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주소(論語註疏)』
◎ 『논어(論語)』
○ 위정(為政) 卷 2- 10
2-10)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人焉廋哉, 人焉廋哉?"
(자왈: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 인언수재, 인언수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쓰이는 바를 보고, 그 말미암은 바를 관찰하며, 그 편안한 바를 살펴 본다면, 사람이 어찌 숨기겠으며 사람들이 어찌 숨기겠는가?”
《논어집해(論語集解)》
【集解】子曰:「視其所以,(以,用也。言視其所行用。◎何晏 注 : “이(以)”는 쓰임이다. 그가 쓰임을 행하는 바를 본다는 말이다.)觀其所由,(由,經也。言觀其所經從。◎何晏 注 : 유(由)”는 경유함이다. 그 경유한 바를 관찰한다는 말이다.)察其所安,人焉廋哉?人焉廋哉?」(孔曰:「廋,匿也。言觀人終始,安所匿其情。」 ◎공안국이 말하였다:“수(廋: 숨길 수)”는 숨김이다. 사람의 마침과 시작을 관찰하는데, 어떻게 그 실정을 숨길 바 있는가라는 말이다.)
《논어주소(論語註疏)》
○【註疏】 「 子曰」 至 「廋哉」。◎
○【註疏】 논어 경문(經文)의 [자왈(子曰)]에서 [수재(廋哉)]까지
○正義曰:此章言知人之法也。
○正義曰:이 장(章)은 사람을 알아보는 방법을 말한 것이다.⇒
「視其所以」者,以,用也。言視其所以行用。
[경문(經文)에서] "그 쓰이는 바를 보고[視其所以]라는 것의, 이(以)는 쓰임이며, 그로써 쓰임을 행하는 바를 본다는 말이다.
「觀其所由」者,由,經也。言觀其所經從。
[경문(經文)에서] "그 말미암은 바를 관찰하며[觀其所由]라는 것의, 유(由)는 지남이며, 그 경유하여 좇은 바를 관찰한다는 말이다.
「察其所安」者,言察其所安處也。
[경문(經文)에서] "그 편안한 바를 살펴 본다면[察其所安]라는 것은, 그 편안하게 처하는 바를 살핀다는 말이다.
「人焉廋哉?人焉廋哉」者,廋,匿也;焉,安也。言知人之法,但觀察其終始,則人安所隱匿其情哉?再言之者,深明情不可隱也。
[경문(經文)에서] "사람이 어찌 숨기겠으며, 사람이 어찌 숨기겠는가?[人焉廋哉 人焉廋哉]라는 것의, 수(廋: 숨길 수)는 감춤이고, 언(焉: 어찌 언)은 어찌이다. 사람을 알아보는 방법은, 단지 그 시작과 마침을 살피면 사람이 그 실정을 숨기고 감추는 바를 본다는 말이다. 두 번 말을 한 것은, 실정을 숨길 수 없음을 깊이 밝힌 것이다.
◎ 譯註 1:『說文解字注』⇒ "觀"
(觀) 諦視也。宷諦之視也。穀梁傳曰:常事曰視,非常曰觀。凡以我諦視物曰觀,使人得以諦視我亦曰觀,猶之以我見人,使人見我皆曰視。
○ 현(見: 뵐 현)은, 저쪽에서 보여오는 것.
○ 시(視: 볼 시)는, 이쪽에서 계속보는 것.
○ 관(觀: 볼 관)은, 이쪽에서 가끔보는 것.
○ 찰(察: 살필 찰)은, 덮어서 상세하게 살펴보는 것.
'◑논어주소(注疏)[刑昺] > 2.위정(為政)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논어주소(論語註疏)』 위정(為政) 卷 2- 12 (2) | 2024.03.28 |
---|---|
◎ 『논어주소(論語註疏)』 위정(為政) 卷 2- 11 (0) | 2024.03.26 |
◎ 『논어주소(論語註疏)』 위정(為政) 卷 2- 9 (2) | 2024.03.22 |
◎ 『논어주소(論語註疏)』 위정(為政) 卷 2- 8 (0) | 2024.03.20 |
◎ 『논어주소(論語註疏)』 위정(為政) 卷 2- 7 (1)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