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11 진풍(秦風)

 

135. 권여(權輿, 권세와 부귀)

 

於我乎夏屋渠渠

(어아호 하옥거거)

나에게 여름 집을 시원한 개천에 주더니

今也每食無餘

(금야매식무여)

지금은 끼니마저 부족하다네

于嗟乎不承權輿

(우차호 불승권여)

아아! 권세와 부귀는 이어지지 않는구나

 

於我乎每食四簋

(어아호 매식사궤)

나에게 끼니마다 네 궤에 가득 주더니

今也每食不飽

(금야매식불포)

지금은 끼니마다 배고프다네

于嗟乎不承權輿

(우차호 불승권여)

아아! 권세와 부귀는 이어지지 않는구나

 

權輿二章章五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權輿》,刺康公也忘先君之舊臣與賢者有始而無終也

모시 서<권여(權輿)>는 강공(康公)을 풍자한 시()이다. [강공(康公)] 선군(先君)의 옛 신하를 잊어버리고 현자(賢者)와 함께 함이 시작만 있고 마침은 없음이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於我乎夏屋渠渠

(어아호 하옥거거)

나에게 여름 집을 시원한 개천에 주더니

毛亨 大也

모형 전(, 여름 하), 큼이다.

今也每食無餘

(금야매식무여)

지금은 끼니마저 부족하구나

于嗟乎不承權輿

(우차호 불승권여)

아아! 권세와 부귀는 이어지지 않는구나

毛亨 繼也權輿始也

모형 전(, 이을 승), 이음이다. 권여(權輿)는 시작함이다.

 

於我乎每食四簋

(어아호 매식사궤)

나에게 끼니마다 네 궤에 가득 주더니

毛亨 四簋黍稷稻粱

모형 전네 가지 제기[4(四簋)], 기장, , , [서직도량(黍稷稻粱)]이다.

今也每食不飽

(금야매식불포)

지금은 끼니마저 부족하구나

于嗟乎不承權輿

(우차호 불승권여)

아아! 권세와 부귀는 이어지지 않는구나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於我乎夏屋渠渠

(어아호 하옥거거)

나에게 여름 집을 시원한 개천에 주더니

鄭玄 箋雲具也渠渠猶勤勤也言君始於我厚設禮食大具以食我其意勤勤然

정현 전()에 이르기를 (, 집 옥)은 갖춤이다. 거거(渠渠, 개천 거), 매우 부지런함과 같음이다. 군주께서 나에게 시작할적에는, 예식(禮食)을 크게 갖추어 후하게 차려서 나에게 먹였다는 말인데 그 뜻이 그렇게 매우 부지런하였음이다.라고 하였다.

今也每食無餘

(금야매식무여)

지금은 끼니마저 부족하구나

鄭玄 箋雲此言君今遇我薄其食我才足耳

정현 전()에 이르기를 이것은 군주가 지금 나를 만나는데 그 음식이 야박(野薄)하여 나의 재주에 넉넉할 뿐이라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于嗟乎不承權輿

(우차호 불승권여)

아아! 권세와 부귀는 이어지지 않는구나

 

於我乎每食四簋

(어아호 매식사궤)

나에게 끼니마다 네 궤에 가득 주더니

簋音軌內方外圓曰簋以盛黍稷外方內圓曰簠用貯稻粱

音義(, 제기 이름 궤)의 음은 궤()인데, 안은 사각이고 밖은 원형인 것을 궤()라고 말하며 그로써 기장과 피[서직(黍稷)]를 성대하게 하고, 밖이 사각이고 안이 원형인 것을 보(, 제기 이름 보)라고 말하며 벼와 기장[도량(稻粱)]을 쌓는데 사용한다.

今也每食不飽

(금야매식불포)

지금은 끼니마저 부족하구나

于嗟乎不承權輿

(우차호 불승권여)

아아! 권세와 부귀는 이어지지 않는구나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毛亨鄭玄. ()나라, 孔穎達

()나라 모형(毛亨)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權輿》,刺康公也忘先君之舊臣與賢者有始而無終也(○權輿音餘權輿始也。)

 

「《權輿二章章五句無終」。○正義曰權輿詩者刺康公也康公遺忘其先君穆公之舊臣不加禮餼與賢者交接有始而無終初時殷勤後則疏薄故刺之經二章皆言禮待賢者有始無終之事

 

於我乎夏屋渠渠大也箋雲具也渠渠猶勤勤也言君始於我厚設禮食大具以食我其意勤勤然。○胡雅反屋如字具也食我音嗣注篇內同。)

今也每食無餘箋雲此言君今遇我薄其食我才足耳。)

 

於嗟乎不承權輿繼也權輿始也。)

 

於我權輿」。○正義曰此述賢人之意責康公之辭言康公始者於我賢人乎重設饌食禮物大具其意勤勤然於我甚厚也至於今日也禮意疏薄設饌校少使我每食才足無複盈餘也於嗟乎此君之行不能承繼其始以其行無終始故於嗟歎之。○」。○正義曰:《釋詁。○屋具勤勤然」。正義曰:「」,《釋言渠渠猶勤勤言設食既具意又勤勤也案崔駰七依說宮室之美雲:「夏屋渠渠。」王肅雲:「屋則立之於先君食則受之於今君故居大屋而食無餘。」義似可通鄭不然者詩刺有始無終上言於我乎」,謂始時也下言今也」,謂其終時也始則大具今終則無餘猶下章始則四簋今則不飽皆說飲食之事不得言屋宅也若先君為立大屋今君每食無餘則康公本自無始何責其無終也爾雅》 「正訓以此故知謂禮物大具。○繼也權輿」。○正義曰承其後是繼嗣故以承為繼。「權輿」,《釋詁

 

於我乎每食四簋四簋黍稷稻粱。○簋音軌內方外圓曰簋以盛黍稷外方內圓曰簠用貯稻粱皆容一鬥二升。)

 

疏傳四簋稻粱」。○正義曰:《考工記:「瓬人為簋其實一觳豆實三而成觳。」昭三年左傳:「四升為豆。」然則簋是瓦器容貐二升也。《·損卦》:「二簋可用享。」注雲:「離為日日體圓巽為木木器圓簋象。」則簋亦以木為之也。《地官·舍人注雲:「方曰簠圓曰簋。」 則簠簋之製其形異也公食大夫禮:「宰夫設黍稷六簋。」又雲:「宰夫授公粱公設之宰夫膳稻於粱西。」注雲:「膳猶進也進稻粱者以簠。」《秋官·掌客注雲:「稻粱器也黍稷器也。」然則稻粱當在簠而雲四簋黍稷稻粱以詩言每食四簋」,稱君禮物大具則宜每器一物不應以黍稷二物分為四簋以公食大夫禮有稻有粱知此四簋之內兼有稻粱公食大夫之禮是主國之君與聘客禮食備設器物故稻粱在簠此言每食則是平常燕食器物不具故稻粱在簋公食大夫黍稷六簋猶有稻粱此唯四簋者亦燕食差於禮食也

 

今也每食不飽

於嗟乎不承權輿

 

權輿二章章五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