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도덕경(道德經) 13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上, 辱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寵辱若驚.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故貴以身, 爲天下者若, 可以寄天下

愛以身, 爲天下者若, 可以託天下

총애와 모욕에 놀란듯이 하고, 귀함과 큰 걱정을 자신과 같이 한다

무엇을 일컫기를 '총애와 모욕에 놀란듯이 함'이라 하는가

총애는 위에서 하고, 굴욕은 아래에서 하니

얻게 되어도 놀란 듯이 하고

잃게 되어도 놀란 듯이 하는데

이를 일컫기를 '총애와 모욕에 놀란듯이 함'이라 한다.

무엇을 일컫기를 '귀함과 크게 근심함을 자신 같이 함'이라 하는가 ?

내가 크게 근심하는 것이 있는 까닭은, 내가 자신에게 있게 함인데

내가 자신을 없음에 미치게 한다면, 내가 어찌 근심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자신을 귀하게 함을 가지고 천하 사람들에게 한다면, 천하에 의지 할 수 있고

자신을 아낌을 가지고 천하 사람들에게 한다면, 천하에 의탁 할 수 있다.

 

 

 도덕경 초죽간(楚竹簡)

1993년 중국 호북성 초나라 무덤에서 백본보다 300년 앞선 초간(楚簡)이 출토 되었는데 분석한 결과 노자와 동 시대인 기원전 500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출토된 죽간은 총 804매 였는데 그 중 71매가 도덕경을 기록한 죽간이었고, 3묶음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갑본, 을본, 병본으로 나누었다.

 

○ 초죽간(楚竹簡) 乙本-04

人寵辱若嬰, 貴大患若身

사람이 총애와 모욕은 어린애와 같고, 귀함과 큰 근심은 자신과 같다.

何謂寵辱

무엇을 가리켜 총애와 모욕이라 하는가?

寵爲下也 得之若嬰 失之若 嬰.

총애는 아래로 하는데, 얻었을 적에는 어린애 같고 잃었을 적에도 어린애 같으니,

是謂寵辱 ...[파본]...若身

이것을 가리켜 총애와 모욕이라 한다. 어린애... [파본]···자신과 같다.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내가 크게 근심하는 것이 있는 까닭은, 내가 [근심을]자신에게 있게 함이며;

及吾亡身, ...[파본]...

내가 자신에 없음에 미친다면, ...

...[파본]...爲天下若

[파본]...천하가 된다면,

可以託天下矣

천하를 맡길 수 있다.

愛以身 爲天下若

자신을 아껴서 천하가 된다면,

可以寄天下矣

천하에 의지 할 수 있다.

 

 도덕경 백서(帛書)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에서 발굴된 백서(帛書) 도덕경 통행본과 거의 같은 두 종류의 노자 백서본(老子 帛書本)이 발견되었는데 갑본(甲本)은 한고조(漢高祖, 재위 BC206BC195) 이전의 것이고 을본(乙本)은 그 이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 백서(帛書)본 제13장

龍辱若驚貴大患若身苛胃龍辱若驚龍之為下得之若驚失若驚是胃龍辱若驚何胃貴大患若身吾所以有大患者為吾有身也及吾無身有何患故貴為身於為天下若可以託天下矣愛以身為天下女何以寄天下

 

弄辱若驚貴大患若身何胃弄辱若驚弄之為下也得之若驚失之若驚是胃弄辱若驚何胃貴大患若身吾所以有大患者為吾有身也及吾無身有何患故貴為身於為天下若可以橐天下愛以身為天下女可以寄天下矣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