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38. 규괘(睽卦)[卦象:화택규]
☲ 離上
☱ 兌下
태(兌)[澤.못]가 아래에 있고, 리(離)[火.불]가 위에 있다.
睽,小事吉。 규(睽)는 작은 일은 길하다. |
[孔穎達 疏]正義曰:「睽」者,乖異之名,物情乖異,不可大事。大事謂與役動眾,必須大同之世,方可為之。小事謂飲食衣服,不待眾力,雖乖而可,故曰「小事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규(睽, 사팔눈 규)]라는 것은, 어그러지고 다름[乖異]의 이름이다. 사물의 실정이 어그러져 달르면 큰 일을 할 수 없다. 큰 일은 부역을 함께하고 여럿이 움직임을 말하며, 반드시 모름지기 크게 함께[大同]하는 세상이어야 바야흐로 할 수 있게 된다. 작은 일은 음식과 의복을 말하는데, 무리의 힘을 기다리지 않으며 비록 어그러지더라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일은 길하다[小事吉]”라고 말한 것이다.」 |
《彖》曰:睽,火動而上,澤動而下。二女同居,其志不同行。說而麗乎明,柔進而上行,得中而應乎剛,是以小事吉。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규(睽)괘는 불은 움직여서 올라가고 못이 움직여서 내려간다. 두 여자[離중녀+兌소녀]가 함께 거주하는데 그 뜻을 한 가지로 행하지 않으니, 벗어나서 밝음에 붙고, 부드러움이 나아가서 위로 행하며 가운데를 얻어서 굳셈에 응(應)하니, 이로써 작은 일은 길함이다.” 【王弼 注】 事皆相違,害之道也。何由得小事吉?以有此三德也。 【왕필 주】 일을 모두 서로 어김은, 해침을 하는 도(道)이다. 어찌 적은 일을 말미암아 길하겠는가? 그로써 이 세가지 덕(德)이 있음이다. |
[孔穎達 疏]「《彖》曰睽動而上」至「小事吉」。 ○正義曰:「睽,火動而上,澤動而下,二女同居,其志不同行」者,此就二體釋卦名為「睽」之義,同而異者也。水火二物,共成烹飪,理應相濟。今火在上而炎上,澤居下而潤下,無相成之道,所以為乖。中少二女共居一家,理應同志,各自出適,志不同行,所以為異也。「說而麗乎明,柔進而上行,得中而應乎剛,是以小事吉」者,此就二體及六五有應,釋所以小事得吉。「說而麗乎明」,不為邪僻。「柔進而上行」,所之在貴。「得中而應乎剛」,非為全弱。雖在乖違之時,卦爻有此三德,故可以行小事而獲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규화동이상(彖曰睽火動而上)에서 소사길(小事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규(睽)괘는 불은 움직여서 위쪽이고 못이 움직여서 아래이다. 두 여자가 함께 거주하는데 그 뜻을 한 가지로 행하지 않으니[睽 火動而上 澤動而下 二女同居 其志不同行]”라는 것은, 이는 두 몸[體]을 취하여 괘(卦)의 이름이 규(睽)가 된 뜻이 같으면서도 다름을 해석한 것이다. 물과 불 두 사물이 함께 [음식을] 삶아 익힘을 이루는데, 이치가 서로 응하여 구제해야 함이며, 지금 불은 위에 있으면서 타서 올라가고 못은 아래에 거주하면서 젖어서 내려가서 서로 이루는 도(道)가 없으니, 어그러짐[乖]이 되는 까닭이다. 중녀(中女;離)와 소녀(少女;兌) 두 여자가 함께 한 집안에 거주하니, 이치가 뜻을 같이 응해야 하는데 각각 스스로 맞으러 나가며 뜻을 함께 행하지 않으니, 다름[異]이 되는 까닭이다. “벗어나서 밝음에 붙고, 부드러움이 나아가서 위로 행하며 가운데를 얻어서 굳셈에 응(應)하니, 이로써 작은 일은 길함이다.[說而麗乎明 柔進而上行 得中而應乎剛 是以小事吉]”라는 것은, 이는 두 몸[體]와 육5(六五)가 응(應)이 있음을 취하여 작은 일이 길함을 얻는 까닭를 해석한 것이다. ‘벗어나서 밝음에 붙음[說而麗乎明]’은 간사하고 경박함을 하지 않음이고, ‘부드러움이 나아가서 위로 행함[柔進而上行]’은 가는 곳이 귀함에 있음이며, ‘가운데를 얻어서 굳셈에 응함[得中而應乎剛]’은 온전히 약함이 되지 않음이다. 비록 어그러져 어김의 시절에 있으나 괘(卦)와 효(爻)에 이 세 가지 덕(德)이 있기 때문에 작은 일을 행함을 가지고서 길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孔穎達 疏] 「《彖》曰睽動而上」至「小事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단왈규화동이상(彖曰睽火動而上)에서 소사길(小事吉)까지.}
○正義曰:「睽,火動而上,澤動而下,二女同居,其志不同行」者,此就二體釋卦名為「睽」之義,同而異者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규(睽)괘는 불은 움직여서 위쪽이고 못이 움직여서 아래이다. 두 여자가 함께 거주하는데 그 뜻을 한 가지로 행하지 않으니[睽 火動而上 澤動而下 二女同居 其志不同行]”라는 것은, 이는 두 몸[體]을 취하여 괘(卦)의 이름이 규(睽)가 된 뜻이 같으면서도 다름을 해석한 것이다.
水火二物,共成烹飪,理應相濟。今火在上而炎上,澤居下而潤下,無相成之道,所以為乖。
물과 불 두 사물이 함께 [음식을] 삶아 익힘을 이루는데, 이치가 서로 응하여 구제해야 함이며, 지금 불은 위에 있으면서 타서 올라가고 못은 아래에 거주하면서 젖어서 내려가서 서로 이루는 도(道)가 없으니, 어그러짐[乖]이 되는 까닭이다.
中少二女共居一家,理應同志,各自出適,志不同行,所以為異也。
중녀(中女;離)와 소녀(少女;兌) 두 여자가 함께 한 집안에 거주하니, 이치가 뜻을 같이 응해야 하는데 각각 스스로 맞으러 나가며 뜻을 함께 행하지 않으니, 다름[異]이 되는 까닭이다.
「說而麗乎明,柔進而上行,得中而應乎剛,是以小事吉」者,此就二體及六五有應,釋所以小事得吉。
“벗어나서 밝음에 붙고, 부드러움이 나아가서 위로 행하며 가운데를 얻어서 굳셈에 응(應)하니, 이로써 작은 일은 길함이다.[說而麗乎明 柔進而上行 得中而應乎剛 是以小事吉]”라는 것은, 이는 두 몸[體]와 육5(六五)가 응(應)이 있음을 취하여 작은 일이 길함을 얻는 까닭를 해석한 것이다.
