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제3 패풍(邶風≫

 

44. 이자승주(二子乘舟, 형제가 탄 배)

【毛詩序】 <二子乘舟> 思伋壽也. 衛宣公之二子 爭相爲死 國人傷而思之 作是詩也.

【모시 서】 <이자승주(二子乘舟)>는 급(伋)과 수(壽)를 그리워함이다. 위(衛)나라 선공(宣公)의 두 아들이 서로 다투어서 죽게 되니, 나라 사람들이 속상해 하면서 그리워하여 이 시(詩)를 지었다.

 

二子乘舟 汎汎其景

(이자승주 범범기경)

두 형제 탄 배가 둥둥 떠서 빛 나는데

願言思子中心養養

(원언사자 중심양양)

형님 생각 기원하며 마음 깊이 걱정하네

二子乘舟 汎汎其逝

(이자승주 범범기서)

두 형제 탄 배가 둥둥 떠서 가버렸네

願言思子 不瑕有害

(원언사자 불하유해)

형님 생각 기원하며 해로움 피하지 않았네

 

<二子乘舟> 二章 章四句

 

 

譯註 1: 『春秋左氏傳』 桓公16年篇⇒衛公宣烝於夷姜, 生急子, 屬諸右公子. 爲之娶於齊, 而美, 公取之. 生壽及朔. 屬壽於左公子. 夷姜縊. 宣姜與公子朔構急子. 公使諸齊. 使盜待諸莘, 將殺之. 壽子告之, 使行. 不可, 曰, “棄父之命, 惡用子矣? 有無父之國則可也.” 及行, 飮以酒. 壽子載其旌以先, 盜殺之. 急子至, 曰, “我之求也, 此何罪?請殺我乎!” 又殺之. 二公子故怨惠公.

『춘추좌전』 환공16年篇⇒위(衛)나라 선공(公宣)이 이강(夷姜)을 간음하고 급자(急子)를 낳아서, 우공자(右公子)에게 돌보게 했다. 그리고 급자를 위해 제나라 여자를 맞이했는데 그녀가 아름다우니 선공은 그녀를 자기가 차지하고 수(壽)와 삭(朔)을 낳아 좌공자에게 돌보게 했다. 이강이 목매어 죽으니, 선강(宣姜)과 공자 삭(朔)이 급자(急子)에 얽어 매었다. 선공이 [급자(急子)를] 제나라 사자로 보내고 도적[자객]을 시켜 신(莘) 땅에서 기다리다 죽이게 했다. 수(壽)가 급자(急子)에게 알리고 도망치라 하니 급자는 그럴 수 없다 하고 말하기를, “부친의 명령을 버린다면 누가 그런 자식을 용납하겠는가? 아비 없는 나라가 있다면 그리 할 수 있겠지만.”라고 하였는데, [제나라로] 갈 때가 되자 술을 먹이고, 수(壽)가 수레에 급자[子]를 표시한 깃발을 세우고 먼저 떠났는데, 도적[자객]이 그를 죽이었다. 급자가 당도하여 말하기를, “나 [죽이기를] 요구였는데, 이[사람]이가 무슨 죄가 있느냐? 나를 죽여라.”라고 했다. 그러자 그도 죽이었다. 두 공자는 이 연고로 혜공을 원망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