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경(詩經)/2.毛詩正義[공영달]

시경 175. 동궁(彤弓, 붉은 활)/모시정의(毛詩正義)

by 석담 김한희 2023. 12. 12.
728x90

『시경(詩經)』

≪소아(小雅) 제2 남유가어지습(南有嘉魚之什)≫

 

175. 동궁(彤弓, 붉은 활)

 

彤弓弨兮,受言藏之。

(동궁초혜 수언장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간직하려 했는데

我有嘉賓,中心貺之。

(아유가빈 중심황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주었네

鐘鼓既設,一朝饗之。

(종고기설 일조향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잔치를 했네

 

彤弓弨兮,受言載之。

(동궁초혜 수언재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간수하려 했는데

我有嘉賓,中心喜之。

(아유가빈 중심희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기뻤네

鐘鼓既設,一朝右之。

(종고기설 일조우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술을 권했다네

 

彤弓弨兮,受言櫜之。

(동궁초혜 수언고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넣어두려 했는데

我有嘉賓,中心好之。

(아유가빈 중심호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좋아했네

鐘鼓既設,一朝醻之。

(종고기설 일조수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술잔 주고받네

 

《彤弓》,三章,章六句。

 

 

■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彤弓》,天子錫有功諸侯也。

【모시 서】 <동궁(彤弓)>은 천자가 공이 있는 제후에게 하사함을 읊은 시(詩)이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彤弓弨兮,受言藏之。

(동궁초혜 수언장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간직하려 했는데

【毛亨 傳】 彤弓,朱弓也,以講德習射。召,弛貌。言,我也。

【모형 전】 동궁(彤弓)은 붉은 활인데, 그로써 덕(德)을 배우고 활쏘기를 익힘이다. 초(弨, 시위 느슨할 초)는 [활 시위가] 느슨한 모양이다. 언(言)은 나를 말함이다.

我有嘉賓,中心貺之。

(아유가빈 중심황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주었네

【毛亨 傳】 貺,賜也。

【모형 전】 황(貺, 줄 황)은 하사함이다.

鐘鼓既設,一朝饗之。

(종고기설 일조향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잔치를 했네

 

彤弓弨兮,受言載之。

(동궁초혜 수언재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간수하려 했는데

【毛亨 傳】 載以歸也。

【모형 전】 재(載, 실을 재)는 그로써 돌아감이다.

我有嘉賓,中心喜之。

(아유가빈 중심희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기뻤네

【毛亨 傳】 喜,樂也。

【모형 전】 희(喜, 기쁠 희)는 즐거움이다.

鐘鼓既設,一朝右之。

(종고기설 일조우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술을 권했다네

【毛亨 傳】 右,勸也。

【모형 전】 우(右, 도울 우)는 권함이다.

 

彤弓弨兮,受言櫜之。

(동궁초혜 수언고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넣어두려 했는데

【毛亨 傳】 櫜,韜也。

【모형 전】 고(櫜, 활집 고)는 감추어 둠이다.

我有嘉賓,中心好之。

(아유가빈 중심호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좋아했네

【毛亨 傳】 好,說也。

【모형 전】 호(好, 좋을 호)는 설득함이다.

鐘鼓既設,一朝醻之。

(종고기설 일조수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술잔 주고받네

【毛亨 傳】 壽,報也。

【모형 전】 수(醻, 갚을 수)는 보답함이다.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諸侯敵王所愾而獻其功,王饗禮之,於是賜彤弓一,彤矢百,玈弓矢千。凡諸侯,賜弓矢然後專征伐。

【정현 서】 제후들은 왕(王)이 대적(對敵)하여 분개(憤愾)하는 곳에서 공을 세워 바치면, 왕이 여기에 예의를 갖추어 잔치하고, 붉은 활[彤弓] 하나와 붉은 화살 백 개와 검은 활과 화살 천 개를 하사하였다. 모든 제후들은 활과 화살을 하사받은 연후에 정벌에 전념했다.

