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경(詩經)/2.毛詩正義[공영달]

『시경(詩經)』169. 체두(杕杜, 우뚝 선 아가위)

by 석담 김한희 2022. 9. 3.
728x90

시경(詩經)

소아(小雅) 1 녹명지습(鹿鳴之什)

 

169. 체두(杕杜, 우뚝 선 아가위)

有杕之杜有睆其實

(유체지두 유환기실)

우뚝 선 아가위나무 열매가 주렁주렁 달렸네

王事靡盬繼嗣我日

(왕사미고 계사아일)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나의 날만 이어지는데

日月陽止女心傷止征夫遑止

(일월양지 여심상지 정부황지)

세월은 시월 되어 여인의 마음 아프게 되니 떠나신 님 급하게 되었네

 

有杕之杜其葉萋萋

(유체지두 기엽처처)

우뚝 솟은 아가위나무 그 잎이 무성하구나

王事靡盬我心傷悲

(왕사미고 아심상비)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내 마음 슬퍼 아프네

卉木萋止女心悲止征夫歸止

(훼목처지 여심비지 정부귀지)

초목이 무성하여 여인의 마음 슬퍼지니 떠나신 님 돌아오게 되려나

 

陟彼北山言采其杞

(척피북산 언채기기)

저 북산에 올라 구기자 나무 캐라고 하는데

王事靡盬憂我父母

(왕사미고 우아부모)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내 부모님 근심하시네

檀車幝幝四牡痯痯征夫不遠

(단거천천 사모관관 부불원)

박달나무 수레 터덜거리고 네필 말 지쳤지만 떠나신 님 멀지 않다네

 

匪載匪來憂心孔疚

(비재비래 우심공구)

수레 타고 오지 않으니 마음의 근심 병들었네

期逝不至而多為恤

(기서불지 이다위휼)

기한이 지나도 오지 않으니 시름이 많아져서

卜筮偕止會言近止征夫邇止

(복서해지 회언근지 정부이지)

거북점 시초점 치니 가까이 온다 하는데 떠나신 님 가까이 오시려나

 

杕杜》,四章章七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 ()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杕杜》,勞還役也

모시 서 <체두(杕杜)>는 군역(軍役)에서 돌아오는 [병사를] 위로한 시()이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有杕之杜有睆其實

(유체지두 유환기실)

우뚝 선 아가위나무 열매가 주렁주렁 달렸네

毛亨  興也實貌杕杜猶得其時蕃滋役夫勞苦不得盡其天性

모형 전 일으킴[]이다. (, 가득 찬 모양 환)은 열매의 모양이다. 우뚝 선 아가위[체두(杕杜)], 오히려 그 때가 불어나 늘어남을 얻었지만 군역(軍役) 병사들의 노고를 위로함이 하늘의 본성을 다 얻지는 못했음이다.

王事靡盬繼嗣我日

(왕사미고 계사아일)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나의 날만 이어지는데

日月陽止女心傷止征夫遑止

(일월양지 여심상지 정부황지)

세월은 시월 되어 여인의 마음 아프게 되니 떠나신 님 급하게 되었네

 

有杕之杜其葉萋萋

(유체지두 기엽처처)

우뚝 솟은 아가위나무 그 잎이 무성하구나

王事靡盬我心傷悲

(왕사미고 아심상비)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내 마음 슬퍼 아프네

卉木萋止女心悲止征夫歸止

(훼목처지 여심비지 정부귀지)

초목이 무성하여 여인의 마음 슬퍼지니 떠나신 님 돌아오게 되려나

毛亨  室家逾時則思

모형 전 부부(夫婦; 室家)는 구차(苟且)스러우면 사모(思慕)함이다.

 

陟彼北山言采其杞

(척피북산 언채기기)

저 북산에 올라 구기자 나무 캐라고 하는데

王事靡盬憂我父母

(왕사미고 우아부모)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내 부모님 근심하시네

檀車幝幝四牡痯痯征夫不遠

(단거천천 사모관관 부불원)

박달나무 수레 터덜거리고 네필 말 지쳤지만 떠나신 님 멀지 않다네

毛亨  檀車役車也敝貌罷貌

모형 전 박달나무 수레[단거(檀車)], 군역(軍役)하는 수레이다. 천천(幝幝, 해진 모양 천), 닳아 해진 모양이다. 관관(痯痯, 지칠 관), 고달픔이다.

 

匪載匪來憂心孔疚

(비재비래 우심공구)

수레 타고 오지 않으니 마음의 근심 병들었네

期逝不至而多為恤

(기서불지 이다위휼)

기한이 지나도 오지 않으니 시름이 많아져서

毛亨  憂也遠行不必如期室家之情以期望之

모형 전 (, 갈 서)는 감이다. (, 불쌍할 휼)은 근심함이다. 멀리 가면 반드시 기한(期限)을 같이하지는 않지만, 부부[室家]의 정()은 기한을 가지고 바란다.

