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25. 무망괘(无妄卦)[卦象:천뢰무망]
☰ 乾上
☳ 震下
진[雷.우뢰]이 아래에 있고, 건[天.하늘]이 위에 있다.
无妄,元亨利貞。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 무망(无妄)은 형통함이 크지만 곧아야 이로우며,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다. |
[孔穎達 疏]正義曰:无妄者,以剛為內主,動而能健,以此臨下,物皆無敢詐偽虛妄,俱行實理,所以大得亨通,利於貞正,故曰「元亨利貞」也。「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者,物既无妄,當以正道行之。若其匪依正道,則有眚災,不利有所往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됨이 없음[无妄]”이라는 것은, 굳셈으로써 안의 주체가 되어 움직이면서 능히 굳세고, 이로써 아래에 임하면 사물[사람]이 모두 감히 거짓으로 속이고 망령되게 허망함이 없으며 모두 진실한 이치를 행하니, 크게 형통하여 통함을 얻는 까닭이며 굳고 바름에 이롭기 때문에 “크게 형통하고 곧아야 이롭다[元亨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다[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라는 것은, 사물이 이미 망령됨이 없으면 마땅히 바른 도(道)로써 행하게 된다. 만약 바른 도(道)에 의하지 않으면 재앙이 있어서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은 것이다.」 |
《彖》曰:无妄,剛自外來而為主於內。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무망(无妄)은 굳셈이 밖으로부터 와서 안쪽에 주체가 되었으니, 【王弼 注】 謂震也。 【왕필 주】 진(震)을 가리킨다. |
動而健, 움직이고 굳셈이며, 【王弼 注】 震動而乾健也。 【왕필 주】 진(震)은 움직임이고 건(乾)는 굳셈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以此卦象釋能致無妄之義。以震之剛從外而來,為主於內,震動而乾健,故能使物「无妄」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 괘(卦)의 모습[象]을 가지고 망령됨이 없음을 잘 이룸의 뜻을 해석하였다. 그로써 진(震)의 굳셈이 밖으로부터 와서 안의 주체가 되어 진(震)이 움직이지만 건(乾)이 굳세기 때문에 사물이 “망령됨이 없음[无妄]”을 잘 하도록 함이다.」 |
剛中而應, 굳셈이 가운데 이면서 응(應)하니, 【王弼 注】 謂五也。 【왕필 주】 구5(九五)를 가리킨다. |
[孔穎達 疏]正義曰:明爻義能致無妄。九五以剛處中,六二應之,是「剛中而應」。剛中則能制斷虛實,有應則物所順從,不敢虛妄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효(爻)의 뜻이 망령됨이 없음을 잘 이룸을 밝혔다. 구5(九五)가 굳셈으로써 가운데[中]에 처하고 육2(六二)가 응(應)을 하는데, 이는 ‘굳셈이 가운데 이면서 응(應)함[剛中而應]’이다. 굳셈이 가운데[中]이면 빈데[虛]와 알참[實]을 잘 끊어 제어하고, 응(應)이 있으면 사물이 순종하는 바이니 감히 헛되이 망령됨을 못한다.」 |
大亨以正,天之命也。 크게 형통하고 그로써 바르니, 하늘의 명(命)이다. 【王弼 注】 剛自外來而為主於內,動而愈健。剛中而應,威剛方正,私欲不行,何可以妄?使有妄之道滅,无妄之道成,非大亨利貞而何?剛自外來,而為主於內,則柔邪之道消矣;動而愈健,則剛直之道通矣。剛中而應,則齊明之德著矣,故大亨以正也。天之教命,何可犯乎?何可妄乎?是以匪正則有眚,而不利有攸往也。 【왕필 주】 굳셈이 밖으로부터 와서 안에 주체가 되고 움직여서 점점 굳세어 진다. 굳셈이 가운데 하면서 응(應)하니 위엄이 굳세고 방정하며 사적인 바램을 행하지 않는데 어찌 망령될 수 있겠는가? 망령의 도(道)를 소멸시키고 망령이 없음의 도(道)를 이루었는데 크게 형통하고 곧아야 이로움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굳셈이 밖으로부터 와서 안에서 주체가 된다면 부드럽고 간사함의 도가 소멸된다. 움직여서 점점 굳세어 지면 강직함의 도(道)가 통하고 굳셈이 가운데 하면서 응(應)하면 가지런하고 밝음의 덕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크게 형통하고 그로써 바름이다. 하늘의 가르침과 명(命)을 어찌 범 할 수 있겠으며, 어찌 망령되게 할 수 있겠는가? 이로써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大亨以正,天之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대형이정, 천지명야(大亨以正, 天之命也)까지.} ○正義曰:釋「元亨利貞」之義。威剛方正,私欲不行,何可以妄?