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주역(周易)/1.주역(周易)

『주역(周易)』48. 정괘(井卦)[卦象:수풍정]

by 석담 김한희 2022. 2. 17.
728x90

『주역(周易)』

48. 정괘(井卦)[卦象:수풍정]

 坎上

 巽下

()[.바람]이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卦辭(괘사) 문왕

井 改邑 不改井 无喪无得 往來井井汔至 亦未繘井 羸其甁 凶.

 (), 도읍을 바꾸고 우물은 옮기지 않았는데 [물이]줄어듬도 없고 늘어남도 없으며 오고 가면서 우물물을 먹는다. 거의 이르렀어도 또한 아직 두레박줄이 우물에 닿지 않았는데 그 물단지를 엎지름 흉하다.

 

巽乎水而上水井養而不窮也改邑不改井乃以剛中也汔至亦未繘井未有功也羸其瓶是以凶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물에 들어가서 물을 퍼 올림이 우물이니, 우물은 길러주면서도 다하지 않음이다. “읍은 바꾸어도 우물은 바꾸지 않음은 이에 굳셈으로서 가운데 함이고, “거의 이르더라도 또한 아직 우물에서 두레박줄이 닿지 못함은 아직 공이 있지 않음이다. “그 물단지를 엎지름은 이로서 흉함이다.

※ 『주역 說卦傳 七章 :  入也.

 

木上有水君子以勞民勸相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나무 위에 물이 있음이 정()이니, 군자가 그로서 백성들이 수고하고 서로 권면함이다.

 

 

 爻辭(효사) 주공  

初六井泥不食舊井无禽

초육(初六)은 진흙 우물은 먹지 않고, 옛 우물에는 짐승이 없다.

井泥不食下也舊井无禽時舍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진흙 우물을 먹지 않음 [우물의] 아래이다. “옛 우물에 짐승이 없음은 집이 있을[사람이 살고 있을] 때이다.

 

九二井谷射鮒甕敝漏

구이(九二)는 골짜기 우물이 두꺼비에게 쏟아지니, 항아리가 깨져 물이 샌다.

井谷射鮒无與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골짜기 우물이 두꺼비에게 쏟아짐은 함께 함이 없음이다

 

九三井渫不食為我心惻可用汲王明並受其福

구삼(九三)은 우물을 청소했는데 먹지 않아서 나의 마음이 슬프게 되지만 물 긷는데 쓸 수 있고, 왕의 밝아야 함께 그 복을 받는다

井渫不食行惻也求王明受福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우물을 청소했는데 먹지 않음은 행함을 슬퍼함이다. “왕의 밝음을 구함은 복을 받기 위해서이다

 

六四井甃无咎

육사(六四)는 우물에 벽돌을 쌓아야 허물이 없다

井甃无咎脩井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우물에 벽돌을 쌓아야 허물이 없음은 우물을 수리함이다.

 

九五井洌 寒泉食

구오(九五)는 우물이 맑아지니 차가운 샘물을 먹는다.

寒泉之食中正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차가운 샘물을 먹음은 가운데 바름[中正]이다.

 

上六井收勿幕有孚元吉

상육(上六)은 우물을 거두어 덮지 말라, 품고 있어야 크게 길하다

元吉 在上大成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크게 길함은 위에 있으며 크게 이룸이다.

 

 ()두레박줄 율, ()파리할 리, ()병 병, ()진흙 니, ()붕어 부, ()독 옹, ()해질 폐, ()샐 루, ()파낼 설, ()슬퍼할 측, ()벽돌 추, ()맑을 렬, ()거둘 수,

 

▣ 【序卦傳(서괘전) 공자

困乎上者必反下, 故受之以井.

올라가서 곤란해 지는 것은 반드시 아래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정괘(井卦)로 받는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