 

彤弓弨兮,受言藏之。

(동궁초혜 수언장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간직하려 했는데

【鄭玄 箋】 箋雲:言者,謂王策命也。王賜朱弓,必策其功以命之。受出藏之,乃反入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언(言)이라는 것은, 왕이 책명(策命)함을 말한다. 왕이 붉은 활을 하사하면 반드시 그 공로를 책서(策書)로써 명령을 하는데, 받으면 나가서 그것을 저장하고 이에 돌아와 들어온다.”라고 하였다.

我有嘉賓,中心貺之。

(아유가빈 중심황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주었네

【鄭玄 箋】 箋雲:貺者,欲加恩惠也。王意殷勤於賓,故歌序之。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황(貺, 줄 황)이라는 것은, 은혜를 더하고자 함이다. 왕의 뜻은 손님에게 많이 힘쓰기 때문에 노래를 그렇게 펼쳤다.”라고 하였다.

鐘鼓既設,一朝饗之。

(종고기설 일조향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잔치를 했네

【鄭玄 箋】 箋雲:大飲賓曰饗。一朝,猶早朝。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손님을 크게 마시게 함을 잔치[饗]라고 말한다. 일조(一朝)는 이른 아침[早朝]과 같다.”라고 하였다.

 

彤弓弨兮,受言載之。

(동궁초혜 수언재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간수하려 했는데

【鄭玄 箋】 箋雲:出載之車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수레에 [활을] 싣고서 나감이다.”라고 하였다.

我有嘉賓,中心喜之。

(아유가빈 중심희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기뻤네

鐘鼓既設,一朝右之。

(종고기설 일조우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술을 권했다네

【鄭玄 箋】 箋雲:右之者,主人獻之,賓受爵,奠於薦右。既祭俎,乃席末坐,卒爵之謂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우지(右之)라는 것은, 주인이 [술잔을] 드리면 손님이 술잔을 받아 오른쪽에 권하여 올림이다. 이미 제사의 도마가 마침내 자리의 끝에 놓이면 술잔 권함을 마침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彤弓弨兮,受言櫜之。

(동궁초혜 수언고지)

줄 느슨한 붉은 활을 받아 넣어두려 했는데

【鄭玄 箋】 ○櫜,古刀反。韜,本又作「弢」,吐刀反,弓衣也。

【정현 전】 ○고(櫜, 활집 고)는 고(古)와 도(刀)의 반절음이며, 도(韜, 활집 도)는 또 다른 본에 「도(弢, 활집 도)」로 쓰였으며 토(吐)와 도(刀)의 반절음이고, 활의 옷[弓衣]이다。

我有嘉賓,中心好之。

(아유가빈 중심호지)

내게 반가운 손님이 와서 진심으로 좋아했네

鐘鼓既設,一朝醻之。

(종고기설 일조수지)

종과 북을 벌여놓고 아침부터 술잔 주고받네

【鄭玄 箋】 箋雲:飲酒之禮,主人獻賓,賓酢主人。主人又飲而酌賓,謂之壽。壽猶厚也,勸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술을 마시는 예절은, 주인이 손님에게 드리면 손님이 주인에게 돌리며, 주인이 또 마시고서 손님에게 술 따름을 수(醻, 갚을 수)라고 말하는데, 갚음[醻]은 두터움과 같으며 권함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ㅡ 한(漢)나라 毛亨傳 鄭玄箋, 당(唐)나라 孔穎達疏.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彤弓》,天子錫有功諸侯也。(諸侯敵王所愾而獻其功,王饗禮之,於是賜彤弓一,彤矢百,玈弓矢千。凡諸侯,賜弓矢然後專征伐。○彤,徒冬反。彤弓,赤弓也。愾,苦愛反,很也。杜預雲:「很,怒也。」《說文》作「鎎」,火既反,雲「怒戰也」。玈音盧,黑弓也,本或作「旅」,字訛。)

 