此天之教命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형통함이 크지만 곧아야 이로우며[元亨利貞]’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위엄이 있고 굳세며 사방이 바르니 사사로움을 하고자해도 행하지 못하는데, 어찌 망령될 수 있겠는가? 이는 하늘의 가르침과 명령이다. 天道純陽,剛而能健,是乾德相似,故云「天之命」也。既是天命,豈可犯乎? 천도(天道)는 순양(純陽)인데 굳세면서 능히 굳세니, 이는 건(乾)의 덕(德)을 서로 닮았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명(命)[天之命]”이라고 하였으며, 이미 바로 하늘의 명(命)이인데 어찌 범할 수 있겠는가?」 ○注「剛自外來」至「不利有攸往」也。 ○ 【왕필 주(王弼 注)】의 “강자외래(剛自外來)에서 불이유유왕야(不利有攸往也)까지” ○正義曰:云「使有妄之道滅,無妄之道成」者,妄,謂虛妄矯詐,不循正理。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의 도(道)를 소멸시키고 망령이 없음의 도(道)를 이루었는데[使有妄之道滅 无妄之道成]”라는 것은, ‘망(妄, 망령될 망)’은 헛되이 망령되고 속여서 바른 이치를 따르지 않음을 말함이다. 若無剛中之主,柔弱邪僻,則物皆詐妄,是有妄之道興也。 만약 굳센 가운데[中]의 주체가 없어서 유약하고 사벽(邪辟)하면 사물이 모두 속이고 망령되니, 이는 망령이 있음의 도(道)가 일어난다. 今遇剛中之主,威嚴剛正,在下畏威,不敢詐妄,是有妄之道滅,無妄之道成。 지금 굳센 가운데[中]의 주체를 만나 위엄이 있고 굳세고 바르며 아래에 있는 위엄을 두려워해서 감히 속이고 망령되지 않으니, 이는 망령이 있음의 도(道)가 소멸하고 망령이 없음의 도(道)가 이루어짐이다.」 |
[孔穎達 疏]「大亨以正,天之命也」。
○正義曰:釋「元亨利貞」之義。威剛方正,私欲不行,何可以妄?此天之教命也。天道純陽,剛而能健,是乾德相似,故云「天之命」也。既是天命,豈可犯乎?
○注「剛自外來」至「不利有攸往」也。
○正義曰:云「使有妄之道滅,無妄之道成」者,妄,謂虛妄矯詐,不循正理。若無剛中之主,柔弱邪僻,則物皆詐妄,是有妄之道興也。今遇剛中之主,威嚴剛正,在下畏威,不敢詐妄,是有妄之道滅,無妄之道成。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대형이정, 천지명야(大亨以正, 天之命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형통함이 크지만 곧아야 이로우며[元亨利貞]’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위엄이 있고 굳세며 사방이 바르니 사사로움을 하고자해도 행하지 못하는데, 어찌 망령될 수 있겠는가? 이는 하늘의 가르침과 명령이다.
천도(天道)는 순양(純陽)인데 굳세면서 능히 굳세니, 이는 건(乾)의 덕(德)을 서로 닮았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의 명(命)[天之命]”이라고 하였으며, 이미 바로 하늘의 명(命)이인데 어찌 범할 수 있겠는가?」
○ 【왕필 주(王弼 注)】의 “강자외래(剛自外來)에서 불이유유왕야(不利有攸往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의 도(道)를 소멸시키고 망령이 없음의 도(道)를 이루었는데[使有妄之道滅 无妄之道成]”라는 것은, ‘망(妄, 망령될 망)’은 헛되이 망령되고 속여서 바른 이치를 따르지 않음을 말함이다.
만약 굳센 가운데[中]의 주체가 없어서 유약하고 사벽(邪辟)하면 사물이 모두 속이고 망령되니, 이는 망령이 있음의 도(道)가 일어난다.
지금 굳센 가운데[中]의 주체를 만나 위엄이 있고 굳세고 바르며 아래에 있는 위엄을 두려워해서 감히 속이고 망령되지 않으니, 이는 망령이 있음의 도(道)가 소멸하고 망령이 없음의 도(道)가 이루어짐이다.」
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无妄之往,何之矣?天命不祐,行矣哉?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은,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으며, 천명(天命)이 돕지 않는데 행하겠는가?” 【王弼 注】 匪正有眚,不求改以從正,而欲有所往。居不可以妄之時,而欲以不正有所往,將欲何之?天命之所不祐,竟矣哉! 【왕필 주】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음은, 바름을 따름으로서 고치려 하지 않으면서 갈 곳이 있기를 바램이다. 거주함이 망령된 때로서는 할 수 없는데도 바르지 않음으로서 갈 곳이 있기를 바라면, 장차 어디로 가려 하는가? 천명이 돕지 않는 바이니 끝났도다! |