「說而麗乎明」,不為邪僻。「柔進而上行」,所之在貴。「得中而應乎剛」,非為全弱。雖在乖違之時,卦爻有此三德,故可以行小事而獲吉也。
‘벗어나서 밝음에 붙음[說而麗乎明]’은 간사하고 경박함을 하지 않음이고, ‘부드러움이 나아가서 위로 행함[柔進而上行]’은 가는 곳이 귀함에 있음이며, ‘가운데를 얻어서 굳셈에 응함[得中而應乎剛]’은 온전히 약함이 되지 않음이다. 비록 어그러져 어김의 시절에 있으나 괘(卦)와 효(爻)에 이 세 가지 덕(德)이 있기 때문에 작은 일을 행함을 가지고서 길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天地睽而其事同也,男女睽而其志通也,萬物睽而其事類也,睽之時用大矣哉! 하늘과 땅이 어그러지지만 그 일은 같고, 남녀가 반목하면서도 그 뜻은 통하며, 만물이 반목하지만 그 일은 유사(類似)하니, 규(睽)괘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 【王弼 注】 睽離之時,非小人之所能用也。 【왕필 주】 규(睽)괘는 이별의 때이니, 소인이 잘 사용하는 바가 아니다. |
[孔穎達 疏]「天地睽而其事同也」至「時用大矣哉!」 ○正義曰:「天地睽而其事同」,此以下曆就天地男女萬物,廣明睽義體乖而用合也。天高地卑,其體懸隔,是「天地睽」也。而生成品物,其事則同也。「男女睽而其志通」者,男外女內,分位有別,是男女睽也。而成家理事,其志則通也。萬物殊形,各自為象,是「萬物睽」也。而均於生長,其事即類,故曰「天地睽而其事同也。男女睽而其志通也,萬物睽而其事類也。」「睽之時用大矣哉!」既明睽理合同之大,又歎能用睽之人,其德不小,睽離之時,能建其用使合其通理,非大德之人,則不可也,故曰「睽之時用大矣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천지규이기사동야(天地睽而其事同也)에서 시용대의재(時用大矣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늘과 땅이 반목(反目)하면서 그 일은 같고[天地睽而其事同]라고 함은, 이로써 아래의 천지(天地), 남녀(男女), 만물(萬物)에 차례로 나아가 규(睽)의 뜻이 몸체[體]는 어긋나면서 쓰임[用]은 합함을 넓혀 밝힌 것이다. 하늘은 높고 땅은 낮아서 그 몸체(體)가 사이가 뜸이 현격(懸隔)한데, 이는 하늘과 땅이 어긋남이지만, 만물[品物]을 생성하여 그 일이 곧 같음이다. “남녀가 반목하면서도 그 뜻은 통하며[男女睽而其志通]”라는 것은, 남자는 밖에 있고 여자는 안에 있어서 지위를 나누어 분별이 있는데, 이는 남자와 여자가 어긋남이지만, 집안을 이루고 일을 다스려서 그 뜻이 곧 통함이다. 만물(萬物)은 모양이 달라서 각각 스스로 모습[象]을 하는데, 이는 만물이 어긋남이지만, 생기고 자람에는 균등하여 그 일이 곧 부류이기 때문에 “하늘과 땅이 반목(反目)하지만 그 일은 같고, 남녀가 반목하면서도 그 뜻은 통하며, 만물이 반목하지만 그 일은 유사(類似)하다[天地睽而其事同也。」男女睽而其志通也,萬物睽而其事類也]”라고 말한 것이다. “규(睽)괘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睽之時用大矣哉]”라고 함은, 이미 규(睽)의 이치가 같이 합함의 큼을 밝혔고, 또 규(睽)를 잘 사용하는 사람이 그 덕(德)이 작지 않음을 감탄하였으며, 규(睽)괘 리(離)의 시절에는 그 쓰임[用]으로 하여금 그 통하는 이치에 부합하도록 잘 세움을 큰 덕[大德]의 사람이 아니면 불가하다. 그러므로 “규(睽)괘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睽之時用大矣哉]”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天地睽而其事同也」至「時用大矣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천지규이기사동야(天地睽而其事同也)에서 시용대의재(時用大矣哉)까지.}
○正義曰:「天地睽而其事同」,此以下曆就天地男女萬物,廣明睽義體乖而用合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늘과 땅이 반목(反目)하면서 그 일은 같고[天地睽而其事同]라고 함은, 이로써 아래의 천지(天地), 남녀(男女), 만물(萬物)에 차례로 나아가 규(睽)의 뜻이 몸체[體]는 어긋나면서 쓰임[用]은 합함을 넓혀 밝힌 것이다.
天高地卑,其體懸隔,是「天地睽」也。而生成品物,其事則同也。
하늘은 높고 땅은 낮아서 그 몸체(體)가 사이가 뜸이 현격(懸隔)한데, 이는 하늘과 땅이 어긋남이지만, 만물[品物]을 생성하여 그 일이 곧 같음이다.
「男女睽而其志通」者,男外女內,分位有別,是男女睽也。而成家理事,其志則通也。
“남녀가 반목하면서도 그 뜻은 통하며[男女睽而其志通]”라는 것은, 남자는 밖에 있고 여자는 안에 있어서 지위를 나누어 분별이 있는데, 이는 남자와 여자가 어긋남이지만, 집안을 이루고 일을 다스려서 그 뜻이 곧 통함이다.
萬物殊形,各自為象,是「萬物睽」也。而均於生長,其事即類,故曰「天地睽而其事同也。男女睽而其志通也,萬物睽而其事類也。」
만물(萬物)은 모양이 달라서 각각 스스로 모습[象]을 하는데, 이는 만물이 어긋남이지만, 생기고 자람에는 균등하여 그 일이 곧 부류이기 때문에 “하늘과 땅이 반목(反目)하지만 그 일은 같고, 남녀가 반목하면서도 그 뜻은 통하며, 만물이 반목하지만 그 일은 유사(類似)하다[天地睽而其事同也。」男女睽而其志通也,萬物睽而其事類也]”라고 말한 것이다.
