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 주()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58. 태괘(兌卦)[卦象:중택태]

 兌上

 兌下

()[.]가 아래에 있고, ()[.]가 또 위에 있다.

 

兌亨利貞
()는 형통하지만곧아야 이롭다.
[孔穎達 疏]正義曰說也。《說卦:「說萬物者莫說乎澤。」以兌是象澤之卦故以為名澤以潤生萬物所以萬物皆說施於人事猶人君以恩惠養民民無不說也惠施民說所以為亨以說說物恐陷諂邪其利在於貞正故曰亨利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바꿀 태)’는 설득함이며설괘전(說卦傳)에 말하기를 만물(萬物)을 벗기는 것은 못[]보다 더 벗기는 것이 없다.”라고 하였는데그로써 태()괘가 바로 못을 모습[]한 괘()이기 때문에 ()’로써 이름을 삼은 것이다.
못은 젖게함으로써 만물이 자라나니만물(萬物)이 모두 설득되는 까닭이며사람의 일에 베풀면 인군(人君)이 은혜를 가지고 백성을 길러주니 백성들이 설득되지 않음이 없는 것과 같다은혜를 베풀어 백성을 설득함은 형통함이 되는 까닭이다설득함으로써 남[사물]을 설득하면 아첨함과 간사함에 빠질까 두려워 그 이로움이 곧고 바름에 있게 했다그러므로 바꿈[]은 형통하지만곧아야 이롭다[亨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說也剛中而柔外說以利貞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는 설득함이다굳셈이 가운데인데도 부드러움이 밖을 설득하니그로써 곧아야 이롭다.


王弼 注】 說而違剛則諂剛而違說則暴剛中而柔外所以說以利貞也剛中故利貞柔外故說亨
왕필 주】 설득하여서 굳셈을 어기면 아첨함이고굳셈이면서 설득함을 어기면 사나움이며굳셈이 가운데이면서 부드러움이 밖이니 설득함은 곧음이 이로움을 가지고 하는 까닭이다굳셈이 가운데이기 때문에 곧아야 이롭고부드러움이 밖이기 때문에 설득이 형통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說也訓卦名也。「剛中而柔外說以利貞此就二五以剛居中上六六三以柔處外兌亨利貞之義也外雖柔說而內德剛正則不畏邪諂內雖剛正而外跡柔說則不憂侵暴只為剛中而柔外中外相濟故得說亨而利貞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는 설득함이다[兌 說也]”라는 것은()의 이름을 세긴[것이다.
굳셈이 가운데인데도 부드러움이 밖을 설득하니그로써 곧아야 이롭다[剛中而柔外 說以利貞]”라는 것은이는 구2(九二)와 구5(九五)가 굳셈으로써 가운데[]에 거주하고 상육(上六)과 육3(六三)이 부드러움으로써 밖에 처함을 가지고 설득함[]은 형통하지만 곧아야 이로움[兌亨利貞]’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밖이 비록 부드럽게 설득하지만 안의 덕()이 굳세고 바르면 간사함과 아첨함을 두려워하지 않으며안이 비록 굳세고 바르지만 밖의 자취가 부드럽게 설득하면 사납게 침해함을 근심하지 않는다다만 굳셈이 가운데[]이면서 부드러움이 밖에 있으니 가운데와 밖이 서로 구제하기 때문에 설득하여 형통함을 얻지만 곧아야 이롭게 되는 것이다.
是以順乎天而應乎人
이로써 하늘을 따르면서 사람에게 응()하며,