[孔穎達 疏]「其匪正有眚」至「天命不祐行矣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기비정유생(其匪正有眚)에서 천명불우행의재(天命不祐行矣哉)까지.} ○正義曰:「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無妄之往何之矣」者,此釋「匪正有眚不利有攸往」之義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은,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는가?[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无妄之往 何之矣]’라는 것은, 이는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無妄之往何之矣」,上「之」是語辭,下「之」是適也。身既非正,在「無妄」之世,欲有所往,何所之適矣?故云「無妄之往何之矣」。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는가[无妄之往 何之矣]”에서 앞의 지(之)는 바로 어조사이며 뒤의 지(之)는 감이다. 자신이 이미 바르지 않은데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세상에 있는데 가는 곳이 있게 하고자 하면 어느 곳으로 가겠는가? 그러므로 이르기를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는가[无妄之往 何之矣]”라고 한 것이다. 「天命不祐行矣哉」者,身既非正,欲有所往,犯違天命,則天命不祐助也。必竟行矣哉!言終竟行此不祐之事也。 “천명(天命)이 돕지 않는데 행하겠는가[天命不祐 行矣哉]”라는 것은, 자신이 이미 바르지 않은데 가는 곳이 있게 하고자 하여 천명(天命)을 범하고 어기면 천명이 도와주지 않으니, 반드시 끝까지 행하겠는가! 마치는 끝까지 이 [하늘]는 돕지 않는 일을 행한다는 말이다.」 ○注「匪正有眚」至「不祐竟矣哉」。 ○ 【왕필 주(王弼 注)】의 “비정유생(匪正有眚)에서 불우경의재(不祐竟矣哉)까지” ○正義曰:「竟矣哉」者,竟謂終竟,言天所不祐,終竟行矣哉!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끝났도다[竟矣哉]”라는 것은, ‘경(竟, 마침내 경)’은 마침을 끝까지함[終竟]을 말하며, 하늘이 돕지 않는 바를 마침을 끝까지 행하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其匪正有眚」至「天命不祐行矣哉」。
○正義曰:「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無妄之往何之矣」者,此釋「匪正有眚不利有攸往」之義也。「無妄之往何之矣」,上「之」是語辭,下「之」是適也。身既非正,在「無妄」之世,欲有所往,何所之適矣?故云「無妄之往何之矣」。「天命不祐行矣哉」者,身既非正,欲有所往,犯違天命,則天命不祐助也。必竟行矣哉!言終竟行此不祐之事也。
○注「匪正有眚」至「不祐竟矣哉」。
○正義曰:「竟矣哉」者,竟謂終竟,言天所不祐,終竟行矣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기비정유생(其匪正有眚)에서 천명불우행의재(天命不祐行矣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은,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는가?[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无妄之往 何之矣]’라는 것은, 이는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으니 가서 다스림[敒]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는가[无妄之往 何之矣]”에서 앞의 지(之)는 바로 어조사이며 뒤의 지(之)는 감이다. 자신이 이미 바르지 않은데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세상에 있는데 가는 곳이 있게 하고자 하면 어느 곳으로 가겠는가? 그러므로 이르기를 “망령됨이 없이 감인데 어찌 가겠는가[无妄之往 何之矣]”라고 한 것이다.
“천명(天命)이 돕지 않는데 행하겠는가[天命不祐 行矣哉]”라는 것은, 자신이 이미 바르지 않은데 가는 곳이 있게 하고자 하여 천명(天命)을 범하고 어기면 천명이 도와주지 않으니, 반드시 끝까지 행하겠는가! 마치는 끝까지 이 [하늘]는 돕지 않는 일을 행한다는 말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비정유생(匪正有眚)에서 불우경의재(不祐竟矣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끝났도다[竟矣哉]”라는 것은, ‘경(竟, 마침내 경)’은 마침을 끝까지함[終竟]을 말하며, 하늘이 돕지 않는 바를 마침을 끝까지 행하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天下雷行, 物與无妄,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하늘 아래에 우레가 치니, 사물이 더블어 망령됨이 없다, 【王弼 注】 與,辭也,猶皆也。天下雷行,物皆不可以妄也。 【왕필 주】 여(與)는 어조사인데 모두와 같다. 하늘 아래 우뢰가 침은 사물이 모두 망령될 수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天下雷行」者,雷是威恐之聲。今天下雷行,震動萬物,物皆驚肅,無敢虛妄,故云「天下雷行」,物皆「无妄」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하늘 아래에 우레가 치니[天下雷行]”라는 것은, 우레는 바로 위엄이 있는 두려움의 소리이다. 지금 하늘 아래 우레가 다녀서 만물을 진동하니, 사물들이 모두 놀라고 두려워하여 감히 허망한 짓을 하지 못기 때문에 이르기를 “하늘 아래에 우레가 치니[天下雷行] 사물이 모두 망령됨이 없다[无妄]”고 한 것이다.」 |
