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注)와 한강백(韓康伯)의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 坤上
☶ 艮下
간[山.산]이 아래에 있고, 곤[地.땅]이 위에 있다.
謙,亨,君子有終。 겸(謙)은, 형통하니, 군자는 끝마침이 있다. |
[孔穎達 疏]正義曰:「謙」者,屈躬下物,先人後己,以此待物,則所在皆通,故曰「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謙,겸손할 겸)이라는 것은, 몸을 굽히고 사물[사람]에게 아래하고 남을 먼저하고 자기를 뒤에 하며, 이로써 사물[남]을 대하면 있는 곳마다 모두 통한기 때문에 “형통[亨]함”이라고 말한 것이다. 小人行謙則不能長久,唯「君子有終」也。 小人이 겸(謙)을 행하면 길게 오래하지를 잘 못하고, 오직 ’군자가 끝마침이 있음[君子有終]’이다. 然案謙卦之象,「謙」為諸行之善,是善之最極,而不言元與利貞及吉者,元是物首也,利、貞是幹正也。 그러나 겸괘(謙卦)의 모습[象]을 살펴보면 겸(謙)은 여러 행실의 착함이 되는데, 이는 선(善)의 가장 지극함이다. 그런데 원(元)과 이(利)와 정(貞)과 길(吉)을 말하지 않은 것은, 원(元)은 바로 사물의 머리이고 이(利)와 정(貞)은 바로 줄기가 바름이다. 於人既為謙退,何可為之首也?以謙下人,何以幹正於物?故不云元與利、貞也。 남에게 이미 겸손하여 물러나게 되면 어찌 머리를 할 수 있겠는가? 겸(謙)으로써 남에게 아래하면 어찌 근간으로써 사물[남]을 바로잡겠는가? 그러므로 원(元)과 이(利)와 정(貞)을 일러주지 않았다. 謙必獲吉,其吉可知,故不言之。 겸(謙)은 반드시 길함을 얻으니, 그 길함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것[吉]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況《易經》之體有吉理可知而不言吉者,即此《謙卦》之繇及《乾》之九五「利見大人」,是吉理分明,故不云「吉」也。諸卦言「吉」者,其義有嫌者,爻兼善惡也。 하물며 《역경(易經)》의 몸체[體]에 길(吉)한 이치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면서도 길함을 말하지 않은 것은, 바로 이 겸괘(謙卦)의 괘사(卦辭)와 건괘(乾卦) 구5(九五)에 ‘대인을 만남이 이롭다[利見大人]’라고 했는데, 이는 길함의 이치가 분명하기 때문에 길(吉)을 일러주지 않았다. 여러 괘(卦)에 길함을 말한 것은, 그 뜻이 혐의가 있는 것은, 효(爻)에 선(善)과 악(惡)을 겸한 것이다. 若行事有善,則吉乃隨之。若行事有惡,則不得其吉。諸稱「吉」者,嫌其不言,故稱「吉」也。 만약 행하는 일이 선(善)함이 있으면 길함이 마침내 따르게 되고, 만약 행하는 일이 악(惡)함이 있으면 길함을 얻지 못하며, 여러 길함을 칭한 것은 그 말하지 않음을 혐의하기 때문에 길(吉)함을 칭한 것이다. 若坤之六五,及泰之六五,並以陰居尊位,若不行此事,則無吉,若行此事,則得其吉,故並稱「元吉」。 만약 곤괘(坤卦)의 육5(六五)와 태괘(泰卦)의 육5(六五)는 나란히 음(陰)으로써 높은 지위에 거주하였고, 만약 이 일을 행하지 않으면 길함이 없으며 만약 이 일을 행하면 길함을 얻기 때문에 나란히 ‘원길(元吉)’이라 칭한 것이다. 其餘皆言吉,事亦仿此。亦有大人為吉,於小人為凶,若《否》之九五云:休否,大人吉」是也。 그 나머지 모두 길(吉)함을 말한 것도 일이 또한 이를 모방했으며, 또한 대인(大人)은 길함이 되고 소인(小人)에게는 흉함이 있는데, 만약 비괘(否卦)의 구5(九五)에 이르기를 “막힘을 따뜻하게 하니, 대인이 길하다[休否,大人吉]”라고 함이 이것이다. 或有於小人為吉,大人為凶,若屯之九五「小貞吉,大貞凶」,及《否》之六三「包承,小人吉」之類是也。 혹 소인(小人)에게 길함이 되고 대인(大人)에게 흉함이 됨이 있는데, 만약 둔괘(屯卦)의 구5(九五)에 “조금 곧으면 길하고 크게 곧으면 흉하다.”와, 비괘(否卦)의 육3(六三)에 “받들어 품으니, 소인(小人)은 길하다.”라고 함의 부류가 이것이다. 亦有其吉灼然而稱「吉」者,若《大有》上九「自天祐之,吉無不利」之類是也。 또한 그 길(吉)함이 분명한데도 길함을 칭함이 있는 것은, 대유괘(大有卦) 상구(上九)에 “하늘이 스스로 도와 주어서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함과 같은 부류가 이것이다. 但《易》之為體,不可以一為例。今各隨文解之,義具諸卦之下。今《謙卦》之繇,其吉可知也。 다만 《주역(周易)》의 몸체[體]는 한 가지로써 사례를 삼을 수가 없으며, 지금 각각 글에 따라서 해석을 하여 뜻이 여러 괘(卦)의 아래에 갖추었는데, 지금 겸괘(謙卦)의 괘사(卦辭)는 그 길(吉)함을 알 수 있다. 既不云「吉」,何故初六、六二及九三並云「吉」者? 이미 길(吉)함을 일러주지 않았는데 무슨 연고로 초육(初六)과 육2(六二)와 구3(九三)을 나란히 이르기를 길(吉)함이라 한 것인가? 《謙卦》是總諸六爻,其善既大,故不須云「吉」也。六爻各明其義,其義有優劣,其德既不嫌其不吉,故須「吉」以明之也。 겸괘(謙卦)는 이 여러 여섯 효(爻)를 총괄하므로 그 선(善)이 이미 크기 때문에 모름지기 이르기를 ‘길(吉)함’이라고 하지 않으며, 여섯 효(爻)는 각각 그 뜻을 밝혔으니 그 뜻에는 우열(優劣)이 있고, 그 덕(德)은 이미 길하지 않음을 혐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름지기 길(吉)함으로써 밝힌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謙」者,屈躬下物,先人後己,以此待物,則所在皆通,故曰「亨」也。小人行謙則不能長久,唯「君子有終」也。然案謙卦之象,「謙」為諸行之善,是善之最極,而不言元與利貞及吉者,元是物首也,利、貞是幹正也。於人既為謙退,何可為之首也?以謙下人,何以幹正於物?故不云元與利、貞也。謙必獲吉,其吉可知,故不言之。況《易經》之體有吉理可知而不言吉者,即此《謙卦》之繇及《乾》之九五「利見大人」,是吉理分明,故不云「吉」也。諸卦言「吉」者,其義有嫌者,爻兼善惡也。若行事有善,則吉乃隨之。若行事有惡,則不得其吉。諸稱「吉」者,嫌其不言,故稱「吉」也。若坤之六五,及泰之六五,並以陰居尊位,若不行此事,則無吉,若行此事,則得其吉,故並稱「元吉」。其餘皆言吉,事亦仿此。亦有大人為吉,於小人為凶,若《否》之九五云:休否,大人吉」是也。或有於小人為吉,大人為凶,若屯之九五「小貞吉,大貞凶」,及《否》之六三「包承,小人吉」之類是也。亦有其吉灼然而稱「吉」者,若《大有》上九「自天祐之,吉無不利」之類是也。但《易》之為體,不可以一為例。今各隨文解之,義具諸卦之下。今《謙卦》之繇,其吉可知也。既不云「吉」,何故初六、六二及九三並云「吉」者?《謙卦》是總諸六爻,其善既大,故不須云「吉」也。六爻各明其義,其義有優劣,其德既不嫌其不吉,故須「吉」以明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謙,겸손할 겸)이라는 것은, 몸을 굽히고 사물[사람]에게 아래하고 남을 먼저하고 자기를 뒤에 하며, 이로써 사물[남]을 대하면 있는 곳마다 모두 통한기 때문에 “형통[亨]함”이라고 말한 것이다.
