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3. 기제괘(旣濟卦)[卦象:수화기제]
☵ 坎上
☲ 離下
리(離)[火.불]가 아래에 있고, 감(坎)[水.물]이 위에 있다.
既濟,亨小, 利貞。初吉終亂。 기제(旣濟)는 형통함이 작으니 곧아야 이로우며, 처음은 길하고 마침에는 어지럽다. |
[孔穎達 疏]正義曰:「既濟,亨小,利貞,初吉終亂」者,濟者,濟渡之名,既者,皆盡之稱,萬事皆濟,故以「既濟」為名。既萬事皆濟,若小者不通,則有所未濟,故曰「既濟,亨小」也。小者尚亨,何況於大?則大小剛柔,各當其位,皆得其所。當此之時,非正不利,故曰「利貞」也。但人皆不能, 居安思危,慎終如始,故戒以今日。既濟之初,雖皆獲吉,若不進德脩業至於終極,則危亂及之,故曰「初吉終亂」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기제(旣濟)는 형통함이 작으니 곧아야 이로우며, 처음은 길하고 마침에는 어지럽다[旣濟 亨小 利貞 初吉終亂]”라는 것은, ‘제(濟, 건널 제)’는 구제(救濟)하여 건너게함[濟渡]의 이름이고, ‘기(旣, 이미 기)’는 모두 다함의 칭함이며, 만사(萬事)가 모두 구제(救濟)되었기 때문에 기제(旣濟)로써 이름을 삼았다. 이미 만사(萬事)가 모두 구제(救濟)되었는데 만약 작은 것이 통하지 못하면 구제(救濟)되지 못한 곳이 있기 때문에 “이미 구제되어 형통함이 하다[既濟,亨小]”라고 말한 것이다. 작은 것도 오히려 형통한데 하물며 큰 것에 있어서랴. 그렇다면 큰 것[大]과 작은 것[小], 굳셈과 부드러움이 각각 그 지위가 합당하고 모두 그 처소를 얻었는데, 이러한 때에는 마땅히 바름이 아니면 이롭지 못하기 때문에 “곧아야 이롭다[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다만 사람들이 모두 편안함에 거주하며 위태로움을 생각하고 마침을 처음 같이 삼가하기를 잘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로써 오늘을 경계함이다. 기제(旣濟)의 처음에 비록 모두 길함을 얻었는데, 만약 덕(德)에 나아가 업(業)을 닦지 않고 마치는 꼭대기에 이르면 위태로운 혼란이 미치게 되기 때문에 “처음은 길하나 마침에는 어지럽다[初吉終亂]”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既濟,亨小,利貞,初吉終亂」者,濟者,濟渡之名,既者,皆盡之稱,萬事皆濟,故以「既濟」為名。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기제(旣濟)는 형통함이 작으니 곧아야 이로우며, 처음은 길하고 마침에는 어지럽다[旣濟 亨小 利貞 初吉終亂]”라는 것은, ‘제(濟, 건널 제)’는 구제(救濟)하여 건너게함[濟渡]의 이름이고, ‘기(旣, 이미 기)’는 모두 다함의 칭함이며, 만사(萬事)가 모두 구제(救濟)되었기 때문에 기제(旣濟)로써 이름을 삼았다.
既萬事皆濟,若小者不通,則有所未濟,故曰「既濟,亨小」也。
이미 만사(萬事)가 모두 구제(救濟)되었는데 만약 작은 것이 통하지 못하면 구제(救濟)되지 못한 곳이 있기 때문에 “이미 구제되어 형통함이 하다[既濟,亨小]”라고 말한 것이다.
小者尚亨,何況於大?則大小剛柔,各當其位,皆得其所。當此之時,非正不利,故曰「利貞」也。
작은 것도 오히려 형통한데 하물며 큰 것에 있어서랴. 그렇다면 큰 것[大]과 작은 것[小], 굳셈과 부드러움이 각각 그 지위가 합당하고 모두 그 처소를 얻었는데, 이러한 때에는 마땅히 바름이 아니면 이롭지 못하기 때문에 “곧아야 이롭다[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但人皆不能, 居安思危,慎終如始,故戒以今日。
다만 사람들이 모두 편안함에 거주하며 위태로움을 생각하고 마침을 처음 같이 삼가하기를 잘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로써 오늘을 경계함이다.