先王以茂對時育萬物。 선왕(先王)이 그[无妄]로써 때에 맞추어 무성하게 만물을 기름이다.“ 【王弼 注】 茂,盛也。物皆不敢妄,然後萬物乃得各全其性,對時育物,莫盛於斯也。 【왕필 주】 무(茂)는 성함이다. 사물은 모두 감히 망령되지 않으며, 그러한 뒤에 만물은 이에 각각 그 본성의 온전함을 얻으며, 때에 맞추어 만물을 기르니 이보다 성함이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茂,盛也。對,當也。言先王以此無妄盛事,當其无妄之時,育養萬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무(茂, 무성항 무)’는 성함이고, ‘대(對)’는 마땅함이다. 선왕(先王)이 이 망령됨이 없는 성대한 일을 가지고 그 망령됨이 없음의 때에 마땅하게 만물을 길러줌을 말한 것이다. 此唯王者其德乃耳,非諸侯已下所能,故不云君子,而言「先王」也。 이는 오직 왕자(王者)가 그 덕(德)이 이러할 뿐이고 제후 이하가 능한 바가 아니기 때문에 ‘군자(君子)’라고 일러주지 않고 ‘선왕(先王)’이라고 말한 것이다. 案:諸卦之《象》,直言兩象,即以卦名結之,若「雷在地中,復」。 살펴보건대, 여러 괘(卦)의 〈상전(象傳)〉에 곧바로 두 모습[象]을 말했으면 즉시 괘(卦)의 이름을 가지고 맺었는데, “우레가 땅 속에 있음이 복(復)괘이다[雷在地中,復]”라고 함이 같은 것이다. 今《無妄》應云:「天下雷行,無妄。」今云「物與無妄」者,欲見萬物皆無妄,故加「物與」二字也。 지금 무망(无妄)괘 에는 응당 이르기를 “하늘 아래에 우레가 다님이 무망(无妄)괘이다[天下雷行,無妄]”라고 해야 하는데, 이제 이르기를 “사물이 더블어 망령됨이 없다[物與無妄]”라고 한 것은, 만물이 모두 망령됨이 없음을 보이고자 한 것이기 때문에 ‘물여(物與)’ 두 글자를 더한 것이다. 其餘諸卦,未必萬物皆與卦名同義,故直顯象,以卦結之。至如復卦,唯陽氣復,非是萬物皆復。舉復一卦,餘可知矣。 그 나머지 여러 괘(卦)는 반드시 만물이 모두 괘(卦)의 이름과 뜻이 같지는 않기 때문에 곧바로 모습[象]을 드러내고 괘(卦)를 가지고 맺은 것이다. 복괘(復卦)에 이르러서는 오직 양(陽)의 기운이 회복하고 이 만물이 모두 회복함은 아니며, 복(復)괘 한 괘를 들면 나머지는 알 수가 있다.」 |
[孔穎達 疏]正義曰:茂,盛也。對,當也。言先王以此無妄盛事,當其无妄之時,育養萬物也。此唯王者其德乃耳,非諸侯已下所能,故不云君子,而言「先王」也。案:諸卦之《象》,直言兩象,即以卦名結之,若「雷在地中,復」。今《無妄》應云:「天下雷行,無妄。」今云「物與無妄」者,欲見萬物皆無妄,故加「物與」二字也。其餘諸卦,未必萬物皆與卦名同義,故直顯象,以卦結之。至如復卦,唯陽氣復,非是萬物皆復。舉復一卦,餘可知矣。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무(茂, 무성항 무)’는 성함이고, ‘대(對)’는 마땅함이다. 선왕(先王)이 이 망령됨이 없는 성대한 일을 가지고 그 망령됨이 없음의 때에 마땅하게 만물을 길러줌을 말한 것이다.
이는 오직 왕자(王者)가 그 덕(德)이 이러할 뿐이고 제후 이하가 능한 바가 아니기 때문에 ‘군자(君子)’라고 일러주지 않고 ‘선왕(先王)’이라고 말한 것이다.
살펴보건대, 여러 괘(卦)의 〈상전(象傳)〉에 곧바로 두 모습[象]을 말했으면 즉시 괘(卦)의 이름을 가지고 맺었는데, “우레가 땅 속에 있음이 복(復)괘이다[雷在地中,復]”라고 함이 같은 것이다.
지금 무망(无妄)괘 에는 응당 이르기를 “하늘 아래에 우레가 다님이 무망(无妄)괘이다[天下雷行,無妄]”라고 해야 하는데, 이제 이르기를 “사물이 더블어 망령됨이 없다[物與無妄]”라고 한 것은, 만물이 모두 망령됨이 없음을 보이고자 한 것이기 때문에 ‘물여(物與)’ 두 글자를 더한 것이다.
그 나머지 여러 괘(卦)는 반드시 만물이 모두 괘(卦)의 이름과 뜻이 같지는 않기 때문에 곧바로 모습[象]을 드러내고 괘(卦)를 가지고 맺은 것이다. 복괘(復卦)에 이르러서는 오직 양(陽)의 기운이 회복하고 이 만물이 모두 회복함은 아니며, 복(復)괘 한 괘를 들면 나머지는 알 수가 있다.」
