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서경(書經)

『시경(詩經)』47. 군자해로(君子偕老, 님과 해로)

by 석담 김한희 2022. 4. 7.
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4-용풍(鄘風

47. 군자해로(君子偕老, 님과 해로)

君子偕老 副笄六珈

(군자해로 부계육가)

委委佗佗 如山如河

(위위타타 여산여하)

象服是宜

(상복시의)

子之不淑 云如之何

(자지불숙 운여지하)

군자와 해로하려고 꾸미게에 비녀 여섯 꾸몄다네

매우 의젓하고 마음 평온하여 산 같고 하수 같아

상아와 복장이 이렇게 마땅한데도

그대의 정숙하지 않음은 어찌해서 인가요

 

玼兮玼兮 其之翟也

(자혜자혜 기지적야)

鬒髮如雲 不屑髢也

(진발여운 불설체야)

없구나.

玉之瑱也 象之揥也

(옥지진야 상지체야)

揚且之晳也

(양저지석야)

胡然而天也 胡然而帝也

(호연이천야 호연이제야)

곱고도 성대한 그분의 꿩 깃옷[翟衣]이라네

검은머리 구름 같지만 가체머리 안 깨끗하네

옥으로 만든 귀막이와 상아로 만든 빗치개에

훤칠한 이마가 희고도 밝으시니

어찌 그리 하늘 같고 어찌 그리도 상제 같을까

 

瑳兮瑳兮 其之展也

(차혜차혜 기지전야)

蒙彼縐絺 是紲袢也

(몽피추치 시설반야)

子之淸揚 揚且之顔也

(자지청양 양저지안야)

展如之人兮 邦之媛也

(전여지인혜 방지원야)

곱고도 고우니 그분의 비단 옷[展衣]이라네

수놓은 갈포 위에 덧입으니 여름 속 적삼인데

그대의 맑음이 드날리니 얼굴 또한 드날리네

전의(展衣) 입은 사람이지만 왕도의 미인이라네

 

君子偕老三章一章七句一章九句一章八句

 

 

모시(毛詩)

()나라 모형(毛亨, ?~?) ()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毛詩 序 <君子偕老> 刺衛夫人也. 夫人淫亂, 失事君子之道, 故陳人君之德服飾之盛, 宜與君子偕老也.

모시 서 <군자해로(君子偕老)>는 위()나라 부인을 풍자하였다. 부인이 음란하여, 군자를 섬기는 도리를 잃었기 때문에 군주의 덕과 복식(服飾)의 성대함을 펼쳐서 군자와 더불어 해로함이 마땅하다 하였다.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 ()에 전()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君子偕老 副笄六珈 

<군자와 해로하려고 꾸미게에 비녀 여섯 꾸몄다네>

毛亨 傳 能與君子俱老 乃宜居尊位 服盛服也. 副者, 后夫人之首飾 編髮爲之. 笄 衡笄也. 珈 笄飾之最盛者, 所以別尊卑.

모형 전 군자(君子)와 더블어 잘 갖추어 늙으니 이에 마땅히 존귀한 자리에 살고 성대한 복()을 입는다. ()라는 것은, 후부인(后夫人)의 머리 장식인데 머리카락을 땋아서 만든다.

(, 비녀 계)는 가로 꽂는 비녀이다. (, 머리꾸미개 가)는 비녀[]를 꾸미는 것 중 가장 성대한 것인데, 존귀함과 비천함을 구별하는 까닭이다.

委委佗佗 如山如河 

<매우 의젓하고 마음 평온하여 산 같고 하수 같아>

毛亨 傳 委委者, 行可委曲蹤迹也. 佗佗者 德平易也. 山無不容 河無不潤. 委佗 韓詩云 德之美貌.

모형 전 위위(委委)라는 것은, 굽은 발자취의 자취를 행하여 맏길 수 있음이다. 타타(佗佗)라는 것은, 덕이 평평함으로 바뀜이다. ()은 허용하지 않음이 없고 하()는 윤택하지 않음이 없음이다.

 ()와 타() 한 시에 이르기를 덕의 아름다운 모습이다.”라고 하였다.

象服是宜 

<상아와 복장이 이렇게 마땅한데도>

毛亨 傳 象服 尊者所以爲飾.

모형 전 상복(象服)은 존귀한 자가 꾸미려고 하는 까닭이다.