卜筮偕止會言近止征夫邇止

(복서해지 회언근지 정부이지)

거북점 시초점 치니 가까이 온다 하는데 떠나신 님 가까이 오시려나

毛亨  卜之筮之會人占之近也

모형 전 거북점[]과 시초점[]을 치면 사람들이 첨치는 데에 모인다. (, 가까울 이)는 가까움이다.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 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戍役也

정현 서 부역(負役)은 수자리 군역(軍役)이다.

 

有杕之杜有睆其實

(유체지두 유환기실)

우뚝 선 아가위나무 열매가 주렁주렁 달렸네

王事靡盬繼嗣我日

(왕사미고 계사아일)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나의 날만 이어지는데

鄭玄  箋雲續也王事無不堅固我行役續嗣其日言常勞苦無休息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이을 사)는 계속(繼續)함이다. 나랏 일은 견고하지 않음이 없어야 하니, 내가 그 일[]을 계속 이어 군역(軍役)을 행함이다. 항상 수고로움을 위로함은, 휴식이 없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日月陽止女心傷止征夫遑止

(일월양지 여심상지 정부황지)

세월은 시월 되어 여인의 마음 아프게 되니 떠나신 님 급하게 되었네

鄭玄  箋雲十月為陽暇也婦人思望其君子陽月之時已憂傷矣征夫如今已閒暇且歸也而尚不得歸故序其男女之情以說之陽月而思望之者以初時雲歲亦莫止」。

정현 전 ()에 이르기를 “10(十月)을 양() 월이라 한다. 부인이 그 남편을 생각하고 바람은, 때가 10[陽月]이면 이미 근심하고 애태웠음이다. 출정(出征)한 군사(軍士)가 지금 이미 한가(閒暇)하고 또 돌아감은 같은데도, 오히려 돌아감을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 남녀의 정()을 차례로 하여서 설명을 하였다. 10[陽月] 달인데도 생각하고 바란다는 것은, 그로써 처음의 때를 이르기를 올해도 또 저물어감을 말하였음이다..라고 하였다.

 

有杕之杜其葉萋萋

(유체지두 기엽처처)

우뚝 솟은 아가위나무 그 잎이 무성하구나

王事靡盬我心傷悲

(왕사미고 아심상비)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내 마음 슬퍼 아프네

鄭玄  箋雲傷悲者念其君子於今勞苦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상심하고 슬퍼함[傷悲]이라는 것은, 그 남편이 지금 수고함를 위로할 생각이다.라고 하였다.

卉木萋止女心悲止征夫歸止

(훼목처지 여심비지 정부귀지)

초목이 무성하여 여인의 마음 슬퍼지니 떠나신 님 돌아오게 되려나

 

陟彼北山言采其杞

(척피북산 언채기기)

저 북산에 올라 구기자 나무 캐라고 하는데

王事靡盬憂我父母

(왕사미고 우아부모)

나라 일 끝나지 않아 내 부모님 근심하시네

鄭玄  箋雲杞非常菜也而升北山采之託有事以望君子

정현 전 ()에 이르기를 구기자[]는 떳떳한 나물이 아닌데도 북쪽 산에 올라가 캐라고 하였음은, 일이 있음을 가지고 남편에게 바라는 것을 의탁(依託)하였다.라고 하였다.

檀車幝幝四牡痯痯征夫不遠

(단거천천 사모관관 부불원)

박달나무 수레 터덜거리고 네필 말 지쳤지만 떠나신 님 멀지 않다네

鄭玄  箋雲不遠者言其來喻路近

정현 전 ()에 이르기를 멀지 않다는 것은, [남편]가 오는데 가까운 길을 깨우쳐 줌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匪載匪來憂心孔疚

(비재비래 우심공구)

수레 타고 오지 않으니 마음의 근심 병들었네

鄭玄  箋雲病也君子至期不裝載意不為來我念之憂心甚病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비적 비)는 아님이다. (, 고질병 구)는 질병(疾病)이다. 군자[남편]가 기한에 이르렀는데도 짐을 꾸려 싣지 않았음은, 뜻이 오려고 하지 않았음인데 내가 그것을 생각하니 근심하는 마음이 심하게 아품이다.라고 하였다.