小人이 겸(謙)을 행하면 길게 오래하지를 잘 못하고, 오직 ’군자가 끝마침이 있음[君子有終]’이다.
그러나 겸괘(謙卦)의 모습[象]을 살펴보면 겸(謙)은 여러 행실의 착함이 되는데, 이는 선(善)의 가장 지극함이다. 그런데 원(元)과 이(利)와 정(貞)과 길(吉)을 말하지 않은 것은, 원(元)은 바로 사물의 머리이고 이(利)와 정(貞)은 바로 줄기가 바름이다.
남에게 이미 겸손하여 물러나게 되면 어찌 머리를 할 수 있겠는가? 겸(謙)으로써 남에게 아래하면 어찌 근간으로써 사물[남]을 바로잡겠는가? 그러므로 원(元)과 이(利)와 정(貞)을 일러주지 않았다.
겸(謙)은 반드시 길함을 얻으니, 그 길함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것[吉]을 말하지 않은 것이다.
하물며 《역경(易經)》의 몸체[體]에 길(吉)한 이치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면서도 길함을 말하지 않은 것은, 바로 이 겸괘(謙卦)의 괘사(卦辭)와 건괘(乾卦) 구5(九五)에 ‘대인을 만남이 이롭다[利見大人]’라고 했는데, 이는 길함의 이치가 분명하기 때문에 길(吉)을 일러주지 않았다. 여러 괘(卦)에 길함을 말한 것은, 그 뜻이 혐의가 있는 것은, 효(爻)에 선(善)과 악(惡)을 겸한 것이다.
만약 행하는 일이 선(善)함이 있으면 길함이 마침내 따르게 되고, 만약 행하는 일이 악(惡)함이 있으면 길함을 얻지 못하며, 여러 길함을 칭한 것은 그 말하지 않음을 혐의하기 때문에 길(吉)함을 칭한 것이다.
만약 곤괘(坤卦)의 육5(六五)와 태괘(泰卦)의 육5(六五)는 나란히 음(陰)으로써 높은 지위에 거주하였고, 만약 이 일을 행하지 않으면 길함이 없으며 만약 이 일을 행하면 길함을 얻기 때문에 나란히 ‘원길(元吉)’이라 칭한 것이다.
그 나머지 모두 길(吉)함을 말한 것도 일이 또한 이를 모방했으며, 또한 대인(大人)은 길함이 되고 소인(小人)에게는 흉함이 있는데, 만약 비괘(否卦)의 구5(九五)에 이르기를 “막힘을 따뜻하게 하니, 대인이 길하다[休否,大人吉]”라고 함이 이것이다.
혹 소인(小人)에게 길함이 되고 대인(大人)에게 흉함이 됨이 있는데, 만약 둔괘(屯卦)의 구5(九五)에 “조금 곧으면 길하고 크게 곧으면 흉하다.”와, 비괘(否卦)의 육3(六三)에 “받들어 품으니, 소인(小人)은 길하다.”라고 함의 부류가 이것이다.
또한 그 길(吉)함이 분명한데도 길함을 칭함이 있는 것은, 대유괘(大有卦) 상구(上九)에 “하늘이 스스로 도와 주어서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고 함과 같은 부류가 이것이다.
다만 《주역(周易)》의 몸체[體]는 한 가지로써 사례를 삼을 수가 없으며, 지금 각각 글에 따라서 해석을 하여 뜻이 여러 괘(卦)의 아래에 갖추었는데, 지금 겸괘(謙卦)의 괘사(卦辭)는 그 길(吉)함을 알 수 있다.
이미 길(吉)함을 일러주지 않았는데 무슨 연고로 초육(初六)과 육2(六二)와 구3(九三)을 나란히 이르기를 길(吉)함이라 한 것인가?
