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도덕경(道德經) 제1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 名天地之始, 

有, 名萬物之母. 

故常無欲, 以觀其妙, 

常有欲, 以觀其徼.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도(道)를 권도(權道)로 할 수 있으면 항상 하던 도(道)가 아니다. 

이름을 [다른] 이름으로 할 수 있으면 늘 하던 이름이 아니다.

없음[無]은 천지의 시작을 이름하고, 있음[有]은 만물의 어미[母]를 이름한다. 

그러므로 항상 없음[無]을 바라면 그로서 그[만물] 미묘(微妙)함을 보는데, 

항상 있음[有]을 바라면 그로서 그의 변함[徼]을 본다. 

이 두 가지는 같은데서 나왔는데 이름이 다르며, 

같음을 일컫기를 가물함[玄]이라 하는데, 가물해 지고 또 가물하면, 여러 미묘함의 문이 된다.

 

【石潭 案】 : 도(道)는 자연(自然) 상태로 있는 상도(常道)이며, 그 자연으로 있는 도(道)에 이름을 붙여서 권도(權道)로 하였다면 그 권도(權道)는 자연으로 있던 이름하기 전의 상도(常道)가 아니다.

없음[無]은 천지의 시작인 자연으로 있는 상도(常道)이고, 있음[有]은 잉태와 출생을 하는 만물의 어미됨을 말함이며 없음[無]과 있음[有]에 대한 본말(本末)을 설명하였다. 

없음[無]과 있음[有]은, 상대(相對)하여 있는 유무(有無)이고 서로 의존하여 대대(待對)하는 음양(陰陽)의 관계이며 서로 돌아서 갈마들어 떨어지지 않고 한 곳에 머물지도 않으며 변하여 나아감을 설명함이다.

하고자함이 없으면[無欲] 만물의 미묘함[妙]이 보이고, 하고자함이 있으면 만물의 변함[요(徼, 돌 요)]이 보인다 하였는데, 요(徼, 돌 요)는 돌아다님이니 변함을 뜻함이다. 도덕경 백서(帛書)본에는 요(徼)가 격(噭, 격할 격)자로 쓰였는데 이는 기세가 격함이며 변함을 뜻함이다. 천하 만물 중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변함이 곧 있음[有]이고 어머니[母]이며 천하만물의 살아감이다.

◎ 도덕경 백서(帛書)본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에서 발굴된 백서(帛書)는 ‘도덕경 통행본’과 거의 같은 두 종류의 ‘노자 백서본(老子 帛書本)이 발견되었는데 갑본(甲本)은 한고조(漢高祖, 재위 BC206∼BC195) 이전의 것이고 을본(乙本)은 그 이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 백서(帛書)본 제1장

갑본(甲本)

道可道也∠非恆道也∠名可名也‧非恆名也無名萬物之始也∠有名萬物之母也□恆無欲也以觀其眇∠恆有欲也以觀其所噭兩者同出異名同胃玄之有玄眾眇之□

 

을본(乙本)

道可道也□□□□□□□□恆名也無名萬物之始也有名萬物之母也故恆無欲也□□□□恆又欲也以觀亓所噭兩者同出異名同胃玄之又玄眾眇之門

 

 

▣ 도덕경(道德經) 제1장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