓으니 위와 아래의 원함에 부합하기 때문에 순종하지 않음이 없다.

만약 사물이 말미암아 오는데 즉시 그것을 취해서 도적의 해를 입히고자 하면 사물은 모두 배반한다, 그러므로 도적이 됨은 이롭지 않다[不利為寇]”라고 함이다.

만약 사물이 밖에서 따라 왔을 적에 방어(防禦)를 해 주면 사물은 모두 붙으려 하기 때문에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利用禦寇]라고 하였다.

 

[孔穎達 疏]正義曰處蒙之終以剛居上能擊去眾陰之蒙合上下之願故莫不順從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괘의 끝에 처하고 굳셈으로써 위에 거주하며, 여러 음()의 철부지를 잘 공격하여 내쫓으니 위와 아래의 원함에 부합하기 때문에 순종하지 않음이 없다.

若因物之來即欲取之而為寇害物皆叛矣不利為寇

만약 사뭉이 말미암아 오는데 즉시 그것을 취해서 도적의 해를 입히고자 하면 사물은 모두 배반한다, 그러므로 도적이 됨은 이롭지 않다[不利為寇]”라고 함이다.

若物從外來為之捍禦則物咸附之利用禦寇

만약 사물이 밖에서 따라 왔을 적에 방어(防禦)를 해 주면 사물은 모두 붙으려 하기 때문에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利用禦寇]라고 하였다.

 

利用禦寇上下順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도적 막음을 써야 이로움은 위와 아래가 순응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所宜利為物禦寇者由上下順從故也言此爻既能發去眾蒙以合上下之願又能為之禦寇故上下彌更順從也

공영달소(孔穎達 ) 바른 [正義] 말한다. 마땅히 사물을 위하여 도적을 막아주는 것이 이로움은, 위와 아래가 순종하기 때문이다.

이 효()가 이미 여러 철부지를 잘 계발(啓發)하여 제거하고 그로써 위와 아래의 원함에 부합하며 또 그를 위하여 도적을 잘 막아주기 때문에 위와 아래가 두루 다시 순종함을 말함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