겸괘(謙卦)는 이 여러 여섯 효(爻)를 총괄하므로 그 선(善)이 이미 크기 때문에 모름지기 이르기를 ‘길(吉)함’이라고 하지 않으며, 여섯 효(爻)는 각각 그 뜻을 밝혔으니 그 뜻에는 우열(優劣)이 있고, 그 덕(德)은 이미 길하지 않음을 혐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름지기 길(吉)함으로써 밝힌 것이다.」
《彖》曰:謙,亨,天道下濟而光明,地道卑而上行。天道虧盈而益謙,地道變盈而流謙,鬼神害盈而福謙,人道惡盈而好謙。謙尊而光,卑而不可踰,君子之終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겸(謙)은 형통함이고, 하늘의 도가 아래로 구제하여 빛이 밝으며,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 하늘의 도는 가득 차면 이지러지게 하여서 겸손으로 더해주고, 땅의 도는 가득 차면 변하게 하여 겸손으로 흐르며, 귀신은 가득 차면 해롭게 하여서 겸손으로 복되게 하고, 사람의 도는 가득 차면 미워하여서 겸손함을 좋아한다. 겸(謙)은 높으면서 빛나고, 낮아도 넘을 수 없으니, 군자의 끝마침이다." |
[孔穎達 疏]「彖曰」至「君子之終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군자지종야(君子之終也)까지.} ○正義曰:「謙亨,天道下濟而光明,地道卑而上行」者,釋「亨」義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謙)은 형통함이고, 하늘의 도가 아래로 구제하여 빛이 밝으며,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謙亨 天道下濟而光明 地道卑而上行]”라는 것은, ‘형(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欲明天地上下交通,坤體在上,故言「地道卑而上行」也。其地道既上行,天地相對,則「天道下濟」也。 하늘과 땅이 상하로 사귀어 통하여 곤(坤)의 몸체[體]가 위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기 때문에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地道卑而上行]”라고 말한 것이다. 땅의 도(道)가 이미 위로 행하여 하늘과 땅이 서로 짝하면, 하늘의 도가 아래로 구제하는 것이다. 且艮為陽卦,又為山。天之高明,今在下體,亦是天道下濟之義也。 또 간(艮)은 양(陽)의 괘(卦)가 되고 또 산이 되며, 하늘의 높고 밝음이 지금 아래 몸[體]에 있으니, 이 또한 하늘의 도(道)가 아래로 구제함의 뜻이다. 「下濟」者,謂降下濟生萬物也。而「光明」者,謂三光垂耀而顯明也。 “아래로 구제함[下濟]”라는 것은, 아래로 내려가서 만물을 구제하고 낳음을 말함이며, 그리고 ‘빛이 밝음[光明]’라는 것은, 세 가지[해, 달, 별] 빛이 광채를 드리으면서 밝음을 드러냄을 말함이다. 「地道卑而上行」者,地體卑柔而氣上行,交通於天以生萬物也。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地道卑而上行]”라는 것은, 땅의 몸[體]은 낮고 유순하면서 기(氣)가 위로 행해서 하늘에 사귀어 통하여 그로써 만물을 낳는 것이다. 「天道虧盈而益謙」者,從此巳下,廣說謙德之美,以結君子能終之義也。 “하늘의 도는 가득 차면 이지러지게 하여서 겸손으로 더해주고[天道虧盈而益謙]”라는 것은, 이로부터 이하는 겸손한 덕(德)의 아름다움을 널리 설명하여 그로써 군자가 잘 끝마침의 뜻을 맺는 것이다. 「虧」謂減損,減損盈滿而增益謙退。若日中則昃,月盈則食,是虧減其盈。盈者虧減,則謙者受益也。 ‘휴(虧, 이지러질 휴)’는 덜어져 손해(損害)됨을 말하고, 가득한 것을 덜어내어 줄어서 겸손하게 물러남에 더해서 늘어남이다. 예컨대 해가 중천이면 기울고 달이 가득차면 먹히는데 바로 그 가득함을 이지러져 덜어지며, 가득한 것이 이지러져 덜어지면 겸손한 자가 이익을 받음이다. 「地道變盈而流謙」者,丘陵川穀之屬,高者漸下,下者益高,是改變「盈」者,流布「謙」者也。 “땅의 도는 가득 차면 변하게 하여 겸손으로 흐르며[地道變盈而流謙]”라는 것은, 언덕과 냇물, 골짝의 등속은, 높은 것은 점점 낮아지고 낮은 것은 더해서 높아지니, 이는 가득한 것은 고쳐서 변하고 겸손한 것은 흘러서 펼친다. 「鬼神害盈而福謙」者,驕盈者被害,謙退者受福,是「害盈而福謙」也。 “귀신은 가득 차면 해롭게 하여서 겸손으로 복되게 하고[鬼神害盈而福謙]”라는 것은, 가득차서 교만한 자는 해를 당하고 겸손하여 물러나는 자는 복을 받는데, 이는 ‘가득 차면 해롭게 하여서 겸손으로 복되게 함[害盈而福謙]’이다. 「人道惡盈而好謙」者,盈溢驕慢,皆以惡之;謙退恭巽,悉皆好之。 “사람의 도는 가득 차면 미워하여서 겸손함을 좋아한다.[人道惡盈而好謙]”라는 것은, 가득차 넘침과 교만(驕慢)함이 모두 그로써 싫어하고, 겸손하여 물러나고 공손(恭巽)함을 모두 다 좋아하는 것이다. 「謙尊而光,卑而不可逾」者,尊者有謙而更光明盛大,卑謙而不可逾越,是君子之所終也。 “겸(謙)은 높으면서 빛나고, 낮아도 넘을 수 없으니, 군자의 끝마침이다[謙 尊而光 卑而不可踰]”라는 것은, 높은 자가 겸손함이 있으면서 다시 밝게 빛나고 성대하며 낮은데도 겸손하면 넘을 수가 없으니, 이는 군자가 끝마치는 바이다. 言君子能終其謙之善事,又獲謙之終福,故云「君子之終」也。 군자(君子)는 그 겸손함의 좋은 일을 잘 마치고 또 겸손함이 끝내 복을 얻기 때문에 이르기를 “군자의 끝마침이다[君子之終也]”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彖曰」至「君子之終也」。
○正義曰:「謙亨,天道下濟而光明,地道卑而上行」者,釋「亨」義也。欲明天地上下交通,坤體在上,故言「地道卑而上行」也。其地道既上行,天地相對,則「天道下濟」也。且艮為陽卦,又為山。天之高明,今在下體,亦是天道下濟之義也。「下濟」者,謂降下濟生萬物也。而「光明」者,謂三光垂耀而顯明也。「地道卑而上行」者,地體卑柔而氣上行,交通於天以生萬物也。「天道虧盈而益謙」者,從此巳下,廣說謙德之美,以結君子能終之義也。「虧」謂減損,減損盈滿而增益謙退。若日中則昃,月盈則食,是虧減其盈。盈者虧減,則謙者受益也。「地道變盈而流謙」者,丘陵川穀之屬,高者漸下,下者益高,是改變「盈」者,流布「謙」者也。「鬼神害盈而福謙」者,驕盈者被害,謙退者受福,是「害盈而福謙」也。「人道惡盈而好謙」者,盈溢驕慢,皆以惡之;謙退恭巽,悉皆好之。「謙尊而光,卑而不可逾」者,尊者有謙而更光明盛大,卑謙而不可逾越,是君子之所終也。言君子能終其謙之善事,又獲謙之終福,故云「君子之終」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彖曰)에서 군자지종야(君子之終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謙)은 형통함이고, 하늘의 도가 아래로 구제하여 빛이 밝으며,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謙亨 天道下濟而光明 地道卑而上行]”라는 것은, ‘형(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하늘과 땅이 상하로 사귀어 통하여 곤(坤)의 몸체[體]가 위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기 때문에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地道卑而上行]”라고 말한 것이다. 땅의 도(道)가 이미 위로 행하여 하늘과 땅이 서로 짝하면, 하늘의 도가 아래로 구제하는 것이다.