疏「《彤弓》三章,章六句」至「諸侯」。○正義曰:作《彤弓》詩者,天子賜有功諸侯諸。侯有征伐之功,王以弓矢賜之也。經三章,上二句言諸侯受王彤弓,是賜之事,下四句言王設樂饗酬,而行饗,亦是賜之事,故雲「錫」以兼之。○箋「諸侯」至「征伐」。○正義曰:自「諸侯敵王所愾」,盡「玈弓矢千」,除「饗禮」一句以外,皆文四年《左傳》甯武子辭也。「諸侯賜弓矢然後專征伐」,《禮記·王製》文也。引《左傳》者,解有功賜之由。王賜諸侯,非唯弓矢而已,獨言彤弓者,以弓矢為重,故又引《王製》以明之。言敵王所愾者,敵者,當也;愾,恨也。謂夷狄戎蠻不用王命,王心恨之,命諸侯有德者使征之。諸侯於是以王命興師以討。王之所恨者為讎敵,而伐之既勝,而獻其所獲之功於王。王親受之,又設饗禮禮之,於是賜之弓矢也。獻功者,伐四夷而勝則獻之。其伐中國,雖勝不獻,故莊三十一年《左傳》曰:「凡諸侯有四夷之功則獻於王,以警於夷。中國則否。」是中國之功不獻捷也。其獻,唯四夷之功乃獻之。其賜,有功則賜之,不須要四夷之功始賜之也。晉文侯夾輔周室,平王東遷洛邑,無伐四夷之功,王亦賜之弓矢。《尚書·文侯之命》是其事也。經先言受功,後說饗。鄭先言饗禮之,乃言賜弓矢者,襄二十六年《左傳》曰:「將賞則加膳,加膳則飫賜。」將欲賞人,尚加殽膳,況弓矢之賜,賞之大者焉,得無其禮也?為賜以設饗而賜之,故鄭先言饗也。其饗之日,先受弓矢之賜,後受獻酬之禮也。且王以賜弓為重,故經先言賜弓,後言饗之事也。若僖二十八年《左傳》說晉文公敗楚於城濮,獻功於王。「王饗醴,命晉侯宥」。下乃言「策命晉侯為侯伯」,賜之以弓矢。似先饗後賜者。彼饗醴、命宥別行,饗禮非賜日之饗也,故丁未獻俘,己酉設享,是先饗禮以勞其功,它日乃賜之弓矢,更加策命。其賜之日,別行饗禮。則此經所雲,是與彼饗別也。莊十八年,「虢公、晉侯朝王。王饗醴,命之宥」。僖二十五年,「晉侯朝王。王饗醴,命之宥」。於時不賜,特行饗醴。以此知城濮之言饗禮者,非賜日之饗。賜之日實行饗禮,而《左傳》甯武子雲:「以覺報宴者。」杜預雲:「歌《彤弓》者,以明報功宴樂,非謂賜時設饗禮。」甯武子所言,及晉文侯、文公所受,皆並有玈弓。此詩獨言彤弓者,以二文皆先彤後玈,彤少玈多,舉重可以包輕,故直言彤弓也。有弓則有矢,言弓則矢可知,故亦不言矢也。傳文直雲「玈弓矢千」,定本亦然,故服虔雲:「矢千則弓十。」是本無「十玈」二字矣。俗本有者,誤也。首章為總目,下二章分而述之,以相成也。毛以「藏之」者為藏之於其家,以示子孫。先櫜之,乃載以歸,後始藏於其家,以藏為重,先言之。藏於家,受後之事,致其意而言之,非受時也。「好之」、「喜之」,由悅樂而賜之,故「貺之」為總也。「饗之」是大禮之名,「右之」、「酬之」是饗時之事,亦饗為總也。鄭亦首章為總,但藏、載於車即是受時之事為異耳。

 

彤弓召兮,受言藏之。(彤弓,朱弓也,以講德習射。召,弛貌。言,我也。箋雲:言者,謂王策命也。王賜朱弓,必策其功以命之。受出藏之,乃反入也。 ○召,尺昭反,《說文》雲:「弓反也。」《字林》充小反。弛,式氏反。)

