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28. 대과괘(大過卦)[卦象:택풍대과]
☱ 兌上
☴ 巽下
손[風.바람]이 아래에 있고, 태[澤.못]가 위에 있다.
大過,
대과(大過)는,
【王弼 注】 音相過之過
【왕필 주】음(音)이 서로 지나침의 과함[過]이다.
棟橈,利有攸往,亨。
들보가 휘어지니, 가서 다스려[敒]야 이롭고 형통하다.
《彖》曰:大過,大者過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대과(大過)는 큰 것이 과함이다."
【王弼 注】 大者乃能過也。
【왕필 주】 큰 것은 마침내 잘 지나친다.
棟橈,本末弱也。
들보가 휘어짐은, 근본과 끝이 약함이다.
【王弼 注】 初為本而上為末也。
【왕필 주】초육(初六)이 근본이 되고 상육(上六)이 말단이 된다.
剛過而中,
굳셈이 지나치면서 가운데 이고,
【王弼 注】 謂二也。居陰,過也;處二,中也。拯弱興衰,不失其中也。
【왕필 주】구2(九二)를 가르킨다. 음(陰)에 거주함이 지나침이고, 구2(九二)에 처하며 가운데[中]이다. 약함을 건지고 쇄함을 일으키니 그 가운데[中]를 잃지 않는다.
巽而說行,
공손하면서 설득을 행하니,
【王弼 注】 巽而說行,以此救難,難乃濟也。
【왕필 주】 공손하면서 설득을 행함은, 이를 가지고 어려움을 구원하니 어려움이 이에 구제된다.
利有攸往,乃亨。
가서 펼쳐[敒]야 이로우며 마침내 형통하다.
【王弼 注】 危而弗持,則將安用?故往乃亨。
【왕필 주】위태로운데도 잡지 않는다면 장차 어찌 쓰겠는가? 그러므로 가면 이에 형통함이다.
大過之時大矣哉!
큰 지나침[大過]의 때가 크도다!"
【王弼 注】 是君子有為之時也。
【왕필 주】이는 군자가 실천할 수 있는 때이다.
《象》曰:澤滅木,大過。君子以獨立不懼,遯世无悶。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못이 나무를 없앰이 대과(大過)괘이니, 군자가 그로써 홀로 서서 두려워하지 않으며, 세상을 은둔하여 근심이 없다."
【王弼 注】 此所以為大過,非凡所及也。
【왕필 주】이는 크게 지나치게 되는 까닭이며, 모두 미치는 바는 아니다.
初六,藉用白茅,无咎。
초육(初六)은 흰 띠풀을 사용하여 자리를 까니, 허물이 없다.
【王弼 注】 以柔處下,過而可以无咎,其唯慎乎?
【왕필 주】부드러움을 가지고 아래에 처하니 지나치더라도 허물이 없음으로 할 수 있음은, 오직 신중함이 아닌가?
《象》曰:藉用白茅,柔在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흰 띠풀을 사용하여 자리를 깖은, 부드러움이 아래에 있음이다."
九二,枯楊生稊,老夫得其女妻,无不利。
구이(九二)는 마른 버드나무에 싹이 생겨나고, 늙은 지아비가 젊은 아내를 얻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王弼 注】 稊者,楊之秀也。以陽處陰,能過其本而救其弱者也。上无其應,心无特吝,處過以此,无衰不濟也。故能令枯楊更生稊,老夫更得少妻。拯弱興衰,莫盛斯爻,故无不利也。老過則枯,少過則稚。以老分少,則稚者長;以稚分老,則枯者榮。過以相與之謂也。大過至衰,而己至壯,以至壯輔至衰,應斯義也。
【왕필 주】제(稊)는 버드나무의 [싹이] 빼어남이다. 양(陽)으로써 음(陰)에 처하고, 그 근본을 넘어서 그 약함을 잘 구원하는 자이다. 위에 그 응(應)이 없고 마음이 특히 인색함이 없으며 이로써 지나침에 처하니 쇄함이 없으며 구제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마른 버드나무로 하여금 다시 싹이 잘 생겨나고 늙은 지아비가 다시 젊은 아내를 얻는다. 약함을 건지고 쇄함을 일으키니 이들 효(爻)보다 성함이 없기 때문에 이롭지 않음이 없다. 늙음이 과하면 마르고 젊음이 과하면 어리니, 늙음이 지나치면 시들고 젊음이 지나치면 어려지며, 늙음을 가지고 젊은이에게 나누어주면 어린 자가 자라고, 어림을 가지고 늙은이에게 나누어주면 마른 것이 꽃피는데, 과함으로써 서로 줌을 말한 것이다. 대과(大過)가 지극히 쇠한데도 자기는 지극히 건장하니, 지극히 건장함으로써 지극히 쇠함을 도와줌이 이 뜻에 응함이다.