또 간(艮)은 양(陽)의 괘(卦)가 되고 또 산이 되며, 하늘의 높고 밝음이 지금 아래 몸[體]에 있으니, 이 또한 하늘의 도(道)가 아래로 구제함의 뜻이다.
“아래로 구제함[下濟]”라는 것은, 아래로 내려가서 만물을 구제하고 낳음을 말함이며, 그리고 ‘빛이 밝음[光明]’라는 것은, 세 가지[해, 달, 별] 빛이 광채를 드리으면서 밝음을 드러냄을 말함이다.
“땅의 도는 낮으면서 위로 행한다[地道卑而上行]”라는 것은, 땅의 몸[體]은 낮고 유순하면서 기(氣)가 위로 행해서 하늘에 사귀어 통하여 그로써 만물을 낳는 것이다.
“하늘의 도는 가득 차면 이지러지게 하여서 겸손으로 더해주고[天道虧盈而益謙]”라는 것은, 이로부터 이하는 겸손한 덕(德)의 아름다움을 널리 설명하여 그로써 군자가 잘 끝마침의 뜻을 맺는 것이다.
‘휴(虧, 이지러질 휴)’는 덜어져 손해(損害)됨을 말하고, 가득한 것을 덜어내어 줄어서 겸손하게 물러남에 더해서 늘어남이다. 예컨대 해가 중천이면 기울고 달이 가득차면 먹히는데 바로 그 가득함을 이지러져 덜어지며, 가득한 것이 이지러져 덜어지면 겸손한 자가 이익을 받음이다.
“땅의 도는 가득 차면 변하게 하여 겸손으로 흐르며[地道變盈而流謙]”라는 것은, 언덕과 냇물, 골짝의 등속은, 높은 것은 점점 낮아지고 낮은 것은 더해서 높아지니, 이는 가득한 것은 고쳐서 변하고 겸손한 것은 흘러서 펼친다.
“귀신은 가득 차면 해롭게 하여서 겸손으로 복되게 하고[鬼神害盈而福謙]”라는 것은, 가득차서 교만한 자는 해를 당하고 겸손하여 물러나는 자는 복을 받는데, 이는 ‘가득 차면 해롭게 하여서 겸손으로 복되게 함[害盈而福謙]’이다.
“사람의 도는 가득 차면 미워하여서 겸손함을 좋아한다.[人道惡盈而好謙]”라는 것은, 가득차 넘침과 교만(驕慢)함이 모두 그로써 싫어하고, 겸손하여 물러나고 공손(恭巽)함을 모두 다 좋아하는 것이다.
“겸(謙)은 높으면서 빛나고, 낮아도 넘을 수 없으니, 군자의 끝마침이다[謙 尊而光 卑而不可踰]”라는 것은, 높은 자가 겸손함이 있으면서 다시 밝게 빛나고 성대하며 낮은데도 겸손하면 넘을 수가 없으니, 이는 군자가 끝마치는 바이다.
군자(君子)는 그 겸손함의 좋은 일을 잘 마치고 또 겸손함이 끝내 복을 얻기 때문에 이르기를 “군자의 끝마침이다[君子之終也]”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地中有山,謙,君子以裒多益寡,稱物平施。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땅 속에 산이 있음이 겸괘(謙卦)인데, 군자가 그로써 많은데서 모아서 적은 데에 더해 주어, 사물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 【王弼 注】 多者用謙以為裒,少者用謙以為益,隨物而與 施不失平也。 【왕필 주】 많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모이게 되고, 적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더하게 되며, 사물에 따르면서 주고 베풂은 균평함을 잃지 않는다. |
[孔穎達 疏]「《象》曰」至「稱物平施」。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칭물평시(稱物平施)까지.} ○正義曰:「裒多」者,君子若能用此謙道,則裒益其多,言多者得謙,物更裒聚,彌益多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많은데서 모아서[裒多]”라는 것은, 군자(君子)가 만약 이 겸손의 도(道)를 잘 사용하면 그 많음에서 모아서 더해주며, 많은 자가 겸손함을 얻으면 사물[사람]이 다시 거두어 모여서 더욱 더하여 많아짐을 말한 것이다. 故云「裒多」,即謙尊而光也,是尊者得謙而光大也。 그러므로 이르기를 “많은데서 모은다[裒多]”라고 한 것이고, 바로 겸손함은 높여서 빛남이며, 이는 높은 자가 겸손함을 얻어서 크게 빛남이다. 「益寡」者,謂寡者得謙而更進益,即卑而不可逾也。是卑者得謙而更增益,不可逾越也。 “적은 데에 더해 주어[益寡]”라는 것은, 적은 자가 겸손함을 얻으면 더욱 보태짐에 나아가는데, 바로 낮추면 넘을 수 없음이며, 이는 낮추는 자가 겸손함을 얻어서 더욱 더하여져서 넘을 수 없는 것이다. 「稱物平施」者,稱此物之多少,均平而施,物之先多者而得其施也,物之先寡者,而亦得其施也。 “사물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稱物平施]”라는 것은, 이 사물의 많고 적음에 저울질하여 고르게 나누어서 베푸는데, 사물이 먼저 많았던 자는 그 베풀어줌을 얻고, 사물이 먼저 적었던 자이면 또한 그 베풂을 받는 것이다. 故云:「稱物平施」也。此謙卦之象以山為主, 是於山為謙於地為不謙,應言「山在地中」。 그러므로 이르기를 “사물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稱物平施]”라고 한 것이다. 이 겸괘(謙卦)의 모습[象]은 산으로써 주(主)를 삼았는데, 이는 산에게는 겸손함이 되고 땅에게는 겸손하지 않음이 되니 응당 “산이 땅 가운데 있다[山在地中]”고 말해야 한다. 今乃云「地中有山」者,意取多之與少皆得其益,似「地中有山」,以包取其物以與於人,故變其文也。 지금 이에 이르기를 “땅 가운데 산이 있다[地中有山]”고 한 것은, 많이 취한 것과 적음이 모두 그 더함을 얻어서 ‘땅 가운데 산이 있음[地中有山]을 닮았음을 뜻하며, 그로써 그 사물을 포함해 취해서 그로써 남에게 주기 때문에 그 글이 변한 것이다.」 ○注「多者用謙」至「不失平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다자용겸(多者用謙)에서 불실평야(不失平也)까지” ○正義曰:「多者用謙以為裒」者,《爾雅·釋詁》云:「裒,聚也」。於先多者,其物雖多,未得積聚,以謙故益其物更多而積聚,故云「多者用謙以為裒」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많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모이게 되고[多者用謙以爲裒]”라는 것은, 《이아(爾雅)》〈석고(釋詁)〉에 이르기를 “부(裒, 모을 부)는 모음이다.”