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경(詩經)/2.毛詩正義[공영달]

◎ 시경 179. 거공(車攻, 튼튼한 수레)/모시정의(毛詩正義)

by 석담 김한희 2023. 12. 21.
728x90

『시경(詩經)』

≪소아(小雅) 제2 남유가어지습(南有嘉魚之什)≫

 

179. 거공(車攻, 튼튼한 수레)

我車既攻、我馬既同。

(아거기공 아마기동)

내 수레는 견고하고 내 말을 가지런히 하여서

四牡龐龐、駕言徂東。

(사모농롱 가언조동)

건장한 네 필 말 수레 몰고 동쪽으로 가보세

 

田車既好、四牡孔阜。

(전거기호 사모공부)

사냥 수레 훌륭하고 네 필 말도 장대하구나

東有甫草、駕言行狩。

(동유보초 가언행수)

동쪽에 있는 보전땅에 수레 타고 사냥 가세

 

之子于苗、選徒囂囂。

(지자우묘 선도효효)

그분 사냥 가시는데 몰이꾼 뽑느라 왁자지껄

建旐設旄、搏獸于敖。

(건조설모 박수우오)

갓가지 깃발 세우고 오산에서 짐승을 잡았네

 

駕彼四牡、四牡奕奕。

(가피사모 사모혁혁)

저 네 필 말 수레 타니 네 필 말이 씩씩하고

赤芾金舄、會同有繹。

(적불금석 회동유역)

붉은 폐슬에 금신 신고 줄지어 천자를 뵙네

 

決拾既佽、弓矢既調。

(결습기차 궁시기조)

활깍지와 팔찌를 끼고서 활과 화살을 갖추고

射夫既同、助我舉柴。

(사부기동 조아거시)

활쏘는 장부들이 나를 도와 잡은 짐승 쌓네

 

四黃既駕、兩驂不猗。

(사황기가 량참불의)

네 필 황마 수레 몰고 양쪽 곁말은 나란하네

不失其馳、舍矢如破。

(불실기치 사시여파)

달리는 데 실수 없고 화살을 쏘면 적중하네

 

蕭蕭馬鳴、悠悠旆旌。

(소소마명 유유패정)

쓸쓸히 말이 울고 여러 깃발이 나부끼는데

徒御不驚、大庖不盈。

(도어불경 대포불영)

무리와 마부는 조용한데 푸주간은 가득하네

 

之子于征、有聞無聲。

(지자우정 유문무성)

우리 님이 가시는데 소문만 있고 소리는 없네

允矣君子、展也大成。

(윤의군자 전야대성)

훌륭한 군자이시고 진실로 크게 이루셨도다

 

《車攻》八章,章四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車攻》,宣王複古也。宣王能內修政事,外攘夷狄,複文、武之境土。修車馬,備器械,複會諸侯於東都,因田獵而選車徒焉。

【모시 서】 《거공(車攻)》은 선왕(宣王)이 옛날로 회복함을 읊은 시(詩)이다. 선왕이 안으로 정사를 잘 닦고 밖으로 오랑캐들을 물리쳐 문왕과 무왕의 땅으로 국경을 회복하였으며, 수레와 말을 정비하고 기계(器械)를 구비하여 다시 동도(東都)에 제후들을 모으고 사냥을 핑계삼아서 전차와 보병을 선발했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我車既攻、我馬既同。

(아거기공 아마기동)

내 수레는 견고하고 내 말을 가지런히 하여서

【毛亨 傳】 攻,堅。同,齊也。宗廟齊毫,尚純也。戎事齊力,尚強也。田獵齊足,尚疾也。

【모형 전】 공(攻, 칠 공)은 견고함이다. 동(同, 한가지 공)은 가지런함이다. 종묘에서는 [말] 털을 가지런히 하여 순수함을 숭상하고, 전쟁하는 일에는 힘을 가지런히 하여 강함을 숭상하며, 사냥에서는 발을 가지히 하여 빠름을 숭상함이다.

四牡龐龐、駕言徂東。

(사모농롱 가언조동)

건장한 네 필 말 수레 몰고 동쪽으로 가보세

【毛亨 傳】 龐龐,充實也。東,洛邑也。

【모형 전】 농롱(龐龐, 충실할 롱)은 충실함이다. 동(東)은, 낙읍(洛邑)이다.

 

田車既好、四牡孔阜。

(전거기호 사모공부)

사냥 수레 훌륭하고 네 필 말도 장대하구나

【毛亨 傳】 甫,大也。田者,大芟草以為防,或舍其中。褐纏旃以為門,裘纏質以為槸,間容握,驅而入,擊則不得入。之左者之左,之右者之右,然後焚而射焉。天子發然後諸侯發,諸侯發然後大夫、士發。天子發抗大綏,諸侯發抗小綏,獻禽於其下,故戰不出頃,田不出防,不逐奔走,古之道也。