既濟之初,雖皆獲吉,若不進德脩業至於終極,則危亂及之,故曰「初吉終亂」也。
기제(旣濟)의 처음에 비록 모두 길함을 얻었는데, 만약 덕(德)에 나아가 업(業)을 닦지 않고 마치는 꼭대기에 이르면 위태로운 혼란이 미치게 되기 때문에 “처음은 길하나 마침에는 어지럽다[初吉終亂]”라고 말한 것이다.」
《彖》曰:既濟亨,小者亨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이미 구제(救濟)하여 형통함은, 작은 것[소인]도 형통함이다. 【王弼 注】 既濟者,以皆濟為義者也。小者, 不遺乃為皆濟,故舉小者以明既濟也。 【왕필 주】 기제(既濟)라는 것은, 모두 구제하였음을 가지고 뜻을 삼은 것이다. 소(小)라는 것은 남기지 않고 비로소 모두 구제(救濟)하였기 때문에 작은 것을 들어서 그로써 이미 구제하였음을 밝힌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釋卦名德,既濟之亨,必小者皆亨也,但舉小者,則大者可知,所以為既濟也。具足為文,當更有一「小」字,但既疊《經》文,略足以見,故從省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괘(卦)의 이름과 덕(德)을 해석하였으며, 기제(旣濟)의 형통함은 반드시 작은 것도 모두 형통한 것이다. 다만 작은 것을 들면 큰 것을 알 수가 있으니, [이름을] ‘기제(旣濟)’라고 한 까닭이다. 모두 충족하여 글을 지으면 마땅히 다시 하나의 ‘소(小)’자가 있어야 하는데 다만 이미 경문(經文)에 중첩하였으므로 대략 충족하여 그로써 나타내었기 때문에 생략을 따른 것이다.」 |
利貞,剛柔正而位當也。 곧음이 이로움은, 굳셈과 부드러움이 바르면서 자리가 마땅함이다. 【王弼 注】 剛柔正而位當,則邪不可以行矣,故唯正乃利貞也。 【왕필 주】 굳셈과 부드러움이 바르면서 자리가 마땅하면 간사함이 행해질 수가 없다, 그러므로 오직 바로잡아야 비로소 곧음이 이롭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就二、三、四、五並皆得正,以釋「利貞」也。剛柔皆正,則邪不可行,故惟正乃利貞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육2(六二)ㆍ구3(九三)ㆍ육4(六四)ㆍ구5(九五)가 나란히 모두 바른자리[正]를 얻었음을 가지고 ‘곧아야 이로움[利貞]’을 해석한 것이다. 굳셈[剛]과 부드러움[柔]이 모두 바른자리[正]이면 간사함이 행해질 수가 없기 때문에 오직 바른자리[正]가 비로소 곧아야 이로운 것이다.」 |
初吉,柔得中也。終止則亂,其道窮也。 처음에 길함은 부드러움이 가운데를 얻었음이고, 마침에서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함이다." 【王弼 注】 柔得中,則小者亨也。柔不得中,則小者未亨。小者未亨,雖剛得正,則為未既濟也。故既濟之要,在柔得中也。以既濟為安者,道極無進,終唯有亂,故曰初吉終亂。終亂不為自亂,由止故亂,故曰終止則亂也。 【왕필 주】 부드러움이 가운데를 얻으면 작은 것이 형통하고, 부드러움이 가운데를 얻지 못하면 작은 것이 형통하지 못하다. 작은 것이 형통하지 못하면 비록 굳셈이 바름을 얻어도 이미 구제(救濟)함이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기제(旣濟)의 요점은 부드러움이 가운데[中]를 얻었음에 있다. 기제(旣濟)가 편안한 것을 삼음으로써 도(道)의 꼭대기가 나아감이 없어서 마침에만 오직 어지러움이 있기 때문에 “처음은 길하고 마침에는 어지럽다.”라고 말했다. 마침이 어지러움은 스스로를 어지럽게 함이 아니고 그침의 연고(緣故)를 말미암아 어지럽기 때문에 "마침에서 그치면 어지럽다."라고 말했다. |
