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추좌전(春秋 左傳)』 주역점(周易占)사례
⇒《大有》之《睽》 : 筮之, 遇大有之睽
曰, “吉. 遇 ‘公用享于天子’ 之卦.
◪ 《大有》卦의 九三 爻辭로 풀었다.
九三,公用亨于天子,小人弗克。
구삼(九三)은 공이 천자에게 형통함을 쓰는데, 소인은 하지 못한다.
◪ 《大有》之《睽》의 괘상(卦象)으로 풀었다.
◎ “天爲澤以當日, 天子降心以逆公.”
<하늘(乾)이 연못(兌)이 되어 그로써 햇볕(離)을 당(當)하였으니 천자(天子)가 마음을 내리고 그로써 공(公)에게 거꾸로[영접(迎接)] 합니다.>
■ 『춘추좌전(春秋 左傳)』
○ 희공(僖公) 25年
[僖公 二十五年 春] 秦伯師於河上, 將納王. 狐偃言於晉侯曰, “求諸侯, 莫如勤王. 諸侯信之, 且大義也. 繼文之業, 而信宣於諸侯, 今爲可矣.”
使卜偃卜之, 曰, “吉. 遇黃帝戰于阪泉之兆.”
公曰, “吾不堪也.” 對曰, “周禮未改, 今之王, 古之帝也.”
公曰, “筮之!” 筮之, 遇大有☲☰之睽☲☱, 曰, “吉. 遇‘公用享于天子’ 之卦. 戰克而王饗, 吉孰大焉? 且是卦也, 天爲澤以當日, 天子降心以逆公, 不亦可乎? 大有去睽而復, 亦其所也.”
晉侯辭秦師而下. 三月甲辰, 次于陽樊, 右師圍溫, 左師逆王,
夏四月丁巳 王入于王城 取大叔于溫 殺之于隰城.
【희공 25년 봄】 진(秦)나라 군주[伯, 목공(穆公)]가 황하(黃河) 가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장차 [환도(還都)하는] 왕[王, 주양왕(周襄王)]을 들여보내려고 하자, 고언(狐偃)이 진(晉)나라 군주[侯, 문공(文公)]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제후[패자(霸者)]가 되기를 구하려면 왕(王)에게 노력하는 것만 함이 없습니다. 제후(諸侯)들이 그것을 믿으며 또 크게 옳은[대의(大義)] 일입니다. 문후[文侯, BC805~BC746, 주평왕(周平王)을 옹립한 공로]의 공업(功業)을 계승하면서 제후(諸侯)들에게 믿음을 선양(宣揚)하려면 지금 실천해야 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진문공(晉文公)이] 복언(卜偃)에게 거북점을 치게 했는데, 말하기를 “길(吉)합니다. 황제(黃帝)가 판천(阪泉)에서 싸움하여 [승리했던] 조짐(兆朕)를 만났습니다.”라고 하였다.
공[晉文公]이 말하기를 “내가 감당하지 못한다.”라고 하니, [복언(卜偃)이] 대답하기를 “주례(周禮)가 아직 바뀌지 않았으니 지금의 왕(王)은 옛날의 황제[帝]입니다.”라고 하였다.
공(公)이 말하기를 “시초 점을 치라.”고 하니 시초 점을 쳤는데, 대유(大有)☲☰가 규(睽)☲☱로 변한 괘(卦)를 만났다.
복언(卜偃)이 말하기를, “길(吉)합니다. 공(公)이 천자(天子)의 접대를 받는 괘(卦)를 만났는데, 전쟁에 승리하고서 왕의 접대를 받으니 길(吉)함이 누구가 이 보다 크겠습니까? 또 이 괘(卦)는 하늘(乾)이 연못(兌)이 되어 그로써 햇볕(離)을 당(當)하였으니 천자(天子)가 마음을 내리고 그로써 공(公)에게 거꾸로[영접(迎接)] 합니다. 또한 좋지 않습니까? 대유(大有)가 규괘(睽卦)로 갔으나 회복(回復)함이 또한 그 곳[본괘(本卦)] 입니다.”라고 하였다.
진후(晉侯)가 진(秦)나라 군대[師]에게 사양하고서 [황하(黃河)를] 내려갔다. 3월 갑진일(甲辰日)에 양번(陽樊)에 주둔하여 우군(右軍)은 온(溫)을 포위하고 좌군(左軍)은 왕(王)을 맞이해 들였다.
여름 4월 정사일(丁巳日)에 왕[주양왕(周襄王)]이 왕(王)의 성(城)으로 들어가고, 태숙(太叔)을 온(溫)에서 잡아 습성(隰城)에서 죽였다.