子之不淑 云如之何 

<그대의 정숙하지 않음은 어찌해서 인가요>

毛亨 傳 有子若是, 何謂不善乎?

모형 전 그대 이와 같음이 있는데, 어찌 착하지 않다고 말하겠는가?

 

玼兮玼兮 其之翟也 

<곱고도 성대한 그분의 꿩 깃옷[翟衣]이라네>

毛亨 傳 玼 鮮盛貌. 褕翟闕翟 羽飾衣也

모형 전 (, 흉 자)는 곱고 성대한 모양이다. 유적(褕翟)과 궐적(闕翟) []깃으로 장식한 옷이다.

石潭齋  : 제후(諸侯) 부인의 옷은, 유적(褕翟)이 최고이고, 궐적(闕翟)이 그 다음이며, 국의(鞠衣)가 그 다음이고, 전의(展衣)가 또 그 다음이다

鬒髮如雲 不屑髢也 

<검은머리 구름 같지만 가체머리 안 깨끗하네>

毛亨 傳 鬒 黑髮也. 如雲 言美長也. 屑 絜也.

모형 전 (, 숱 많고 검을 진)은 검은 머리이다. 여운(如雲) [머리카락이] 아름답고 긺을 말한다. (, 가루 설)은 깨끗함이다.

玉之瑱也 象之揥也 

<옥으로 만든 귀막이와 상아로 만든 빗치개에>

毛亨 傳 瑱 塞耳也. 揥 所以摘髮也.

모형 전 (, 귀막이 옥 전) 귀막이이다. (, 빗치개 체)는 머리카락을 들추어내는 까닭[도구]이다.

揚且之晳也 <훤칠한 이마가 희고도 밝으시니>

毛亨 傳 揚 眉上廣, 晳 白晳.

모형 전 (, 날릴 양)은 눈썹 위가 넓음이고, (, 밝을 석)은 희고 밝음이다.

胡然而天也 胡然而帝也 

<어찌 그리 하늘 같고 어찌 그리도 상제 같을까>

毛亨 傳 尊之如天 審諦如帝

모형 전 높기가 하늘과 같고, 자세히 살핌이 상제(上帝)와 같음이다.

 

瑳兮瑳兮 其之展也 

<곱고도 고우니 그분의 비단 옷[展衣]이라네>

蒙彼縐絺 是紲袢也 

<수놓은 갈포 위에 덧입으니 여름 속 적삼인데>

毛亨 傳 禮有展衣者, 以丹縠爲衣. 蒙 覆也. 絺之靡者爲縐 是當暑袢延之服也.

모형 전 ()에 전의(展衣)라는 것이 있는데 붉은 비단으로써 만든 옷이다. ()은 덮음이다. 갈포 중에 올이 가는 것이 추()이니, 이는 더위에 마땅하여 속에 늘여 입는 복장이다.

子之淸揚 揚且之顔也 

<그대의 맑음이 드날리니 얼굴 또한 드날리네>

毛亨 傳 淸 視淸明也. 揚 廣揚 而顔角豐滿

모형 전 ()은 맑고 밝게 보임이다. ()은 넓리 드날리면서 얼굴이 반듯하고 풍만한 것이다.

展如之人兮 邦之媛也 

<전의(展衣) 입은 사람이지만 왕도의 미인이라네>

毛亨 傳 展 誠也. 美女爲媛.

모형 전 ()은 진실함이다. 아름다운 여자가 원()이다.

 

 

 모시전(毛詩箋)

()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 모시전(毛詩傳)에 전()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夫人宣公夫人惠公之母也人君小君也或者字誤作

정현 서 부인(夫人)은 위()나라 선공(宣公)의 부인이니 혜공(惠公)의 어머니이다. 인군(人君)은 소군(小君)이다. 어떤 사람[或者] ()’자를 ()’자로 잘못 썼을 뿐이다.

 

君子偕老 副笄六珈 

<군자와 해로하려고 꾸미게에 비녀 여섯 꾸몄다네>

鄭玄  箋雲珈之言加也副既笄而加飾如今步搖上飾古之製所有未聞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머리꾸미개가)의 뜻은 더함()’이며, 머리꾸미개[]에 비녀를 하고 꾸밈을 더하였으니, 지금의 보요(步搖; 걸을적에 흔들리는) 위의 장식과 같다. 옛날의 제도에 있는지는 듣지 못하였다.”라고 했다.