王弼 注】 天剛而不失說者也
왕필 주】 하늘은 굳세면서도 설득하는 것을 잃지 않는다.
[孔穎達 疏]正義曰廣明說義合於天人天為剛德而有柔克是剛而不失其說也今說以利貞是上順乎天也人心說於惠澤能以惠澤說人是下應乎人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설득함의 뜻이 하늘과 사람에 부합함을 넓혀 밝힌 것이다하늘은 굳센 덕()이 되는데 부드러움으로 이길 수 있으니이는 굳셈이지만 그 설득됨을 잃지 않는 것이다.
지금 설득함은 곧아야 이로움은 바로 위의 하늘에 순종함이고사람 마음이 은혜가 윤택(潤澤)함에 설득됨은 능히 은혜가 윤택(潤澤)함으로써 남을 설득함인데 이는 아래로 사람에 응()하는 것이다.
說以先民民忘其勞說以犯難民忘其死說之大民勸矣哉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에게 먼저하면 백성들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설득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들은 그 죽음을 잊으니설득을 함이 크면 백성들이 권면(勸勉)되도다.”
[孔穎達 疏]正義曰:「說以先民民忘其勞」,以下歎美說之所致亦申明應人之法先以說豫撫民然後使之從事則民皆竭力忘其從事之勞故曰說以先民民忘其勞。「說以犯難民忘其死先以說豫勞民然後使之犯難則民皆授命忘其犯難之死故曰說以犯難民忘其死施說於人所致如此豈非說義之大能使民勸勉矣哉故曰說之大民勸矣哉」。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에게 먼저하면 백성들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說以先民 民忘其勞]“라고 함은이하는 설득함의 이루는 바를 탄미 하였고또한 사람에게 응()하는 법을 거듭 밝혔으며먼저 설득함으로써 백성을 미리 어루만진 연후에 그들로 하여금 일을 따르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힘을 다하여 그 일에 따르는 수고로움을 잊기 때문에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에게 먼저하면 백성들이 그 수고로움을 잊는다[說以先民 民忘其勞]”라고 말한 것이다.
설득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들은 그 죽음을 잊으니[說以犯難 民忘其死]”라는 것은먼저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을 미리 위로한 연후에 그들로 하여금 어려움을 범하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목숨을 바쳐서 그 어려움을 범함의 죽음을 잊기 때문에 설득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들은 그 죽음을 잊는다[說以犯難 民忘其死]”라고 말한 것이다.
설득함을 남에게 베풀면 이루어지는 바가 이와 같으니어찌 설득함의 뜻이 큼이 아니겠으며백성들로 하여금 잘 권면하게 하도다그러므로 설득을 함이 크면 백성들이 권면(勸勉)되도다[說之大民勸矣哉]”라고 말한 것이다.

[孔穎達 疏] 正義曰:「說以先民民忘其勞」,以下歎美說之所致亦申明應人之法先以說豫撫民然後使之從事則民皆竭力忘其從事之勞故曰說以先民民忘其勞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에게 먼저하면 백성들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說以先民 民忘其勞]“라고 함은, 이하는 설득함의 이루는 바를 탄미 하였고, 또한 사람에게 응()하는 법을 거듭 밝혔으며, 먼저 설득함으로써 백성을 미리 어루만진 연후에 그들로 하여금 일을 따르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힘을 다하여 그 일에 따르는 수고로움을 잊기 때문에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에게 먼저하면 백성들이 그 수고로움을 잊는다[說以先民 民忘其勞]”라고 말한 것이다.

說以犯難民忘其死先以說豫勞民然後使之犯難則民皆授命忘其犯難之死故曰說以犯難民忘其死

설득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들은 그 죽음을 잊으니[說以犯難 民忘其死]”라는 것은, 먼저 설득함으로써 백성들을 미리 위로한 연후에 그들로 하여금 어려움을 범하게 하면 백성들이 모두 목숨을 바쳐서 그 어려움을 범함의 죽음을 잊기 때문에 설득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들은 그 죽음을 잊는다[說以犯難 民忘其死]”라고 말한 것이다.

施說於人所致如此豈非說義之大能使民勸勉矣哉故曰說之大民勸矣哉」。

설득함을 남에게 베풀면 이루어지는 바가 이와 같으니, 어찌 설득함의 뜻이 큼이 아니겠으며, 백성들로 하여금 잘 권면하게 하도다! 그러므로 설득을 함이 크면 백성들이 권면(勸勉)되도다[說之大民勸矣哉]”라고 말한 것이다.