[孔穎達 疏]正義曰:「初吉,柔得中」者,此就六二以柔居中,釋「初吉」也。以柔小尚得其中,則剛大之理,皆獲其濟。物無不濟,所以為吉,故曰「初吉」也。終止則亂,其道窮者,此正釋戒。若能進脩不止,則既濟無終。既濟終亂,由止故亂。終止而亂,則既濟之道窮矣,故曰「終止則亂,其道窮」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처음에 길함은 부드러움이 가운데를 얻었음이다[初吉 柔得中]”라는 것은, 이는 육2(六二)가 부드러움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함을 가지고 “처음에 길함[初吉]”을 해석한 것이다. 부드럽고 작음으로써 오히려 그 가운데[中]를 얻었으면 굳세고 큰 이치는 모두 구제(救濟)됨을 얻는다. 남들[사물]이 구제(救濟)되지 않음이 없어서 길하게 되는 까닭이기 때문에 “처음에 길하다[初吉]”라고 말한 것이다. “마침에서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함이다[終止則亂 其道窮]”라는 것은, 이는 바로 경계함을 해석함인데, 만약 나아가고 닦음을 잘 그치지 않으면 기제(旣濟)가 마침이 없으며, 기제(旣濟)가 마침이 어지러움은 그침의 연고(緣故)를 말미암아 어지러운 것이다. 마침에 그쳐서 어지러우면 기제(旣濟)의 도(道)가 궁(窮)하다. 그러므로 “마침에서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함이다[終止則亂 其道窮]”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初吉,柔得中」者,此就六二以柔居中,釋「初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처음에 길함은 부드러움이 가운데를 얻었음이다[初吉 柔得中]”라는 것은, 이는 육2(六二)가 부드러움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함을 가지고 “처음에 길함[初吉]”을 해석한 것이다.
以柔小尚得其中,則剛大之理,皆獲其濟。物無不濟,所以為吉,故曰「初吉」也。
부드럽고 작음으로써 오히려 그 가운데[中]를 얻었으면 굳세고 큰 이치는 모두 구제(救濟)됨을 얻는다. 남들[사물]이 구제(救濟)되지 않음이 없어서 길하게 되는 까닭이기 때문에 “처음에 길하다[初吉]”라고 말한 것이다.
終止則亂,其道窮者,此正釋戒。若能進脩不止,則既濟無終。既濟終亂,由止故亂。
“마침에서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함이다[終止則亂 其道窮]”라는 것은, 이는 바로 경계함을 해석함인데, 만약 나아가고 닦음을 잘 그치지 않으면 기제(旣濟)가 마침이 없으며, 기제(旣濟)가 마침이 어지러움은 그침의 연고(緣故)를 말미암아 어지러운 것이다.
終止而亂,則既濟之道窮矣,故曰「終止則亂,其道窮」也。
마침에 그쳐서 어지러우면 기제(旣濟)의 도(道)가 궁(窮)하다. 그러므로 “마침에서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道)가 궁함이다[終止則亂 其道窮]”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水在火上,既濟,君子以思患而豫防之。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물이 불 위에 있음이 기제(旣濟)인데, 군자가 그로써 환난(患難)을 생각하면서 미리 방비를 한다." 【王弼 注】 存不忘亡,既濟不忘未濟也。 【왕필 주】 존재함은 없어짐을 잊지 않으니, 기제(既濟)는 미제(未濟)를 잊어버리지 않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水在火上,炊爨之象,飲食以之而成,性命以之而濟,故曰「水在火上,既濟」也。但既濟之道,初吉終亂,故君子思其後患,而豫防之。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물이 불 위에 있음은, 불을 때어 밥을 짓는 모습[象]이며, 음식이 그것으로 하여서 이루어지고 천성(天性)과 천명(天命)이 그것으로 하여서 구제되기 때문에 “물이 불 위에 있음이 기제(旣濟)이다[水在火上,既濟]”라고 말한 것이다. 다만 기제(旣濟)의 도(道)가 처음은 길하나 마침에는 어지럽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그 뒤의 근심을 생각하여서 미리 방비를 하는 것이다.」 |
