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필 주역주
○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자는 보사(輔嗣)이다. 풍부한 재능을 타고나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일찍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39. 건괘(蹇卦)[卦象:수산건]
☵ 坎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감(坎)[水.물]이 위에 있다.
蹇,利西南,不利東北。
건(蹇)은 서남쪽이 이롭고 동북쪽은 이롭지 않다.
【王弼 注】 西南,地也。東北,山也。以難之平則難解,以難之山則道窮。
【왕필 주】서남(西南)쪽은 땅[곤]이고, 동북(東北)쪽은 산[간]이다. 어려움으로써 가는데가 평지이면 어려움이 풀리고, 어려움으로써 가는데가 산이면 도(道)가 궁해진다.
利見大人。
대인을 보아야 이로우니,
【王弼 注】 往則濟也。
【왕필 주】 가면 구제된다.
貞吉。
곧으면 길하다.
【王弼 注】 爻皆當位,各履其正,居難履正,正邦之道也。正道未否,難由正濟,故貞吉也。遇難失正,吉可得乎?
【왕필 주】효(爻)가 모두 지위가 마땅하며 각각 그 바름을 밟고서 어려움에 거주하여 바름을 밟음은, 연방을 바르게 하는 도(道)이다. 바른 도(道)는 막히지 않고, 어려움은 바름을 말미암아 구제되기 때문에 곧으면 길함이다. 어려움을 만나면 바름을 잃는데 길함을 얻을 수 있겠는가?
《彖》曰:蹇,難也,險在前也。見險而能止,知矣哉! 蹇利西南,往得中也。不利東北,其道窮也。利見大人,往有功也。當位貞吉,以正邦也。蹇之時用大矣哉!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건(蹇)은 어려움이며, 험함이 앞에 있음이다. 험함을 보고서 잘 그치니 지혜롭도다! 건(蹇)은 서남이 이로움은 가면 가운데[中]를 얻음이고, 동북이 이롭지 않음은 그 도(道)가 다함이다. 대인(大人)을 만나야 이롭고 가면 공(功)이 있으며, 마땅한 지위와 곧음이 길함은 그로써 연방을 바로잡음인데 건(蹇)의 때와 쓰임이 크도다!”
【王弼 注】 蹇難之時,非小人之所能用也。
【왕필 주】건(蹇)은 어려움의 때이니, 소인(小人)이 잘 사용하는 바는 아니다.
《象》曰:山上有水, 蹇;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물이 있음이 건(蹇)괘이니,
【王弼 注】 山上有水,蹇難之象。
【왕필 주】산 위에 물이 있음이, 건(蹇)괘의 어려운 모습[象]이다.
君子以身脩德。
군자(君子)가 그로써 자신의 덕(德)을 닦는다.“
【王弼 注】 除難莫若反身脩德。
【왕필 주】어려움을 덜어냄은 자신을 돌이켜 덕(德)을 닦음과 같음이 없다.
初六,往蹇來譽。
초육(初六)은 가면 어렵고 오면 명예롭다.
【王弼 注】 處難之始,居止之初,獨見前識,覩險而止,以待其時,知矣哉!故往則遇蹇,來則得譽。
【왕필 주】어려움의 시작에 처하고, 그침의 처음에 거주하며 홀로 앞을 알고 보는데 험함을 보고서 그치고 그로써 그 때를 기다리니 지혜롭도다! 그러므로 가면 어려움을 만나고 오면 명예를 얻음이다.
《象》曰:往蹇來譽,宜待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면 어렵고 오면 명예로움은, 마땅히 기다려야 함이다."
六二,王臣蹇, 蹇匪躬之故。
육이(六二)는 왕의 신하가 어려운데, 어려움은 자신의 연고가 아니다.
【王弼 注】 處難之時,履當其位,居不失中,以應於五。不以五在難中,私身遠害,執心不回,志匡王室者也,故曰王臣蹇蹇,非躬之故。履中行義,以存其上,處蹇以此,未見其尤也。
【왕필 주】어려움의 때에 처하고 밟은데 그 지위가 마땅하며 거주함에 가운데를 잃지 않고 그로써 구5(九五)에 응(應)한다. 구5(九五)가 어려운 가운데에 있음으로써 자신을 사사롭게 해로움에서 멀리하지 않고, 마음을 잡아 돌리지 않아서 뜻이 왕실(王室)을 바로잡는 자이다. 그러므로 “왕의 신하가 몹시 어려움이 몸의 연고(緣故)가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가운데[中]를 밟고 의로움을 행하고 그로써 그 위쪽에 있으니, 어려움에 처하기를 이로써 하면 그 허물을 당하지 않는다.