委委佗佗 如山如河 

<매우 의젓하고 마음 평온하여 산 같고 하수 같아>

 委佗 韓詩云 德之美貌.

音義  ()와 타() 한시(韓詩)에 이르기를 덕의 아름다운 모습이다.”라고 하였다.

象服是宜 

<상아와 복장이 이렇게 마땅한데도>

鄭玄  箋雲象服者謂揄翟闕翟也人君之象服則舜所雲 予欲觀古人之象日月星辰之屬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상복(象服)이라는 것은 요적(揄翟)과 궐적(闕翟)이다. 인군(人君)의 상복(象服)은 곧 상서(尙書)≫ 〈익직(益稷)에서 순()임금이 일러준 바 내가 옛사람의 모습[]과 해와 달과 별을 보이기를 바란다라고 한 것 등이다.”라고 했다.

子之不淑 云如之何 

<그대의 정숙하지 않음은 어찌해서 인가요>

鄭玄  箋雲子乃服飾如是而為不善之行於禮當如之何深疾之

정현 전 ()에 이르기를 ““그대의 옷과 꾸밈이 이와 같은데, 착하지 않게 행동을 하니 예()에 어떻게해야 마땅 하겠는가.”라고 하며, 매우 미워함이다.”라고 했다.

 

玼兮玼兮 其之翟也 

<곱고도 성대한 그분의 꿩 깃옷[翟衣]이라네>

鄭玄  箋雲侯伯夫人之服自褕翟而下如王後焉。○玼音此又且禮反。《說文:「新色鮮也。」《字林:「鮮也。」音同。《玉篇且禮反:「鮮明貌」。

정현 전 ()에 이르기를 후백(侯伯) 부인의 옷에 요적(褕翟)부터 이하는 왕후와 같다.”라고 했다. (, 옥빛 깨끗할 체)의 음은 차이거 또 차와 예의 반절음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신선(新鮮)하고 산뜻하다.”라고 하고, 자림(字林)에는 산뜻하다.”라고 하고, 옥편(玉篇)에는 산뜻한 모양이다.”라고 하였다.

 

鬒髮如雲 不屑髢也 

<검은머리 구름 같지만 가체머리 안 깨끗하네>

鄭玄  箋雲髲也不絜者不用髲為善。○真忍反。《說文:「發稠也。」服虔注左傳:「發美為鬒。」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다리 체)는 다리[덧넣었던 딴 머리]이다. 깨끗하지 않은 것의 가발을 사용함을 좋게 여기지 않았다.”라고 했다. (, 숱 많고 검을 진)은 진과 인의 반절음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머리카락이 빽빽하게 많음이다.”라고 하고, 복건(服虔)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에는 머리카락이 아름다운 것을 진()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玉之瑱也 象之揥也 

<옥으로 만든 귀막이와 상아로 만든 빗치개에>

揚且之晳也 

<훤칠한 이마가 희고도 밝으시니>

胡然而天也 胡然而帝也 

<어찌 그리 하늘 같고 어찌 그리도 상제 같을까>

鄭玄  箋雲何也五帝也何由然女見尊敬如天帝乎非由衣服之盛顏色之莊與反為淫昏之行

정현 전 ()에 이르기를  이고  五帝이다. ‘무슨 까닭으로 그대는 하늘과 上帝 같은 존경을 받는가. 성대한 의복과 단정한 모습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런데 도리어 음란한 행동을 하는가.’라고 한 것이다.”라고 했다.

 

瑳兮瑳兮 其之展也 

<곱고도 고우니 그분의 비단 옷[展衣]이라네>

蒙彼縐絺 是紲袢也 

<수놓은 갈포 위에 덧입으니 여름 속 적삼인데>

鄭玄  箋雲後妃六服之次展衣宜白縐絺絺之蹙蹙者展衣夏則裏衣縐絺此以禮見於君及賓客之盛服也展衣字誤,《禮記襢衣」。○七我反,《說文:「玉色鮮白。」

정현 전 ()에 이르기를 후비(后妃)의 여섯가지 복식[六服] 차례에 따르면 전의(展衣)는 마땅히 흰색이다. 추치(縐絺)는 가는 갈포(葛布)로 촘촘한 것이다. 전의(展衣)는 여름에는 안에 추치(縐絺)를 입는데, 이는 예()로 군주와 빈객(賓客)을 뵐 때 입는 화려한 예복(禮服)이다. 전의(展衣)는 글자가 잘못되었으니 예기(禮記)에는 전의(襢衣)’로 되어 있다.”라고 했다. (, 고울 차)는 칠과 아의 반절음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 옥의 색깔이 희고 깨끗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子之淸揚 揚且之顔也 