「睽之時用大矣哉!」既明睽理合同之大,又歎能用睽之人,其德不小,睽離之時,能建其用使合其通理,非大德之人,則不可也,故曰「睽之時用大矣哉也。」
“규(睽)괘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睽之時用大矣哉]”라고 함은, 이미 규(睽)의 이치가 같이 합함의 큼을 밝혔고, 또 규(睽)를 잘 사용하는 사람이 그 덕(德)이 작지 않음을 감탄하였으며, 규(睽)괘 리(離)의 시절에는 그 쓰임[用]으로 하여금 그 통하는 이치에 부합하도록 잘 세움을 큰 덕[大德]의 사람이 아니면 불가하다. 그러므로 “규(睽)괘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睽之時用大矣哉]”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上火下澤,睽,君子以同而異。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올라가는 불이고 내려가는 못이 규(睽)괘이니, 군자는 그로써 같으면서도 다르게 한다." 【王弼 注】 同於通理,異於職事。 【왕필 주】 통하는 이치는 같으나 일하는 직분에서는 다름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上火下澤睽」者,動而相背,所以為「睽」也。「君子以同而異」者,佐王治民,其意則同;各有司存,職掌則異,故曰「君子以同而異」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위쪽은 불이고 아래쪽에 못[上火下澤 睽]”라는 것은, 움직여서 서로 등지는데 규(睽)가 되는 까닭이다. “군자는 그로써 같으면서도 다르게 한다[君子以同而異]”라는 것은, 왕을 보좌하여 백성을 다스림은 그 뜻이 곧 같고, 각각 맡은 일이 있으며 주관하는 직책은 곧 다르기 때문에 “군자는 그로써 같으면서도 다르게 한다[君子以同而異]”라고 말한 것이다.」 |
初九,悔亡喪馬, 勿逐自復,見惡人,无咎。 초구(初九)는 후회가 없어지니 말[馬]을 잃더라도 스스로 돌아오니 쫓지 말라, 악한 사람을 뵙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處睽之初,居下體之下,无應獨立,悔也。與四合志,故得悔亡。馬者,必顯之物。處物之始,乖而喪其馬,物莫能同,其私必相顯也,故勿逐而自復也。時方乖離,而位乎窮下,上无應可援,下无權可恃,顯德自異,為惡所害,故見惡人乃得免咎也。 【왕필 주】 규(睽)괘의 처음에 처하고, 아래 몸[體]의 아래에 거주하며 응(應)이 없이 홀로 서서 후회한다. 구4(九四)와 더블어 뜻을 합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이다. 말[馬]이라는 것은 반드시 나타나는 사물이다. 사물의 시작에 처하고 어그러져서 그 말[馬]을 잃었지만 사물은 같음이 잘 없으니 그 사사로움이 반드시 서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쫓지 않았는데 스스로 돌아옴이다. 때가 바야흐로 어그러지고 떠나면서 아래에 다한 자리이니 위에 도울 수 있는 응(應)이 없고 아래에 의지 할 수 있는 권력이 없지만 덕(德)을 드러내어 스스로 달리하면 해치는 바를 미워하게 되기 때문에 미운 사람이 만나지만 마침내 허물을 면함이다. |
[孔穎達 疏]「初九,悔亡,喪馬勿逐自復,見惡人無咎」。 ○正義曰:「悔亡」者,初九處睽離之初,「居下體之下,無應獨立」,所以悔也。四亦處下,無應獨立,不乖於己,與己合志,故得「悔亡」。「喪馬勿逐自復」者,時方睽離,觸目乖阻。馬之為物,難可隱藏,時或失之,不相容隱,不須尋求,勢必「自復」,故曰「喪馬勿逐自復」也。「見惡人無咎」者,處於窮下,上無其應,無應則無以為援,窮下則無權可恃。若標顯自異,不能和光同塵,則必為惡人所害,故曰「見惡人無咎」。「見」,謂遜接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초구회망상마물축자복견악인무구(初九悔亡喪馬勿逐自復見惡人无咎)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후회가 없어지니[悔亡]”라는 것은, 초구(初九)가 규(睽)괘의 이별함[離]의 처음에 처하고 하체(下體)의 아래에 거주하며 응(應)이 없이 홀로 서 있음이, 후회하는 까닭이다. 구4(九四) 또한 [상체(上體)의] 아래에 처하며 응(應)이 없이 홀로 서서 자기에게 어긋나지 않아서 자기와 뜻이 부합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悔亡]’을 얻는 것이다. “말[馬]을 잃더라도 스스로 돌아오니 쫓지 말라[喪馬 勿逐 自復]”라는 것은, 때가 바야흐로 규(睽)괘가 이별[離]하니 눈에 보이면 어긋나고 막힌다. 말[馬]의 사물이 됨은, 숨겨 감추기가 어려워 때로 혹 잃어버리는데, 서로 숨김을 용납하지 않으니 모름지기 찾아 구하지 않더라도 노력하여 반드시 스스로 돌아오기 때문에 “말[馬]을 잃더라도 스스로 돌아오니 쫓지 말라[喪馬 勿逐 自復]”라고 말한 것이다. “악한 사람을 뵙지만 허물은 없다[見惡人 无咎]”라는 것은, 맨 아래에 처하고 위에 그 응(應)이 없으며, 응(應)이 없으면 구원해주려 함이 없고, 맨 아래에 있으면 믿을 수 있는 권력이 없다. 만약 표출하여 드러내어 스스로 달리해서 빛에 어울리고 티끌에 함께함을 잘하지 못하면 반드시 악한 사람이 해치는 바가 되기 때문에 “악한 사람을 뵙지만 허물은 없다[見惡人無咎]”라고 말한 것이며, ‘현(見, 뵈올 현)’은 공손히 접촉(接觸)을 함을 말한다.」 |
《象》曰:見惡人,以辟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악한 사람을 뵙는 것은, 그로써 허물을 피함이다.” |
[孔穎達 疏]「《象》曰見惡人以辟咎也」。 ○正義曰:「以辟咎也」者,惡人不應與之相見,而遜接之者,以「辟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현악인이피구야(象曰見惡人以辟咎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그로써 허물을 피함이다[以辟咎也]”라는 것은, 악한 사람은 더불어 응하여 서로 만나보지 않아야 하는데, 공손히 접촉(接觸)을 하는 것은 그로써 “허물을 피함[辟咎]”이다.」 |
[孔穎達 疏] 「初九,悔亡,喪馬勿逐自復,見惡人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초구회망상마물축자복견악인무구(初九悔亡喪馬勿逐自復見惡人无咎)까지.}
○正義曰:「悔亡」者,初九處睽離之初,「居下體之下,無應獨立」,所以悔也。四亦處下,無應獨立,不乖於己,與己合志,故得「悔亡」。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후회가 없어지니[悔亡]”라는 것은, 초구(初九)가 규(睽)괘의 이별함[離]의 처음에 처하고 하체(下體)의 아래에 거주하며 응(應)이 없이 홀로 서 있음이, 후회하는 까닭이다. 구4(九四) 또한 [상체(上體)의] 아래에 처하며 응(應)이 없이 홀로 서서 자기에게 어긋나지 않아서 자기와 뜻이 부합하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짐[悔亡]’을 얻는 것이다.
「喪馬勿逐自復」者,時方睽離,觸目乖阻。馬之為物,難可隱藏,時或失之,不相容隱,不須尋求,勢必「自復」,故曰「喪馬勿逐自復」也。
“말[馬]을 잃더라도 스스로 돌아오니 쫓지 말라[喪馬 勿逐 自復]”라는 것은, 때가 바야흐로 규(睽)괘가 이별[離]하니 눈에 보이면 어긋나고 막힌다. 말[馬]의 사물이 됨은, 숨겨 감추기가 어려워 때로 혹 잃어버리는데, 서로 숨김을 용납하지 않으니 모름지기 찾아 구하지 않더라도 노력하여 반드시 스스로 돌아오기 때문에 “말[馬]을 잃더라도 스스로 돌아오니 쫓지 말라[喪馬 勿逐 自復]”라고 말한 것이다.