初九,无妄往,吉 초구(初九)는 망령됨이 없이 가면, 길하다. 【王弼 注】 體剛處下,以貴下賤,行不犯妄,故往得其志。 【왕필 주】 굳센 몸이 아래에 처하고, 귀함으써 천함에 낮낮추니 행함이 망령됨을 범하지 않기 때문에 가면 그 뜻을 얻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體剛居下,以貴下賤,所行教化,不為妄動,故「往吉」而得志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굳센 몸[體]이 아래에 거주하고 귀함으로써 천함에 낮추며, 본받아 달라짐을 행하는 바이고 망령되게 움직임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가면 길하여서 뜻을 얻는 것이다.」 |
《象》曰:无妄之往,得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망령됨이 없이 감은, 뜻을 얻음이다.” |
六二,不耕穫,不菑畬,則利有攸往。 육이(六二)는 밭 갈지 않고 수확하며, 묵정밭이 아닌데 개간하니, 즉 가서 다스림[敒]이 이롭다. 【王弼 注】 不耕而穫,不菑而畬,代終已成而不造也。不擅其美,乃盡臣道,故利有攸往。 【왕필 주】 밭 갈지 않으면서 수확하고 묵정밭이 아닌데 개간을 함은, 끝마침이 대신하여 이미 이루어져서 짓지 않음이다. 그 아름다움을 독차지하지 않으니, 이에 신하의 도(道)를 다하기 때문에 가서 펼침[敒]이 있어야 이롭다. |
[孔穎達 疏]「《象》曰」至「利有攸往」。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이유유왕(利有攸往)까지.} ○正義曰:「不耕獲不菑畬」者,六二處中得位,盡於臣道,不敢創首,唯守其終,猶若田農不敢發首而耕,唯在後獲刈而已。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밭 갈지 않고 수확하며, 묵정밭이 아닌데 개간하니[不耕穫 不菑畬]”라는 것은, 육2(六二)가 지위를 얻어 가운데[中]에 처하고 신하의 도리를 다하며 감히 앞머리를 만들지 않고 오직 그 마침만을 지키니, 오히려 밭 농사를 지을 적에 감히 머리에 나서면서 밭갈지 않음과 같으며 오직 뒤에 있으면서 베어서 수확할 뿐이다. 不敢菑發新田,唯治其菑熟之地,皆是不為其始而成其末,猶若為臣之道,不為事始而代君有終也。 감히 나서서 새 밭을 개간하지 않고 오직 그 묵은 땅을 다스림은, 모두 이를 시작을 하지 않으면서 그 끝을 이룸이니, 오히려 신하 된 도리에 일을 시작하면서 군주를 대신하여 끝마침이 있게 하지 않음과 같은 것이다. 則「利有攸往」者,為臣如此,則利有攸往,若不如此,則往而無利也。 “즉 가서 다스림[敒]이 이롭다[則利有攸往]”라는 것은, 신하가 이와 같이 한다면 가서 다스림[敒]이 이로우며,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가도 이로움이 없다.」 |
《象》曰:不耕穫,未富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밭 갈지 않고서 수확함은, 아직 부유하지는 않다." [孔穎達 疏]正義曰:釋「不耕而獲」之義。不敢前耕,但守後獲者,未敢以耕耕之與獲,俱為己事。唯為後獲,不敢先耕事。既闕初,不擅其美,故云「未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밭 갈지 않고 수확함[不耕而獲]’의 뜻을 해석하였다. 감히 앞에서 밭 갈지 않고 다만 뒤에서 수확함을 지키는 것은, 감히 밭 가는 것으로써 밭 가는 것과 수확함을 모두 자기의 일로 삼지 못하고, 오직 뒤에서 수확을 하여 감히 먼저 밭 가는 일을 못하며, 이미 처음에 빠뜨리고 그 아름다움을 독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이르기를 “아직 부유하지는 않다[未富也]”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象》曰」至「利有攸往」。
○正義曰:「不耕獲不菑畬」者,六二處中得位,盡於臣道,不敢創首,唯守其終,猶若田農不敢發首而耕,唯在後獲刈而已。不敢菑發新田,唯治其菑熟之地,皆是不為其始而成其末,猶若為臣之道,不為事始而代君有終也。則「利有攸往」者,為臣如此,則利有攸往,若不如此,則往而無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상왈(象曰)에서 이유유왕(利有攸往)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밭 갈지 않고 수확하며, 묵정밭이 아닌데 개간하니[不耕穫 不菑畬]”라는 것은, 육2(六二)가 지위를 얻어 가운데[中]에 처하고 신하의 도리를 다하며 감히 앞머리를 만들지 않고 오직 그 마침만을 지키니, 오히려 밭 농사를 지을 적에 감히 머리에 나서면서 밭갈지 않음과 같으며 오직 뒤에 있으면서 베어서 수확할 뿐이다.
감히 나서서 새 밭을 개간하지 않고 오직 그 묵은 땅을 다스림은, 모두 이를 시작을 하지 않으면서 그 끝을 이룸이니, 오히려 신하 된 도리에 일을 시작하면서 군주를 대신하여 끝마침이 있게 하지 않음과 같은 것이다.
“즉 가서 다스림[敒]이 이롭다[則利有攸往]”라는 것은, 신하가 이와 같이 한다면 가서 다스림[敒]이 이로우며,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가도 이로움이 없다.」