麗澤兌君子以朋友講習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연속(連續)하여 적셔줌[]이 태()괘인데군자가 그로써 벗들과 외우고 익힌다."


王弼 注】 猶連也施說之盛莫盛於此
왕필 주】 (고울 려)는 연속(連續)과 같다설득을 성대하게 시행하니 이보다 성()함이 없다.
[孔穎達 疏]正義曰:「麗澤兌猶連也兩澤相連潤說之盛故曰麗澤。「君子以朋友講習同門曰朋同志曰友朋友聚居講習道義相說之盛莫過於此也故君子象之以朋友講習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연속(連續)하여 적셔줌[]이 태()괘인데[麗澤 兌]”라는 것은(고울 려)는 연속(連續)과 같으며두 못[]이 서로 연이어 적셔주고 설득함이 성()하기 때문에 연이어 적셔줌이 태()괘이다[麗澤]”라고 말한 것이다.
군자가 그로써 벗들과 외우고 익힌다[君子以朋友講習]”라는 것은문하가 같음[同門]을 ()’이라 말하고 뜻이 같음[同志]를 ()’라고 말하며붕우(朋友)가 모여 거주하고 도()와 의리[]를 배우고 익힘은 서로 설득함의 성()함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다그러므로 군자(君子)가 그것을 본떠[]서 그로써 붕우(朋友)가 배우고 익히는 것이다.

 

初九和兌 吉
초구(初九)는 화목(和睦)하게 설득하니길하다.


王弼 注】 居兌之初應不在一无所黨係和兌之謂也說不在諂履斯而行未見有疑之者吉其宜矣
왕필 주】 설득[]함의 처음에 거주하여 응()이 한곳에 있지 않고 무리에 묶인 곳이 없으니 어울려 설득함을 일컫는다설득함이 아첨에 있지 않고 이를 밟고서 행하며 의심을 하는 자가 보이지 않으니 길함이 마땅하다.
[孔穎達 疏]正義曰初九居兌之初應不在一無所私說說之和也說物以和何往不吉故曰和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초구(初九)가 설득[]의 처음에 거주하여 응()이 한곳에 있지 않아서 사사로이 설득하는 바가 없으니설득을 함이 화목(和睦)하며화목(和睦)으로서 남[사물]을 설득하니 어디로 간들 길하지 않겠는가그러므로 화목(和睦)하게 설득하니길하다[和兌]”라고 말한 것이다.
和兌之吉行未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화목(和睦)하게 설득함이 길함은행함에 의심이 없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行未疑說不為諂履斯而行未見疑之者也所以得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행함에 의심이 없음이다[行未疑]”라는 것은설득함이 아첨을 하지 않고이를 밟고서 행하면 의심을 하는 자를 보지 못하니길함을 얻는 까닭이다.
九二孚兌悔亡
구이(九二)는 신실(信實)하게 설득하니 길하고 후회가 없어진다.


王弼 注】 說不失中有孚者也失位而說孚吉乃悔亡也
왕필 주】 가운데[]를 잃지 않고 설득하니 믿음이 있는 자이다자리를 잃고서 설득함은 신실(信實)하여 길하니 비로소 뉘우침이 없어짐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九二說不失中有信者也說而有信則吉從之故曰孚兌然履失其位有信而吉乃得亡悔故曰孚兌悔亡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2(九二)가 가운데[]를 잃지 않지 않고 설득하니 믿음이 있는 자이다설득하여서 믿음이 있으면 길함이 따라 가기 때문에 신실(信實)하게 설득하니 길하다[孚兌]”라고 말한 것이다그러나 밟은데가 그 지위를 잃었지만믿음이 있어서 길하고 마침내 뉘우침이 없음을 얻기 때문에 신실(信實)하게 설득하니 길하고 후회가 없어진다[孚兌悔亡]”라고 말한 것이다.
孚兌之吉信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신실(信實)하게 설득함의 길함은뜻을 믿음이다."


