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왕필 주역주

 왕필(王弼.226~249)

()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49. 혁괘(革卦)[卦象:택화혁]

 兌上

 離下

()[.]가 아래에 있고, ()[.]이 위에 있다.

 

已日乃孚元亨利貞悔亡

()은 그치는 날에는 믿으니, 크게 형통하고 곧아야 이로우며 후회가 없어진다.

王弼 注 夫民可與習常難與適變可與樂成難與慮始故革之為道即日不孚已日乃孚也然後乃得元亨利貞悔亡也已日而不孚革不當也悔吝之所生生乎變動者也革而當其悔乃亡也

왕필 주 대저 백성은 더블어 항상 익힐 수 있는데 어려움과 함께 변함을 맞는다. 함께 즐거움을 이룰 수 있음이 어려움과 생각함의 시작이다. 그러므로 바뀜의 도가 됨은 당일은 믿지 않지만 그치는 날에는 믿는다. 믿은 연후에 이에 크게 형통하고 곧아야 이롭고 후회가 없어짐을 얻는다. 그치는 날인데 믿지 않으면 바뀜이 마땅하지 않음이다. 후회와 부끄러움이 생겨나는 바는 변하여 움직임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바뀌면서 마땅하면 그 후회함이 이에 없어진다.

 

 水火相息二女同居其志不相得曰革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혁은 물과 불이 서로 없앰이고, 두 여자가 함께 머무르는데 그 뜻을 서로 얻지 못하니, 바뀜[]이라 말했다.

王弼 注 凡不合然後乃變生變之所生生於不合者也故取不合之象以為革也息者生變之謂也火欲上而澤欲下水火相戰而後生變者也二女同居而有水火之性近而不相得也

왕필 주 대체로 합하지 않은 연후에 변함이 생겨나는데 변하여서 생겨나는 바는 합하지 않는 것에서 생겨난다. 그러므로 합하지 않는 모습을 취하여서 바뀌게 된다. ()이란 것은 변함이 생겨남을 일컫는다. 불은 올라가기를 바라는데 물은 내려가기를 바라니 물과 불이 서로 싸운 뒤에 변함이 생겨나는 것이다. 두 여자가 같이 머물면서 물과 불의 성품이 있으니 가까운데도 서로 얻으려 하지 않는다.

已日乃孚革而信之 文明以說大亨以正革而當其悔乃亡

그치는 날에 믿음은 바뀌면서 믿게 된다.

밝은 문체(文體)로서 설득하니 크게 형통함으로 바르게 바뀌면서 마땅하니 그 후회가 이에 없어진다.

王弼 注 夫所以得革而信者文明以說也文明以說履正而行以斯為革應天順民大亨以正者也革而大亨以正非當如何?

왕필 주 대저 바뀌는데 믿음을 얻는 까닭이란 것은, 밝은 문체로서 설득함이다. 밝은 문체로서 설득하고 바르게 밟으면서 행하며 그로써 이를 바꾸게 되니 하늘이 응하고 백성이 따르며 크게 형통함으로서 바로잡는 것이다. 바뀌고 크게 형통함으로서 바로잡으니 어찌 마땅하지 않겠는가?

天地革而四時成湯武革命順乎天而應乎人革之時大矣哉

하늘과 땅이 바뀌면서 사시(四時)가 이루어지고, 탕왕과 무왕이 천명을 바꾸니 하늘이 순응하고 사람들이 응하는데, 바뀜의 때가 크도다!

 

澤中有火君子以治歷明時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못 가운데 불이 있음이 이니, 군자가 그로써 역수(歷數)를 다스려 때를 밝힌다.

王弼 注 歷數時會存乎變也

왕필 주 지난 세월(歲月)을 셈하여 때를 모으니 변함이 존재한다.

 

 

初九鞏用黃牛之革

초구(初九)는 가운데 소의 굳건함을 써야 바뀐다.

王弼 注 在革之始革道未成固夫常中未能應變者也此可以守成不可以有為也固也中也牛之革堅仞不可變也固之所用常中堅仞不肯變也

왕필 주 바뀜의 시작에 있고 바뀜의 도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가운데가 오히려 굳건하니 아직 변함에 잘 응한 것은 아니다. 이는 지킴을 이룸으로 할 수 있지만 함이 있게 할 수는 없다. ()은 굳건함이다. ()은 가운데이다. 소의 바뀜은, 굳건하고 길어서 변할 수 없다. 굳건함을 쓰는 바는 오히려 가운데가 굳건하고 길어서 변함을 즐기지 않는다.

鞏用黃牛不可以有為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가운데 소의 굳건함을 씀은 함이 있게 할 수 없음이다.