六三,无妄之災,或繫之牛,行人之得,邑人之災。 육삼(六三)은 망령됨이 없는 재앙이니, 혹 소를 매어 놓았는데 길가던 사람[行人]은 얻고 고을 사람[邑人]은 재앙이다. 【王弼 注】 以陰居陽,行違謙順,是无妄之所以為災也。牛者稼穡之資也。二以不耕而穫,利有攸往。而三為不順之行,故或繫之牛。是有司之所以為穫,彼人之所以為災也。故曰「行人之得,邑人之災」也。 【왕필 주】 음(陰)으로써 양(陽)에 거주하고 행실이 겸손함과 유순함에 어기니, 이는 망령됨이 없음[无妄]이 재앙이 되는 까닭이다. 소[牛]라는 것은 심고 거둠[농사]의 밑천이다. 육2(六二)가 밭 갈지 않고 수확함으로써 가서 다스림[敒]이 이로웠는데, 육3(六三)은 순하지 않은 행실을 하기 때문에 혹 소를 매어 놓았다. 이는 담당자[有司]가 수확을 하는 까닭이며 저 사람[농부]은 재앙이 되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길가던 사람[行人]은 얻고 고을 사람[邑人]은 재앙이다."라고 말했다. |
[孔穎達 疏]「六三」至「人之災」。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삼(六三)에서 인지재(人之災)까지.} ○正義曰:「無妄」之世,邪道不行。六三陰居陽位,失其正道,行違謙順而乖臣範,故「無妄」之所以為災矣。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세상에는 간사한 도(道)가 행해지지 않는데, 육3(六三)이 음(陰)인데 양(陽)의 지위에 거주하며 그 바른 도(道)를 잃고 행실이 겸손함과 유순함을 어겨서 신하의 규범(規範)을 어그러트리기 때문에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재앙이 되는 까닭이다. 牛者稼穡之資。六三僣為耕事,行唱始之道,而為不順王事之行,故有司或系其牛,制之使不妄造,故曰「或系之牛」也。 소[牛]라는 것은, 농사짓는 밑천이다. 육3(六三)이 밭 가는 일을 주제넘게 하고 부름을 시작함의 도(道)를 행하면서 왕을 따르는 일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담당자[有司]가 혹 소를 매어놓고, 제재를 하여 망령되이 만들지 못하게 시키기 때문에 “혹 소를 매어놓았다[或系之牛]”라고 말한 것이다. 「行人」者,有司之義也。有司系得其牛,是「行人」制之得功,故曰「行人之得」。 “길가던 사람[行人]“이라는 것은, 담당자[有司]의 뜻이다. 담당자[有司]가 그 소를 매어놓으니 이는 행인(行人)이 제재를 하여 공(功)을 얻기 때문에 “길가던 사람의 얻음[行人之得]”이라 말하였다. 彼居三者,是處邑之人僣為耕事,受其災罰,故曰:「行人之得,邑人之災」也。 저 육삼(六三)에 거주하는 자는, 바로 고을에 처하는 사람이 주제넘게 밭 가는 일을 하였다가 재앙과 벌을 받았기 때문에 “길가던 사람[行人]은 얻고 고을 사람[邑人]은 재앙이다[行人之得,邑人之災]”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行人得牛,邑人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길가던 사람[行人]이 소를 얻음은 고을 사람[邑人]의 재앙다." [孔穎達 疏]正義曰:釋「行人之得」義也。以行人所得,謂得牛也。此則得牛,彼則為災,故云「邑人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길가던 사람[行人]은 얻음[行人之得]’의 뜻을 해석하였으며, 행인[行人]으로써 얻음은 소를 얻음을 말한다. 여기서는 소를 얻고 저기서는 재앙이 되기 때문에 이르기를 “고을 사람[邑人]은 재앙이다[邑人災]”라고 한 것이다.」 |
[孔穎達 疏]「六三」至「人之災」。
○正義曰:「無妄」之世,邪道不行。六三陰居陽位,失其正道,行違謙順而乖臣範,故「無妄」之所以為災矣。牛者稼穡之資。六三僣為耕事,行唱始之道,而為不順王事之行,故有司或系其牛,制之使不妄造,故曰「或系之牛」也。「行人」者,有司之義也。有司系得其牛,是「行人」制之得功,故曰「行人之得」。彼居三者,是處邑之人僣為耕事,受其災罰,故曰:「行人之得,邑人之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삼(六三)에서 인지재(人之災)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세상에는 간사한 도(道)가 행해지지 않는데, 육3(六三)이 음(陰)인데 양(陽)의 지위에 거주하며 그 바른 도(道)를 잃고 행실이 겸손함과 유순함을 어겨서 신하의 규범(規範)을 어그러트리기 때문에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재앙이 되는 까닭이다.
소[牛]라는 것은, 농사짓는 밑천이다. 육3(六三)이 밭 가는 일을 주제넘게 하고 부름을 시작함의 도(道)를 행하면서 왕을 따르는 일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담당자[有司]가 혹 소를 매어놓고, 제재를 하여 망령되이 만들지 못하게 시키기 때문에 “혹 소를 매어놓았다[或系之牛]”라고 말한 것이다.
“길가던 사람[行人]“이라는 것은, 담당자[有司]의 뜻이다. 담당자[有司]가 그 소를 매어놓으니 이는 행인(行人)이 제재를 하여 공(功)을 얻기 때문에 “길가던 사람의 얻음[行人之得]”이라 말하였다.