我有嘉賓,中心貺之。(貺,賜也。箋雲:貺者,欲加恩惠也。王意殷勤於賓,故歌序之。)

 

鍾鼓既設,一朝饗之。(箋雲:大飲賓曰饗。一朝,猶早朝。○飲,於鴆反。)

 

疏「彤弓」至「饗之」。○毛以為,諸侯受天子所賜彤赤之弓,召然而弛。既天子以此賜我,我則於王受之矣。既受之,我當於家藏之,以示子孫,不忘大功也。於時王既賜諸侯以弓,又饗禮禮之。我有嘉善之賓,中心至誠而貺賜之,以鍾鼓既為之設,一旦早朝,大設禮而饗之。鄭以敘王之意,言我彤赤之弓召然弛兮,以賜諸侯,則受策命之言與此賜之弓,出而藏之,乃反之入也。餘同。○傳「彤弓」至「言我」。○正義曰:彤赤,故言朱弓。《周禮》無彤弓之名。言講德習射,則彤弓《周禮》當唐弓、大弓也。《夏官·司弓矢》有六弓,王、弧、夾、庾、唐、大。鄭雲:「六者,弓異體之名也。往體寡,來體多,曰王、弧。往體多,來體寡,曰夾、庾。往體來體若一,曰唐、大。」經曰:「唐弓、以授學射者、使者、勞者。」鄭雲:「學射者,弓用中,後習強,弱則易也。使者、勞者,弓亦用中,遠近可也。勞者,勤勞王事,若晉文侯、文公受王弓矢之賜也。」如是,則鄭以此彤弓及玈弓於《周禮》為唐、大,故言勞者受得之後,則以學射,故雲「以講德習射」也。但唐、大者,是其體強弱之名,此彤、玈者,為弓色之異稱,為弓者皆漆之,以禦後霜露。漆之為色,赤之而已。彤既是赤,則知玈者為黑也。色以赤者,周之所尚,故賜弓赤一而黑十,以赤為重耳。為其體同異未聞,正以有功者受彤弓、彤弓之賜。《周禮》唐弓、大弓以授勞者,此傳言彤弓以講德習射。《周禮》唐弓、大弓以授學射者,此彤弓必當唐、大二者之中有之耳。其必當唐、大,亦未能審玈弓與彤弓俱賜勞者,蓋亦當唐、大乎?服虔雲:「玈弓以射甲革椹質。」則以玈弓當《周禮》之弧。安得賜玈弓多,彤弓少,則體不得過之。而以彤為學射,當唐、大,合七成規,玈弓為王、弧,合九成規。準之《周禮》,非其差也。《周禮》又有八矢,弓弩各四。其弓之矢有枉、殺、矰、恆。而恆矢雲「用諸散射」。鄭雲「散射謂禮射及習射」,與此講德習射事同,則彤矢玈矢當《周禮》恆矢也。召,弛貌。《說文》雲:「召,弓反。」謂弛之而體反也。此言「召,弛貌」,則受弓矢者皆定體之弓弛而賜之。至於凡平敵體,自出臨時之宜,故《曲禮》有「張弓尚筋,弛弓尚角」。弓定體、未定體之事,不與此同。傳訓「言」為「我」,不解藏義。王肅雲:「我藏之以示子孫也。」○箋「言者」至「反入」。○正義曰:鄭以此歌本敘王意,故雲有嘉賓。既敘王意,不得諸侯言我受藏之也。晉文公受弓矢之賜,傳稱「王命尹氏及王子虎、內史叔興父策命晉侯為侯伯」,此與彼同,宜有策命,故知言者謂王命策也。王賜朱弓,必策其功以命之。《左傳》策命晉侯之文是其事也。此直言藏之,則「受出藏之,乃反入」者,以傳說晉文公既從命,雲「受策以出,出入三覲」,故知之。○箋「王意」至「序之」。○正義曰:箋以言王中心以貺之,是中心誠實,非飾貌矯情,是殷勤於賓也。由王如此,故複作詩歌而敘之,解此彤弓之意,以王中心之實,故歌之以示法耳。○箋「大飲」至「早朝」。○正義曰:饗者,烹大牢以飲賓,是禮之大者,故曰大飲賓。曰饗,謂以大禮飲賓,獻如命數,設牲俎豆,盛於食燕。《周語》曰:「王饗有體薦,燕有折俎。公當享,卿當燕。」是其禮盛也。言一朝者,言王殷勤於賓,早朝而即行禮,故雲「一朝,猶早朝」。以燕如至夜,饗則如其獻數,禮成而罷,故以朝言之。昭元年《左傳》雲:「鄭饗趙孟,禮終乃燕。」是享不終日也。