고 하였으며, 먼저 많았던 자에게는 그 사물이 비록 많으나 쌓이고 모을 수가 없는데, 그로써 겸손하기 때문에 그 사물이 더욱 많아져서 쌓이고 모음을 더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많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모이게 된다[多者用謙以爲裒]”라고 한 것이다. 「少者用謙以為益」者,其物先少,今既用謙而更增益,故云「用謙以為益」也。 “적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더하게 되며[少者用謙以爲益]”라는 것은, 그 사물이 먼저는 적었는데 이제 이미 겸손함을 사용하여서 더욱 더하여 보태졌기 때문에 이르기를 “겸손함을 씀으로써 더하게 된다[用謙以爲益]”라고 한 것이다. 「隨物而與」者,多少俱與,隨多隨少,而皆與也。 “사물에 따르면서 주고[隨物而與]”라는 것은, 많고 적은 이에게 모두 주어서 많고 적음에 따라서 모두 주는 것이다. 「施不失平」者,多者亦得施恩,少者亦得施恩,是「施不失平」也。 “베풂은 균평함을 잃지 않는다[施不失平]”라는 것은, 많은 자도 은혜를 베풂을 얻고 적은 자도 또한 은혜를 베풂을 얻으며, 바로 ‘베풂은 균평함을 잃지 않음[施不失平]’이다. 言君子於下若有謙者,官之先高,則增之榮秩,位之先卑,亦加以爵祿,隨其官之高下,考其謙之多少,皆因其多少而施與之也。 군자가 아랫사람을 대함에 있어 만약 겸손한 자가 있을 경우, 벼슬이 먼저 높았으면 영화와 서열을 더해주고, 지위가 먼저 낮았으면 또한 작록(爵祿)을 더해주어서, 그 벼슬의 높고 낮음에 따르고 그 겸손함의 많고 적음을 고려해서 모두 많고 적음에 따라 베풀어 주는 것을 말함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稱物平施」。
○正義曰:「裒多」者,君子若能用此謙道,則裒益其多,言多者得謙,物更裒聚,彌益多也。故云「裒多」,即謙尊而光也,是尊者得謙而光大也。「益寡」者,謂寡者得謙而更進益,即卑而不可逾也。是卑者得謙而更增益,不可逾越也。「稱物平施」者,稱此物之多少,均平而施,物之先多者而得其施也,物之先寡者,而亦得其施也。故云:「稱物平施也。此謙卦之象以山為主, 是於山為謙於地為不謙,應言「山在地中」。今乃云「地中有山」者,意取多之與少皆得其益,似「地中有山」,以包取其物以與於人,故變其文也。
○注「多者用謙」至「不失平也」。
○正義曰:「多者用謙以為裒」者,《爾雅·釋詁》云:「裒,聚也」。於先多者,其物雖多,未得積聚,以謙故益其物更多而積聚,故云「多者用謙以為裒」也。「少者用謙以為益」者,其物先少,今既用謙而更增益,故云「用謙以為益」也。「隨物而與」者,多少俱與,隨多隨少,而皆與也。「施不失平」者,多者亦得施恩,少者亦得施恩,是「施不失平」也。言君子於下若有謙者,官之先高,則增之榮秩,位之先卑,亦加以爵祿,隨其官之高下,考其謙之多少,皆因其多少而施與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칭물평시(稱物平施)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많은데서 모아서[裒多]”라는 것은, 군자(君子)가 만약 이 겸손의 도(道)를 잘 사용하면 그 많음에서 모아서 더해주며, 많은 자가 겸손함을 얻으면 사물[사람]이 다시 거두어 모여서 더욱 더하여 많아짐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많은데서 모은다[裒多]”라고 한 것이고, 바로 겸손함은 높여서 빛남이며, 이는 높은 자가 겸손함을 얻어서 크게 빛남이다.
“적은 데에 더해 주어[益寡]”라는 것은, 적은 자가 겸손함을 얻으면 더욱 보태짐에 나아가는데, 바로 낮추면 넘을 수 없음이며, 이는 낮추는 자가 겸손함을 얻어서 더욱 더하여져서 넘을 수 없는 것이다.
“사물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稱物平施]”라는 것은, 이 사물의 많고 적음에 저울질하여 고르게 나누어서 베푸는데, 사물이 먼저 많았던 자는 그 베풀어줌을 얻고, 사물이 먼저 적었던 자이면 또한 그 베풂을 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사물을 저울질하여 베풂을 고르게 한다[稱物平施]”라고 한 것이다. 이 겸괘(謙卦)의 모습[象]은 산으로써 주(主)를 삼았는데, 이는 산에게는 겸손함이 되고 땅에게는 겸손하지 않음이 되니 응당 “산이 땅 가운데 있다[山在地中]”고 말해야 한다.
지금 이에 이르기를 “땅 가운데 산이 있다[地中有山]”고 한 것은, 많이 취한 것과 적음이 모두 그 더함을 얻어서 ‘땅 가운데 산이 있음[地中有山]을 닮았음을 뜻하며, 그로써 그 사물을 포함해 취해서 그로써 남에게 주기 때문에 그 글이 변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다자용겸(多者用謙)에서 불실평야(不失平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많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모이게 되고[多者用謙以爲裒]”라는 것은, 《이아(爾雅)》〈석고(釋詁)〉에 이르기를 “부(裒, 모을 부)는 모음이다.”고 하였으며, 먼저 많았던 자에게는 그 사물이 비록 많으나 쌓이고 모을 수가 없는데, 그로써 겸손하기 때문에 그 사물이 더욱 많아져서 쌓이고 모음을 더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많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모이게 된다[多者用謙以爲裒]”라고 한 것이다.
“적은 자는 겸손함을 씀으로써 더하게 되며[少者用謙以爲益]”라는 것은, 그 사물이 먼저는 적었는데 이제 이미 겸손함을 사용하여서 더욱 더하여 보태졌기 때문에 이르기를 “겸손함을 씀으로써 더하게 된다[用謙以爲益]”라고 한 것이다.
“사물에 따르면서 주고[隨物而與]”라는 것은, 많고 적은 이에게 모두 주어서 많고 적음에 따라서 모두 주는 것이다.