王弼 注】 其志信也
왕필 주】 그 뜻을 믿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信志也失位而得吉是其志信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뜻을 믿음이다[信志也]”라는 것은지위를 잃었으나 길함을 얻었으니 바로 그 뜻을 믿음이다.

 

六三來兌
육삼(六三)은 [進來]서 설득하니흉하다.


王弼 注】 以陰柔之質履非其位來求說者也非正而求說邪佞者也
왕필 주】 ()으로써 부드러움의 자질로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서 [九二내려와서 설득을 구하는 자이다바름이 아니면서 설득을 구하니 간사하고 아첨하는 자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三為陽位陰來居之是進來求說故言來兌」;而以不正來說佞邪之道故曰:「來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3(六三)은 양()의 자리인데()이 와서 거주를 하였으니이는 들어와[進來]서 설득을 구하기 때문에 와서 설득한다[來兌]”라고 말하였으며그리고 바르지 않음[()의 자리에 음()이 있음]으로써 와서 설득함은 아첨하고 간사한 도()이기 때문에 와서 설득하니흉하다[來兌]”라고 말한 것이다.
譯註 1: 伊川易傳』 之内為來上下俱陽而獨之内者以同體而隂性下也失道下行也.
이천역전』 []으로 감을 래()라고 하는데위와 아래가 모두 양을 갖추었는데 홀로 안으로 가는 것은같은 몸이면서 음의 본성으로써 내려가니 아래로 행하여 도()를 잃었음이다.
來兌之凶位不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九二내려와서 설득함이 흉함은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位不當由位不當所以致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이다[位不當]”라는 것은자리가 마땅하지 않음을 말미암음은흉함을 불러들이는 까닭이다.

 

九四商兌未寧介疾有喜
구사(九四)는 헤아려 설득하지만 편안하지 못하고사이[六三]를 띄워 미워해야 기쁨이 있다.


王弼 注】 商量裁制之謂也隔也三為佞說將近至尊故四以剛德裁而隔之匡內制外是以未寧也處於幾近閑邪介疾宜其有喜也
왕필 주】 ()은 장사가 마름질하고 지어서 헤아림을 말한다(낄 개)는 사이를 띄움이다3(六三)이 아첨하여 설득하는데 장차 지존[至尊:九五]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구4(九四)가 굳센 덕()을 가지고 재제(裁制)하여서 격리를 하여 안을 바로잡고 밖을 재제(裁制)하니이로써 편안하지 못함이다거의 가까운 곳에 처하여 간사함을 막고 사이[六三]를 띄워 미워하니그 기쁨이 있음이 당연하다.
[孔穎達 疏]正義曰:「商兌未寧商量裁制之謂也夫佞邪之人國之疾也三為佞說將近至尊故四以剛德裁而隔之使三不得進匡內制外未遑寧處故曰商兌未寧」。居近至尊防邪隔疾宜其有喜故曰介疾有喜」。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헤아려 설득하지만 편안하지 못하고[商兌未寧]”라는 것은, ‘(장사 상)’은 장사가 마름질하고 지어서 헤아림을 말한다그 아첨하고 간사한 사람은나라의 병통이며3(六三)이 아첨으로 설득을 하여 장차 지존[至尊:九五]이 가까워지 때문에 구4(九四)가 굳센 덕()으로써 재제(裁制)하여서 격리를 하여 육3(六三)으로 하여금 나아가지 못하게 하여 안을 바로잡고 밖을 제어(制御)하니 편안히 처할 겨를이 없기 때문에 헤아려 설득하지만 편안하지 못하다[商兌未寧]”라고 말한 것이다.
거처가 지존(至尊)에 가까워 간사함을 막고 병통을 격리하면 기쁨이 있음이 마땅하기 때문에 사이[六三]를 띄워 미워해야 기쁨이 있다[介疾有喜]”라고 말한 것이다.
九四之喜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4(九四)의 기쁨은경사가 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有慶四能匡內制外介疾除邪此之為喜乃為至尊所善天下蒙賴故言有慶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경사가 있음이다[有慶]”라는 것은4(九四)가 능히 안을 바로잡고 밖을 제어(制御)하여 사이[六三]를 띄워 미워하고 간사함을 제거하니이렇게 하여 기쁨이 되며 마침내 지존(至尊)이 좋아하는 바에 이르게 되어 천하(天下)가 그 혜택을 입기 때문에 경사가 있다[有慶]”라고 말한 것이다.