<그대의 맑음이 드날리니 얼굴 또한 드날리네>

展如之人兮 邦之媛也 

<전의(展衣) 입은 사람이지만 왕도의 미인이라네>

鄭玄  箋雲媛者邦人所依倚以為媛助也疾宣薑有此盛服而以淫昏亂國故雲然

정현 전 ()에 이르기를 (, 여자 원)이라는 것은, 나라사람이 의지해 원()을 돕게 하였으니, 선강(宣姜)이 이러한 훌륭한 예복이 있으면서도 음란함으로 나라를 어지럽힌 것을 미워하였다. 그리하여 그렇게 말한 것이다.”라고 했다.

 

 

모시정의(毛詩正義)

()나라 모형(毛亨) 시경(詩經)에 전()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을 붙였으며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君子偕老》,刺衛夫人也夫人淫亂失事君子之道故陳人君之德服飾之盛宜與君子偕老也。(夫人宣公夫人惠公之母也人君小君也或者字誤作偕音皆。)

 

「《君子偕老三章首章七句二章九句卒章八句偕老」。○正義曰君子偕老詩者刺衛夫人也以夫人淫亂失事君子之道也毛以為由夫人失事君子之道故陳別有小君內有貞順之德外有服飾之盛德稱其服宜與君子偕老者刺今夫人有淫佚之行不能與君子偕老偕老者謂能守義貞絜以事君子君子雖死誌行不變與君子俱至於老也經陳行步之容發膚之貌言德美盛飾之事能與君子偕老者乃然故發首言君子偕老」,以為一篇之總目序則反之見內有其德外稱其服然後能與君子偕老各自為勢所以倒也鄭以為由夫人失事君子之道故陳此夫人既有舉動之德服飾之盛宜應與君子俱至於老反為淫佚之行而不能與君子偕老故刺之此人君之德謂宣薑服飾之盛行止有儀不謂內有其德也。○夫人誤作人」。○正義曰以上篇公子頑通乎君母母是宣薑故知此亦為宣公夫人惠公之母也以言刺夫人故知人君為小君以夫妻一體婦人從夫之爵故同名曰人君。《碩人傳曰人君以朱纏鑣亦謂夫人也夫人雖理得稱人君而經傳無謂夫人為人君者故箋疑之雲:「或者字誤作。」俗本亦有無此一句者定本有之

 

君子偕老副笄六珈能與君子俱老乃宜居尊位服盛服也副者後夫人之首飾編發為之衡笄也珈笄飾之最盛者所以別尊卑箋雲珈之言加也副既笄而加飾如今步搖上飾古之製所有未聞。○芳富反珈音加蒲典反或必仙反彼列反餘昭反。)

委委佗佗如山如河委委者行可委曲蹤跡也佗佗者德平易也山無不容河無不潤。○於危反注同待何反注同。《韓詩:「德之美貌。」下孟反舊如字委曲如字以豉反。)

象服是宜象服尊者所以為飾箋雲象服者謂揄翟闕翟也人君之象服則舜所雲 予欲觀古人之象日月星辰之屬。○揄音遙字又作」。本亦作」。王後第二服曰褕狄古亂反又音官。)

子之不淑雲如之何有子若是何謂不善乎箋雲子乃服飾如是而為不善之行於禮當如之何深疾之。○下孟反又下同。)

 