 

六二已日乃革之征吉无咎

육이(六二)는 그치는 날에 바뀌어 지니, 바로잡아가면 길하고 허물이 없다

王弼 注 陰之為物不能先唱順從者也不能自革革已乃能從之故曰已日乃革之也二與五雖有水火殊體之異同處厥中陰陽相應往必合志不憂咎也是以征吉而无咎

왕필 주 ()의 사물 됨은 먼저 잘 부르지 않고 순순히 따르는 것이다. 스스로 잘 바뀌지 않지만 바뀌면 그쳐서 잘 따라 가기 때문에 말하기를 "그치는 날에 바뀌어 진다."라고 했다. ()효와 오()효는 비록 특수한 몸체의 다른 물과 불에 있지만 그 가운데에 처함은 한가지이고 음과 양이 서로 응하며 반드시 뜻을 합하여 나가니 허물을 근심하지 않는데 이로서 바로잡아가니 길하면서 허물이 없다.

已日革之行有嘉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그치는 날에 바뀌어 짐은 행하면 아름다움이 있음이다.

 

九三征凶貞厲革言三就有孚

구삼(九三)은 바로잡아가면 흉하고 곧으면 위태롭다. 바뀜의 말이 세 번에 나아가야 믿음이 있다

王弼 注 已處火極上卦三爻雖體水性皆從革者也自四至上從命而變不敢有違故曰革言三就其言實誠故曰有孚革言三就有孚而猶征之凶其宜也

왕필 주 이미 불의 꼭대기에 처하고 상괘의 삼()효가 비록 몸체는 물의 성품이지만 모두 바뀜을 따르는 것이다. 스스로 사()효에 이르러 올라가고 명을 따르면서 변하니 감히 어김이 있게 못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바뀜의 말이 세 번에 나아간다."라고 했다. 그 말이 알차고 성실하기 때문에 말하기를 "믿음이 있다."라고 했다. 바뀜의 말이 세 번에 나아가야 믿음이 있는데 오히려 바로잡아 나아가니 흉함이 마땅하다.

革言三就又何之矣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바뀜의 말이 세 번에 나아감은 또 어디로 가겠는가?

 

九四悔亡有孚改命吉

구사(九四)는 후회가 없어지면 믿음이 있고 명()을 고쳐 길하다.

王弼 注 初九處下卦之下九四處上卦之下故能變也无應悔也與水火相比能變者也是以悔亡處水火之際居會變之始能不固吝不疑於下信志改命不失時願是以吉也有孚則見信矣見信以改命則物安而无違故曰悔亡有孚改命吉處上體之下始宣命也

왕필 주 초구(初九)효가 아래괘의 아래에 처하고 구사(九四)효는 상괘의 아래에 처하기 때문에 잘 전한다. 응함이 없으니 후회함이다. 물과 불이 더블어 서로 친하니 잘 변하는 것인데 이로서 후회가 없어진다. 물과 불의 변두리에 처하고 변함의 시작에 모여 머무르며 굳고 인색함을 잘하지 않고 아래를 의심하지 않으며 뜻을 믿고 명을 고치고 원하는 때를 잃지 않으니 이로서 길함이다. 믿음이 있으면 믿음이 보이는데 믿음이 보고서 명을 고친다면 사물이 편안하면서 어김이 없기 때문에 말하기를 "후회가 없어지면 믿음이 있고 명()을 고쳐 길하다."라고 했다. 윗 몸의 아래에 처하니 명을 시작함이 마땅하다.

改命之吉信志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을 고치면 길함은 뜻을 믿음이다.

王弼 注 信志而行

왕필 주 뜻을 믿으면서 행함이다.

 

九五大人虎變未占有孚

구오(九五)는 대인이 호랑이 처럼 변함은, 아직 점치는게 아니고 믿음이 있어야 한다

王弼 注 未占而孚合時心也

왕필 주 "아직 점치지 않았는데 믿음"은 마음이 때맞게 합함이다.

大人虎變其文炳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대인이 호랑이 처럼 변함은 그 문채가 빛남이다.

 

上六君子豹變小人革面

상육(上六)은 군자는 표범처럼 변하고 소인은 얼굴만 바뀌며,

王弼 注 居變之終變道已成君子處之能成其文小人樂成則變面以順上也

왕필 주 변함의 마침에 머무르니 변함의 도가 이미 이루어졌다. 군자가 처하는 곳에 그 문체가 잘 이루어지는데 소인은 즐거움이 이루어진다면 얼굴을 변함으로서 위에 순응한다.

征凶居貞吉

바로잡아가면 흉하고 곧게 머물러야 길하다.

王弼 注 改命創制變道已成功成則事損事損則无為故居則得正而吉征則躁擾而凶也

왕필 주 명을 고쳐서 비롯하여 지으니 변함의 도가 이미 이루어졌다. 공을 이루면 일은 덜어지고 일이 줄어들면 함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머무르면 바름을 얻으면서 길한데 바로잡아가면 조급하고 시끄러워서 흉하다.

君子豹變其文蔚也小人革面順以從君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군자가 표범처럼 변함은 문채가 성함이다. “소인은 얼굴만 바뀜은 순순히 군주를 따름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