初九,曳其輪,濡其尾,无咎。 초구(初九)는 그 수레바퀴를 끄는데 꼬리를 적시지만 허물은 없다. 【王弼 注】最處既濟之初,始濟者也。始濟未涉於燥,故輪曳而尾濡也。雖未造易,心无顧戀,志棄難者也。其於義也,无所咎矣。 【왕필 주】가장 기제(既濟)의 처음에 처하며 구제를 시작하는 자이다. 구제함을 시작했지만 아직 마른데에 건너지 못했기 때문에 수레 바퀴를 끌면서 꼬리를 적신다. 비록 평탄함을 짓지는 못했으나 마음은 그리워하고 돌아봄이 없어서 뜻함이 어려움을 버리는 자이니, 그 의리에는 허물하는 바가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初九處既濟之初,體剛居中,是始欲濟渡也。始濟未涉於燥,故輪曳而尾濡,故云「曳其輪,濡其尾」也。但志在棄難,雖復曳輪濡尾,其義不有咎,故云「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초구(初九)가 기제(旣濟)의 처음에 처하여 몸[體]이 굳세고 가운데[中]에 거주하니, 이는 물을 건너고자 하는 시작이다. 건너기 시작함은, 아직 마른 땅에 건너가지 못했기 때문에 수레바퀴가 끌리면서 꼬리가 젖기 때문에 이르기를 “그 수레바퀴를 끄는데 꼬리를 적신다[曳其輪,濡其尾]”라고 한 것이다. 다만 뜻이 어려움을 버림에 있으니 비록 다시 수레바퀴를 끌고 꼬리를 적시지만 그 뜻에 허물이 있지는 않기 때문에 “허물은 없다[無咎]”라고 한 것이다.」 |
《象》曰:曳其輪,義无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수레바퀴를 끎은, 의리에 허물이 없음이다." |
六二,婦喪其茀,勿逐,七日得。 육이(六二)는 부인이 그 머리꾸미개를 잃었는데, 쫓아가지 말라, 칠일 만에 얻는다. 【王弼 注】 居中履正,處文明之盛,而應乎五,陰之光盛者也。然居初三之間,而近不相得,上不承三,下不比初。夫以光盛之陰,處於二陽之間,近而不相得,能无見侵乎?故曰喪其茀也。稱婦者,以明自有夫而它人侵之也。茀,首飾也。夫以中道執乎貞正,而見侵者,眾之所助也。處既濟之時,不容邪道者也。時既明峻,眾又助之,竊之者逃竄而莫之歸矣。量斯勢也,不過七日,不須己逐,而自得也。 【왕필 주】 가운데에 거주하며 바른데[正]를 밟고 문명의 성함에 처하면서 구5(九五)에 응(應)하니 음(陰)의 빛이 성대한 자이다. 그러나 초구(初九)와 구3(九三)의 사이에 거주하면서 가까운데도 서로 얻지 못하고 위로는 구3(九三)을 받들지 않고 아래로는 초구(初九)와 친하지 않다. 그[六二]는 빛이 성한 음(陰)으로써 두 양(陽)의 사이에 처하여 가까우면서도 서로 [뜻을] 얻지 못하니 침탈을 잘 당함이 없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머리꾸미개를 잃었다.”라고 말한 것이다. 부인을 칭한 것은, 그로써 스스로 남편이 있음을 밝혀서 타인이 침탈을 하였음이다. 불(茀, 풀 우거질 불)은 머리꾸미개이다. 그[六二]는 중도(中道)로써 곧고 바름을 지키는데도 침탈을 당한 것은, 무리가 도와주는 바이지만, 기제(旣濟)의 때에 처하여 간사한 도(道)를 용납하지 않은 자이기 때문이다. 때가 이미 밝음이 높고 여럿이 또 도와주어서 도둑질한 자가 도망가 숨어서 돌아오지 못한다. 이 형세를 헤아려보면 7일을 지나지 않고 결국 자기가 쫓아가지 않더라도 스스로 얻을 것이다. |