《象》曰:老夫女妻,過以相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늙은 지아비와 젊은 아내는, 과함으로써 서로 함께함이다."
九三,棟橈,凶。
구삼(九三)은 들보가 휘어지니 흉하다.
【王弼 注】 居大過之時,處下體之極,不能救危拯弱,以隆其棟,而以陽處陽,自守所居,又應於上,係心在一,宜其淹溺而凶衰也。
【왕필 주】대과(大過)의 때에 거주하고 아래 몸체의 꼭대기에 처하며 위태함을 구원함과 약함을 건짐을 잘하지 못하고 그로써 들보가 융성하면서 양(陽)으로써 양(陽)에 처하니 스스로 거주하는 곳을 지키고 또 상육(上六)에 응(應)하여 메인 마음이 하나에 있으니 마땅히 빠져서 잠기고 쇄하여 흉하다.
《象》曰:棟橈之凶,不可以有輔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들보가 휘어지는 흉함은, 도움이 있을 수 없음이다."
九四,棟隆,吉,有它吝。
구사(九四)는 들보가 높이 솟으니 길하지만, 다른 데는 부끄러움이 있다.
【王弼 注】 體屬上體,以陽處陰,能拯其弱,不為下所橈者也,故棟隆吉也。而應在初,用心不弘,故有它吝也。
【왕필 주】몸체가 상체(上體)에 속하고 양(陽)으로써 음(陰)에 처하니 그 약함을 잘 구제해서 아래에게 휘는 바를 당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들보가 솟아서 길함이다. 그런데 응(應)이 초육(初六)에 있고 마음 씀이 넓지 않기 때문에 다른 데는 부끄러움이 있다.
《象》曰:棟隆之吉,不橈乎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들보가 높이 솟아서 길함은, 아래에게 휘어지지는 않음이다."
九五,枯楊生華,老婦得其士夫,无咎无譽。
구오(九五)는 마른 버드나무에 꽃이 피고, 늙은 부인이 젊은 관리를 얻으니, 허물은 없으나 명예도 없다.
【王弼 注】 處得尊位,而以陽處陽,未能拯危。處得尊位,亦未有橈,故能生華,不能生稊,能得夫不能得妻。處棟橈之世,而為无咎无譽,何可長哉?故生華不可久,士夫誠可醜也。
【왕필 주】높은 지위를 얻어서 처하면서 양(陽)으로서 양(陽)에 처하여 위태함을 잘 구원하지 못한다. 높은 지위를 얻어서 처하고, 또한 휘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꽃[華]이 잘 피는데 움[稊]은 잘 생겨나지 않으니 남편을 잘 얻으나 아내는 잘 얻지 못지 못한다. 들보가 휘어지는 세상에 처하여서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게 되는데 어찌 자라겠는가? 그러므로 꽃이 피었으나 오래갈 수 없고, 젊은 관리는 진실로 추 할 수 있다.
《象》曰,枯楊生華,何可久也。老婦士夫,亦可醜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마른 버드나무에 꽃이 생겨남은 어찌 오래 할 수 있겠는가? 늙은 부인과 젊은 관리는 또한 추할 수 있다."
上六,過涉,滅頂,凶。无咎!
상육(上六)은 지나치게 건너 이마까지 빠져 흉하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處大過之極,過之甚也。涉難過甚,故至于滅頂,凶。志在救時,故不可咎也。
【왕필 주】대과(大過)괘의 꼭대기에 처하니 지나침이 심하다. 어려움을 건넘이 심하게 지나치기 때문에 정수리에 빠짐에 이르니 흉하다. 뜻이 구하는 때에 있기 때문에 허물할 수가 없다.
《象》曰:過涉之凶,不可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지나치게 건넘이 흉함은 허물할 수가 없다."
【王弼 注】 雖凶无咎,不害義也。
【왕필 주】비록 흉하지만 허물이 없음은 옳음을 해치지는 않았음이다.
'◑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0. 리괘(離卦)[卦象:중화리]/왕필 주역주 (0) | 2022.06.29 |
---|---|
▣ 29. 감괘(坎卦)[卦象:중수감]/왕필 주역주 (0) | 2022.06.28 |
▣ 27. 이괘(頤卦)[卦象:산뢰이]/왕필 주역주 (0) | 2022.06.25 |
▣ 26. 대축괘(大畜卦)[卦象:산천대축]/왕필 주역주 (0) | 2022.06.23 |
▣ 25. 무망괘(无妄卦)[卦象:천뢰무망]/왕필 주역주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