【모형 전】 보(甫, 클 보)는 큼이다. 사냥[田]하는 자는 큰 풀을 베어서 그로써 방비(防備)를 하는데, 어떤이는 그 가운데를 막사로 했다. 굵은 베를 얽은 깃발로써 문을 삼고 갖옷을 얽은 바탕으로써 손잡이[槸, 서로 개갤 예:摯]를 하는데 나부끼는 사이를 잡고 내몰면 들어가고 두드리면 들어가지 못한다. 왼쪽으로 하면 왼쪽으로 가고 오른쪽으로 하면 오른쪽으로 가며 그러한 뒤에 불지르고 짐승을 활로 쏜다. 천자가 쏜 연후에 제후가 쏘고 제후가 쏜 연후에 대부와 관리가 쏜다. 천자가 쏘면 큰 깃발[大綏]을 들어올리고, 제후가 쏘면 작은 깃발[小綏]을 올리는데, 그 아래에 짐승을 바치기 때문에 전쟁은 출구를 기울이지 않고 사냥은 출구를 막지 않으며 달아나면 뒤쫓지 않음이 옛날의 도(道)이다.

東有甫草、駕言行狩。

(동유보초 가언행수)

동쪽에 있는 보전땅에 수레 타고 사냥 가세

 

之子于苗、選徒囂囂。

(지자우묘 선도효효)

그분 사냥 가시는데 몰이꾼 뽑느라 왁자지껄

【毛亨 傳】 之子,有司也。夏獵曰苗。囂囂,聲也。維數車徒者,為有聲也。

【모형 전】 지자(之子)는 유사(有司)이다. 여름의 사냥을 묘(苗)라고 말한다. 효효(囂囂)는 소리이다. 오직 수레 무리를 셈한 것은 소리가 있게 하려함이다.

建旐設旄、搏獸于敖。

(건조설모 박수우오)

갓가지 깃발 세우고 오산에서 짐승을 잡았네

【毛亨 傳】 敖,地名。

【모형 전】 오(敖)는 지역의 이름이다.

 

駕彼四牡、四牡奕奕。

(가피사모 사모혁혁)

저 네 필 말 수레 타니 네 필 말이 씩씩하고

【毛亨 傳】 言諸侯來會也。

【모형 전】 제후가 회동에 감을 말한다.

赤芾金舄、會同有繹。

(적불금석 회동유역)

붉은 폐슬에 금신 신고 줄지어 천자를 뵙네

【毛亨 傳】 諸侯「赤芾金舄」,舄,達屨也。時見曰會,殷見曰同。繹,陳也。

【모형 전】 제후는 붉은 폐슬에 금신 신는데, 석(舄, 신 석)은 신발을 갖추었음이다. 때때로 만나봄을 회(會)라고 말하고 함께 만나봄을 동(同)이라고 말한다. 역(繹, 풀 역)은 늘어놓음이다.

 

決拾既佽、弓矢既調。

(결습기차 궁시기조)

활깍지와 팔찌를 끼고서 활과 화살을 갖추고

【毛亨 傳】 決,鉤弦也。拾,遂也。佽,利也。

【모형 전】 결(決, 결단할 결)은 활시위의 갈고리이고, 습(拾, 주울 습)은 활팔찌 인데 수(遂)이다. 차(佽, 잴 차)는 재빨라서 이로움이다.

射夫既同、助我舉柴。

(사부기동 조아거시)

활쏘는 장부들이 나를 도와 잡은 짐승 쌓네

【毛亨 傳】 柴,積也。

【모형 전】 시(柴, 섶 시)는 섶을 쌓음이다.

 

四黃既駕、兩驂不猗。

(사황기가 량참불의)

네 필 황마 수레 몰고 양쪽 곁말은 나란하네

【毛亨 傳】 言禦者之良也。

【모형 전】 말을 모[禦: 御]는 자가 어짊을 말함이다.

不失其馳、舍矢如破。

(불실기치 사시여파)

달리는 데 실수 없고 화살을 쏘면 적중하네

【毛亨 傳】 言習於射禦法也。

【모형 전】 활 쏘고 말 모는 법을 익힘을 말함이다.

 

蕭蕭馬鳴、悠悠旆旌。

(소소마명 유유패정)

쓸쓸히 말이 울고 여러 깃발이 나부끼는데

【毛亨 傳】 言不讙譁也。

【모형 전】 시끄럽지 않음을 말함이다.

徒御不驚、大庖不盈。

(도어불경 대포불영)

무리와 마부는 조용한데 푸주간은 가득하네

【毛亨 傳】 徒,輦也。禦,禦馬也。不驚,驚也。不盈,盈也。一曰乾豆,二曰賓客,三日充君之庖,故自左膘而射之,達於右腢,為上殺。射右耳本,次之。射左髀,達於右<骨肖>,為下殺。麵傷不獻。踐毛不獻。不成禽不獻。禽雖多,擇取三十焉,其餘以與大夫、士。以習射於澤宮,田雖得禽,射不中不得取禽。田雖不得禽,射中則得取禽。古者以辭讓取,不以勇力取。