 

九五孚于剝有厲
구오(九五)는 벗겨짐을 믿으면위태로움이 있다.


王弼 注】 比於上六而與相得處尊正之位不說信乎陽而說信乎陰孚于剝之義也剝之為義小人道長之謂
왕필 주 상육(上六)에 가까우면서 서로 더블어 얻어서 높고 바른 자리에 처하며 양()을 믿고 설득하지 않고서 음()을 믿고 설득하니 벗겨짐을 믿음의 뜻이다벗겨짐의 뜻이 됨은소인(小人)의 도()가 자람을 말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小人道長消君子之正故謂小人為剝也九五處尊正之位下無其應比於上六與之相得是說信於小人故曰孚於剝」。信而成剝危之道也故曰有厲」。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벗겨짐[]”라는 것은소인(小人)의 도()가 자라서 군자(君子)의 바름을 없애기 때문에 소인을 일컫기를 ()’이라 한 것이다.
5(九五)가 높고 바른 지위에 처하고 아래에 그 응()이 없으며 상육(上六)에 가까우니 더불어서 서로 뜻을 얻으니이는 소인에게 설득되어 믿기 때문에 벗겨짐을 믿는다[孚於剝]”라고 말한 것이다믿어서 벋겨짐[]을 이룸은 위태로운 도()이다그러므로 위태로움이 있다[有厲]”라고 말한 것이다.
孚于剝位正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벗겨짐을 믿음은지위가 바르고 마땅함이다.”


王弼 注】 以正當之位信於小人而疏君子故曰位正當也
왕필 주】 바르고 마땅함의 지위로써 소인(小人)을 믿으면서 군자(君子)에 소원(疏遠)하기 때문에 자리가 바르고 합당하다.”라고 말했다.
[孔穎達 疏]正義曰:「位正當以正當之位宜在君子而信小人故以當位責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위가 바르고 마땅함이다[位正當]”라는 것은그로써 바르고 합당한 지위가 마땅히 군자(君子)에게 있어야 하는데도 소인(小人)을 믿기 때문에 합당한 지위를 가지고 책망을 한 것이다.

  

上六引兌
상육(上六)은 이끌어 설득함이다.


王弼 注】 以夫陰質最處說後靜退者也故必見引然後乃說也
왕필 주 그 음()의 자질로써 가장 설득함의 뒤에 처하니 고요하게 물러나는 자이다그러므로 반드시 이끌어줌을 받은 연후에 비로소 설득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上六以陰柔之質最在兌後是自靜退不同六三自進求說必須他人見引然後乃說故曰引兌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상육(上六)이 부드러운 음()의 자질을 가지고 설득함[]의 맨 뒤에 있으니이는 스스로 고요히 물러나 스스로 나아가 설득을 구하는 육3(六三)과는 같지 않으니반드시 모름지기 타인이 이끌어줌을 받은 연후에야 비로소 설득되기 때문에 이끌어 설득한다[引兌]”라고 말한 것이다.
上六引兌未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상육(上六)이 이끌어 설득함은빛나지 못함이다.”
[孔穎達 疏]正義曰:「未光也雖免躁求之凶亦有後時之失所以以其道未光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빛나지 못함이다[未光也]”라는 것은비록 조급히 구하는 흉함을 면하였으나 또한 때에 뒤늦은 실수가 있으니경문(經文)에 길[]이라는 글이 없는 까닭이며그로써 그 도()가 빛나지 못한 연고(緣故)이다.

[,바꿀태][,말씀설]   [,벗을탈]   [,기쁠열]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