◎ 주역점(周易占) 사례
○ 희공(僖公)25年[bc 635]
【僖公 二十五年 春】 秦伯師於河上, 將納王. 狐偃言於晉侯曰, “求諸侯, 莫如勤王. 諸侯信之, 且大義也. 繼文之業, 而信宣於諸侯, 今爲可矣.”<【희공 25년 봄】 진(秦)나라 군주[伯, 목공(穆公)]가 황하(黃河) 가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장차 [환도(還都)하는] 왕[王, 주양왕(周襄王)]을 들여보내려고 하자, 고언(狐偃)이 진(晉)나라 군주[侯, 문공(文公)]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제후[패자(霸者)]가 되기를 구하려면 왕(王)에게 노력하는 것만 함이 없습니다. 제후(諸侯)들이 그것을 믿으며 또 크게 옳은[대의(大義)] 일입니다. 문후[文侯, BC805~BC746, 주평왕(周平王)을 옹립한 공로]의 공업(功業)을 계승하면서 제후(諸侯)들에게 믿음을 선양(宣揚)하려면 지금 실천해야 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使卜偃卜之, 曰, “吉. 遇黃帝戰于阪泉之兆.” <[진문공(晉文公)이] 복언(卜偃)에게 거북점을 치게 했는데, 말하기를 “길(吉)합니다. 황제(黃帝)가 판천(阪泉)에서 싸움하여 [승리했던] 조짐(兆朕)를 만났습니다.”라고 하였다.>
公曰, “吾不堪也.”對曰, “周禮未改, 今之王, 古之帝也.” <공[晉文公]이 말하기를 “내가 감당하지 못한다.”라고 하니, [복언(卜偃)이] 대답하기를 “주례(周禮)가 아직 바뀌지 않았으니 지금의 왕(王)은 옛날의 황제[帝]입니다.”라고 하였다.>
公曰, “筮之” 筮之, 遇大有☲☰之睽☲☱, <공(公)이 말하기를 “시초 점을 치라.”고 하니 시초 점을 쳤는데, 대유(大有)☲☰가 규(睽)☲☱로 변한 괘(卦)를 만났다.>
曰, “吉. 遇‘公用享于天子’ 之卦. 戰克而王饗, 吉孰大焉? 且是卦也, 天爲澤以當日, 天子降心以逆公, 不亦可乎? 大有去睽而復, 亦其所也.” <복언(卜偃)이 말하기를, “길(吉)합니다. 공(公)이 천자(天子)의 접대를 받는 괘(卦)를 만났는데, 전쟁에 승리하고서 왕의 접대를 받으니 길(吉)함이 누구가 이 보다 크겠습니까? 또 이 괘(卦)는 하늘(乾)이 연못(兌)이 되어 그로써 햇볕(離)을 당(當)하였으니 천자(天子)가 마음을 내리고 그로써 공(公)에게 거꾸로[영접(迎接)] 합니다. 또한 좋지 않습니까?
대유(大有)가 규괘(睽卦)로 갔으나 회복(回復)함이 또한 그 곳[본괘(本卦)] 입니다.”라고 하였다.>
晉侯辭秦師而下. 三月甲辰, 次于陽樊, 右師圍溫, 左師逆王, <진후(晉侯)가 진(秦)나라 군대[師]에게 사양하고서 [황하(黃河)를] 내려갔다. 3월 갑진일(甲辰日)에 양번(陽樊)에 주둔하여 우군(右軍)은 온(溫)을 포위하고 좌군(左軍)은 왕(王)을 맞이해 들였다.>
夏四月丁巳 王入于王城, 取大叔于溫 殺之于隰城. <여름 4월 정사일(丁巳日)에 왕[주양왕(周襄王)]이 왕(王)의 성(城)으로 들어가고, 태숙(太叔)을 온(溫)에서 잡아 습성(隰城)에서 죽였다.>
◎ 14. 대유괘(大有卦)[卦象:화천대유]
☲ 離上
☰ 乾下
乾[天.하늘]이 아래에 있고, 離[火.불]가 위에 있다.
【卦辭(괘사)】
大有 元亨.
대유(大有)는 크게 형통한다.
【爻辭(효사)】
九三,公用亨于天子,小人弗克。
구삼(九三)은 공이 천자에게 형통함을 쓰는데, 소인은 하지 못한다.
◎ 38. 규괘(睽卦)[卦象:화택규]
☲ 離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卦辭(괘사)】
睽,小事吉。
규(睽)는 작은 일은 길하다.
◪ “天爲澤以當日, 天子降心以逆公.”
<하늘(乾)이 연못(兌)이 되어 그로써 햇볕(離)을 당(當)하였으니 천자(天子)가 마음을 내리고 그로써 공(公)에게 거꾸로[영접(迎接)] 합니다.>
1) 天爲澤 : 대유괘(大有卦)의 아래 乾[天]이 삼효가 변하여 兌[澤]으로 바뀌어 규괘(睽卦)가 되었음이다.
2) 以當日 : 대유괘(大有卦)의 아래 덕(德)이 있는 제후 乾[天]이 해[火,천자]를 잘 받들어서 해[火,천자]가 아래 못[澤]을 마땅하게 비춤이다.
3) 天子降心以逆公 : 해[火,천자]가 마음을 아래로 내려서 공(公)에게 거꾸로[영접(迎接)] 함이다.
'■ 주역(周易) > 4.주역 점(周易 占)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 『춘추좌전(春秋 左傳)』 주역점(周易占)/선공(宣公) 12年 (1) | 2024.10.24 |
---|---|
◎ 7. 『춘추좌전(春秋 左傳)』 주역점/선공(宣公) 6年 (0) | 2024.10.22 |
◎ 5. 『춘추좌전』 주역점/귀매(歸妹)之규(睽) 괘 (0) | 2024.10.18 |
◎ 4. 춘추좌전 주역점/희공(僖公) 15年 (0) | 2024.10.16 |
◎ 3. 춘추좌전(春秋左傳) 주역점/민공(閔公) 2年 (0)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