君子之何」。○毛以為言夫人能與君子俱至於老者首服副飾而著衡笄以六珈玉為之飾既服此服其行委委然行可委曲佗佗然其德平易如山之無不容如河之無不潤德能如是以象骨飾服而著之是為得宜此子之德與服相稱以此可謂不善雲如之何乎言其宜善也今之夫人何以不善而為淫亂不能與君子偕老乎?。○ 鄭以為言此夫人宜與君子偕老何者今夫人既有首服副笄而著六珈又能委委佗佗如山如河象服褕翟闕翟得其宜服飾如是宜為善以配君子今子之反為不善之行欲雲如之何乎深疾之。○能與尊卑」。○正義曰副者祭服之首飾。《追師》「掌王後之首服為副」,注雲副之言覆所以覆首為之飾其遺象若今之步搖矣服之以從王祭祀編列發為之其遺象若今假紒矣服之以告桑也次第發長短所謂髲髢服之以見王」,是也言編若今假紒者編列他發為之假作紒形加於首上次者亦鬄他發與己發相合為紒故雲所謂髲鬄」。是編次所以異也以此笄連副則為副之飾是衡笄也追師又雲追衡笄。」注雲王後之衡笄皆以玉為之唯祭服有衡笄垂於副之兩傍當耳其下以紞懸瑱」,是也次則無衡笄言珈者以玉珈於笄為飾後夫人首服之尢尊故雲珈笄飾之最盛者」。此副及衡笄與珈飾唯後夫人有之卿大夫以下則無故雲所以別尊卑。○珈之未聞」。○正義曰以珈字從玉則珈為笄飾謂之珈者珈之言加由副既笄而加此飾故謂之珈如漢之步搖之上飾也步搖副之遺象故可以相類也古今之製不必盡同故言古之製所有未聞」。以言六珈」,必飾之有六但所施不可知據此言六珈」,則侯伯夫人為六王後則多少無文也。○委委不潤」。 ○正義曰傳以陳人君之德而駮宣薑則以為內有德也。《釋訓:「委委佗佗美也。」李巡曰:「寬容之美也。」孫炎曰:「委委行之美佗佗長之美。」郭璞曰:「皆隹麗美豔之貌。」傳意陳善以駮宣薑則以為內實有德其言行可委曲德平易李巡與孫炎略同則委委佗佗皆行步之美以內有其德外形於貌故傳互言之委委者行可委曲佗佗者德平易也由德平易故行可委曲德平易如山如河是也鄭以論宣薑之身則或與孫郭同為宣薑自隹麗美豔行步有儀長大而美其舉動之貌如山如河耳無取於容潤也。○象服為飾」。○正義曰以下傳雲褕翟羽飾衣」,則象非畫羽也言服則非揥明以象骨飾服唯尊者為然故雲尊者所以為飾」,象骨飾服傳無文但推此傳其理當然。○象服之屬」。○正義曰箋以經言象服」,則非首服也以象骨飾服書傳之所未聞下雲其之翟也」,明此為褕翟闕翟也翟而言象者象鳥羽而畫之故謂之象以人君之服畫日月星辰謂之象故知畫翟羽亦為象也故引古人之象以證之。《皋陶謨帝曰:『予欲觀古人之象星辰華蟲作會宗彝粉米絺繡』」是也自日月至黼黻皆為象獨言日星辰者取證象服而已故略之也。○有子不善」。○正義曰傳意舉善以刺惡故反其言以激之。「可謂不善」,言其善也

 

玼兮玼兮其之翟也鮮盛貌褕翟闕翟羽飾衣也箋雲侯伯夫人之服自褕翟而下如王後焉。○玼音此又且禮反。《說文:「新色鮮也。」《字林:「鮮也。」音同。《玉篇且禮反:「鮮明貌」。沈雲:「毛及呂忱並作玼解王肅雲:『顏色衣服鮮明貌。』本或作』,此是後文差兮』,王肅注好美衣服絜白之貌』。若與此同不容重出。」今檢王肅本後不釋不如沈所言也然舊本皆前作」,後作鮮音仙。)

鬒發如雲不屑髢也黑發也如雲言美長也絜也箋雲髲也不絜者不用髲為善。○真忍反。《說文:「發稠也。」服虔注左傳:「發美為鬒。」蘇節反徒帝反皮寄反。)

玉之瑱也象之揥也塞耳也所以摘發也。○吐殿反充耳也敕帝反摘也他狄反本亦作扌啻」,音同本又作」,又作」,並非謫音丁革反擿音直戟反。)

揚且之皙也眉上廣白皙。○七也反徐子餘反下同星曆反。)

胡然而天也胡然而帝也尊之如天審諦如帝箋雲何也五帝也何由然女見尊敬如天帝乎非由衣服之盛顏色之莊與反為淫昏之行。○諦音帝如字本又作」,側亮反與音餘。)

 