저 육삼(六三)에 거주하는 자는, 바로 고을에 처하는 사람이 주제넘게 밭 가는 일을 하였다가 재앙과 벌을 받았기 때문에 “길가던 사람[行人]은 얻고 고을 사람[邑人]은 재앙이다[行人之得,邑人之災]”라고 말한 것이다.」
九四,可貞;无咎。 구사(九四)는 곧게 할 수 있어야 허물이 없다. 【王弼 注】 處无妄之時,以陽居陰,以剛乘柔,履於謙順,比近至尊,故可以任正,固有所守而无咎也。 【왕필 주】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때에 처하고, 양(陽)으로써 음(陰)에 거주하며 굳셈으로써 부드러움에 올라 타고 겸손하고 순함을 밟으며 지극히 높은데에 가까이 접하기 때문에 바름에 임할 수 있으며 굳게 지키는 바 있으니 허물이 없는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以陽居陰,以剛乘柔,履於謙順,上近至尊,可以任正,固有所守而無咎,故曰「可貞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양(陽)으로써 음(陰)에 거주하고 굳셈으로써 부드러움을 타며 겸손함과 유순함을 밟고서 위로 지극히 높음에 가깝고, 바름에 임할 수 있으며 굳게 지키는 바가 있어서 허물이 없기 때문에 “곧게 할 수 있어야 허물이 없다[可貞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可貞无咎,固有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곧게 할 수 있어야 허물이 없음은, 굳음을 갖고 있음이다." [孔穎達 疏]正義曰:釋「可貞無咎」之義。所以可執貞正,言堅固有所執守,故曰「無咎」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곧게 할 수 있어야 허물이 없음[可貞無咎]’의 뜻을 해석하였으며, 곧고 바름을 지킬 수 있는 까닭은 견고하게 잡아 지키는 바가 있음을 말하기 때문에 “허물이 없다[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九五,无妄之疾,勿藥有喜。 구오(九五)는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병이니,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 【王弼 注】 居得尊位,為无妄之主者也。下皆无妄,害非所致,而取藥焉,疾之甚也。非妄之災,勿治自復;非妄而藥之則凶,故曰勿藥有喜。 【왕필 주】 높은 지위를 얻어 거주하고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주체가 된 자이다. 아래가 모두 망령됨이 없어서 해로움을 불러오는 바가 아닌데도 그곳에 약을 취함은 병이 심한 것이다. 망령의 재앙이 아니면 스스로 회복되니 다스리지 말고, 망령되지 않는데 약을 쓰면 흉하기 때문에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無妄之疾」者,凡禍疾所起,由有妄而來。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됨이 없음의 병이니[无妄之疾]”라는 것은, 무릇 재앙과 병이 일어나는 바는 망령됨이 있음을 말미암아 온다. 今九五居得尊位,為無妄之主,下皆「无妄」,而偶然有此疾害,故云「無妄之疾」也。 지금 구5(九五)가 높은 지위를 얻어서 거주하고 무망(无妄)의 주체가 되었으며 아래가 모두 망령됨이 없는데 우연히 이 병의 해로움이 있기 때문에 이르기를 “망령됨이 없음의 병[無妄之疾]”이라 한 것이다. 「勿藥有喜」者,若疾自己招,或寒暑飲食所致,當須治療。若其自然之疾,非己所致,疾當自損,勿須藥療而「有喜」也。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勿藥 有喜]”라는 것은, 만약 병을 자기가 불러왔거나 혹은 추위와 더위, 마시고 먹음에서 이루어진 바라면 마땅히 결국 치료해야 하지만, 만약 스스로 그러한 병이 자기가 이룬 바가 아니라면 병이 마땅히 스스로 덜어지니, 모름지기 약으로 치료하지 않아도 “기쁨이 있음[有喜]”이다. 此假病象以喻人事,猶若人主而剛正自修,身無虛妄,下亦無虛妄,而遇逢凶禍,若堯、湯之厄,災非己招,但順時修德,勿須治理,必欲除去,不勞煩天下,是「有喜」也。 이는 병의 모습[象]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비유함이며, 오히려 사람이 주체이면서 굳셈과 바름을 스스로 닦아서 자신이 허망함이 없고 아래 또한 허망함이 없으면서 우연히 흉함과 재안을 만난 것과 같으며, 예컨대 요(堯)임금과 탕(湯)임금의 곤액은 재앙을 자기가 부른 것이 아니며, 다만 때를 순히 따르고 덕(德)을 닦아서 모름지기 이치로 다스려서 반드시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천하를 수고롭고 번거롭지 않게 하였으니, 이것이 ‘기쁨이 있음[有喜]’이다. 然堯遭洪水,使鯀、禹治之者,雖知災未可息,必須順民之心。 그러나 요(堯)임금이 홍수를 만나서 곤(鯀)과 우(禹)로 하여금 다스리게 했던 것은, 비록 재앙이 그칠 수 없음을 알았으나 반드시 결국은 백성들의 마음에 순응해야 했기 때문이다. 鯀之不成,以災未息也。禹能治救,災欲盡也,是亦自然之災,「勿藥有喜」之義也。 곤(鯀)이 이루지 못한 것은 재앙이 아직 그치지 않았기 때문이고, 우(禹)가 능히 다스리고 구원하였음은 재앙이 다하려고 하였음이며, 이 또한 자연의 재앙이니,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勿藥有喜]’함의 뜻이다.」 |
