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추좌전』 주역점 사례
⇒《歸妹》之《睽》 : 晉獻公筮嫁伯姬於秦, 遇歸妹之睽
◎ 繇曰, “士刲羊, 亦無衁也; 女承筐, 亦無貺也. 西鄰責言, 不可償也.”
◪ 《歸妹》卦의 上六 爻辭로 풀었다.
上六,女承筐无實,士刲羊无血,无攸利。
상육(上六)은 여자가 광주리를 받지만 담긴 과실이 없고, 관리가 양을 베었는데 피가 없으며, 다스려[攸]도 이로움이 없다.
◪ 《歸妹》之《睽》의 괘상(卦象)으로 풀었다.
<震之離, ‘爲雷爲火,>
◎ 못[澤] 위에 우레[雷]가 불[火]로 바뀌었다.
◎ 『춘추좌전』 희공(僖公) 15年
[僖公 十五年 秋] 初, 晉獻公筮嫁伯姬於秦, 遇歸妹☳☱之睽☲☱.
史蘇占之, 曰, “不吉. 其繇曰, ‘士刲羊, 亦無衁也; 女承筐, 亦無貺也. 西鄰責言, 不可償也. 歸妹之睽, 猶無相也.’
震之離, 亦離之震. ‘爲雷爲火, 爲嬴敗姬. 車說其輹, 火焚其旗, 不利行師, 敗于宗丘. 歸妹睽孤, 寇張之弧. 姪其從姑, 六年其逋, 逃歸其國, 而棄其家, 明年其死於高梁之虛.’ ”
[희공 15년 가을] 애초에 진(晉)나라 헌공이 딸 백희를 진(秦)나라에 시집보내며 시초점[筮]을 하여 귀매(歸妹,☳☱) 之 규(暌,☲☱)괘를 얻었다.
사소(史蘇)가 점괘[占]를 풀이하여 말하기를 “불길하다. 그 점사(占辭)에 이르기를 ‘관리가 양을 찔렀는데 또한 피가 없고, 여자가 광주리를 받들었는데 선물(膳物)이 없으며, 서쪽 이웃에게 책망을 당하고도 보상(報償)을 받을 수 없다. 귀매(歸妹)괘가 규(暌)괘로 변하였으니 도움[相]이 없음과 같다.
진(震)괘가 리(離)괘로 변함은 또한 리(離)괘가 진(震)괘로 변함이니, 우레[雷]가 불[火]이 되도록 함은 영(嬴; 秦) 성이 희(姬; 晉) 성을 깨트리게 됩니다. 수레의 바퀴받침이 빠지고 깃발이 불에 타며 출사(出師)를 행하면 이롭지 않고 종구(宗丘)에서 패하리라. 귀매(歸妹)괘와 규(暌)괘는 외로움[孤]인데 도적이 당기는 활(弧)이며, 여동생이 그 언니를 따르다가 6년만에 달아나 그 나라로 도망쳐 돌아와서 그 집안을 버린 것이니, 다음해 고량의 빈 터에서 죽을 것이다.”라고 했다.
■ 주역점(周易占) 사례
◎ 춘추좌전 희공(僖公)15年[bc 645]
[僖公 十五年 秋] 初, 晉獻公筮嫁伯姬於秦, 遇歸妹☳☱之睽☲☱. <[희공 15년 가을] 애초에 진(晉)나라 헌공이 딸 백희를 진(秦)나라에 시집보내며 시초점[筮]을 하여 귀매(歸妹,☳☱) 之 규(暌,☲☱)괘를 얻었다.>
史蘇占之, 曰, “不吉. 其繇曰, ‘士刲羊, 亦無衁也; 女承筐, 亦無貺也. 西鄰責言, 不可償也. 歸妹之睽, 猶無相也.’<사소(史蘇)가 점괘[占]를 풀이하여 말하기를 “불길하다. 그 점사(占辭)에 이르기를 ‘관리가 양을 찔렀는데 또한 피가 없고, 여자가 광주리를 받들었는데 선물(膳物)이 없으며, 서쪽 이웃에게 책망을 당하고도 보상(報償)을 받을 수 없다. 귀매(歸妹)괘가 규(暌)괘로 변하였으니 도움[相]이 없음과 같다.>
震之離, 亦離之震. ‘爲雷爲火, 爲嬴敗姬. 車說其輹, 火焚其旗, 不利行師, 敗于宗丘. 歸妹睽孤, 寇張之弧. 姪其從姑, 六年其逋, 逃歸其國, 而棄其家, 明年其死於高梁之虛.’ ”<진(震)괘가 리(離)괘로 변함은 또한 리(離)괘가 진(震)괘로 변함이니, 우레[雷]가 불[火]이 되도록 함은 영(嬴; 秦) 성이 희(姬; 晉) 성을 깨트리게 됩니다. 수레의 바퀴받침이 빠지고 깃발이 불에 타며 출사(出師)를 행하면 이롭지 않고 종구(宗丘)에서 패하리라. 귀매(歸妹)괘와 규(暌)괘는 외로움[孤]인데 도적이 당기는 활(弧)이며, 여동생이 그 언니를 따르다가 6년만에 달아나 그 나라로 도망쳐 돌아와서 그 집안을 버린 것이니, 다음해 고량의 빈 터에서 죽을 것이다.”라고 했다.>
54. 귀매괘(歸妹卦)[卦象:뇌택귀매]
☳ 震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卦辭(괘사)】
歸妹 征 凶 无攸利.
귀매(歸妹)는, 바로잡으러가면 흉하고, 다스려[攸]도 이로움이 없다.
【爻辭(효사)】
上六,女承筐无實,士刲羊无血,无攸利。
상육(上六)은 여자가 광주리를 받지만 담긴 과실이 없고, 관리가 양을 베었는데 피가 없으며, 다스려[攸]도 이로움이 없다.
【序卦傳(서괘전)】 공자作
進必有所歸, 故受之以歸妹.
나아가면 반드시 돌아가는 곳이 있기 때문에 귀매괘(歸妹卦)로 받는다.
38. 규괘(睽卦)[卦象:화택규]
☲ 離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卦辭(괘사)】
睽,小事吉。
규(睽)는 작은 일은 길하다.
【序卦傳(서괘전)】
家道窮必乖, 故受之以睽. 睽者乖也.
가문의 도는 다하면 반드시 어그러지기 때문에 “규” 괘로 받는다. 규(睽)라는 것은 어그러짐이다.
◪ 못[澤] 위에 우레[雷]가 불[火]로 바뀌었다.
'■ 주역(周易) > 4.주역 점(周易 占)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7. 『춘추좌전(春秋 左傳)』 주역점/선공(宣公) 6年 (0) | 2024.10.22 |
---|---|
◎ 6. 춘추좌전(春秋 左傳) 주역점/희공(僖公) 25年<大有之睽 괘> (0) | 2024.10.20 |
◎ 4. 춘추좌전 주역점/희공(僖公) 15年 (0) | 2024.10.16 |
◎ 3. 춘추좌전(春秋左傳) 주역점/민공(閔公) 2年 (0) | 2024.10.14 |
◎ 2. 춘추좌전(春秋左傳) 주역점/민공(閔公) 元年 (0) | 2024.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