玼兮如帝」。○毛以為夫人能與君子偕老者故宜服此玼兮玼兮其鮮盛之翟衣也又其鬒發如雲言其美長不用髲而自絜美也又以玉為之瑱也又以象骨為之揥也又其眉上揚廣且其麵之色又白皙既服飾如此其德又稱之其見尊敬如天帝何由然見尊敬如天乎由其瑱實如天何由然見尊敬如帝乎由其審諦如帝故能與君子偕老今夫人何故淫亂而不瑱實不審諦使不可尊敬乎?○鄭以指據宣薑今為淫亂故責之言夫人何由見尊敬如天乎何由見尊敬如帝乎非由衣服之盛顏色之莊與既由衣服顏色以見尊敬何故反為淫昏之行乎?○褕翟飾衣」。○正義曰傳以翟雉名也今衣名曰翟故謂以羽飾衣猶右手秉翟即執真翟羽鄭注周禮三翟皆刻繒為翟雉之形而彩畫之以為飾不用真羽孫毓雲:「自古衣飾山華蟲粉米周禮六服無言以羽飾衣者羽施於旌旂蓋則可施於衣裳則否蓋附人身動則卷舒非可以羽飾故也鄭義為長。」○鬒黑美長」。○ 正義曰昭二十八年左傳:「有仍氏生女鬒黑而甚美光可以鑒名曰玄妻。」服虔雲:「發美為鬒。《鬒發如雲』,其言美長而黑以發美故名玄妻。」是鬒為黑發也。○髢髲為善」。○正義曰髢一名髲故雲。《說文:「益發也。」言己發少聚他人發益之哀十七年左傳衛莊公見己氏之妻發美使髡之以為呂薑髢」,是也不絜髢者言婦人發美不用他發為髲而自絜美故雲不用髲為善。」○摘發」。○正義曰:《既夕記雲瑱塞耳」,充耳是也或曰充耳」,《淇奧充耳琇瑩」,是也以象骨搔首因以為飾名之揥故雲所以摘發」,《葛屨佩其象揥」,是也。○尊之如帝」。○正義曰傳互言之言尊之如天明德如天也言審諦如帝則亦尊之如帝故經再雲胡然。《運鬥樞:「帝之言諦。」夫人審諦似帝德故雲如帝」,如天亦然。《元命包:「天之言瑱。」則此蓋亦為填取其瑱實也毛不明說天帝同別不可知也二者皆取名以見德也此章論祭服言其德當神明故尊之以比天帝卒章論事君子見賓客之服故以美女言之是以內司服注引「《·國風玼兮玼兮其之翟也』,下雲胡然而天也胡然而帝也』,言其德當神明又曰差兮差兮其之展也』,下雲展如之人兮邦之媛也』,言其行配君子二者之義與禮合矣」。鄭雖非舉善駁惡其以類根配與傳同也。○帝五帝之行」。○正義曰帝名雖別而一體也以此別設其文為有帝王之嫌故雲五帝」,謂五精之帝也。《春秋·文耀勾倉帝其名靈威仰赤帝其名赤熛怒黃帝其名含樞紐白帝其名白招拒黑帝其名汁光紀」,是也此責夫人之辭故言何由然而見尊敬如天帝乎非由衣服之盛顏色之莊與是覆上以責之此雲反為淫昏之行」,卒章箋雲淫昏亂國以下經雲邦之媛也」,因有故言亂國」。

 

瑳兮差兮其之展也

蒙彼縐絺是絏袢也禮有展衣者以丹縠為衣覆也絺之靡者為縐是當暑袢延之服也箋雲後妃六服之次展衣宜白縐絺絺之蹙蹙者展衣夏則裏衣縐絺此以禮見於君及賓客之盛服也展衣字誤,《禮記襢衣」。○七我反,《說文:「玉色鮮白。」涉戰反展衣皆同沈張輦反側救反靡也敕之反息列反符袁反戶木反以戰反又如字子六反於既反著也裏衣裏如字舊音吏賢遍反。「於君子」,一本無陟戰反。)

子之清揚揚且之顏也視清明也廣揚而顏角豐滿。)

展如之人兮邦之媛也誠也美女為媛箋雲媛者邦人所依倚以為媛助也疾宣薑有此盛服而以淫昏亂國故雲然。○於眷反,《韓詩」。取也於綺反。)

 

