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27. 이괘(頤卦)[卦象:산뢰이]
☶ 艮上
☳ 震下
진(震)[雷.우뢰]이 아래에 있고, 간(艮)[山.산]이 위에 있다.
【卦辭(괘사)】 문왕作
頤,貞吉。觀頤,自求口實。
이(頤)는 곧아야 길하니, 기름을 보고서 스스로 입을 채움[음식]을 구한다.
《彖》曰:頤貞吉,養正則吉也。 觀頤,觀其所養也。自求口實,觀其自養也。天地養萬物,聖人養賢以及萬民,頤之時大矣哉!
《단전》에서 말하였다:“이정길(頤貞吉)”은 기름이 곧으면 길함이다. “관이(觀頤)”는 기르는 바를 살핌이다. “자구구실(自求口實)”은 스스로 기름을 살핌이다. 하늘과 땅이 만물을 기르고, 성인이 현인을 길러서 만민에 미치니, 기름[頤]의 때가 크도다!
《象》曰:山下有雷,頤,君子以慎言語,節飲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산 아래에 우레가 있음이 이(頤)이니, 군자가 그로서 말을 논란함을 삼가하고 먹고 마심을 절제한다.
【爻辭(효사)】 주공作
初九,舍爾靈龜,觀我朵頤,凶。
초구(初九)는 너의 신령스러운 거북을 버리고 나의 늘어진 기름을 보니, 흉하다.
《象》曰:觀我朵頤,亦不足貴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나의 늘어진 기름을 봄”은 또한 귀함이 충분하지 않음이다.
六二,顛頤,拂經于丘, 頤征凶。
육이(六二)는 기름이 뒤집어져, 언덕의 근본을 어기고 길러 나아가면 흉하다.
《象》曰:六二征凶,行失類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육이가 나아가면 흉함”은 행함이 부류를 잃었음이다.
六三,拂頤,貞凶,十年勿用,无攸利。
육삼(六三)은 기름을 어겼으니 곧아도 흉하며, 십년을 쓰지 말고 다스릴 데가 없어야 이롭다.
《象》曰:十年勿用,道大悖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십년을 쓰지 말라함”은 도가 크게 어그러졌음이다.
六四,顛頤,吉。虎視耽耽其欲逐逐,无咎。
육사(六四)는 거꾸로 길러야 길하니, 범이 돼지를 좇으려 하듯이 열중(熱中)하여 노려 보아야 허물이 없다.
《象》曰:顛頤之吉,上施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거꾸로 길러줌의 길함”은 위의 베품이 빛남이다.
六五,拂經,居貞吉,不可涉大川。
육오(六五)는 정도에 어긋나니 곧음의 길함에 머물러야, 큰 내를 건널 수 없다.
《象》曰:居貞之吉,順以從上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곧음의 길함에 머무름”은 순응하여서 상구(上九)효를 따름이다.
上九,由頤,厲吉,利涉大川。
상구(上九)는 기름을 말미암아서 닦달해야 길하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
《象》曰:由頤厲吉,大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기름을 말미암아서 닦달하니 길함”은 큰 경사가 있음이다.
※ (頤)턱 이, (朶)늘어질 타, (顚)엎드러질 전, (拂)떨칠 불, (耽)즐길 탐, (逐)쫓을 축,
▣ 【序卦傳(서괘전)】 공자作
物畜然後可養. 故受之以頤. 頤者養也.
사물이 축적된 연후에 부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頤)괘로 받는다. 이(頤)라는 것은 기른다는 말이다.
'■ 주역(周易) > 1.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29. 감괘(坎卦)[卦象:중수감] (0) | 2022.01.20 |
---|---|
『주역(周易)』28. 대과괘(大過卦)[卦象:택풍대과] (0) | 2022.01.19 |
『주역(周易)』26. 대축괘(大畜卦)[卦象:산천대축] (0) | 2022.01.15 |
『주역(周易)』25. 무망괘(无妄卦)[卦象:천뢰무망] (0) | 2022.01.14 |
『주역(周易)』24. 복괘(復卦)[卦象:지뢰복]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