“베풂은 균평함을 잃지 않는다[施不失平]”라는 것은, 많은 자도 은혜를 베풂을 얻고 적은 자도 또한 은혜를 베풂을 얻으며, 바로 ‘베풂은 균평함을 잃지 않음[施不失平]’이다.
군자가 아랫사람을 대함에 있어 만약 겸손한 자가 있을 경우, 벼슬이 먼저 높았으면 영화와 서열을 더해주고, 지위가 먼저 낮았으면 또한 작록(爵祿)을 더해주어서, 그 벼슬의 높고 낮음에 따르고 그 겸손함의 많고 적음을 고려해서 모두 많고 적음에 따라 베풀어 주는 것을 말함이다.」
初六,謙謙, 君子用涉大川,吉。 초육(初六)은 군자가 겸손하고 겸손함으로 큰 내를 건너니 길하다. 【王弼 注】 處謙之下,謙之謙者也。能體謙謙,其唯君子,用涉大難,物无害也。 【왕필 주】 겸(謙)의 아래에 처하여 겸손으로 나아가는 겸손한 자이다. 몸[體]이 매우 겸손함을 잘함은, 오직 군자이며 큰 어려움을 건너는데 쓰더라도 사물에 해로움이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謙謙君子」者,能體謙謙,唯君子者能之。以此涉難,其吉宜也。「用涉大川」,假像言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군자가 겸손하고 겸손함으로[謙謙君子]”라는 것은, 몸[體]이 겸손하고 겸손함을 잘함은 오직 군자(君子)만이 이에 잘 함이며, 이로써 어려움을 건너면 그 길함이 마땅하다. ‘큰 내를 건너니 길하다[用涉大川]‘라고 함은, 모양[像]을 빌려 말한 것이다.」 |
《象》曰:謙謙君子,卑以自牧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하고 겸손한 군자는, 낮춤으로써 저절로 길러진다." 【王弼 注】 牧,養也。 【왕필 주】 목(牧)은 기름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卑以自牧」者,牧,養也,解「謙謙君子」之義,恒以謙卑自養其德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낮춤으로써 저절로 길러진다[卑以自牧]”라는 것의, ‘목(牧, 칠 목)’은 기름이고, ‘겸손하고 겸손한 군자[謙謙君子]’의 뜻을 해석한 것이며, 항상 겸손함과 낮춤으로써 스스로 그 덕(德)을 기르는 것이다.」 |
六二,鳴謙,貞吉。 육이(六二)는 겸손함이 소문[鳴]났지만 곧아야 길하다. 【王弼 注】 鳴者,聲名聞之謂也。得位居中,謙而正焉。 【왕필 주】 명(鳴, 울 명)이란 것은, 이름이 들리는 소리[名聲]를 말한다. 지위를 얻어서 가운데[中]에 거주하니 겸손하면서 바름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鳴謙」者,謂聲名也。處正得中,行謙廣遠,故曰「鳴謙」,正而得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손함이 소문[鳴]났지만[鳴謙]”라는 것은, 이름이 알려짐을 말하며, 바른데에 처하고 가운데[中]를 얻어서 겸손함을 넓고 멀리 행하기 때문에 “겸손함이 소문[鳴]났지만[鳴謙]”라고 하였으며, 바르면서 길함을 얻는 것이다.」 |
《象》曰:鳴謙貞吉,中心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이 소문[鳴]났지만 곧아야 길함은, 가운데[中] 마음을 얻으려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中心得」者,鳴聲中吉,以中和為心,而得其所,鳴謙得中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가운데[中] 마음을 얻으려함이다[中心得]”라는 것은, 소문[鳴]이 나고 가운데[中] 길하여 그로써 가운데 어울리는 마음을 삼아서 그 곳을 얻으니, 겸손이 소문[鳴]나서 가운데[中] 길(吉)함을 얻은 것이다.」 |
九三,勞謙,君子有終,吉。 구삼(九三)은 겸손하게 수고하니 군자는 끝마침이 있고 길하다. 【王弼 注】 處下體之極,履得其位。上下无陽以分其民,眾陰所宗,尊莫先焉。居謙之世,何可安尊?上承下接,勞謙匪解[懈],是以吉也。 【왕필 주】 아래 몸체[體]의 꼭대기에 처하고 그 지위를 얻어서 이행한다. 위와 아래에 그 백성을 나누는 양(陽)이 없어서, 여러 음(陰)의 으뜸되는 바이며 높음이 이보다 앞섬이 없다. 겸손한 세상에 거주하는데 어찌 편안하고 높을 수 있겠는가? 위로 받들고 아래로 접하며 겸손하게 수고하고 게으르지 않으니 이로써 길(吉)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勞謙君子」者,處下體之極,履得其位,上下無陽以分其民,上承下接,勞倦於謙也。唯君子能終而得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손하게 수고하는 군자[勞謙 君子]”라는 것은, 아래 몸체[體]의 꼭대기에 처하고 그 지위를 얻어 이행하며 위와 아래에 그 백성을 나누는 양(陽)이 없어서 위로 받들고 아래로 접하여 겸손함에 수고를 게을리함이다. 오직 군자만이 잘 끝마쳐서 길(吉)함을 얻는 것이다.」 |
《象》曰:勞謙君子,萬民服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군자가 겸손하게 수고하니 만 백성이 복종한다." [孔穎達 疏]正義曰:「萬民服」者,釋所以勞謙之義。以上下群陰,象萬民皆來歸服,事須引接,故疲勞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만 백성이 복종한다[萬民服]”라는 것은, 겸손하게 수고함이 되는 까닭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위아래의 여러 음(陰)으로써 만민(萬民)이 모두 와서 귀의하여 복종함을 모습[象]하였으며, 일을 모름지기 끌어서 접함이기 때문에 수고로움에 피곤한 것이다.」 |
六四,无不利,撝謙。 육사(六四)는 겸손하여 낮추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處三之上而用謙焉,則是自上下下之義也。承五而用謙順,則是上行之道也。盡乎奉上下下之道,故无不利。指撝皆謙,不違則也。 【왕필 주】 구3(九三)의 위에 처하면서 겸손함을 사용하면, 이는 스스로 위와 아래에게 아래 함을 뜻한다. 육5(六五)를 받들면서 겸손과 순종함을 사용하니, 곧 이는 위로 행하여 가는 도(道)이다. 상하를 받들고 아래함의 도를 다하기 때문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지시와 낮춤이 모두 겸손하여 법칙을 어기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無不利」者,處三之上而用謙焉,則是自上下下之義。承五而用謙順,則是上行之道。盡乎奉上下下之道,故無所不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라는 것은, 구3(九三)의 위에 처하여서 겸손함을 사용하면 이는 스스로 위와 아래에게 아래 함을 뜻한다. 육5(六五)를 받들면서 겸손과 순종함을 사용하니, 곧 이는 위로 행하여 가는 도(道)이다. 상하를 받들고 아래함의 도를 다하기 때문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