「見惡人無咎」者,處於窮下,上無其應,無應則無以為援,窮下則無權可恃。若標顯自異,不能和光同塵,則必為惡人所害,故曰「見惡人無咎」。「見」,謂遜接之也。
“악한 사람을 뵙지만 허물은 없다[見惡人 无咎]”라는 것은, 맨 아래에 처하고 위에 그 응(應)이 없으며, 응(應)이 없으면 구원해주려 함이 없고, 맨 아래에 있으면 믿을 수 있는 권력이 없다. 만약 표출하여 드러내어 스스로 달리해서 빛에 어울리고 티끌에 함께함을 잘하지 못하면 반드시 악한 사람이 해치는 바가 되기 때문에 “악한 사람을 뵙지만 허물은 없다[見惡人無咎]”라고 말한 것이며, ‘현(見, 뵈올 현)’은 공손히 접촉(接觸)을 함을 말한다.」
九二,遇主于巷,无咎。 구이(九二)는 주인을 거리에서 만나면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睽失位,將无所安。然五亦失位,俱求其黨,出門同趣,不期而遇,故曰遇主于巷也。處睽得援,雖失其位,未失道也。 【왕필 주】 어긋남[睽]에 처하여 지위를 잃으니, 장차 편안한 곳이 없다. 그러나 육5(六五) 또한 지위를 잃고 함께 그 무리를 구하여 문을 나가 취지(趣志)가 같아서 기약하지 않고서 만나기 때문에 "주인을 거리에서 만났다."라고 말을 했다. 어긋남[睽]에 처하여 도움을 얻었는데, 비록 그 지위를 잃었지만 아직 도(道)를 잃지는 않았다. |
[孔穎達 疏]「九二,遇主於巷,無咎」。 ○正義曰:九二處睽之時而失其位,將無所安。五亦失位,與己同黨,同趣相求,不假遠涉而自相遇,適在於巷。言遇之不遠,故曰:「遇主於巷」。「主」謂五也。處睽得援,咎悔可亡,故「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이우주우항무구(九二遇主于巷无咎)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2(九二)가 어그러짐[睽]의 때에 처하면서 그 지를 잃으니 장차 편안할 곳이 없으며, 구5(六五) 또한 지위를 잃고 자기와 같은 무리를 함께하며 같은 뜻함을 서로 구하여 멀리 건너감을 멀리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서로 만나서 맞이함이 거리에 있다. 만남이 멀지 않음을 말했기 때문에 “거리에서 주인을 만난다[遇主於巷]”라고 말한 것이다. 주(主)는 육5(六五)를 말한다. 어그러짐[睽]에 처하여 구원을 얻으면 허물과 후회가 없어질 수 있기 때문에 “허물이 없음[無咎]”이다.」 |
《象》曰:遇主于巷,未失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주인을 거리에서 만남은, 아직 도(道)를 잃지 않았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未失道」者,既遇其主,雖失其位,亦「未失道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도(道)를 잃지 않았음이다[未失道]”라는 것은, 이미 그 주인을 만났으니, 비록 지위를 잃었으나 또한 “도(道)를 잃지 않은 것이다[未失道也].」 |
六三,見輿曳,其牛掣,其人天且劓。无初有終。 육삼(六三)은 수레가 [구이(九二)에게] 끌림을 당하여 그 소가 끌려가며 그 사람이 이마에 묵형(墨刑)하고 또 코를 베었으나, 처음은 없지만 마침은 있다. 【王弼 注】 凡物近而不相得則凶。處睽之時,履非其位,以陰居陽,以柔乘剛,志在於上,而不和於四。二應於五,則近而不相比,故見輿曳。輿曳者,履非其位,失所載也。其牛掣者,滯隔所在,不獲進也。其人天且劓者,四從上取,二從下取,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 【왕필 주】 무릇 사물이 가까운데도 서로 얻지 못하면 흉하다. 어그러짐[睽]의 시작에 처하여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 음(陰)으로써 양(陽)에 거주하며 부드러움으로써 굳셈[九二]을 타고 뜻이 상구(上九)에 있어서 구4(九四)에 어울리지 못한다. 구2(九二)는 육5(六五)에 응(應)하니, 즉 [구2(九二)와] 가까이 있으면서도 서로 친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레가 끌림을 당함이다. 수레가 끌린다는 것은, 지위가 아닌데를 밟아서 실을 곳을 잃었음이다. 그 소가 끌려간다는 것은, 있는 곳에 막히고 사이가 떠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이다. 그 사람이 천벌(天罰) 받고 또 코를 베인다는 것은, 구4(九四)는 올라감을 취하여 따르고 구2(九二)는 내려감을 취하는데 [육삼(六三)은] 응(應)이 상구(上九)에 있어서 잡은 뜻을 돌리지 않으니, 처음은 비록 곤궁함을 받으나 마침은 굳셈의 도움을 얻게 된다. |
[孔穎達 疏]「六三見輿曳其牛」至「無初有終」。 ○正義曰:「見輿曳其牛掣」者,處睽之時,履非其位,以陰居陽,以柔乘剛,志在上九,不與四合。二自應五,又與巳乖。欲載,其輿被曳,失巳所載也。欲進,其牛被牽,滯隔所在,不能得進也。故曰「見輿曳其牛掣」也。「其人天且劓,無初有終」者,黥額為天,截鼻為劓。既處二四之間,皆不相得,其為人也,四從上刑之,故黥其額,二從下刑之,又截其鼻,故曰「其人天且劓,「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故曰「無初有終」。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삼견여예기우(六三見輿曳其牛)에서 무초유종(无初有終)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수레가 끌림을 당하여 그 소가 끌려가며[見輿曳 其牛掣]”라는 것은, 어그러짐[睽]의 때에 처하여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서 음(陰)으로써 양(陽)에 거주하고 부드러움으로써 굳셈을 타며, 뜻이 상구(上九)에 있어서 구4(九四)와 합하지 못하고 구2(九二)는 스스로 육5(六五)에 응(應)하여 또 자기와 어긋난다. 싣고자 하는데 그 수레가 끌려감을 당하여 자기가 실을 곳을 잃고, 나아가고자 하지만 그 소가 끌려감을 당하여 있는 곳에 막히고 사이 떠서 잘 나아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수레가 끌림을 당하여 그 소가 끌려간다[見輿曳 其牛掣]”라고 말한 것이다. “그 사람이 이마에 묵형(墨刑)하고 또 코를 베었으나[其人 天且劓 无初有終]”라는 것은, 이마에 자자(刺字)함을 ‘천(天)’이라 하고, 코를 벤 것을 ‘의(劓)’라 한다. 