[孔穎達 疏]「六二」至「七日得」。 ○正義曰:「婦喪其茀,勿逐,七日得」者,茀者,婦人之首飾也。六二居中履正,處文明之盛,而應乎五,陰之光盛者也,然居初、三之間,而近不相得。夫以光盛之陰,處於二陽之間,近而不相得,能無見侵乎?故曰「婦喪其茀」。稱「婦」者,以明自有夫,而他人侵之也。夫以中道執乎貞正,而見侵者,物之所助也。處既濟之時,不容邪道者也。時既明峻,眾又助之,竊之者逃竄而莫之歸矣。量斯勢也,不過七日,不須已逐而自得,故曰:「勿逐,七日得」。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이(六二)에서 칠일득(七日得)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부인이 그 머리꾸미개를 잃었는데, 쫓아가지 말라, 칠일 만에 얻는다[婦喪其茀 勿逐 七日得]”라는 것의, ‘불(茀, 풀 우거질 불)’은 부인의 머리꾸미개이다. 육2(六二)가 가운데에 거주하여 바른데[正]를 밟고 문명(文明)의 성(盛)함에 처하면서 구5(九五)에 응(應)하니, 음(陰)의 빛이 성(盛)한 자이다. 그러나 초구(初九)와 구3(九三)의 사이에 거주하여서 가까이 서로 [뜻을] 얻지 못함이다. 그[六二]는 빛이 성(盛)한 음(陰)으로써 두 양(陽)의 사이에 처하여 가까우면서도 서로 [뜻을] 얻지 못하니 침탈을 당함이 없겠는가? 그러므로 “부인이 그 머리꾸미개를 잃었다[婦喪其茀]”라고 말한 것이다. 부인을 칭한 것은, 그로써 스스로 남편이 있음을 밝혀서 타인이 침탈을 하였음이다. 그[六二]는 중도(中道)로써 곧고 바름을 지키는데도 침탈을 당한 것은, 남들[사물]이 도와주는 바이지만, 기제(旣濟)의 때에 처하여 간사한 도(道)를 용납하지 않은 자이기 때문이다. 때가 이미 밝음이 높고 여럿이 또 도와주어서 도둑질한 자가 도망가 숨어서 돌아오지 못한다. 이 형세를 헤아려보면 7일을 지나지 않고 결국 자기가 쫓아가지 않더라도 스스로 얻기 때문에 “쫓아가지 말라 7일 만에 얻는다[勿逐,七日得]”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七日得,以中道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칠일 만에 얻음은, 가운데 도[中道]로써 했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以中道」者,釋不須追逐而自得者,以執守中道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가운데 도[中道]로써 했음이다[以中道]”라는 것은, 결국 쫓아 따라가지 않아도 스스로 얻는 자이며 중도(中道)의 연고(緣故)를 잡음으로써 지킴을 해석한 것이다.」 |
[孔穎達 疏] 「六二」至「七日得」。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이(六二)에서 칠일득(七日得)까지.}
○正義曰:「婦喪其茀,勿逐,七日得」者,茀者,婦人之首飾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부인이 그 머리꾸미개를 잃었는데, 쫓아가지 말라, 칠일 만에 얻는다[婦喪其茀 勿逐 七日得]”라는 것의, ‘불(茀, 풀 우거질 불)’은 부인의 머리꾸미개이다.
六二居中履正,處文明之盛,而應乎五,陰之光盛者也,然居初、三之間,而近不相得。
육2(六二)가 가운데에 거주하여 바른데[正]를 밟고 문명(文明)의 성(盛)함에 처하면서 구5(九五)에 응(應)하니, 음(陰)의 빛이 성(盛)한 자이다. 그러나 초구(初九)와 구3(九三)의 사이에 거주하여서 가까이 서로 [뜻을] 얻지 못함이다.
夫以光盛之陰,處於二陽之間,近而不相得,能無見侵乎?故曰「婦喪其茀」。
그[六二]는 빛이 성(盛)한 음(陰)으로써 두 양(陽)의 사이에 처하여 가까우면서도 서로 [뜻을] 얻지 못하니 침탈을 당함이 없겠는가? 그러므로 “부인이 그 머리꾸미개를 잃었다[婦喪其茀]”라고 말한 것이다.
稱「婦」者,以明自有夫,而他人侵之也。夫以中道執乎貞正,而見侵者,物之所助也。處既濟之時,不容邪道者也。
부인을 칭한 것은, 그로써 스스로 남편이 있음을 밝혀서 타인이 침탈을 하였음이다. 그[六二]는 중도(中道)로써 곧고 바름을 지키는데도 침탈을 당한 것은, 남들[사물]이 도와주는 바이지만, 기제(旣濟)의 때에 처하여 간사한 도(道)를 용납하지 않은 자이기 때문이다.
