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11 진풍(陳風)≫
144. 주림(株林, 주땅의 숲)
胡為乎株林、從夏南。
(호위호주림 종하남)
주땅의 숲에 무엇하러 가는가 하남에게 간다하네
匪適株林、從夏南。
(비적주림 종하남)
주땅의 숲에 가는 것이 아니라 하남에게 간다네
駕我乘馬、說于株野。
(가아승마 설우주야)
네마리 말 수레 타고 주땅 들판에 가서 즐긴다네
乘我乘駒、朝食于株。
(승아승구 조식우주)
네필 망아지 수레 타고 주땅에 가서 아침밥 먹네
《株林》二章,章四句。
譯註 1: 하희(夏姬)⇒춘추(春秋)시대 정(鄭)나라 목공(穆公; BC 649~BC 606)의 딸이며, 절세의 미인이자 천하에 둘도 없는 음녀(淫女)이다. 결혼 전에 이복 오빠인 공자 만(蠻)과 사통을 하였으며 진(陳)나라 대부 하어숙(夏御叔)에게 출가하여 아들 하징서(夏徵舒)를 두고 과부가 된 후에는 더욱 문란해져 진(陳)나라의 간신 공영(孔寧)·의행보(儀行父)·진영공(陳靈公)과 동시 상관하는 짓을 저지르니 참다못한 아들 하징서(夏徵舒)가 영공을 시해하였으며 이를 구실로 초나라의 장왕(莊王)이 하징서를 능지처참하고 진나라를 멸국치현했다. 이처럼 한 나라를 뒤짚어엎고 한 제후와 세 가문을 패가망신시킨 경국지색(傾國之色)의 요부(妖婦)이다.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株林》,刺靈公也。淫乎夏姬,驅馳而往,朝夕不休息焉。
【모시 서】 <주림(株林)>은 영공(靈公)을 풍자한 시(詩)이다. 하희(夏姬; 하징서의 어머니)와 간음하려고 수레를 몰아서 달려가기를 아침과 저녁으로 쉬지를 않았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胡為乎株林、從夏南。
(호위호주림 종하남)
주땅의 숲에 무엇하러 가는가 하남에게 간다하네
【毛亨 傳】 株林,夏氏邑也。夏南,夏徵舒也。
【모형 전】 주림(株林)은 , 하씨(夏氏)들의 고을이고, 하남(夏南)은, 하징서(夏徵舒)이다.
匪適株林、從夏南。
(비적주림 종하남)
주땅의 숲에 가는 것이 아니라 하남에게 간다네
駕我乘馬、說于株野。
(가아승마 설우주야)
네마리 말 수레 타고 주땅 들판에 가서 즐긴다네
乘我乘駒、朝食于株。
(승아승구 조식우주)
네필 망아지 수레 타고 주땅에 가서 아침밥 먹네
【毛亨 傳】 大夫乘駒。
【모형 전】 대부는 망아지(駒, 망아지 구) 수레를 탄다.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夏姬,陳大夫妻,夏徵舒之母,鄭女也。徵舒字子南,夫字禦叔。
【정현 서】 하희(夏姬)는 진(陳)나라 대부의 아내이고 하징서(夏徵舒)의 어머니이며 정(鄭)나라 여자인데, 징서(徵舒)의 자(字)가 자남(子南)이며 남편의 자는 어숙(禦叔)이다.
胡為乎株林、從夏南。
(호위호주림 종하남)
주땅의 숲에 무엇하러 가는가 하남에게 간다하네
【鄭玄 箋】 箋雲:陳人責靈公,君何為之株林,從夏氏子南之母,為淫泆之行?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진(陳)나라 사람들이 영공(靈公)을 나무라기를, 군주께서 무엇하러 주림에 가서 하씨 자남의 어머니를 따라가 음란하고 음탕함을 행하려 하는가?”라고 하였다.
匪適株林、從夏南。
(비적주림 종하남)
주땅의 숲에 가는 것이 아니라 하남에게 간다네
【鄭玄 箋】 箋雲:匪,非也。言我非之株林,從夏氏子南之母,為淫泆之行,自之他耳。牴拒之辭。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비(匪, 비적 비)는 아님이다. 내가 주림에 가는게 아니라 하씨 자남의 어머니를 따라가 음란하고 음탕함을 행함은 스스로 갔음이 다름이라 말함이다. 만남을 막음을 말함이다.”라고 하였다.