差兮媛也」。○毛以為言夫人能與君子偕老者故服此差兮差兮其鮮盛之展衣以覆彼縐絺之上縐絺是當暑絏去袢延烝熱之服也子之夫人非直服飾之盛又目視清明而眉上平廣且顏角豐滿而德以稱之誠如是德服相稱之人宜配君子故為一國之美女兮今夫人何為淫亂失事君子之道而不為美女之行乎?○鄭以言宣薑服飾容貌如是故一邦之人依倚以為媛助何故反為淫昏之行而亂國乎?○禮有之服」。○正義曰言衣服之內有名展衣者其衣以丹縠為之以文與縐絺相連嫌以絺為之故辨其所用也絺者以葛為之精曰絺粗曰綌其精尢細靡者縐也言細而縷縐故箋申之雲:「縐絺絺之蹙蹙者。」是當暑袢延之服謂縐絺是詍袢之服展衣則非是也絏袢者去熱之名故言袢延之服袢延是熱之氣也此傳言展用丹縠餘五服傳無其說丹縠亦不知所出而孫毓推之以為褘衣赤褕翟青闕翟黑鞠衣黃展衣赤褖衣黑鞠名與麹同雖毛亦當色黃褖衣與男子之褖衣名同則亦宜黑然則六服逆依方色義或如毓所言以婦人尚華飾赤為色之著因而右行以為次故褘衣赤褕翟青闕翟黑次鞠衣鞠衣宜白以為疑於凶服故越取黃而展衣同赤因西方闕其色故褖衣越青而同黑也二章傳曰褕翟闕翟羽飾衣則褘衣亦羽飾衣褘衣以翬鳥羽褕翟以搖鳥羽闕翟次褕翟則亦用搖羽矣但飾之有闕少耳。○ 後妃襢衣」。○正義曰箋不同傳故雲後妃六服之次展衣宜白」。言宜者無明文。《周禮之注差之以為然也。《內司服》「掌王後之六服褘衣褕翟闕翟鞠衣展衣褖衣」,鄭司農雲:「展衣白鞠衣黃褖衣黑。」玄謂鞠衣黃桑服也色如麹塵象桑葉始生。《月令三月薦鞠衣於先帝告桑事也綠衣者實褖衣也男子之褖衣黑則是亦黑也六服備於此矣」。以下推次其色則闕翟赤褕翟青褘衣玄是鄭以天地四方之色差次六服之文士冠禮爵弁服皮弁服之下有玄端無褖衣,《士喪禮爵弁服皮弁服之下有褖衣無玄端則褖衣當玄端玄端當黑則褖亦黑矣以男子之褖衣黑知婦人之褖衣亦黑褖衣上有展衣鄭司農雲展衣白」。上又有鞠衣以色如麹塵故取名焉是鞠衣黃也三服之色以見矣是從下依行運逆而為次唯三翟之色不明故雲以下推次其色闕翟亦褕翟青褘衣玄又解展衣之裏不恆以絺而雲蒙彼縐絺衣展衣者夏則裏之以縐絺作者因舉時事而言之故雲是絏袢也」。定本雲展衣夏則裏衣縐絺」,俗本多雲冬衣展衣」,蓋誤也又解展衣所用此以禮見於君及賓客之盛服」。《玉藻一命襢衣」,《喪大記世婦以襢衣」,禮記襢衣定本雲禮記」,無衣字。《司服注以展為聲誤從襢為正以衣服之字宜從衣故也。 ○清視廣揚」。○正義曰以目視清明因名為清故此雲視清明也」。揚者眉上之美名因名眉目曰揚猗嗟美目揚兮」,傳曰好目揚眉是也既名眉為揚目為清因謂眉之上眉之下皆曰揚目之上目之下皆曰清故上傳曰眉上廣」,此及猗嗟傳雲廣揚。」是眉上為揚。《野有蔓草傳曰:「清揚眉目之間。」是眉之下為揚目之上為清。《猗嗟傳又曰:「目下為清。」是目之下亦為清也。《釋訓:「猗嗟名兮目上為名。」郭雲:「眉眼之間。」是目上又為之名也。「猗嗟名兮既為目上故知美目清兮」,清為目下。○美女為媛」。○正義曰:《釋訓孫炎曰:「君子之援助然則由有美可以援助君子故雲美女為媛。」箋以為責非夫人之辭當取援助為義故雲邦人所依倚以為援助」,因顏色依為美女故知邦人依之為援助是舉其外責其為內之不稱故說各殊也

 

君子偕老三章一章七句一章九句一章八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