【모형 전】 도(徒, 무리 도)는 무리[輦: 輩]이다. 어[禦: 御]는 말 몰이 함이다. 불경(不驚: 丕驚)은 크게 놀람이다. 불영(不盈: 丕盈)은 가득참이다. 첫째는 건두부이고 둘째 빈객이며 셋째 군주의 푸줏간을 채움이기 때문에 왼쪽 옆구리부터 활을 쏘아서 오른쪽 어깨 죽지를 관통했으면, 상등급으로 죽인 것이 되고, 오른쪽 귀밑을 쏘았으면 다음 등급이며, 왼쪽 넓적다리를 쏘아서 오른쪽 어깨 죽지를 관통한 것은 하등급으로 죽인 것이 된다. 얼굴이 상했으면 진헌하지 않고 터럭이 헐었으면 진헌하지 않으며, 짐승이 성숙하지 않았으면 진헌하지 않는다. 짐승이 비록 많더라도 30마리를 택하여 취하고 그 나머지를 가지고 대부와 관리에게 준다. 활 연습장[澤宮]에서 활쏘기를 익힘으로써 사냥에서 비록 짐승을 잡는데 활을 쏘아서 맞지 않으면 짐승을 취하지 않는다. 사냥에서 비록 짐승을 잡지 못했더라도 쏘아서 맞으면 짐승을 취한다. 옛날 사람들은 사양함을 가지고 취하지만 날샌 힘을 가지고 취하지 않았다.

 

之子于征、有聞無聲。

(지자우정 유문무성)

우리 님이 가시는데 소문만 있고 소리는 없네

【毛亨 傳】 有善聞而無喧嘩之聲。

【모형 전】 착한 소문이 있었는데 시끄럽게 떠들썩한 소리는 없음이다.

允矣君子、展也大成。

(윤의군자 전야대성)

훌륭한 군자이시고 진실로 크게 이루셨도다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東都,王城也。

【정현 서】 동도(東都)는 왕의 성이다.

 

我車既攻、我馬既同。

(아거기공 아마기동)

내 수레는 견고하고 내 말을 가지런히 하여서

四牡龐龐、駕言徂東。

(사모농롱 가언조동)

건장한 네 필 말 수레 몰고 동쪽으로 가보세

 

田車既好、四牡孔阜。

(전거기호 사모공부)

사냥 수레 훌륭하고 네 필 말도 장대하구나

東有甫草、駕言行狩。

(동유보초 가언행수)

동쪽에 있는 보전땅에 수레 타고 사냥 가세

【鄭玄 箋】 箋雲:甫草者,甫田之草也。鄭有甫田。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보초(甫草)라는 것은 보전땅의 풀이며, 정(鄭)나라에 보전(甫田)이 있다.”라고 하였다.

 

之子于苗、選徒囂囂。

(지자우묘 선도효효)

그분 사냥 가시는데 몰이꾼 뽑느라 왁자지껄

【鄭玄 箋】 箋雲:於,曰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어(於, 어조사 우)는 이에[曰]이다.”라고 하였다.

建旐設旄、搏獸于敖。

(건조설모 박수우오)

갓가지 깃발 세우고 오산에서 짐승을 잡았네

【鄭玄 箋】 箋雲:獸,田獵搏獸也。敖,鄭地,今近滎陽。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수(獸, 짐승 수)는 사냥터에서 잡은 짐승이다. 오(敖)는 정(鄭)나라 땅인데 지금의 형양(滎陽)에서 가깝다.”라고 하였다.

 

駕彼四牡、四牡奕奕。

(가피사모 사모혁혁)

저 네 필 말 수레 타니 네 필 말이 씩씩하고

赤芾金舄、會同有繹。

(적불금석 회동유역)

붉은 폐슬에 금신 신고 줄지어 천자를 뵙네

【鄭玄 箋】 箋雲:金舄,黃硃色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금석(金舄)은 황주색(黃硃色) 신이다.”라고 하였다.

 

決拾既佽、弓矢既調。

(결습기차 궁시기조)

활깍지와 팔찌를 끼고서 활과 화살을 갖추고

【鄭玄 箋】 箋雲:佽,謂手指相佽比也。調,謂弓強弱與矢輕重相得。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차(佽, 잴 차)는 손가락이 서로 재빠름을 비유하여 말함이다. 조(調, 고를 조)는 활이 강하고 약함과 화살이 가볍고 무거움을 서로 얻음[조절함]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射夫既同、助我舉柴。

(사부기동 조아거시)

활쏘는 장부들이 나를 도와 잡은 짐승 쌓네

【鄭玄 箋】 箋雲:既同,已射,同複將射之位也。雖不中必助中者,舉積禽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기동(既同)은 이미 활을 쏘고 장차 활을 쏘는 자리로 모두 돌아감이다. 비록 맞추지 못했더라도 반드시 맞히도록 조절하는 것은 짐승을 쌓음을 도와줌이다.”라고 하였다.

 

四黃既駕、兩驂不猗。

(사황기가 량참불의)

네 필 황마 수레 몰고 양쪽 곁말은 나란하네

不失其馳、舍矢如破。

(불실기치 사시여파)

달리는 데 실수 없고 화살을 쏘면 적중하네

【鄭玄 箋】 箋雲:禦者之良,得舒疾之中。射者之工,矢發則中,如椎破物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말몰이하는 자가 잘하면 빨리 펼쳐서 [화살이] 적중하고, 활쏘는 자가 공교(工巧)하면 화살이 발사하면 적중하여 짐승의 등줄기를 깨트리는 듯함이다.”라고 하였다.