時既明峻,眾又助之,竊之者逃竄而莫之歸矣。量斯勢也,不過七日,不須已逐而自得,故曰:「勿逐,七日得」。
때가 이미 밝음이 높고 여럿이 또 도와주어서 도둑질한 자가 도망가 숨어서 돌아오지 못한다. 이 형세를 헤아려보면 7일을 지나지 않고 결국 자기가 쫓아가지 않더라도 스스로 얻기 때문에 “쫓아가지 말라 7일 만에 얻는다[勿逐,七日得]”라고 말한 것이다.」
九三,高宗伐鬼方,三年克之,小人勿用。 구삼(九三)은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삼년 만에 이겼는데, 소인(小人)은 쓰지 말아야 한다. 【王弼 注】 處既濟之時,居文明之終,履得其位,是居衰末而能濟者,故伐鬼方三年乃克也*。君子處之,故能興也,小人居之,遂喪邦也。 *「故伐鬼方三年乃克」或作「故高宗伐鬼方三年乃克」。 【왕필 주】 기제(既濟)의 때에 처하고, 문명의 끝에 거주하며, 밟은데가 그 지위를 얻었음은, 바로 쇠약해지는 끝에 거주하여서 잘 구제하는 자이기 때문에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삼년 만에 마침내 이겼음이다. 군자가 처하였기 때문에 잘 흥하고 소인이 거주를 하면 드디어 나라를 잃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高宗伐鬼方,三年克之」者,高宗者,殷王武丁之號也。九三處既濟之時,居文明之終,履得其位,是居衰末,而能濟者也。高宗伐鬼方,以中興殷道,事同此爻,故取譬焉。高宗德實文明,而勢甚衰憊,不能即勝,三年乃克,故曰「高宗伐鬼方,三年克之」也。「小人勿用」者,勢既衰弱,君子處之,能建功立德,故興而復之,小人居之,日就危亂,必喪邦也,故曰「小人勿用」。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삼년 만에 이겼는데[高宗伐鬼方 三年克之]”라는 것은, ‘고종(高宗)’은 은(殷)나라 왕(王) 무정(武丁)의 시호(諡號)이다. 구3(九三)이 기제(旣濟)의 때에 처하고 문명(文明)의 끝에 거주하며 밟은데가 그 지위를 얻었음은, 바로 쇠퇴(衰退)하는 끝에 거주하면서 잘 구제(救濟)하는 자이며,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그로써 은(殷)나라의 도(道)를 중흥(中興)하였는데, 일이 이 효(爻)와 같기 때문에 취하여 그에 비유한 것이다. 고종(高宗)의 덕(德)이 실로 문명(文明)하였으나 세력이 심히 쇠하고 고단하여 즉시 잘 이기지 못하고 3년 만에 비로소 이겼기 때문에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3년 만에 이겼다[高宗伐鬼方,三年克之]”라고 말한 것이다. “소인(小人)은 쓰지 말아야 한다[小人勿用]”라는 것은, 세력이 이미 쇠약하여, 군자(君子)가 그곳에 처하면 공(功)을 세우고 덕(德)을 잘 수립하기 때문에 일으켜서 회복을 하지만, 소인(小人)이 거주를 하면 날로 위태로움과 혼란함에 나아가 반드시 나라를 잃는다. 그러므로 “소인은 쓰지 말아야 한다[小人勿用]”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三年克之,憊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삼년 만에 이겼음은, 고단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憊也」者,以衰憊之故,故三年乃克之。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고단함이다[憊也]”라는 것은, 그로써 쇠하고 고단함의 연고(緣故)이기 때문에 3년 만에 비로소 이긴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高宗伐鬼方,三年克之」者,高宗者,殷王武丁之號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삼년 만에 이겼는데[高宗伐鬼方 三年克之]”라는 것은, ‘고종(高宗)’은 은(殷)나라 왕(王) 무정(武丁)의 시호(諡號)이다.
九三處既濟之時,居文明之終,履得其位,是居衰末,而能濟者也。高宗伐鬼方,以中興殷道,事同此爻,故取譬焉。
구3(九三)이 기제(旣濟)의 때에 처하고 문명(文明)의 끝에 거주하며 밟은데가 그 지위를 얻었음은, 바로 쇠퇴(衰退)하는 끝에 거주하면서 잘 구제(救濟)하는 자이며,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그로써 은(殷)나라의 도(道)를 중흥(中興)하였는데, 일이 이 효(爻)와 같기 때문에 취하여 그에 비유한 것이다.
