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도덕경(道德經)/4.도덕경 왕필 주

◎ 도덕경(道德經) 제1장/왕필주(王弼注)

by 석담 김한희 2023. 2. 13.
728x90

◎ 도덕경(道德經) 제1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 名天地之始, 

有, 名萬物之母. 

故常無欲, 以觀其妙, 

常有欲, 以觀其徼.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도(道)를 권도(權道)라고 할 수 있으면 늘 하던 도(道)가 아니다. 

이름[名]을 다른 이름으로 할 수 있으면 늘 하던 이름이 아니다.

없음[無]은 천지의 시작하는 이름이고, 

있음[有]은 만물의 어미[길러냄]되는 이름이다. 

그러므로 항상 없음[無]을 바라면 그로서 그[만물] 미묘(微妙)함을 보는데, 

항상 있음[有]을 바라면 그로서 그[만물]의 돌아감[徼]을 본다. 

이 두 가지는 같은데서 나왔는데 이름이 다르며, 

같음을 일컫기를 가물함[玄]이라 하는데, 가물해 지고 또 가물하면, 여러 미묘함의 문이 된다.

 

 

◎ 도덕경 왕필주(王弼注) 

○ 왕필주(王弼注) 제 1장

道可道,非常道。名可名,非常名。

<도(道)를 도라 할 수 있으면 항상(恒常) 하던 도가 아니다. 이름[名]을 이름 할 수 있으면 항상 하던 이름이 아니다.>

【王弼 注】 可道之道,可名之名,指事造形,非其常也。故不可道,不可名也。

【왕필 주】 도(道)라고 할 수 있는 도와 이름[名]이라 할 수 있는 이름은 일을 지시하고 모양을 창조하기에 그것은 항상(恒常) 하던게 아니다. 그러므로 도라고 할 수 없고 이름을 붙일 수 없다.

 

無名天地之始,有名萬物之母。

<무(無)는 천지의 시작하는 이름이고, 유(有)는 만물의 어미[길러냄]되는 이름이다.>

【王弼 注】 凡有皆始於無,故未形無名之時則爲萬物之始,及其有形有名之時,則長之育之,亭之毒之,爲其母也。言道以無形無名始成, 萬物以始以成而不知,其所以玄之又玄也。

【왕필 주】 대체로 있음[有]은 모두 없음[無]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아직 모양하지 않고[未形] 이름이 없는[無名] 때가 곧 만물의 시작이 되어, 마침내 형체가 있고 이름이 있는 때가 곧 자라 나고 길러 지며, 휴식 하고 성숙되어 그 어미가 된다.

도(道)는 모양이 없고 이름도 없음으로서 이룸을 시작하고, 만물(萬物)은 그로서 시작하고 그로서 이루어지는데 [그것을]알지 못하니, 그 가물 가물하고 또 가물함의 까닭을 말함이다.

 

故常無欲,以觀其妙;

<그러므로 항상 없기를 바라면 그로서 그의 미묘(微妙)함을 보고 >

【王弼 注】 妙者微之極也,萬物始於微而後成,始於無而後生。故常無欲空虛,可以觀其始物之妙。

【왕필 주】 묘한 것은 미세함의 끝이다. 만물은 미세함에서 시작한 이후에 이루어지고, 없음에서 시작한 이후에 생겨난다. 그러므로 항상 텅 비어 바램이 없는데, 그 사물이 시작되는 미묘(微妙)함을 보고서 [道&始를 말]할 수 있다.

 

常有欲,以觀其徼。

<항상 있기를 바라면 그로서 그[만물]의 돌아감[徼]을 본다.>

【王弼 注】 徼,歸終也。凡有之爲利,必以無爲用。欲之所本,適道而後濟。

故常有欲,可以觀其終物之徼也。

【왕필 주】 요(徼)는 돌아가 마침이다. 대체로 있음[有]의 이롭게 됨은 반드시 없음[無]으로서 쓰이게 된다. 바램의 근본하는 바는, 도를 맞이한 이후에 건넌다. 그러므로 항상 바램이 있고, 그 사물의 돌아가 마침을 봄으로서 [名&母를 말]할 수 있다.

 

此兩者, 同出而異名,同謂之玄,玄之又玄,眾妙之門。

<이 두 가지는 같이 나왔는데 이름을 달리하며, 같음을 일러서 가물(玄)이라 하고, 가물 가물하고 또 가물함이 여러 묘함의 문이다.>

【王弼 注】 兩者,始與母也。同出者,同出於玄也。異名,所施不可同也。在首則謂之始,在終則謂之母。玄者,冥也,默然無有也。始母之所出也,不可得而名, 故不可言,同名曰玄。而言謂之玄者,取於不可得而謂之然也。謂之然則不可以定乎一玄而已,則是名則失之遠矣。故曰「玄之又玄」也。眾妙皆從同而出,故曰「眾妙之門」也。

【왕필 주】 두 가지라는 것은, 시작[始]와 어머니[母]이다. 같이 나왔다라는 것은 가물한데서 같이 나왔음이다. 이름이 다름은 베푸는 곳이 같을 수 없음이다. 머리에 있다면 일컫기를 시작(始)이라 하고, 끝마침에 있으면 일컫기를 어머니(母)라 한다. 가물[玄]한 것은 어두움이다, 고요하지만 그러나 없음[無]과 있음[有]이다. 시작[始]은 어머니[母]가 나오는 곳이다. 이름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름을 말 할 수 없어서 같은 이름으로 말하여 가물[玄]이라 했다. 그리고 말로서 일컬어 가물[玄]이라 한 것은, [이름을]얻을 수 없음을 취하여서 그렁게 일컬었다. 일컫기를 그러했다면 하나의 가물[玄]로 정 할 수 없었을 뿐인데, 즉 이 이름이 곧 크게 잘못되었다[실수가 멀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가물 가물하고 또 가물하다'라고 하였다. 여러 신묘함 모두 같이 쫓아서 나왔기 때문에 말하기를 '여러 신묘함의 문이다'라고 하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