 

彤弓召兮,受言載之。(載以歸也。箋雲:出載之車也。)

我有嘉賓,中心喜之。(喜,樂也。○樂音洛。)

 

鍾鼓既設,一朝右之。(右,勸也。箋雲:右之者,主人獻之,賓受爵,奠於薦右。既祭俎,乃席末坐,卒爵之謂也。○右,毛音又,鄭如字,薦右也。卒,遵律反,本或作「啐」者,誤也。啐音七內反。)

 

疏傳「右,勸」。○正義曰:下章言「壽」。壽賓之前,止有獻賓。初獻未得名為勸,則勸者非以酒勸賓,謂設享禮勸其功也。故成二年《左傳》曰「王親受而勞之,所以懲不敬,勸有功」,是也。此勸既非勸酒,故卒章「壽」亦不得壽酒。傳「壽,報」,言為享以報其功,故《左傳》曰「以覺報宴」,是也。○箋「右之」至「之謂」。○正義曰:案《燕禮》雲:「主人筵前獻賓。賓西階上拜,筵前受爵,反位。主人賓右拜送爵。膳宰薦脯醢,賓升筵。膳宰設折俎。賓坐,左挩爵,右祭脯醢,奠爵於薦右,興;取肺,坐絕祭,嚌之,興,加於俎;坐挩手,執爵,遂祭酒,興;席末坐啐酒。」此鄭略其事,故言之,謂右之者,即此《燕禮》所言奠於薦右之謂也。彼啐酒即此卒爵,爵即酒也。鄭以下言壽之為壽賓,故此右之為當獻賓。既獻賓,賓受而奠之於薦右。是言之可以明主之獻賓,故作者舉以表之。

 

彤弓召兮,受言櫜之。(櫜,韜也。○櫜,古刀反。韜,本又作「弢」,吐刀反,弓衣也。)

我有嘉賓,中心好之。(好,說也。○好,呼報反。說音悅。)

 

鍾鼓既設,一朝壽之。(壽,報也。箋雲:飲酒之禮,主人獻賓,賓酢主人。主人又飲而酌賓,謂之壽。壽猶厚也,勸也。○壽,本又作「酬」,市由反。酢,才洛反。)

 

疏箋「飲酒」至「厚勸」。○正義曰:案《燕禮》賓既受獻,「西階上北麵坐卒爵。賓以虛爵降。賓坐取觚,奠於篚下,盥洗。卒盥,揖升;酌以酢主人於西階上。主人北麵拜受」。又曰:「遂卒爵。」是主人獻賓,賓酢主人也。又曰:「主人盥洗,升,媵觚於賓。酌散西階上,坐奠爵,拜賓。賓降筵,北麵答拜。主人坐祭,遂飲。」又曰:「主人酌膳。賓西階上拜,受爵於筵前,反位。主人拜送爵。賓升席,坐祭酒,遂奠於薦東。」是主人又飲而酌賓曰壽也。其《鄉飲酒》亦然。彼注「壽,勸酒」,與此「厚、勸」一也。《瓠葉》傳曰:「壽,導飲。」主人又飲,以導賓而壽之。此傳訓「壽」為「報」,是傳意壽之不施於飲酒,明矣,故王肅雲:「壽,報功也。」

 

《彤弓》三章,章六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