이미 구2(九二)와 구4(九四)의 사이에 처하여 모두 서로 얻지 못하니 그 사람됨은, 구4(九四)가 위에서 형벌함을 따르기 때문에 그 이마를 자자(刺字)하고, 구2(九二)가 아래에서 형벌함을 따르니 또 그 코를 베이기 때문에 “그 사람이 이마에 각자(刺字)하고 또 코를 베었다[其人天且劓]”라고 말을 했으며, “응(應)이 상구(上九)에 있어서 잡은 뜻을 돌리지 않으니, 처음은 비록 곤궁함을 받으나 마침은 굳셈의 도움을 얻게 된다[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라고 했기 때문에 “처음은 없지만 마침은 있다[無初有終]”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見輿曳,位不當也。无初有終,遇剛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수레가 [구이(九二)에게] 끌림을 당함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처음은 없지만 마침은 있음은, 굳셈을 만나기 때문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有終遇剛也」。 ○正義曰:「位不當」者,由位不當,故輿被曳。「遇剛」者,由遇上九之剛,所以「有終」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유종우강야(有終遇剛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자리가 마땅하지 않다[位不當]”라는 것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을 말미암았기 때문에 수레가 끌려감을 당하는 것이다. “굳셈을 만났다[遇剛]”라는 것은, 상구(上九)의 굳셈을 만났기 때문에 “마침이 있음[有終]”의 까닭이다.」 |
[孔穎達 疏] 「六三見輿曳其牛」至「無初有終」。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삼견여예기우(六三見輿曳其牛)에서 무초유종(无初有終)까지.}
○正義曰:「見輿曳其牛掣」者,處睽之時,履非其位,以陰居陽,以柔乘剛,志在上九,不與四合。二自應五,又與巳乖。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수레가 끌림을 당하여 그 소가 끌려가며[見輿曳 其牛掣]”라는 것은, 어그러짐[睽]의 때에 처하여 그 지위가 아닌데를 밟고서 음(陰)으로써 양(陽)에 거주하고 부드러움으로써 굳셈을 타며, 뜻이 상구(上九)에 있어서 구4(九四)와 합하지 못하고 구2(九二)는 스스로 육5(六五)에 응(應)하여 또 자기와 어긋난다.
欲載,其輿被曳,失巳所載也。欲進,其牛被牽,滯隔所在,不能得進也。故曰「見輿曳其牛掣」也。
싣고자 하는데 그 수레가 끌려감을 당하여 자기가 실을 곳을 잃고, 나아가고자 하지만 그 소가 끌려감을 당하여 있는 곳에 막히고 사이 떠서 잘 나아가지 못한다. 그러므로 “수레가 끌림을 당하여 그 소가 끌려간다[見輿曳 其牛掣]”라고 말한 것이다.
「其人天且劓,無初有終」者,黥額為天,截鼻為劓。
“그 사람이 이마에 묵형(墨刑)하고 또 코를 베었으나[其人 天且劓 无初有終]”라는 것은, 이마에 자자(刺字)함을 ‘천(天)’이라 하고, 코를 벤 것을 ‘의(劓)’라 한다.
既處二四之間,皆不相得,其為人也,四從上刑之,故黥其額,二從下刑之,又截其鼻,故曰「其人天且劓」,「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故曰「無初有終」。
이미 구2(九二)와 구4(九四)의 사이에 처하여 모두 서로 얻지 못하니 그 사람됨은, 구4(九四)가 위에서 형벌함을 따르기 때문에 그 이마를 자자(刺字)하고, 구2(九二)가 아래에서 형벌함을 따르니 또 그 코를 베이기 때문에 “그 사람이 이마에 각자(刺字)하고 또 코를 베었다[其人天且劓]”라고 말을 했으며, “응(應)이 상구(上九)에 있어서 잡은 뜻을 돌리지 않으니, 처음은 비록 곤궁함을 받으나 마침은 굳셈의 도움을 얻게 된다[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라고 했기 때문에 “처음은 없지만 마침은 있다[無初有終]”라고 말한 것이다.」
九四,睽孤,遇元夫,交孚,厲无咎。 구사(九四)는 어그러져[睽] 외로운데 동지[元夫]를 만나서 믿음으로 사귀니, 위태롭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 无應獨處,五自應二,三與己睽,故曰睽孤也。初亦无應特立。處睽之時,俱在獨立,同處體下,同志者也。而己失位,比於三五,皆與己乖,處无所安,故求其疇類而自託焉,故曰遇元夫也。同志相得而无疑焉,故曰交孚也。雖在乖隔,志故得行,故雖危无咎。 【왕필 주】 [구사(九四)가] 응(應)이 없이 홀로 처하는데, 육5(六五)는 스스로 육2(六二)에 응(應)하고 구3(九三)은 자기와 어긋나기 때문에 “어그러져[睽] 외롭다.”라고 말한 것이다. 초구(初九) 또한 응(應)이 없이 홀로 특히 서 있고, 어그러짐[睽]의 때에 처하여 모두[九四와 初九] 홀로 서 있으며 같이 몸[體]의 아래에 처하여 뜻이 같은[同志] 자이다. 그리고 자기가 지위를 잃었지만 육3(六三)과 육5(六五)에 가까워서 모두 자기와 어긋나니 처함에 편안할 곳이 없기 때문에 그 짝하는 무리를 구하여서 스스로 그에게 의탁을 하기 때문에 동지[元夫]를 만났다고 말했다. 같은 뜻[同志]을 서로 얻어서 그곳에 의심함이 없기 때문에 “믿음으로 사귄다.”라고 말함이다. 비록 어긋나서 사이가 뜸에 있으나 뜻하는 연고가 행함을 얻기 때문에 비록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九四」至「交孚厲無咎」。 ○正義曰:「元夫」謂初九也。處於卦始,故云「元」也。初、四俱陽而言「夫」者,蓋是丈夫之夫,非夫婦之夫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사(九四)에서 교부려무구(交孚厲无咎)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원부(元夫)’는 초구(初九)를 말하며, 괘(卦)의 시작에 처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원(元)”이라 하였다. 초구(初九)와 구4(九四)가 모두 양(陽)인데도 ‘부(夫)’라고 말한 것은, 대개 이는 장부(丈夫)의 ‘부(夫)’이며 부부(夫婦)의 ‘부(夫)’가 아니다.」 |
《象》曰:交孚无咎,志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믿음으로 사귀니 허물이 없음은, 뜻이 행해짐이다.” |