《象》曰:无不利,撝謙,不違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하여 낮추니 이롭지 않음이 없음은, 법칙을 어기지 않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指撝皆謙不違則」者,釋「無不利撝謙」之義。所以「指撝皆謙」者,以不違法則,動合於理,故無所不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시하고 낮춤이 모두 겸손하여 법칙을 어기지 않는다[指撝皆謙 不違則]”라는 것은, ‘겸손하여 낮추니 이롭지 않음이 없음[無不利撝謙]’의 뜻을 해석한 것이며, ‘지시하고 낮춤이 모두 겸손함[指撝皆謙]의 까닭이라는 것은, 그로써 법칙을 어기지 않아서 움직임이 이치에 부합하기 때문에 이롭지 않은 바가 없는 것이다.」 |
六五,不富以其鄰利用侵伐;无不利。 육오(六五)는 그 이웃이 부유하지 않으니 침략과 정벌을 이용(利用)함이,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居於尊位,用謙與順,故能不富而用其鄰也。以謙順而侵伐,所伐皆驕逆也。 【왕필 주】 높은 지위에 거주하고, 겸손함과 순함을 쓰기 때문에 부유하지 않은데도 그 이웃을 잘 사용한다. 겸손과 순리로써 침략하고 정벌하는데 정벌이 모두 교만하고 고역하는 곳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不富以其鄰」者,以,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이웃이 부유하지 않으니[不富以其隣]”라는 것은, ‘이(以)’는 사용함이다. 凡人必將財物周贍鄰里,乃能用之。六五居於尊位,用謙與順,鄰自歸之,故不待豐富能用其鄰也。 모든 사람들은 반드시 장차 재물을 이웃과 마을을 두루 넉넉하게 해야 비로소 그[이웃]를 잘 사용하는데, 육5(六五)는 높은 지위에 거주하여 겸손함과 순(順)함을 사용하여서 이웃들이 스스로 귀의를 하기 때문에 풍부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그 이웃을 잘 사용하는 것이다. 「利用侵伐無不利」者,居謙履順,必不濫罰無罪。 “침략과 정벌을 이용(利用)함이 이롭지 않음이 없다[利用侵伐 无不利]”라는 것은, 겸손함에 거주하고 순함을 이행하면 반드시 죄 없는 사람을 함부로 벌주지 않는다. 若有驕逆不服,則須伐之,以謙得眾,故「利用侵伐,無不利」者也。 만약 교만함이 있어서 복종하지 않고 거역하면 모름지기 정벌을 하는데, 겸손함으로써 무리를 얻기 때문에 ‘침략과 정벌을 이용(利用)함이 이롭지 않음이 없다[利用侵伐 无不利]’라는 것이다.」 |
《象》曰:利用侵伐,征不服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침략과 정벌을 사용함은, 복종하지 않음을 정벌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不富以其鄰」者,以,用也。凡人必將財物周贍鄰里,乃能用之。六五居於尊位,用謙與順,鄰自歸之,故不待豐富能用其鄰也。「利用侵伐無不利」者,居謙履順,必不濫罰無罪。若有驕逆不服,則須伐之,以謙得眾,故「利用侵伐,無不利」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 이웃이 부유하지 않으니[不富以其隣]”라는 것은, ‘이(以)’는 사용함이다.
모든 사람들은 반드시 장차 재물을 이웃과 마을을 두루 넉넉하게 해야 비로소 그[이웃]를 잘 사용하는데, 육5(六五)는 높은 지위에 거주하여 겸손함과 순(順)함을 사용하여서 이웃들이 스스로 귀의를 하기 때문에 풍부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그 이웃을 잘 사용하는 것이다.
“침략과 정벌을 이용(利用)함이 이롭지 않음이 없다[利用侵伐 无不利]”라는 것은, 겸손함에 거주하고 순함을 이행하면 반드시 죄 없는 사람을 함부로 벌주지 않는다.
만약 교만함이 있어서 복종하지 않고 거역하면 모름지기 정벌을 하는데, 겸손함으로써 무리를 얻기 때문에 ‘침략과 정벌을 이용(利用)함이 이롭지 않음이 없다[利用侵伐 无不利]’라는 것이다.」
上六,鳴謙,利用行師,征邑國。 상육(上六)은 겸손함이 소문[鳴]나면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함에 써야 이롭다. 【王弼 注】 最處於外,不與內政,故有名而已,志功未得也。處外而履謙順,可以征邑國而已。 【왕필 주】 가장 밖에 처하고 안의 정사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름만 있을 뿐이며, 뜻하는 공(功)을 얻지 못한다. 밖에 처하면서 겸손한 순리를 이행하면 고을과 나라를 정벌로서 할 수 있을 뿐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鳴謙」者,上六最處於外,不與內政,不能於實事而謙,但有虛名聲聞之謙,故云「鳴謙」。志欲立功,未能遂事,其志未得。既在外而行謙順,唯利用行師征伐外旁國邑而巳,不能立功在內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겸손함이 소문 남[鳴謙]”라는 것은, 상육(上六)이 가장 밖에 처하여 안의 정사에 관여하지 못하므로 실제 일에 있어서 잘 겸손하지는 못하며, 다만 헛된 명성이 소문난 겸손함만 있기 때문에 “겸손함이 소문 남[鳴謙]”이라 하였다., 뜻은 공(功)을 세우고자 하지만 아직 일을 수행하지 못하여 그 뜻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이미 밖에 있으면서 겸손함과 순(順)함을 행하면 오직 군대를 운용하여 밖과 곁의 나라[ 國]와 고을[邑]을 정벌함이 이로울 뿐이며, 안에 있으면 공(功)을 잘 세우지는 못한다.」 |
《象》曰:鳴謙,志未得也。可用行師,征邑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겸손함이 소문[鳴]남은 뜻을 아직 얻지 못했으니,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하는데 쓸 수 있다.” 【王弼 注】 夫吉凶悔吝,生乎動者也。動之所起,興於利者也。故飲食必有訟,訟必有眾起。未有居眾人之所惡而為動者所害,處不競之地而為爭者所奪。是以六爻雖有失位,无應,乘剛,而皆无凶咎悔吝者,以謙為主也。謙尊而光,卑而不可踰,信矣哉! 【왕필 주】 대저 길(吉), 흉(凶), 회(悔), 린(吝)은 움직이는 것에서 생겨난다. 움직임의 일어나는 곳은 이로움에서 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고 송사는 반드시 무리가 일어남이 있다. 여러 사람의 싫어하는 곳에 거주하면서 움직이는 자가 해로운 바는 있지 않고, 다투지 않는 땅에 처하면서 다투는 자가 빼앗는 바가 되지는 않았다. 이로써 여섯 효(爻)는 비록 지위를 잃고 응(應)이 없으며 강(剛) 함을 받듦이 있지만, 모두 흉함과 허물과 뉘우침과 부끄러움이 없는 것은 겸손으로써 주(主)를 삼았기 때문이다. 겸손[謙]은 높이면 빛나고 낮추면 넘을 수 없음을 믿게 되었도다! |
