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제7 정풍(鄭風)≫

 

76. 장중자(將仲子, 채중[仲子]의 당부)

【毛詩 序】 《將仲子》,刺莊公也。不勝其母,以害其弟。弟叔失道而公弗製,祭仲諫而公弗聽,小不忍, 以致大亂焉。

【모시 서】 《장중자(將仲子)》는 정(鄭)나라 장공(莊公)을 풍자한 시이다. [장공(莊公)이] 그 어머니[武姜]의 강요를 이기지 못하고 그로써 그 아우를 해쳤다. 아우 공숙(公叔)이 도(道)를 잃었는데도 공[莊公]이 제지(制止)하지 못하였으며 채중(祭仲, 정나라 대부)이 간(諫)하였으나 공(公)이 듣지 않았으며 작은 일을 참지 못하고 그로써 큰 난리가 일어나게 하였다.

 

將仲子兮, 無踰我里, 無折我樹杞.

(장중자혜 무유아리 무절아수기)

채중[仲子]이 우리 마을을 넘보지 말고 버드나무도 꺾지 말라 당부했는데

豈敢愛之, 畏我父母.

(기감애지 외아부모)

어찌 감히 아까워서 일까 나의 부모 두려워서 인데

仲可懷也, 父母之言, 亦可畏也.

(중가회야 부모지언 역가외야)

둘째를 품으려 하지만 부모님 말씀이 또한 두렵다네

 

將仲子兮, 無踰我牆, 無折我樹桑.

(장중자혜 무유아장 무절아수상)

채중[仲子]이 우리 담장을 넘보지 말고 뽕나무도 꺾지 말라 당부했는데

豈敢愛之, 畏我諸兄.

(기감애지 외아제형)

어찌 감히 아까워서 일까 나의 형재 두려워서 인데

仲可懷也, 諸兄之言, 亦可畏也.

(중가회야 제형지언 역가외야)

둘째를 품으려 하지만 여러 형재 말 또한 두렵다네

 

將仲子兮, 無踰我園, 無折我樹檀.

(장중자혜 무유아원 무절아수단)

채중[仲子]이 우리 동산을 넘보지 말고 박달나무도 꺾지 말라 당부했는데

豈敢愛之, 畏人之多言.

(기감애지 외인지다언)

어찌 감히 아까워서 일까 사람들 소문 두려워함인데

仲可懷也, 人之多言, 亦可畏也.

(중가회야 인지다언 역가외야)

둘째를 품으려 하지만 사람들 소문이 또한 두렵다네

 

《將仲子》三章,章八句。

 

【石潭 案】 : 이 시는 정(鄭)나라 장공(莊公)이 동생 숙단(叔段)을 태숙(太叔)으로 하여 경(京)땅에 봉하려고 하니 대부인 채중(祭仲)이 간(諫)하기를 “경(京)땅은 나라[왕도]보다 크니 아우에게 봉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으나 장공은 “어머니인 무강(武姜)이 하고자 하였으니 내가 감히 그 뜻을 꺾지 못한다.”고 하며 동생을 태숙으로 경(京)땅에 봉하였음을 풍자한 시이다. 더러 연정(戀情)을 품은 연시(戀詩)라 평하는데 시어가 아름답다하여 모두 연시는 아니며 아름다운 시어에 풍자가 들어있음으로 그 시가 빛을 발하는 것이다.

譯註 1: 『史記』 《鄭世家》武公十年,娶申侯女為夫人,曰武姜。生太子寤生,生之難,及生,夫人弗愛。後生少子叔段,段生易,夫人愛之。二十七年,武公疾。夫人請公,欲立段為太子,公弗聽。是歲,武公卒,寤生立,是為莊公。莊公元年,封弟段於京,號太叔。祭仲曰:「京大於國,非所以封庶也。」莊公曰:「武姜欲之,我弗敢奪也。」段至京,繕治甲兵,與其母武姜謀襲鄭。二十二年,段果襲鄭,武姜為內應。莊公發兵伐段,段走。伐京,京人畔段,段出走鄢。鄢潰,段出奔共。於是莊公遷其母武姜於城潁,誓言曰:「不至黃泉,毋相見也。」居歲餘,已悔思母。潁谷之考叔有獻於公,公賜食。考叔曰:「臣有母,請君食賜臣母。」莊公曰:「我甚思母,惡負盟,柰何?」考叔曰:「穿地至黃泉,則相見矣。」於是遂從之,見母。

『사기(史記)』 《정세가(鄭世家)》⇒무공(武公) 10년에 신후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그 부인된 이가 무강(武姜)이다. 무강은 태자인 오생(寤生)을 난산하자 그를 사랑하지 않았고, 뒤에 작은 아들인 숙단(叔段)을 순산하자 그를 사랑했다. 27년에 무공이 병들자 부인이 청하여 숙단(叔段)을 태자로 삼으려 했으나 공이 듣지 않았다. 그 해에 무공이 죽고 오생(寤生)이 위(位)에 올랐으니 이가 장공(莊公)이다. 장공 원년에 아우인 단[叔段]을 경(京) 땅에 봉하고 태숙(太叔)이라 불렀다. 채중(祭仲)이 “경(京) 땅은 나라[왕도]보다 크니 아우에게 봉해서는 안 된다.”고 했으나 장공은 “어머니인 무강(武姜)이 하고자 하였으니 내가 감히 그 뜻을 꺾지 못한다.”고 했다. 단은 경(京) 땅에 이르러 군대를 정비하고 그 어머니인 무강과 함께 정땅을 칠 모의를 하였다. 장공 22년에 단은 정(鄭) 땅을 습격하고 무강이 안에서 응하였다. 장공이 군사를 풀어 단을 치려고 하자 단은 달아났다. 경땅을 정벌하자 경땅 사람들이 단을 배반하니 단은 언땅으로 달아났다. 언땅이 무너지자 단은 공땅으로 도망갔다. 이에 장공은 그 어머니인 무강을 영성으로 옮기게 하고 맹세하면서 말하기를, “황천에 이르지 아니하고서는 서로 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얼마 안 되어 뉘우치고 어머니를 생각하였다. 영곡의 고숙이 공에게 폐백을 받치자 공이 음식을 하사하니, 고숙이 말하기를, “신은 어머니가 있사오니 청컨대 군주께서 하사하신 음식을 신의 어머니에게 하사하소서!”라고 했다. 장공이 “내가 심히 어머니를 그리워하나 내 어찌 맹세를 등지겠는가? 어찌하면 좋을까?”라고 하자, 고숙이 “땅을 파서 황천에 이르면 서로 볼 수 있습니다.”고 했다. 장공은 고숙의 말대로 땅굴을 파서 어머니를 만났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