期逝不至而多為恤

(기서불지 이다위휼)

기한이 지나도 오지 않으니 시름이 많아져서

卜筮偕止會言近止征夫邇止

(복서해지 회언근지 정부이지)

거북점 시초점 치니 가까이 온다 하는데 떠나신 님 가까이 오시려나

鄭玄  箋雲合也或卜之或筮之俱占之合言於繇為近征夫如今近耳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함께 해)는 함께함이다. (, 모일 회)는 합함이다. 혹 거북점을 치고 혹 시초점을 쳐서 점친 것을 모두 합하니, 점사[]에 가까이 하였다고 말하였으니 출정(出征)한 군사(軍士)가 지금 가까운 듯 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毛亨 鄭玄, ()나라 孔穎達.

()나라 모형(毛亨) 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杕杜》,勞還役也。(戍役也。)

 

有杕之杜有睆其實興也實貌杕杜猶得其時蕃滋役夫勞苦不得盡其天性。)

王事靡盬繼嗣我日箋雲續也王事無不堅固我行役續嗣其日言常勞苦無休息。)

 

日月陽止女心傷止征夫遑止箋雲十月為陽暇也婦人思望其君子陽月之時已憂傷矣征夫如今已閒暇且歸也而尚不得歸故序其男女之情以說之陽月而思望之者以初時雲歲亦莫止」。○閒音閑說音悅莫音暮本亦作」。)

 

有杕遑止」。○正義曰文王勞還役言汝等在外妻皆思汝言有杕然特生之杜猶得其時有見然其實蕃滋得所我君子獨行役勞苦不得安於室家以盡天性而生子孫乃杕杜之不如所以然者由王之事理皆當無不攻致使我君子行役繼續我所行之日朝行明去不得休息至於此日月陽止十月之時爾室家婦人之心憂傷矣以為征夫而今已閒暇且應歸矣而尚不歸所以憂傷

 

有杕之杜其葉萋萋

王事靡盬我心傷悲箋雲傷悲者念其君子於今勞苦。)

 

卉木萋止女心悲止征夫歸止室家逾時則思。○息嗣反又如字。)

 

疏傳室家逾時則思」。○正義曰傳以卉木萋止則時未黃落猶憂愁也前期雲歲亦暮止」,未至歸期而女心悲者以室家之情逾時則思也

 

陟彼北山言采其杞

王事靡盬憂我父母箋雲杞非常菜也而升北山采之託有事以望君子。○杞音起。)

 

檀車單四牡痯征夫不遠檀車役車也敝貌罷貌箋雲不遠者言其來喻路近。○徒丹反尺善反又敕丹反,《說文:「車敝也從巾。」《韓詩糸羨」,音同古緩反婢世反罷音皮。)

 

陟彼不遠」。○正義曰言汝戍役之妻思爾而不得故升彼北山之上我采其杞木之菜杞木本非食菜而升北山以采之者是記有事以望汝也以汝勞苦故言王事無不堅固以君子勞苦堅故之由是使我憂之父母實夫也謂之父母由己尊之又親之也又言我君子所乘檀木之役車今單然弊所乘四牡之馬今痯然疲征夫之來不遠當應至也如何許時不至使己念之。○杞非君子」。○正義曰此類上下皆陳婦人思夫之事故為託采以望君子不與北山同也以下章期逝不至」,上章我心傷悲憂我父母謂夫為父母也。《日月:「父兮母兮畜我不卒。」莊薑稱莊公為父母與此同也。○檀車役車」。○正義曰此戍役之妻說君子所乘役車也以檀木為車。《伐檀坎坎伐檀兮」,又曰伐輪」、「伐輻」,是檀可為車之輪大明檀車煌煌」,武王之戎車是檀之所施於車廣矣則役夫以從征之故其甲士三人所乘之車而備四馬故曰四牡非庶人尋常得乘四馬也

 

匪載匪來憂心孔疚箋雲病也君子至期不裝載意不為來我念之憂心甚病。○居又反。)

期逝不至而多為恤憂也遠行不必如期室家之情以期望之。)

 

卜筮偕止會言近止征夫邇止卜之筮之會人占之近也箋雲合也或卜之或筮之俱占之合言於繇為近征夫如今近耳。○直又反。)

 

匪載邇止」。○毛以為文王勞戍役言汝之室家雲我君子歸期已至今非裝載乎其意非為來乎何為使我念之憂心以至於甚病所以然者汝室家言本與我期已往過矣於今由不來至由是而使我念之多為憂以致病矣汝室家既憂或卜之或筮之其卜筮俱會聚人占之其言近止既占雲近則征夫如今且近止應到不遠矣汝室家念汝如是也。○鄭唯卜之筮之俱占之合言於繇為異餘同。○會人占之」。○正義曰傳以會之言是會聚人占之義即與士冠禮》「筮日」,《士喪禮》「筮宅旅占故為會人占之箋以上句言偕止俱占之若不為占則文皆空設。「既為占當為合故易之為合言於繇謂合言於兆卦之繇也

 

杕杜四章章七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