 

蕭蕭馬鳴、悠悠旆旌。

(소소마명 유유패정)

쓸쓸히 말이 울고 여러 깃발이 나부끼는데

徒御不驚、大庖不盈。

(도어불경 대포불영)

무리와 마부는 조용한데 푸주간은 가득하네

【鄭玄 箋】 箋雲:不驚,驚也。不盈,盈也。反其言,美之也。「射右耳本」,「射」當為「達」。三十者,每禽三十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불경(不驚: 丕驚)은 크게 놀람이고, 불영(不盈: 丕盈)은 가득참인데, 그 말을 반대로하여 그것을 찬미하였다. 오른쪽 귀밑을 쏘았으면「射右耳本」의 「활을 쏨(射)」은 마땅히 「관통(達)」이 됨이다. 삼십(三十)이라는 것은 짐승 마다 삼십마리 이다.”라고 하였다.

 

之子于征、有聞無聲。

(지자우정 유문무성)

우리 님이 가시는데 소문만 있고 소리는 없네

【鄭玄 箋】 箋雲:晉人伐鄭。陳成子救之,舍於柳舒之上,去穀七裏,穀人不知。可謂有聞無聲。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진(晉)나라 사람들이 정(鄭)나라에 처들어가 진성자(陳成子)를 구출하면서 유서(柳舒)땅의 위에 진을 치고 7 리의 곡식을 버렸는데 농사짓는 사람들이 알지 못했다. [어찌] 소문이 있었는데 소리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允矣君子、展也大成。

(윤의군자 전야대성)

훌륭한 군자이시고 진실로 크게 이루셨도다

【鄭玄 箋】 箋雲:允,信。展,誠也。大成,謂致太平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윤(允, 진실로 윤)은 믿음이고, 전(展, 펼 전)은 진실(眞實)함이다. 대성(大成)은 크게 평안함이 이르도록함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ㅡ 한(漢)나라 毛亨傳 鄭玄箋, 당(唐)나라 孔穎達疏.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車攻》,宣王複古也。宣王能內修政事,外攘夷狄,複文、武之境土。修車馬,備器械,複會諸侯於東都,因田獵而選車徒焉。(東都,王城也。○攘,如羊反,除也,卻也。竟音境。械,戶戒反。《三蒼》雲:「械,總名也。」《說文》雲:「無所盛曰械。」複會,扶又反。選,宣兗反,數也;沈思戀反。下同。)

 

疏「《車攻》八章,章四句」至「車徒焉」。○正義曰:以詩次有義,故序者每乘上篇而詳之。言內修政事,外攘夷狄者,由內事修治,故能外平強寇,即上二篇南征、北伐是也。不言蠻,言夷者,總名也。既攘去夷狄,即是複竟土,是為複古也。案《王製》注以為,武王因殷之地,中國三千,海隅五千。至周公、成王斥大九州之界,乃中國七千,海隅萬裏。彼注者,據文而言耳,其實武王與成王之時,土境不甚相遠也。何則?武王崩後,王室流言,四國皆叛,不暇外討。三監既定,即為大平,製禮便雲大界。以此知其境土廣狹不得相懸也。《王製》據其初伐紂言耳。武王之末,境應稍大。言複文、武之境土,以文、武,周之先王,舉以言之。此當複成、康之時也。何則?文王未得天下,其境與武王不同,而配武言之,明為先王而言也。成初武末,土境略同,故舉文、武而言大界,《王製》之法,據禮為正耳。不然,豈周公數年攝政,能使三倍大於武王?宣王攘去夷狄,仍小成王三倍?且宣王,中興明君,美其複古,比諸成、康才四分之一,則展也大成,徒虛言耳。若宣王複古,始廣三千,則厲王之末,當城壞壓境,以文逆意,理在不然,故知複古,複成、康之時。以文、武先生,舉而言之耳。言修車馬,即首章、二章,上二句是也。言備器械攻戰之具,三章「建設旄」之類是也。複會諸侯於東都,四章是也。言複者,對上篇為複,猶《卷耳》言又也。因田獵,即六章、七章是也。而選車徒,即三章上二句是也。經先言選徒,序先言田獵者,選徒然後東行,故經先言之。序以選徒本為田獵,故言因田獵選車徒也。言因者,以會為主,因會而獵也。王者能使諸侯朝會,是事之美者,故以會諸侯為主焉。上三章先致其意。首章致會同之意,二章、三章致田獵之意,故雲「駕言」、「摶獸」,皆致意之辭,未實行也。四章言既至東都,諸侯來會。五章言田罷之後,射餘獲之禽。六章、七章言田獵之事。卒章總歎美之也。班餘獲射在田獲之後,而先田言之者,以射是諸侯群臣之事,因上章諸侯來會而即說之,令臣事自相次也。

 

我車既攻,我馬既同,(攻,堅。同,齊也。宗廟齊毫,尚純也。戎事齊力,尚強也。田獵齊足,尚疾也。○豪,戶刀反,依字作「毫」也。)