六五,悔亡。厥宗噬膚,往何咎? 육오(六五)는 후회가 없어지는데, 그 종족[九二]이 살을 깨무는데 가더라도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王弼 注】 非位,悔也。有應,故亡。厥宗,謂二也。噬膚者,齧柔也。三雖比二,二之所噬,非妨己應者也。以斯而往,何咎之有?往必合也。 【왕필 주】 자리가 아니어서 후회하고, 응(應)이 있으니 연고[후회]가 없어짐이다. 그 종(宗)은 구2(九二)를 말함이고, 살갗을 씹음이라는 것은 부드럽게 깨뭄이다. 육3(六三)이 비록 구2(九二)에 친하여서 구2(九二)의 씹는 바가 자기가 응(應)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함으로써 가는데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 가면 반드시 합해진다. |
[孔穎達 疏]「六五悔亡」至「往何咎」。 ○正義曰:「悔亡」者,失位,悔也,「有應故悔亡」也。「厥宗噬膚,往何咎」者,宗,主也,謂二也。「噬膚」謂噬三也。三雖隔二,二之所噬,故曰「厥宗噬膚」也。三是陰爻,故以「膚」為譬,言柔脆也。二既噬三即五,可以往而「無咎」矣,故曰「往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오회망(六五悔亡)에서 왕하구(往何咎)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후회가 없어지는데[悔亡]”라는 것은, 지위를 잃음은 후회이지만, 응(應)이 있기 때문에 후회가 없어진 것이다. “그 종족이 살을 깨무는데 가더라도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厥宗噬膚 往 何咎]”라는 것은, ‘종(宗)’은 주인이며 구2(九二)를 말하고, ‘살을 깨묾[噬膚]’은 육3(六三)을 깨묾을 말하며, 육3(六三)이 비록 구2(九二)를 가로막지만 구2(九二)가 육3(六三)을 깨물기 때문에 “그 종족[九二]이 살을 깨문다[厥宗噬膚]”라고 말하였다. 육3(六三)은 바로 음효(陰爻)이기 때문에 살[膚]로 비유를 하였으며, [깨묾이] 연하고 부드러움을 말함이다. 구2(九二)가 이미 육3(六三)을 깨물고 육5(六五)에 나아가면 감으로써 ‘허물 없음[無咎]’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에 허물이 없다[往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厥宗噬膚,往有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종족(宗族)이 살을 [부드럽게] 깨묾은, 가면 경사가 있음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往有慶也」。 ○正義曰:「往有慶也」者,有慶之言,善功被物,為物所賴也。五雖居尊而不當位,與二合德,乃為物所賴,故曰「往有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왕유경야[往有慶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가면 경사가 있음이다[往有慶也]”라는 것은, 경사가 있다는 말은 착한 공(功)이 남[사물]에게 입혀져서 남[사물]이 의뢰하는 바가 됨이다. 육5(六五)가 비록 높은데에 거주하지만 지위에 합당하지 않으니 구2(九二)와 더불어 덕(德)을 합하여야 비로소 남[사물]이 의뢰하는 바가 되기 때문에 “가면 경사가 있음이다[往有慶也]”라고 말한 것이다.」 |
上九,睽孤,見豕負塗,載鬼一車,先張之弧,後說之弧。匪寇婚媾,往,遇雨則吉。 상구(上九)는 반목(反目)하여 외로우니 진흙을 짊어진 돼지를 보고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는데도 먼저 활을 당기지만 뒤에는 활을 풀어놓았다.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청함이니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하다. 【王弼 注】 處睽之極,睽道未通,故曰睽孤。己居炎極,三處澤盛,睽之極也。以文明之極,而觀至穢之物,睽之甚也。豕而負塗,穢莫過焉。至睽將合,至殊將通,恢詭譎怪,道將為一。未至於洽,先見殊怪,故見豕負塗,甚可穢也。見鬼盈車,吁可怪也。先張之弧,將攻害也。後說之弧,睽怪通也。四剠其應,故為寇也。睽志將通,非寇婚媾,往不失時,睽疑亡也。貴於遇雨,和陰陽也。陰陽既和,群疑亡也。 【왕필 주】 규(睽)괘의 꼭대기에 처하고, 반목(反目)하여 도(道)에 통하지 않기 때문에 “반목(反目)하여 외롭다.”라고 말했다. 자기[上九]는 불꽃[離]의 꼭대기에 거주하고 육3(六三)은 윤택함[澤]이 성대함에 처하여 반목[睽]이 지극함이다. 문명의 지극함으로써 지극히 더러운 사물을 보니 반목[睽]이 심함이며, 돼지가 진흙을 짊어짐은 더러움이 이보다 지나침이 없다. 반목[睽]이 지극하면 장차 합쳐치고 다름이 지극하면 장차 통하며 속이면 넓어지고 괴이하면 속지만 도(道)는 장차 하나가 된다. 아직 흡족함에 지극하지 않으면 먼저 다름과 괴이함을 보기 때문에 돼지가 진흙을 지고 있음을 봄은 매우 더러울 수 있음이다. 귀신이 수레에 가득함을 봄은 괴이할 만하여 탄식함이고, 먼저 활을 당김은 장차 공격하여 해치려함이며, 뒤에 활을 풀어놓음은 괴이함에 반목(反目)함이 통한 것이다. 구4(九四)가 그의 응(應)을 노략질했기 때문에 도적이 되며, 반목(反目)함의 뜻이 장차 통하여 도적이 아니고 혼인을 구함이니, 감에 때를 잃지 않으면 의심하는 반목[睽疑]이 없어진다. 비를 만남에 귀하게 됨은 음(陰)과 양(陽)이 화합해서이고, 음양(陰陽)이 이미 화합하면 여러 의심이 없어진다. |
[孔穎達 疏]「上九睽孤見豕」至「遇雨則吉」。 ○正義曰:「睽孤」者,處睽之極,「睽」道未通,故曰「睽孤」也。「見豕負塗」者,火動而上,澤動而下,「已居炎極,三處澤盛,睽之極也」。離為文明,澤是卑穢,以文明之極而觀至穢之物,事同豕而負塗泥,穢莫斯甚矣,故曰「見豕負塗」。「載鬼一車,先張之弧,後說之弧」者,鬼魅盈車,怪異之甚也。至「睽」將合,至殊將通,未至於治,先見殊怪,故又見「載鬼一車」。載鬼不言「見」者,為豕上有「見」字也。見怪若斯,懼來害己,故「先張之弧」,將攻害也。物極則反,「睽」極則通,故「後說之弧」,不復攻也。「匪寇婚媾」者,四剠其應,故謂四為寇。「睽」志既通,匪能為寇,乃得與二為婚媾矣,故曰「匪寇婚媾」也。「往遇雨則吉」者,雨者,陰陽交和之道也。眾異並消,無復疑阻,往得和合,則吉從之,故曰「往遇雨則吉」。 ○注「處睽之極」至「群疑亡也」。 ○正義曰:「恢詭譎怪道將為一」者,《莊子內篇·齊物論》曰:「無物不然,無物不可。故為舉筳與楹,厲與西施,恢詭譎怪,道通為一。」郭象注云:「夫筳橫而楹縱,厲醜而西施好,所謂齊者,豈必齊形狀,同規矩哉!舉縱橫好醜,恢詭譎怪,各然其所然,各可其所可,即形雖萬殊,而性本得同,故曰'道通為一'也。」莊子所言以明齊物,故舉恢詭譎怪至異之物,道通為一,得性則同。