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8 제풍(齊風)≫
101. 남산(南山, 남쪽 산)
【毛詩 序】 《南山》,刺襄公也。鳥獸之行,淫乎其妹,大夫遇是惡,作詩而去之。
【모시 서】 <남산(南山)>은 양공을 풍자한 시(詩)이다. 짐승같은 행실로 그 누이를 간음하니 대부(大夫)들이 이 악행을 만나 시(詩)를 짓고 떠나간 것이다.
南山崔崔、雄狐綏綏。
(남산최최 웅호수수)
남산은 높다란데 숫여우가 어슬렁거리고 있다네
魯道有蕩、齊子由歸。
(노도유탕 제자유귀)
노나라 길 광대한데 제나라 공주가 시집을 가네
既曰歸止、曷又懷止。
(기왈귀지 갈우회지)
이미 시집 가 버렸는데 어찌 또 그리워 하였는가
葛屨五兩、冠緌雙止。
(갈구오양 관수쌍지)
칡신 다섯이 짝이 있고 갓끈 둘은 한 쌍이라네
魯道有蕩、齊子庸止。
(노도유탕 제자용지)
노나라 길 광대한데 제나라 공주가 그 길로 갔네
既曰庸止、曷又從止。
(기왈용지 갈우종지)
이미 그 길로 가버렸는데 어찌 또 따라 가겠는가
蓺麻如之何、衡從其畝。
(예마여지하 형종기무)
삼을 심자면 어떻게 할까 가로 세로 밭을 갈아야지
取妻如之何、必告父母。
(취처여지하 필고부모)
장가 들려면 어떻게 하지 부모님께 고해야 한다네
既曰告止、曷又鞠止。
(기왈고지 갈우국지)
이미 고하고 가버렸는데 어찌 또 닦달을 하겠는가
析薪如之何、匪斧不克。
(석신여지하 비부불극)
장작을 패려면 어떻게 하지 도끼 없이 할 수 없네
取妻如之何、匪媒不得。
(취처여지하 비매불득)
장가를 들려면 어떻게 하지 중매 없이 들 수 없지
既曰得止、曷又極止。
(기왈득지 갈우극지)
이미 장가 들었는데 어찌 또 끝까지 하려 하는가
《南山》 四章,章六句。
▣ 문강(文姜)
제(齊)나라 희공(僖公)의 차녀가 문강(文姜)이며 노환공(魯桓公)에게 출가했는데 출가전에 이복 오빠인 제양공(齊襄公) 제아(諸兒)와 불의의 관계를 가졌고 출가 후에 노환공이 제나라에 갔을 때 따라가서 다시 사통을 하다가 발각이 되었는데 크게 노한 노환공(魯桓公)을 제양공(齊襄公)이 살해하는 패악을 저질렀다. 노환공이 죽은 후에도 계속 사통하였고 제양공의 서녀 애강(哀姜)과 자신의 아들 노장공(魯莊公)의 혼인을 강제하여 또 다른 비극을 낳게 되었다.
'■ 시경(詩經) > 1.시경(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03. 노령(盧令, 사냥개 방울) (0) | 2023.05.11 |
---|---|
『시경(詩經)』102. 보전(甫田, 넓은 밭) (0) | 2023.05.08 |
『시경(詩經)』100. 동방미명(東方未明, 동녘이 밝지 않았는데) (0) | 2023.05.04 |
『시경(詩經)』99. 동방지일(東方之日, 동녘의 해) (0) | 2023.05.02 |
『시경(詩經)』98. 저(著, 문간에서)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