 

四牡龐龐,駕言徂東。(龐龐,充實也。東,洛邑也。○龐,鹿同反,徐扶公反。)

 

疏「我車」至「徂東」。○正義曰:宣王言,我會同之戎車既堅致矣,我戎馬既齊力矣,四牡之馬龐龐然充實矣,當為我駕,我當乘之以往東都,與諸侯行會同也。○傳「宗廟」至「尚疾」。○正義曰:「宗廟齊毫,戎事齊力,田獵齊足」,《釋畜》文也。「尚純」、「尚強」、「尚疾」,是毛以義增解之也。齊其毫毛,尚純色;齊其馬力,尚強壯;齊其馬足,尚迅疾也。引之者,證經「既同」為齊力之義,因連引宗廟、田獵之全文。李巡曰:「祭於宗廟,當加謹敬,取其同色也。」某氏曰:「戎事,謂兵革戰伐之事,當齊其力,以載幹戈之屬。」舍人曰:「田獵,取牲於苑囿之中,追飛逐走,取其疾而已。」

 

田車既好,四牡孔阜,

東有甫草,駕言行狩。(甫,大也。田者,大芟草以為防,或舍其中。褐纏旃以為門,裘纏質以為槸,間容握,驅而入,擊則不得入。之左者之左,之右者之右,然後焚而射焉。天子發然後諸侯發,諸侯發然後大夫、士發。天子發抗大綏,諸侯發抗小綏,獻禽於其下,故戰不出頃,田不出防,不逐奔走,古之道也。箋雲:甫草者,甫田之草也。鄭有甫田。○甫,毛如字,大也。鄭音補,謂圃田,鄭藪也。艾,魚廢反。褐音曷。槸,魚列反,何魚子反,門中闑。轚音計,劉兆注《穀梁》雲「繼也」,本又作「擊」,音同,或古曆反。「之左者之左」,一本無上「之」字,下句亦然。射,食弋反。抗,苦浪反,舉也。綏,本亦作「緌」,而隹反,下同。頃,苦穎反。甫田,舊音補,十藪,鄭有圃田,下同;毛依字。甫,大也。)

 

疏「田車」至「行狩」。毛以為,宣王言我田獵之車既善好,四牡之馬又甚盛大,東都之界有廣大之草,可以就而田獵焉。當為我駕此車馬,我將乘之而往,狩獵於彼。言既會諸侯,又與田也。鄭唯以「東有甫草」為「圃田之草」為異耳。○傳「甫大」至「之道」。○正義曰:以田法,芟草為防,是廣大之處,故訓甫為大也。謂寬大之地,有草可芟,故言甫草也。因而廣言田獵之法,次在大草之意。田獵者,必大芟殺野草以為防限,作田獵之場,擬殺圍之處。或複止舍其中,謂未田之前,誓士戒眾,故教示戰法,當在其間止舍也。其防之廣狹無文。即為防限,當設周衛而立門焉。乃以織毛褐布纏通帛旃之竿,以為門之兩傍,其門蓋南開,並為二門,用四旃四褐也。又以裘纏椹質以為門中之闑。闑,車軌之裏,兩邊約車輪者。其門之廣狹,兩軸頭去旃竿之間各容一握。握人四指為四寸,是門廣於軸八寸也。入此門,當馳走而入,不得徐也。以教戰試其能否,故令驅焉。若驅之,其軸頭擊著門傍旃竿,則不得入也。所以罰不一也。以天子六軍,分為左右,雖同舍防內,令三軍各在一方,取左右相應。其屬左者之左門,屬右者之右門,不得越離部位,以此故有二門也。此屬夏苗之田也。《周禮》「仲夏,教茇舍。」鄭雲:「茇舍,草止也。軍有草止之法。」此苗田即草止,明芟草止其中焉。或舍其中也。以教戰即軍禮,同,故言軍有草止之法。仲夏舉草舍之法,田禮皆當然也。故 「仲冬教大閱」雲:「前期群吏,戒眾庶,修戰法。虞人萊所田之野為表,百步則一,為三表。又五十步為一表。田之日,司馬建旗於後表之中,群吏以旗物鼓鐸鐲鐃,各帥其民而致。質明,弊旗,誅後至者。乃陳車徒,如戰之陳。注雲:「萊,芟除可陳之處。表,所以識正行列也。四表積二百五十步。左右之廣,當容三軍,步數未聞。」鄭雲「芟除可陳之處」,是芟草為教戰之所。傳言「田者,大芟草以為防」,則芟草為田獵之處,明先獵以教戰,合圍又在間焉,二者同處也。鄭以最南一表,以北百步為二表,又北百步為三表,又北五十步為四表,謂之後表。是四表二百五十步也。以下有以旌為左右和之門,故言「左右之廣,當容三軍,但步數未聞耳」。彼又曰:「以旌為左右和之門,群吏各帥其車徒,以敘和出左右。」注雲:「軍門曰和,今謂之壘門,立兩旌以為之。敘和出,用次第出和門也。」彼旌即此旃也。彼言「敘和出」,此言「驅而入」,不同者,此據質明時初入和門。既入,同在後表之中,將以教戰也。既誓,從後表前至第二表,一弊其旗,車徒皆坐。又從第二表至前第三,又然。又從前第三至最前,退卻,教振旅,至後表。禮畢,當從是以出田,故敘和出左右,與此終始各舉其一,故不同也。計立旌為門,當在教戰之前。《周禮》以旌為左右和之門,文在教戰下者,以教戰之時,直言建旌後表之中,不說入門之事,故不言立門。教畢,以敘和出。因其將出而言立門,故文在下。其實戰之前,門已先設也。教戰既畢,士卒出和,乃分地為屯。既陳,車驅卒奔,驅禽,內之於防,然後焚燒此防草,在其中而射之。天子先發,然後諸侯發,然後大夫、士發。發謂發矢射之也。其天子發則先抗舉其大綏,諸侯發則舉其小綏。必舉此綏為表,天子諸侯殺之時,因獻其禽於其下也,故戰不出所期之頃田,不出所芟之防,不逐奔走。謂出於頃防者,不逐之,古之道也。抗綏,謂既射舉之,因置虞旗於其中,受而致禽焉。受禽獵止則弊之,故《王製》曰:「天子殺則下大綏,諸侯殺則下小綏。」注雲:「下謂弊之。」是殺禽已訖,田止而弊綏也。各舉終始之一,故與此不同也。此等似有成文,未知其事所出。昭八年《穀梁傳》曰:「芟蘭以為防。以葛覆質為槷。」與此不同。《鄭誌》答張逸雲:「戰有頃數,不能盡其多少,猶今戰場者不出其頃界,田者不出其防也。」《王製》雲:「昆蟲未蟄,不以火田。」則用火田獵。唯在冬耳.此言焚而射之。自焚所芟之草。非放火田獵。四時皆焚之也。故《地耿·山虞》、《澤虞》皆雲:「大田,萊山田之野。」言大田,則天子四時之田皆然矣。既萊其地,明悉焚之。此時王仍未至本都,非正田之時。毛因大草,廣言獵法,不謂此時即然也。○箋「甫草」至「甫田」。○正義曰:以下雲「搏獸於敖」,敖,地名,則甫草亦是地名,不宜為大,故易之為圃田之草。且東都之地,自有圃田,故引《爾雅》以證之。「鄭有圃田」,《釋地》文也。郭璞曰:「今滎陽中牟縣西圃田澤是也。」《職方》曰:「河南曰豫州,其澤藪曰圃田。」宣王之時,未有鄭國,圃田在東都畿內,故宣王得往田焉。