駕我乘馬、說于株野。
(가아승마 설우주야)
네마리 말 수레 타고 주땅 들판에 가서 즐긴다네
乘我乘駒、朝食于株。
(승아승구 조식우주)
네필 망아지 수레 타고 주땅에 가서 아침밥 먹네
【鄭玄 箋】 箋雲:我,國人。我,君也。君親乘君乘馬,乘君乘駒,變易車乘,以至株林。或說舍焉,或朝食焉,又責之也。馬六尺以下曰駒。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아(我)는, 나라 사람이고, 아(我)는, 군주이다. 군주가 친히 타면 군주의 말 수레를 타는데, 군주가 타기를 망아지 수레를 탓음은 바꾸어 변하여 수레를 타고 그로써 주림에 이르렀음이다. 혹 그곳 집에서 즐기고 혹은 그곳에서 아침을 먹었으니 또 그것을 책망하였다. 말이 6척 이하를 구(駒)라고 말한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株林》,刺靈公也。淫乎夏姬,驅馳而往,朝夕不休息焉。(夏姬,陳大夫妻,夏徵舒之母,鄭女也。徵舒字子南,夫字禦叔。○株林,陟朱反。株林,夏氏邑也。夏,戶雅反,注下同。禦,魚呂反,又如字。)
疏「《株林》二章,章四句」至「息焉」。○正義曰:作《株林》詩者,刺靈公也。以靈公淫於夏氏之母,姬姓之女,疾驅其車馬,馳走而往,或早朝而至,或向夕而至,不見其休息之時,故刺之也。經二章,皆言靈公往淫夏姬朝夕不息之事。「說於株野」,是夕至也。「朝食於株」,是朝至也。○箋「夏姬」至 「禦叔」。○正義曰:宣九年《左傳》稱「陳靈公與孔寧、儀行父通於夏姬」。十年經雲:「陳夏徵舒弒其君平國。」傳曰:「陳靈公與孔寧、儀行父飲酒於夏氏。公謂行父曰:『徵舒似汝。』對曰:『亦似君。』徵舒病之。公出,自其廄射而殺之。」昭二十八年《左傳》叔向之母論夏姬雲:「是鄭穆公少妃姚子之子,子貉之妹也。子貉早死,而天鍾美於是。」《楚語》雲:「昔陳父子夏為禦叔娶於鄭穆公女,生子南,子南之母亂陳而亡之。」是言夏姬所出及夫、子名字。
胡為乎株林,從夏南?(株林,夏氏邑也。夏南,夏徵舒也。箋雲:陳人責靈公,君何為之株林,從夏氏子南之母,為淫泆之行?○泆音逸。行,下孟反。)
匪適株林,從夏南!(箋雲:匪,非也。言我非之株林,從夏氏子南之母,為淫泆之行,自之他耳。牴拒之辭。○牴,都禮反。)
疏「胡為」至「夏南」。○正義曰:株林者,夏氏之邑。靈公數往彼邑,淫於夏姬,國人責之雲:君何為於彼株林之邑,從夏氏子南之母為淫泆兮?靈公為人所責,牴拒之雲:我非是適彼株林之邑,從夏氏子南之母兮,我別自適之他處耳。一國之君,如此淫泆,故刺之。定本無「兮」字。○傳「株林」至「徵舒」。○ 正義曰:靈公適彼株林,從夏南,故知株林是夏氏之邑。邑在國外,夏姬在邑,故適邑而從夏姬也。徵舒祖字子夏,故為夏氏。徵舒字子南,以氏配字,謂之夏南。楚殺徵舒,《左傳》謂之「戮夏南」,是知夏南即徵舒也。實從夏南之母,言從夏南者,婦人夫死從子,夏南為其家主,故以夏南言之。○箋「匪非」至「之辭」。 ○正義曰:以文辭反覆,若似對答,前人故假為牴拒之辭。非是麵爭。王肅雲:「言非欲適株林從夏南之母,反覆言之,疾之也。」孫毓以王為長。
駕我乘馬,說於株野。
乘我乘駒,朝食於株。(大夫乘駒。箋雲:我,國人。我,君也。君親乘君乘馬,乘君乘駒,變易車乘,以至株林。或說舍焉,或朝食焉,又責之也。馬六尺以下曰駒。)
疏「駕我」至「於株」。○正義曰:此又責君數往株邑。言君何為駕我君之一乘之馬,向夕而說舍於株林之野,何故得乘我君之一乘之駒,早朝而食於株林之邑乎?言公朝夕往來,淫泆不息,可惡之甚,故刺之也。○傳「大夫乘駒」。○正義曰:《皇皇者華》說大夫出使,經雲「我馬維駒」,是大夫之製,禮當乘駒也。此傳質略。王肅雲:「陳大夫孔寧、儀行父與君淫於夏氏。」然則王意以為乘我駒者,謂孔儀從君適株,故作者並舉以惡君也。傳意或當然。
《株林》二章,章四句。
'■ 시경(詩經) > 2.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46. 고구(羔裘, 염소 갓옷) (0) | 2021.12.24 |
---|---|
『시경(詩經)』145. 택피(澤陂, 못 둑) (0) | 2021.12.16 |
『시경(詩經)』143. 월출(月出, 달이 뜨네) (0) | 2021.11.25 |
『시경(詩經)』142. 방유작소(防有鵲巢, 방죽 위의 까치집) (0) | 2021.11.16 |
『시경(詩經)』141. 묘문(墓門, 묘지의 문) (0) | 2021.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