高宗德實文明,而勢甚衰憊,不能即勝,三年乃克,故曰「高宗伐鬼方,三年克之」也。
고종(高宗)의 덕(德)이 실로 문명(文明)하였으나 세력이 심히 쇠하고 고단하여 즉시 잘 이기지 못하고 3년 만에 비로소 이겼기 때문에 “고종(高宗)이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3년 만에 이겼다[高宗伐鬼方,三年克之]”라고 말한 것이다.
「小人勿用」者,勢既衰弱,君子處之,能建功立德,故興而復之,小人居之,日就危亂,必喪邦也,故曰「小人勿用」。
“소인(小人)은 쓰지 말아야 한다[小人勿用]”라는 것은, 세력이 이미 쇠약하여, 군자(君子)가 그곳에 처하면 공(功)을 세우고 덕(德)을 잘 수립하기 때문에 일으켜서 회복을 하지만, 소인(小人)이 거주를 하면 날로 위태로움과 혼란함에 나아가 반드시 나라를 잃는다. 그러므로 “소인은 쓰지 말아야 한다[小人勿用]”라고 말한 것이다.」
六四,繻有衣袽,終日戒。 육사(六四)는 [배가 물이 새어] 젖으니 옷과 헌옷을 가지고 종일 경계한다. 【王弼 注】 繻宜曰濡。衣袽,所以塞舟漏也。履得其正,而近不與三五相得。夫有隙之棄舟而得濟者,有衣袽也。鄰於不親而得全者,終日戒也。 【왕필 주】 유(繻, 고운 명주 유)는 마땅히 유(濡, 적실 유)를 말함이고, 옷과 헌옷[衣袽]은 배가 물이 새는 데를 막는 까닭이다. 밟은데가 그 바름을 얻었는데도 가까운 구3(九三)과 구5(九五)와 더블어 서로 얻지 못하니, 그 틈이 있는 배를 버려야 하는데도 건넘[濟]을 얻는 것은 옷과 헌옷이 있어서이다. 이웃이 친하지 않음에도 온전함을 얻는 것은 종일 경계해서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繻有衣袽,終日戒」者,王注云「繻,宜曰濡,衣袽,所以塞舟漏」者也。六四處既濟之時,履得其位,而近不與三五相得,如在舟而漏矣。而舟漏則濡濕,所以得濟者,有衣袽也。鄰於不親,而得全者,終日戒也,故曰「繻有衣袽,終日戒」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배가 물이 새어] 젖으니 옷과 헌옷을 가지고 종일 경계한다[繻有衣袽 終日戒]”라는 것은, 왕보사[王輔嗣(王弼)]의 주(注)에 이르기를 “유(繻, 고운 명주 유)는 마땅히 유(濡, 적실 유)를 말함이고, 옷과 헌옷[衣袽]은 배가 물이 새는 데를 막는 까닭이다”라고 한 것이다. 육4(六四)가 기제(旣濟)의 때에 처하여 밟은데가 그 지위를 얻었는데도 가까운 구3(九三)과 구5(九五)와 더블어 서로 얻지 못하니, 배에 있으면서 물이 새는 것과 같음이다. 그리고 배가 물이 새면 젖어서 축축해지는데도 건너게 되는 것의 까닭은 옷과 헌옷이 있음이다. 친하지 않은 이웃인데도 온전함을 얻는 것은 종일 경계를 함이다. 그러므로 “〈배가 물이 새어〉 젖으니 옷과 헌옷을 가지고 종일 경계한다[繻有衣袽 終日戒]”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終日戒,有所疑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종일 경계함은, 의심할 바가 있어서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有所疑」者,釋所以「終日戒」,以不與三、五相得,懼其侵克,有所疑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의심할 바가 있어서이다[有所疑]”라는 것은, ‘종일토록 경계함’의 까닭을 해석함이며, 구5(九五)와 더블어 서로 얻지 못함으로써 그들이 침탈하여 이기려할까 두려워 연고(緣故)를 의심하는 바가 있음이다.」 |