 

之子於苗,選徒囂囂。(之子,有司也。夏獵曰苗。囂囂,聲也。維數車徒者,為有聲也。箋雲:於,曰也。○囂,五刀反,或許驕反。數,所主反。)

 

設旄,搏獸於敖。(敖,地名。箋雲:獸,田獵搏獸也。敖,鄭地,今近滎陽。○搏音博,舊音付。近,附近之近。)

 

疏「之子」至「於敖」。○毛言宣王欲鄉東都之時,其是子群吏之有司於是為將夏田之苗,選數車徒,不為讙嘩,唯數者有聲囂囂然。言時官人皆能其事也。既選車徒,王言當建立於車,而設旄牛尾於之首,與旄同建,我當乘之,往搏取禽獸於敖地也。○鄭以「於」為「曰」,則之子斥宣王,為異耳。○傳「之子」 至「有聲」。○正義曰:《大司馬》:「仲夏,教茇舍,如振旅之陳。群吏選車徒。」謂數擇之也。此時事與彼同,則有司謂群吏有事者,大司馬之屬矣。傳以此子為有司,下文「之子」亦非王身,當謂凡從王者,非獨司馬官屬也。夏獵曰苗,則此時宣王為夏田也。上雲「駕言行狩」者,是獵之總名,但冬獵大於三時,故狩為冬獵名耳,非宣王發意向東,許曆冬夏也。下雲「有聞無聲」,則在軍不得讙嘩。而雲囂囂之聲,故知唯數者為有聲。○箋「於,曰」。○正義曰:傳之訓「於」為「於」、為「往」,無為「曰」者,箋以為「曰」,則與傳不同。言「之子曰」,「曰」則是命事之辭,「之子」當斥宣王,不得為有司也。下雲「之子於征」,亦謂宣王行也,但不訓「於」字,則「於征」當為往征矣。

 

駕彼四牡,四牡奕奕。(言諸侯來會也。)

 

赤芾金舄,會同有繹。(諸侯「赤芾金舄」,舄,達屨也。時見曰會,殷見曰同。繹,陳也。箋雲:金舄,黃硃色也。○舄音昔。繹音亦。見,賢遍反,下同。)

 