王輔嗣用此文而改「通」為「將」字者,明物極則反,睽極則通,有似引詩斷章,不必與本義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구규고견돈(上九睽孤見豕)에서 우우즉길(遇雨則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반목(反目)하여 외로우니[睽孤]”라는 것은, 반목함[睽]의 꼭대기에 처하지만 규(睽)의 도(道)가 아직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목(反目)하여 외롭다[睽孤]”라고 말한 것이다.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는데도[見豕負塗]”라는 것은, 불[離]이 움직여서 올라가고 연못[澤]은 움직여서 내려와 자기[上九]는 불꽃의 꼭대기에 거주하는데 육3(六三)은 연못[澤]의 성함에 처하였으니, 반목[睽]이 지극한 것이다. 리(離)는 문체가 밝음[文明]이 되고 택(澤)은 바로 낮고 더러움인데 문명(文明)의 지극함으로써 하여 더러움에 이르른 사물을 보니, 일이 돼지이면서 진흙탕을 지고 있음과 같으며, 더러움이 이보다 더 심함이 없다. 그러므로 “돼지가 진흙을 지고 있음을 본다[見豕負塗]”라고 말한 것이다.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는데도 먼저 활을 당기지만 뒤에는 활을 풀어놓았다[載鬼一車 先張之弧 後說之弧]”라는 것은, 도깨비 귀신이 수레에 가득함은 괴이(怪異)함이 심한 것이다. 반목[睽]이 지극하여 장차 합치고 다름이 지극하여 장차 통하지만 아직 다스림에 이르지 못하여 먼저 다름과 괴이함을 보기 때문에 또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음[載鬼一車]”을 본다. 귀신이 실려 있음에는 ‘견(見)’을 말하지 않은 것은 ‘돈(豕)’자 위에 ‘견(見)’자가 있어서이다. 괴이함을 당함이 이와 같으면 와서 자기를 해칠까 두렵기 때문에 “먼저 활을 당긴다[先張之弧]”고 했는데, 장차 공격하여 해치려 함이다. 사물이 지극하면 돌아오고 반목함[睽]이 지극하면 통기 때문에 “뒤에 활을 풀어놓았다[後說之弧]라고 함은, 다시 공격하지 않는 것이다.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청함이니[匪寇婚媾]”라는 것은, 구4(九四)가 그 응[應;初六]을 찌르기 때문에 구4(九四)를 도적으로 하여 말하였으며, 반목함[睽]의 뜻이 이미 통하면 도적이 됨을 잘하지 않으니 비로소 육3(六三)과 혼인을 청하려 함을 얻기 때문에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청함이다[匪寇婚媾]”라고 말한 것이다.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하다[往 遇雨則吉]”라는 것의, ‘비[雨]’라는 것은, 음(陰)과 양(陽)이 어울려 사귐의 도(道)이다. 여러 괴이함이 나란히 사라져 다시는 의심하거나 막힘이 없어서 가서 화합함을 얻으면 길함이 따르기 때문에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하다[往 遇雨則吉]”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처규지극(處睽之極)에서 군의망야(群疑亡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속이면 넓어지고 괴이하면 속지만 도(道)는 장차 하나가 된다[恢詭譎怪 道將爲一]”라는 것은, ≪장자(莊子)≫ 〈내편 재물론(內篇 齊物論)〉에 말하기를 “사물은 그러하지 않음이 없고 사물이 안함이 없기 때문에 몽둥이와 기둥 그리고 문둥이와 서시가 변하면 넓어지고 괴상하면 속음을 근거(根據)로 삼는데 도(道)를 통하면 하나가 된다”라고 하였다. 곽상(郭象)의 주(注)에 이르기를 “그 몽둥이[筳]는 가로인데 기둥[楹]은 세로[세워져]이며, 문둥이[厲]는 추하고 서시(西施)는 아름다우니, 이른바 가지런하다는 것은 어찌 반드시 형상(形狀)이 가지런하고 그림쇠와 자[規矩]가 같겠는가! 세로[縱]와 가로[橫] 그리고 아름다움[好]과 추함[醜]을 들어서 변하면 넓어짐[恢詭]과 괴상하면 속음[譎怪]이 각각 그 그러한 바를 그렇게 하고 각각 그 맞은 바를 맞게 여기면 모양이 비록 만 가지로 다르더라도 본성의 근본은 같기 때문에 ‘도(道)를 통하면 하나가 된다[道通為一]’라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장자(莊子)가 그로써 사물을 가지런히 함을 밝힘이기 때문에 변하면 넓어짐[恢詭]과 괴상하면 속음[譎怪]의 지극히 다른 사물을 들어서 도(道)가 통하면 하나가 되고 본성을 얻으면 같아짐을 말한 바이다. 왕보사[王輔嗣(王弼)]가 이 글을 사용하면서 ‘통(通)’을 ‘장(將)’자로 한 것은, 사물이 지극하면 돌아오고 반목[睽]이 지극하면 통함을 밝힌 것이며, ≪시경(詩經)≫을 인용할 적에 글을 끊음[斷章]과 닮음이 있으니 반드시 본래의 뜻과 같지는 않음이다.」 |
《象》曰:遇雨之吉,群疑亡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비를 만남의 길함은, 여러 의심이 없어짐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群疑亡也」者,往與三合,如雨之和。向之見豕、見鬼、張弧之疑並消釋矣,故曰「群疑亡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여러 의심이 없어짐이다[群疑亡也]”라는 것은, 가서 육3(六三)과 합함이 비[雨]의 어울림과 같으며, 지난번에 돼지를 보고 귀신을 보고서 활을 펼쳐 의심함이 나란히 사라져 풀렸다. 그러므로 “여러 의심이 없어졌다[群疑亡也]”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上九睽孤見豕」至「遇雨則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구규고견돈(上九睽孤見豕)에서 우우즉길(遇雨則吉)까지.}
○正義曰:「睽孤」者,處睽之極,「睽」道未通,故曰「睽孤」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반목(反目)하여 외로우니[睽孤]”라는 것은, 반목함[睽]의 꼭대기에 처하지만 규(睽)의 도(道)가 아직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목(反目)하여 외롭다[睽孤]”라고 말한 것이다.
「見豕負塗」者,火動而上,澤動而下,「已居炎極,三處澤盛,睽之極也」。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는데도[見豕負塗]”라는 것은, 불[離]이 움직여서 올라가고 연못[澤]은 움직여서 내려와 자기[上九]는 불꽃의 꼭대기에 거주하는데 육3(六三)은 연못[澤]의 성함에 처하였으니, 반목[睽]이 지극한 것이다.