《象》曰:王臣蹇蹇,終无尤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왕의 신하가 몹시 어려움은, 마침은 허물이 없음이다.”
九三,往蹇來反。
구삼(九三)은 가면 어렵고 오면 [어려움이]돌아간다.
【王弼 注】 進則入險,來則得位,故曰往蹇來反。為下卦之主,是內之所恃也。
【왕필 주】나아가면 험함에 들어가고, 오면 지위를 얻기 때문에 "가면 어렵고 오면 [여려움이]돌아간다."라고 말하였다. 아래 괘(卦)의 주인이 되는데, 이는 안[初六‧六二]이 믿는 바이다.
《象》曰:往蹇來反,內喜之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면 어렵고 오면 [어려움이]돌아감은, 안[初六‧六二]이 기뻐함이다.“
六四,往蹇來連。
육사(六四)는 가면 어렵고 오면 [어려움이] 이어진다.
【王弼 注】 往則无應,來則乘剛,往來皆難,故曰往蹇來連。得位履正,當其本實,雖遇於難,非妄所招也。
【왕필 주】가면 응(應)이 없고 오면 굳셈을 타니 가고 옴이 모두 어렵기 때문에 “가면 어렵고 오면 [어려움이] 이어진다”라고 말한 것이다. 지위를 얻고 바름을 밟고서 그 근본 실제가 마땅하니, 비록 어려움을 만나지만 망령됨이 부른 곳은 아니다.
《象》曰:往蹇來連,當位實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면 어렵고 [구삼(九三)이] 오면 [어려움이] 이어짐은, 지위의 실제가 마땅함이다.”
九五,大蹇朋來。
구오(九五)는 크게 어려운데 벗[六四]이 온다.
【王弼 注】 處難之時,獨在險中,難之大者也,故曰大蹇。然居不失正,履不失中,執德之長,不改其節。如此則同志者集而至矣,故曰朋來也。
【왕필 주】어려움의 때에 처하고 홀로 험한 가운데에 있으며 어려워짐이 큰 자이다, 그러므로 "크게 어렵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거주함이 바름을 잃지 않고 가운데를 잃지 않고 밟으며 덕(德)을 잡음을 길게하여 그 절개를 바꾸지 않는데, 이와 같으면 뜻을 같이 하는 자가 모이면서 이르른다. 그러므로 "벗이 온다.”라고 말했다.
《象》曰:大蹇朋來,以中節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크게 어려운데 벗이 옴은, 그로써 절도(節度)에 맞음이다.”
上六,往蹇來碩,吉。利見大人。
상육(上六)은 가면 어렵고 오면 커서 길하니, 대인(大人)을 만나야 이롭다.
【王弼 注】 往則長難,來則難終,難終則眾難皆濟,志大得矣,故曰往蹇來碩吉。險夷難解,大道可興,故曰利見大人也。
【왕필 주】가면 어려움이 자라고 오면 어려움이 끝나며 어려움을 마치면 무리의 어려움이 모두 구제되고 뜻을 크게 얻는다, 그러므로 "가면 어렵고 오면 커서 길하다."라고 말했다. 험함이 평평해지고 어려움이 풀리면, 큰 도(道)가 일어 날 수 있기 때문에 "대인(大人)을 만나야 이롭다."라고 말했다.
《象》曰:往蹇來碩,志在內也。利見大人,以從貴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가면 어렵고 오면 큼은, 뜻이 안에 있음이다. 대인을 만나야 이로움은, 그로서 귀함을 쫓음이다."
【王弼 注】 有應在內,往則失之,來則志獲,志在內也。
【왕필 주】응(應)이 안에 있어서, 가면 잃게 되고 오면 뜻을 얻으니 뜻이 안쪽에 있음이다.
'■ 주역(周易) > 2.왕필 주역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41. 손괘(損卦)[산택손]/王弼 注 (1) | 2022.11.19 |
---|---|
주역 40. 해괘(解卦)[뇌수해]/王弼 注 (0) | 2022.11.18 |
주역 38. 규괘(睽卦)[화택규]/王弼 注 (0) | 2022.11.16 |
주역 37. 가인괘(家人卦)[풍화가인]/王弼 注 (0) | 2022.11.15 |
주역 36. 명이괘(明夷卦)[지화명이]/王弼 注 (1)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