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경(詩經)/1.시경(詩經)

『시경(詩經)』114. 실솔(蟋蟀, 뀌뚜라미)

by 석담 김한희 2023. 6. 4.
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제10 당풍(唐風)≫

 

114. 실솔(蟋蟀, 뀌뚜라미)

【毛詩 序】 《蟋蟀》,刺晉僖公也。儉不中禮,故作是詩以閔之,欲其及時以禮自虞樂也。此晉也,而謂之唐,本其風俗,憂深思遠,儉而用禮,乃有堯之遺風焉。

【모시 서】 <실솔(蟋蟀)>은 진(晉)나라 희공(僖公)을 풍자한 시(詩)이다. 검소하여 예(禮)에 맞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를 지어 그로써 민망하게 여기고, 그 때에 미쳐 예(禮)로써 스스로 근심을 노래하고자 하였다. 이 진(晉)나라 [시]인데 일컫기를 당풍이라 하며, 본래 그 풍속은 근심이 깊고 생각이 원대하여 검소하면서 예(禮)를 따르니 이에 요(堯)임금의 유풍이 그곳에 있었다.

 

蟋蟀在堂、歲聿其莫。

(실솔재당 세율기모)

귀뚜라미 문밖에 이르니 해가 드디어 저무는구나

今我不樂、日月其除。

(금아불락 일월기제)

지금 내가 즐기지 않으면 세월이 그냥 가버리네

無已大康、職思其居。

(무이대강 직사기거)

너무 즐기려 하지 말고 일하여 살 생각도 해야지

好樂無荒、良士瞿瞿。

(호락무황 량사구구)

놀기 좋아해도 지나침 없는 어진관리는 조심하네

 

蟋蟀在堂、歲聿其逝。

(실솔재당 세율기서)

귀뚜라미 문밖에 이르니 해가 드디어 지나가구나

今我不樂、日月其邁。

(금아불락 일월기매)

지금 내가 즐기지 않으면 세월이 그냥 멀어지네

無已大康、職思其外。

(무이대강 직사기외)

너무 즐기려 하지 말고 바깥 일도 생각해야지

好樂無荒、良士蹶蹶。

(호락무황 량사궐궐)

놀기 좋아해도 지나침 없는 어진관리 부지런하네

 

蟋蟀在堂、役車其休。

(실솔재당 역차기휴)

귀뚜라미 문밖에 이르니 일하는 수레도 쉬는구나

今我不樂、日月其慆。

(금아불락 일월기도)

지금 내가 즐기지 않으면 세월이 그냥 묻힌다네

無已大康、職思其憂。

(무이대강 직사기우)

너무 즐기려 하지 말고 어려운 일도 생각해야지

好樂無荒、良士休休。

(호락무황 량사휴휴)

놀기 좋아해도 지나침 없는 어진관리는 분발하네

 

《蟋蟀》三章,章八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