疏「駕彼」至「有繹」。○正義曰:言宣王之至東都,四方諸侯駕彼四牡之馬而來,其四牡之馬則奕奕然閑習。既朝見於王,而服赤芾金舄之飾。與王行會同之禮者,有陳於會同之位,言各以爵之尊卑,陳列於其位次者。○傳「諸侯」至「曰同」。○正義曰:言諸侯赤芾,對天子當朱芾也。言「金舄,達屨」者,《天官·屨人》注雲:「舄有三等,赤舄為上,冕服之舄,下有白舄、黑舄。」此雲金舄者,即禮之赤舄也,故箋雲「金舄,黃硃色」。加金為飾,故謂之金舄。白舄、黑舄猶有在其上者,為尊未達。其赤舄則所尊莫是過,故雲「達屨」,言是屨之最上達者也。此舄也,而曰屨,屨,通名。以舄是祭服,尊卑異之耳,故屨人兼掌屨舄,是屨為通名也。「時見曰會,殷見曰同」,《大宗伯》文也。定本雲「殷頫曰同」,誤也。注雲:「時見者,無常期。」諸侯有不服者,王將有征伐之事,則既朝覲,王為壇於國外,合諸侯而命事焉。殷,眾也。十二歲,王如不巡狩,則六服盡朝。朝禮既畢,王為壇合諸侯,以命政焉。如是,則會、同其禮各別,不得並行之矣。但此時王與諸侯會東都,非十二年之事。言「同」者,以會、同對文則別,散則義通。會者,交會。同者,同聚。理既是一,故《論語》及此連言之。

 

決拾既佽,弓矢既調。(決,鉤弦也。拾,遂也。佽,利也。箋雲:佽,謂手指相佽比也。調,謂弓強弱與矢輕重相得。○,本又作「決」,或作「抉」,同古穴反。佽音次,《說文》子利反,雲:「便利也。」比,毗誌反。)

 

射夫既同,助我舉柴。(柴,積也。箋雲:既同,已射,同複將射之位也。雖不中必助中者,舉積禽也。○柴,子智反,又才寄反,《說文》作「{此手}」,士賣反。中,丁仲反,下「中者」同。)

 

疏「決拾」至「舉柴」。○正義曰:此章言諸侯從王田罷,賜射餘獲之事也。言時諸侯所有決之與拾既與手指相比次而和利矣,弓之與矢既強弱相得而調適矣,既田畢,王以餘獲之禽賜之,則以此射而取之。此射夫皆已射一番,若中得禽者,既同複將射之位,欲更射以求禽也。若以射之而不中者,則又助我中者舉積禽。此文承諸侯之下,射夫即諸侯也。其大夫亦在獲射之中,則此可以兼焉。諸侯而謂之射夫者,夫,男子之總名。○箋「佽謂」至「相得」。○正義曰:鄭以佽為利,其義不明,故申而成之。決著於右手大指,所以鉤弦,開體遂著於左臂,所以遂弦,手指相比次,而後射得和利,故毛雲「佽,利」,謂相次然後射利,非訓佽為利也。言「調,謂弓強弱與矢輕重相得」者,弓體有強弱,各其力之所便。又弓矢之各有安危,調之使相得。○箋「既同」至「積禽」。○正義曰:田無射禮,唯既田乃有班餘獲射在於澤宮。言同複將射之位,在澤宮之位也。以言助我舉積,是不得利者助他人也,故射雖不中,必助中者舉積禽矣。《鄉射禮》雲「禮,射不主皮,不勝者降」,即此是也。此謂士大夫以上有禮射者,庶人則以主皮當禮射,故鄉大夫以五物詢眾,三曰主皮,是也。

 

四黃既駕,兩驂不猗。(言禦者之良也。○猗,於寄反,又於綺反。)

 

不失其馳,舍矢如破。(言習於射禦法也。箋雲:禦者之良,得舒疾之中。射者之工,矢發則中,如椎破物也。○舍音捨。椎,直追反。)

 

疏「四黃」至「如破」。○正義曰:王既會諸侯,乃與之田。言王乘四黃之馬既駕矣,兩驂之馬不相依猗,禦者節禦此馬,令不失其馳騁之法。故令射者舍放其矢,則如椎破物,能中而駃也。言禦良射善,所以美之。○箋「言禦者之良」。○正義曰:《駟鐵》雲:「六轡在手。」箋雲:「言馬之良。」此雲禦良者,雖馬禦相須,而設文有意。彼雲在手,主說馬良,不用禦者之力,故言在手而已。此雲驂不相猗,乃禦者使之然,故雲禦良。各觀其文而為說也。

 

蕭蕭馬鳴,悠悠旆旌,(言不讙譁也。○讙音歡,又音暄。譁音花。)

徒禦不驚,大庖不盈。(徒,輦也。禦,禦馬也。不驚,驚也。不盈,盈也。一曰乾豆,二曰賓客,三日充君之庖,故自左膘而射之,達於右腢,為上殺。射右耳本,次之。射左髀,達於右<骨肖>,為下殺。麵傷不獻。踐毛不獻。不成禽不獻。禽雖多,擇取三十焉,其餘以與大夫、士。以習射於澤宮,田雖得禽,射不中不得取禽。田雖不得禽,射中則得取禽。古者以辭讓取,不以勇力取。箋雲:不驚,驚也。不盈,盈也。反其言,美之也。「射右耳本」,「射」當為「達」。三十者,每禽三十也。○庖,蒲茅反。膘,頻小反,又扶了反。《三蒼》雲:「小腹兩邊肉也。」《說文》雲: 「脅後髀前肉也。」本亦作「髀」,蒲禮反。或又作「[A16F]」。射,食亦反,下「射左髀」同。腢,本亦作「髃」,音愚,又五厚反,謂肩前也;《說文》同;郭音偶,謂肩前兩間骨;何依注。《公羊》自左膘射之,達於右腢,中心死疾,鮮潔也。又五回、五公二反。射右耳,食亦反。脾,本又作「髀」,方爾反,又薄禮反,謂股外。[A16F],餘繞反,又胡了反,謂水膁也。字書無此字,一本作「<骨號>」,音羊紹反,又羊招反,呂忱於小反。本或作 「膘」。踐,子淺反。)