《象》曰:无妄之藥,不可試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망령됨이 없음[无妄]의 약은 시험해서는 안 된다.” 【王弼 注】 藥攻有妄者也,而反攻无妄,故不可試也。 【왕필 주】 약은 망령됨이 있음을 다스리는 것인데, 반대로 망령됨이 없음을 다스리기 때문에 시험해서는 안 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解「勿藥有喜」之義。若有妄致疾,其藥可用。若身既「无妄」,自然致疾,其藥不可試也。若其試之,恐更益疾也。言非妄有災不可治也,若必欲治之,則勞煩於下,害更甚也。此非直施於人主,至於凡人之事,亦皆然也。若己之無罪,忽逢禍患,此乃自然之理,不須憂勞救護,亦恐反傷其性。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勿藥有喜]’의 뜻을 해석하였다. 만약 망령됨이 있어 병에 이루어졌으면 그 약을 쓸 수 있지만, 만약 자신이 망령됨이 없는데 스스로 그러하여 병을 이루었으면 약을 쓰면 안 되며, 만약 그 약을 쓰다가 다시 병을 더할까 두려워서이다. 망령되지 않았는데 재앙이 있으면 다스려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며, 만약 반드시 다스리고자 한다면 아래를 수고롭고 번거롭게 하여 해로움이 더욱 심하게 된다. 이는 곧바로 주인에게 베풂이 아니고, 모든 사람의 일에 이르러도 또한 모두 그러하다. 만약 자기의 죄가 없는데 갑자기 재앙과 근심을 만났으면 이에는 스스로 그러함의 이치이니, 모름지기 근심하고 수고롭게 구호하지 않으며, 또한 도리어 그 본성[性]을 해칠까 두려워서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無妄之疾」者,凡禍疾所起,由有妄而來。今九五居得尊位,為無妄之主,下皆「无妄」,而偶然有此疾害,故云「無妄之疾」也。「勿藥有喜」者,若疾自己招,或寒暑飲食所致,當須治療。若其自然之疾,非己所致,疾當自損,勿須藥療而「有喜」也。此假病象以喻人事,猶若人主而剛正自修,身無虛妄,下亦無虛妄,而遇逢凶禍,若堯、湯之厄,災非己招,但順時修德,勿須治理,必欲除去,不勞煩天下,是「有喜」也。然堯遭洪水,使鯀、禹治之者,雖知災未可息,必須順民之心。鯀之不成,以災未息也。禹能治救,災欲盡也,是亦自然之災,「勿藥有喜」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됨이 없음의 병이니[无妄之疾]”라는 것은, 무릇 재앙과 병이 일어나는 바는 망령됨이 있음을 말미암아 온다.
지금 구5(九五)가 높은 지위를 얻어서 거주하고 무망(无妄)의 주체가 되었으며 아래가 모두 망령됨이 없는데 우연히 이 병의 해로움이 있기 때문에 이르기를 “망령됨이 없음의 병[無妄之疾]”이라 한 것이다.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勿藥 有喜]”라는 것은, 만약 병을 자기가 불러왔거나 혹은 추위와 더위, 마시고 먹음에서 이루어진 바라면 마땅히 결국 치료해야 하지만, 만약 스스로 그러한 병이 자기가 이룬 바가 아니라면 병이 마땅히 스스로 덜어지니, 모름지기 약으로 치료하지 않아도 “기쁨이 있음[有喜]”이다.
이는 병의 모습[象]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비유함이며, 오히려 사람이 주체이면서 굳셈과 바름을 스스로 닦아서 자신이 허망함이 없고 아래 또한 허망함이 없으면서 우연히 흉함과 재안을 만난 것과 같으며, 예컨대 요(堯)임금과 탕(湯)임금의 곤액은 재앙을 자기가 부른 것이 아니며, 다만 때를 순히 따르고 덕(德)을 닦아서 모름지기 이치로 다스려서 반드시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천하를 수고롭고 번거롭지 않게 하였으니, 이것이 ‘기쁨이 있음[有喜]’이다.
그러나 요(堯)임금이 홍수를 만나서 곤(鯀)과 우(禹)로 하여금 다스리게 했던 것은, 비록 재앙이 그칠 수 없음을 알았으나 반드시 결국은 백성들의 마음에 순응해야 했기 때문이다.
곤(鯀)이 이루지 못한 것은 재앙이 아직 그치지 않았기 때문이고, 우(禹)가 능히 다스리고 구원하였음은 재앙이 다하려고 하였음이며, 이 또한 자연의 재앙이니, ‘기쁨이 있으니 약을 쓰지 말라[勿藥有喜]’함의 뜻이다.」
上九,无妄行,有眚,无攸利。 상구(上九)는 망령됨이 없음을 행하면 재앙이 있으니, 다스림[신(敒, 펼 신)]이 없어야 이롭다. 【王弼 注】 處不可妄之極,唯宜靜保其身而已,故不可以行也。 【왕필 주】 망령됨을 할 수 없는 꼭대기에 처하니 오직 마땅히 그 자신을 고요하게 보호할 뿐이기 때문에 행하면 안 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處不可妄之極,唯宜靜保其身。若動行,必有災眚,無所利也。位處窮極,動則致災。故《象》云:「无妄之行,窮之災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망령되어서는 안 되는 꼭대기에 처하여 오직 마땅히 그 자신을 고요히 보존해야 하는데, 만약 움직임을 행하면 반드시 재앙이 있어서 이로운 바가 없는 것이다. 지위가 다한 꼭대기에 처하여 움직이면 재앙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무망의 행함은 끝까지 가는 재앙이다[无妄之行,窮之災也]”라고 한 것이다.」 |
《象》曰:无妄之行,窮之災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무망의 행함은 끝까지 가는 재앙이다.” |
'■ 주역(周易) > 3.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27. 이괘(頤卦)[卦象:산뢰이]/周易正義 (1) | 2022.09.21 |
---|---|
주역 26. 대축괘(大畜卦)[卦象:산천대축]/周易正義 (2) | 2022.09.20 |
주역 24. 복괘(復卦)[卦象:지뢰복]/周易正義 (0) | 2022.09.17 |
주역 23. 박괘(剝卦)[卦象:산지박]/周易正義 (1) | 2022.09.16 |
주역 22. 비괘(賁卦)[卦象:산화비]/周易正義 (1)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