離為文明,澤是卑穢,以文明之極而觀至穢之物,事同豕而負塗泥,穢莫斯甚矣,故曰「見豕負塗」。
리(離)는 문체가 밝음[文明]이 되고 택(澤)은 바로 낮고 더러움인데 문명(文明)의 지극함으로써 하여 더러움에 이르른 사물을 보니, 일이 돼지이면서 진흙탕을 지고 있음과 같으며, 더러움이 이보다 더 심함이 없다. 그러므로 “돼지가 진흙을 지고 있음을 본다[見豕負塗]”라고 말한 것이다.
「載鬼一車,先張之弧,後說之弧」者,鬼魅盈車,怪異之甚也。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는데도 먼저 활을 당기지만 뒤에는 활을 풀어놓았다[載鬼一車 先張之弧 後說之弧]”라는 것은, 도깨비 귀신이 수레에 가득함은 괴이(怪異)함이 심한 것이다.
至「睽」將合,至殊將通,未至於治,先見殊怪,故又見「載鬼一車」。載鬼不言「見」者,為豕上有「見」字也。
반목[睽]이 지극하여 장차 합치고 다름이 지극하여 장차 통하지만 아직 다스림에 이르지 못하여 먼저 다름과 괴이함을 보기 때문에 또 “귀신이 한 수레 실려 있음[載鬼一車]”을 본다. 귀신이 실려 있음에는 ‘견(見)’을 말하지 않은 것은 ‘돈(豕)’자 위에 ‘견(見)’자가 있어서이다.
見怪若斯,懼來害己,故「先張之弧」,將攻害也。物極則反,「睽」極則通,故「後說之弧」,不復攻也。
괴이함을 당함이 이와 같으면 와서 자기를 해칠까 두렵기 때문에 “먼저 활을 당긴다[先張之弧]”고 했는데, 장차 공격하여 해치려 함이다. 사물이 지극하면 돌아오고 반목함[睽]이 지극하면 통기 때문에 “뒤에 활을 풀어놓았다[後說之弧]라고 함은, 다시 공격하지 않는 것이다.
「匪寇婚媾」者,四剠其應,故謂四為寇。「睽」志既通,匪能為寇,乃得與二為婚媾矣,故曰「匪寇婚媾」也。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청함이니[匪寇婚媾]”라는 것은, 구4(九四)가 그 응[應;初六]을 찌르기 때문에 구4(九四)를 도적으로 하여 말하였으며, 반목함[睽]의 뜻이 이미 통하면 도적이 됨을 잘하지 않으니 비로소 육3(六三)과 혼인을 청하려 함을 얻기 때문에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청함이다[匪寇婚媾]”라고 말한 것이다.
「往遇雨則吉」者,雨者,陰陽交和之道也。眾異並消,無復疑阻,往得和合,則吉從之,故曰「往遇雨則吉」。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하다[往 遇雨則吉]”라는 것의, ‘비[雨]’라는 것은, 음(陰)과 양(陽)이 어울려 사귐의 도(道)이다. 여러 괴이함이 나란히 사라져 다시는 의심하거나 막힘이 없어서 가서 화합함을 얻으면 길함이 따르기 때문에 “가서 비를 만나면 길하다[往 遇雨則吉]”라고 말한 것이다.」
○注「處睽之極」至「群疑亡也」。
○ 【왕필 주(王弼 注)】의 “처규지극(處睽之極)에서 군의망야(群疑亡也)까지”
○正義曰:「恢詭譎怪道將為一」者,《莊子內篇·齊物論》曰:「無物不然,無物不可。故為舉筳與楹,厲與西施,恢詭譎怪,道通為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속이면 넓어지고 괴이하면 속지만 도(道)는 장차 하나가 된다[恢詭譎怪 道將爲一]”라는 것은, ≪장자(莊子)≫ 〈내편 재물론(內篇 齊物論)〉에 말하기를 “사물은 그러하지 않음이 없고 사물이 안함이 없기 때문에 몽둥이와 기둥 그리고 문둥이와 서시가 변하면 넓어지고 괴상하면 속음을 근거(根據)로 삼는데 도(道)를 통하면 하나가 된다”라고 하였다.
郭象注云:「夫筳橫而楹縱,厲醜而西施好,所謂齊者,豈必齊形狀,同規矩哉!舉縱橫好醜,恢詭譎怪,各然其所然,各可其所可,即形雖萬殊,而性本得同,故曰'道通為一'也。」
곽상(郭象)의 주(注)에 이르기를 “그 몽둥이[筳]는 가로인데 기둥[楹]은 세로[세워져]이며, 문둥이[厲]는 추하고 서시(西施)는 아름다우니, 이른바 가지런하다는 것은 어찌 반드시 형상(形狀)이 가지런하고 그림쇠와 자[規矩]가 같겠는가! 세로[縱]와 가로[橫] 그리고 아름다움[好]과 추함[醜]을 들어서 변하면 넓어짐[恢詭]과 괴상하면 속음[譎怪]이 각각 그 그러한 바를 그렇게 하고 각각 그 맞은 바를 맞게 여기면 모양이 비록 만 가지로 다르더라도 본성의 근본은 같기 때문에 ‘도(道)를 통하면 하나가 된다[道通為一]’라고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莊子所言以明齊物,故舉恢詭譎怪至異之物,道通為一,得性則同。
장자(莊子)가 그로써 사물을 가지런히 함을 밝힘이기 때문에 변하면 넓어짐[恢詭]과 괴상하면 속음[譎怪]의 지극히 다른 사물을 들어서 도(道)가 통하면 하나가 되고 본성을 얻으면 같아짐을 말한 바이다.
王輔嗣用此文而改「通」為「將」字者,明物極則反,睽極則通,有似引詩斷章,不必與本義同也。
왕보사[王輔嗣(王弼)]가 이 글을 사용하면서 ‘통(通)’을 ‘장(將)’자로 한 것은, 사물이 지극하면 돌아오고 반목[睽]이 지극하면 통함을 밝힌 것이며, ≪시경(詩經)≫을 인용할 적에 글을 끊음[斷章]과 닮음이 있으니 반드시 본래의 뜻과 같지는 않음이다.」
譯註 1: 『莊子』 齊物論⇒ 故爲是, 擧莛與楹 厲與西施, 恢恑憰怪 道通爲一.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그러므로 이를 위해서 몽둥이와 기둥 그리고 문둥이와 서시를 예로 들면, 변하면 넓어지고 괴상하면 속는데 도(道)를 통하면 하나가 된다.
'■ 주역(周易) > 3.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40. 해괘(解卦)[卦象:뇌수해]/周易正義 (0) | 2022.10.05 |
---|---|
주역 39. 건괘(蹇卦)[卦象:수산건]/周易正義 (1) | 2022.10.04 |
주역 37. 가인괘(家人卦)[卦象:풍화가인]/周易正義 (1) | 2022.10.02 |
주역 36. 명이괘(明夷卦)[卦象:지화명이]/周易正義 (0) | 2022.10.01 |
주역 35. 진괘(晉卦)[卦象:화지진]/周易正義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