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5 위풍(衛風≫
◎ 59. 죽간(竹竿, 대나무 낚싯대)
籊籊竹竿 以釣于淇
(적적죽간 이조우기)
길고 가는 낚싯대로 기수에서 낚시를 하는데
豈不爾思 遠莫致之
(기불이사 원막치지)
어찌 그대 생각 않을까 멀어서 가지 못한다네
泉源在左 淇水在右
(천원재좌 기수재우)
기수 근원 왼쪽인데 기수 강물 오른쪽에 있다네
女子有行 遠兄弟父母
(여자유행 원형제부모)
여자가 시집을 가면 부모형제와 멀어지는구나
淇水在右 泉源在左
(기수재우 천원재좌)
기수 강물 오른쪽에 있는데 기수 근원 왼쪽이라네
巧笑之瑳 佩玉之儺
(교소지차 패옥지나)
예쁜 미소 남다르고 차고 있는 구슬은 절도있다네
淇水滺滺 檜揖松舟
(기수유유 회읍송주)
기수 강물 유유히 흐르는데 전나무 노와 소나무 배
駕言出遊 以寫我憂
(가언출유 이사아우)
타고 나가 놀자 말하니 그로써 나의 근심 씻으리라
《竹竿》四章,章四句。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한(漢)나라 모형(毛亨, ?~?)이 『시』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는데, 정현(鄭玄)이 전(箋)을 달고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서 전해 오는 오늘날의 『시경』이다.
【毛詩序】 <竹竿>, 衛女思歸也, 適異國而不見答, 思而能以禮者也.
【모시 서】 <죽간(竹竿)>은 위(衛)나라 여인이 (친정으로) 돌아갈 것을 생각한 것이다. 다른 나라를 맞이[출가]하였으나 사랑[答]을 받지 못하였는데, [돌아갈]생각하면서도 예로써 잘 한 것이다.
籊籊竹竿,以釣於淇。
<길고 가는 낚싯대로 기수에서 낚시를 하는데>
【毛亨 傳】 興也。籊籊,長而殺也。釣以得魚,如婦人待禮以成為室家。
【모형 전】 흥(興)이다. 적적(籊籊, 가늘고 길 적)은 길면서 감해짐이다. 낙시대로써 고기를 잡음은 부인이 예로써 이루어 실가를 이루려고 기다리는 것과 같음이다.
豈不爾思?遠莫致之。
<어찌 그대 생각 않을까 멀어서 가지 못한다네>
泉源在左,淇水在右。
<기수 근원 왼쪽인데 기수 강물 오른쪽에 있다네>
【毛亨 傳】 泉源,小水之源。淇水,大水也。
【모형 전】 천원(泉源)은 물의 적은 근원이다. 기수(淇水)는 큰 물이다.
女子有行,遠兄弟父母。
<여자가 시집을 가면 부모형제와 멀어지는구나>
淇水在右,泉源在左。
<기수 강물 오른쪽에 있는데 기수 근원 왼쪽이라네>
巧笑之差,佩玉之儺。
<예쁜 미소 남다르고 차고 있는 구슬은 절도있다네>
【毛亨 傳】 差,巧笑貌。儺,行有節度。
【모형 전】 차(差, 다를 차)는 미소가 예쁜 모습이다. 나(儺, 푸다꺼리 나)는 행동에 절도가 있음이다.
淇水滺滺,檜楫鬆舟。
<기수 강물 유유히 흐르는데 전나무 노와 소나무 배>
【毛亨 傳】 滺滺,流貌。檜,柏葉鬆身。楫,所以棹舟也。舟楫相配,得水而行,男女相配,得禮而備。
【모형 전】 유유(滺滺)는 흘러가는 모양이다. 회(檜, 전나무 회)는 측백나무 잎에 소나무의 몸이다. 즙(楫, 노 즙)은 노를 젓는 까닭이다. 배와 노는 서로 짝하는데, 물을 얻어서 행함이 남녀가 서로 짝하여 예를 갖추어서 얻음이다.
駕言出遊,以寫我憂。
<타고 나가 놀자 말하니 그로써 나의 근심 씻으리라>
【毛亨 傳】 出遊,思鄉衛之道。
【모형 전】 나가 놂[出遊]은 위나라 향리(鄕里)의 도를 생각함이다.
《竹竿》四章,章四句。
'▣ 시경(詩經) > ◑毛詩傳 305篇[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경 58. 맹(氓, 귀화한 백성)/毛詩傳 (0) | 2025.04.29 |
---|---|
◎ 시경 57. 석인(碩人, 덕있는 사람)/毛詩傳 (0) | 2025.04.27 |
◎ 시경 56.고반(考槃, 오두막을 짓다) /毛詩傳 (0) | 2025.04.25 |
◎ 시경 55. 기오(淇奧, 기수 물굽이)/毛詩傳 (1) | 2025.04.23 |
◎ 시경 54. 재치(載馳, 말을 달려라)/毛詩傳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