 

疏「蕭蕭」至「不盈」。○正義曰:言王之田獵,非直射良禦善,又軍旅齊肅,唯聞蕭蕭然馬鳴之聲,見悠悠然旆旌之狀,無敢有讙嘩者。徒行鞔輦者,與車上禦馬者,豈不驚戒乎?言以相警戒也。君之大庖,所獲之禽不充滿乎?言充滿也。○傳「徒輦」至「力取」。○正義曰:諸徒皆為徒行,此獨以為輦者,《釋訓》雲:「徒禦不驚輦者也。」《爾雅》特釋此文,故依而為說。《地官·鄉師》雲:「大軍旅會同治其輦。」注雲:「輦人挽行,所以載任器也。止以為蕃營。」《司馬法》輦有一斧一斤一鑿一梩。周輦加二板二築,夏後氏二十人而輦,殷十八人而輦,周十五人而輦。是會田獵,人挽輦以徒行也。徒既為輦者,故禦為禦馬者也。以此美宣王之歌,故知不驚、不盈,聲而疊之,故箋反其言美之,此為美之深者也。鄭於此申毛者,反「鄂不韡韡」不從毛說,以上未有此比,故於是言之,明以後此類皆然矣。傳又因經「大庖不盈」,廣言殺獸充庖之事。一曰乾豆,謂第一上殺者,乾足以為豆實,供宗廟也。二曰賓客,謂第二殺者,別之以待賓客也。三曰充君之庖,謂第三下殺者,取之以充實君之庖廚也。君尊宗廟,敬賓客,故先人而後己,取其下也。又分別殺之三等,故自左膘而射之,達過於右肩腢,為上殺,以其貫心死疾,肉最絜美,故以為乾豆也。「射右耳本」,箋雲「射」當為「達」,亦自左射之,達右耳本而死者,為次殺,以其遠心,死稍遲,肉已微惡,故以為賓客也。不言自左者,蒙上文可知。射左股髀,而達過於右脅[A16F],為下殺,以其中脅,死最遲,肉又益惡,充君之庖也。凡射獸,皆逐後從左廂而射之,達於右[A16F],言射左髀,則上殺達於右腢,當自左脅也。次殺右耳本,當自左肩腢也。不言自左,舉下殺之射左髀,可推而知也。《王製》及《公羊》、《穀梁》皆雲「充君之庖」,無「廚」字。鄭雲「庖,今之廚」,則傳本亦無「廚」字,「廚」,衍字也。定本亦無「廚」字。箋知射當為達者,以射必自左,不得從右而射,且與上下不類,故知當為達也。麵傷不獻者,謂當麵射之。翦毛不獻,謂在傍而逆射之。二者皆為逆射,不獻者,嫌誅降之義。不成禽不獻者,惡其害幼少。此不能使獵者無之,自君所不取,以示教法耳。禽雖多,擇取三十焉。鄭雲:「三十者,每禽三十。」以君之獵,不宜諸種止取三十,故以為每禽焉。則宗廟、賓客、君庖各十也。其餘每禽三十之外,以與卿、大夫、士習射澤宮,所以班餘獲射也。不言諸侯,諸侯不常在。卿、大夫尚得與射,諸侯在射,可知也。以大獸公之,非複己物,君賜使射,故非中不取。言向者田獵所取,用勇力;今射者,禮樂所取,用辭讓也。此當有成文,《書傳》、《穀梁傳》與此略同。

 

之子於征,有聞無聲,(有善聞而無喧嘩之聲。箋雲:晉人伐鄭。陳成子救之,舍於柳舒之上,去穀七裏,穀人不知。可謂有聞無聲。○聞音問,注同,本亦作「問」。)

 

允矣君子,展也大成。(箋雲:允,信。展,誠也。大成,謂致太平也。)

 

疏「之子」至「大成」。○毛以為,是從王往行群臣有善聞,而率其所部,無喧嘩之聲。王能使所從若是,信矣君子,宣王誠實也,其功大成。言太平也。 ○鄭以「之子」斥「宣王」為異耳。○箋「晉人」至「無聲」。○正義曰:事在哀二十七年《左傳》,曰:「晉荀瑤伐鄭,次於桐丘。鄭駟弘請救於齊。陳成子救鄭。及留舒,違穀七裏,穀人不知。」是其事也。留、柳不同,蓋所據書異。穀本齊邑,而引之者,證無聲也。

 

《車攻》八章,章四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