[孔穎達 疏]「《象》曰鳴謙」至「征邑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명겸(象曰鳴謙)에서 정읍국야(征邑國也)까지.} ○正義曰:「志未得」者,釋「鳴謙」之義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을 아직 얻지 못했으니[志未得]”라는 것은, ‘겸손함이 소문남[鳴謙]’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所以但有聲鳴之謙,不能實爭立功者,以其居在於外,其內立功之志,猶未得也。 다만 명성의 겸손함이 있는데, 실제로 잘 다투어 공(功)을 세우지 못하는 자는, 그 거처가 밖에 있음으로써 그 안이 공(功)을 세우려는 뜻이므로 오히려 아직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可用行師征邑國」者,釋「行師征邑國」之意。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하는데 쓸 수 있다[可用行師 征邑國]”라는 것은,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함[行師征邑國]’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經》言「利用」,《象》改「利」為「可」者,言內志雖未得,猶可在外興行軍師征邑國也。 〈경문(經文)〉에는 “이용(利用)”이라고 말하였는데 〈상전(象傳)〉에서 이(利)를 고쳐서 가(可)라고 한 것은, 안의 뜻은비록 얻지 못하였으나 오히려 밖에 있으면서 군대를 일으켜서 읍국(邑國)을 정벌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注「動之所起興於利者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동지소기 흥어이자야(動之所起 興於利者也)까지” ○正義曰:「動之所起興於利」者,凡人若不見利,則心無所動。今動之所以起者,見利乃動,故云「興於利」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움직임의 일어나는 곳은 이로움에서 흥하는 것이다[動之所起 興於利]”라는 것은, 모든 사람이 만약 이익을 보지 않는다면 마음이 움직이는 바가 없는데, 지금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의 까닭은 이익을 보려고 이에 움직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익에서 흥한다[興於利]”라고 한 것이다. 「飲食必有訟,訟必有眾起」者,欲明為利乃有動,動而致訟,訟則起兵。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고 송사는 반드시 무리가 일어남이 있다[飮食必有訟 訟必有衆起]”라는 것은, 이익이 되면 이에 움직임이 있고, 움직이면 송사를 이루고, 송사하면 군대가 일어남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故《序卦》「需」為飲食,飲食必有訟,故需卦之後次訟卦也。爭訟必興兵,故訟卦之後次師卦也。 그러므로 〈서괘전(序卦傳)〉에 수(需, 쓰일 수)는 음식이 되고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기 때문에 수괘(需卦)의 뒤에 차례가 송괘(訟卦)이다. 송사를 다투면 반드시 군대를 일으키기 때문에 송괘(訟卦)의 뒤에 사괘(師卦)가 차례한다.」 |
[孔穎達 疏]「《象》曰鳴謙」至「征邑國也」。
○正義曰:「志未得」者,釋「鳴謙」之義也。所以但有聲鳴之謙,不能實爭立功者,以其居在於外,其內立功之志,猶未得也。「可用行師征邑國」者,釋「行師征邑國」之意。《經》言「利用」,《象》改「利」為「可」者,言內志雖未得,猶可在外興行軍師征邑國也。
○注「動之所起興於利者也」。
○正義曰:「動之所起興於利」者,凡人若不見利,則心無所動。今動之所以起者,見利乃動,故云「興於利」也。「飲食必有訟,訟必有眾起」者,欲明為利乃有動,動而致訟,訟則起兵。故《序卦》「需」為飲食,飲食必有訟,故需卦之後次訟卦也。爭訟必興兵,故訟卦之後次師卦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명겸(象曰鳴謙)에서 정읍국야(征邑國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을 아직 얻지 못했으니[志未得]”라는 것은, ‘겸손함이 소문남[鳴謙]’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다만 명성의 겸손함이 있는데, 실제로 잘 다투어 공(功)을 세우지 못하는 자는, 그 거처가 밖에 있음으로써 그 안이 공(功)을 세우려는 뜻이므로 오히려 아직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하는데 쓸 수 있다[可用行師 征邑國]”라는 것은, ‘군대를 출동하여 읍국(邑國)을 정벌함[行師征邑國]’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경문(經文)〉에는 “이용(利用)”이라고 말하였는데 〈상전(象傳)〉에서 이(利)를 고쳐서 가(可)라고 한 것은, 안의 뜻은비록 얻지 못하였으나 오히려 밖에 있으면서 군대를 일으켜서 읍국(邑國)을 정벌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동지소기 흥어이자야(動之所起 興於利者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움직임의 일어나는 곳은 이로움에서 흥하는 것이다[動之所起 興於利]”라는 것은, 모든 사람이 만약 이익을 보지 않는다면 마음이 움직이는 바가 없는데, 지금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의 까닭은 이익을 보려고 이에 움직이기 때문에 이르기를 “이익에서 흥한다[興於利]”라고 한 것이다.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고 송사는 반드시 무리가 일어남이 있다[飮食必有訟 訟必有衆起]”라는 것은, 이익이 되면 이에 움직임이 있고, 움직이면 송사를 이루고, 송사하면 군대가 일어남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러므로 〈서괘전(序卦傳)〉에 수(需, 쓰일 수)는 음식이 되고 음식은 반드시 송사가 있기 때문에 수괘(需卦)의 뒤에 차례가 송괘(訟卦)이다. 송사를 다투면 반드시 군대를 일으키기 때문에 송괘(訟卦)의 뒤에 사괘(師卦)가 차례한다.」
'◑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17. 수괘(隨卦)[卦象:택뢰수]/周易正義 (0) | 2022.09.09 |
---|---|
주역 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周易正義 (0) | 2022.09.08 |
주역 14. 대유괘(大有卦)[卦象:화천대유]/周易正義 (3) | 2022.09.06 |
주역 13. 동인괘(同人卦)[卦象:천화동인]/周易正義 (0) | 2022.09.05 |
주역 12. 비괘(否卦)[卦象:천지비]/周易正義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