九五,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 구오(九五)는 동쪽 이웃이 소를 잡았는데도 서쪽 이웃이 검소한 제사를 지내고 그 복을 알차게 받음만 못하다. 【王弼 注】 牛,祭之盛者也。禴,祭之薄者也。居既濟之時,而處尊位,物皆濟矣。將何為焉?其所務者,祭祀而已。祭祀之盛,莫盛脩德,故沼沚之毛,蘋蘩之菜,可羞於鬼神。故黍稷非馨,明德惟馨。是以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也。 【왕필 주】 소[牛]는 제사가 성(盛)한 것이고, 약(禴)은 제사가 박(薄)한 것이다. 기제(既濟)의 때에 거주하면서 높은 자리에 처하며 사물을 모두 구제함이다. 장차 어찌 그것을 하겠는가? 그 힘쓸 바라는 것은 제사일 뿐이다. 제사의 성(盛)함은 덕(德)을 닦음보다 성함이 없기 때문에 연못과 물가의 물풀[芼]과 개구리밥과 산흰쑥의 나물을 귀신에게 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기장과 피가 향기로움이 아니고 밝은 덕(德)이 오직 향기로움이다. 이로써 동쪽 이웃이 소를 잡았는데도 서쪽 이웃이 검소한 제사를 지내고 그 복을 알차게 받음만 못함이다. |
[孔穎達 疏]「九五東鄰」至「受其福」。 ○正義曰:牛,祭之盛者也。禴,殷春祭之名,祭之薄者也。九五居既濟之時,而處尊位,物既濟矣,將何為焉?其所務者,祭祀而已。祭祀之盛,莫盛脩德。九五履正居中,動不為妄,脩德者也。苟能脩德,雖薄可饗。假有東鄰不能脩德,雖復殺牛至盛,不為鬼神歆饗;不如我西鄰禴祭雖薄,能脩其德,故神明降福,故曰「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也。 ○注「沼沚之毛」至「鬼神」。 ○正義曰:「沼沚之毛,蘋蘩之菜,可羞於鬼神」者,並略《左傳》之文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오동린(九五東隣)에서 수기복(受其福)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牛]’는 제물 중에 성(盛)한 것이고, ‘약(禴, 봄 제사 약)’은 은(殷)나라 봄 제사의 이름이며, 제사 중에 엷은 것이다. 구5(九五)가 기제(旣濟)의 때에 거주하면서 높은 지위에 처해서 사물이 이미 구제되었으니, 장차 거기에 무엇을 하겠는가? 그 힘쓸 곳이라는 것은 제사(祭祀)뿐이다. 제사의 성(盛)함은, 덕(德)을 닦는 것보다 성(盛)함이 없다. 구5(九五)가 바른데[正位]를 밟고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움직임이 망령됨을 하지 않으니, 덕(德)을 닦는 자이다. 진실로 덕(德)을 잘 닦는다면 비록 [제수(祭需)가] 박하더라도 제향할 수 있다. 가령 동쪽 이웃에서 덕(德)을 잘 닦지 못함이 있으면 비록 다시 소를 잡고 지극히 성(盛)하더라도 귀신이 흠향을 하지 않는데, 이는 우리 서쪽 이웃의 약(禴)제사가 비록 박(薄)하나 그 덕(德)을 잘 닦기 때문에 신명(神明)이 복(福)을 내리는 것만은 못하기 때문에 “동동쪽 이웃이 소를 잡았는데도 서쪽 이웃이 검소한 제사를 지내고 그 복을 알차게 받음만 못하다[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소지지모(沼沚之毛)에서 귀신(鬼神)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연못과 물가의 물풀[芼]과 개구리밥과 산흰쑥의 나물을 귀신에게 올릴 수 있다[沼沚之毛 蘋蘩之菜 可羞於鬼神]”라는 것은, 나란히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글을 요약한 것이다.」 |
《象》曰:東鄰殺牛,不如西鄰之時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동쪽 이웃이 소를 잡음은, 서쪽 이웃의 [제사가] 때맞음만 못하며, 【王弼 注】 在於合時,不在於豐也。 【왕필 주】 [제사는] 때에 부합함에 있지만 풍성함에 있지는 않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不如西鄰之時」者,神明饗德,能脩德致敬,合於祭祀之時雖薄降福,故曰時也。 ○注「在於合時」。 ○正義曰:「在於合時」者,《詩》云:「威儀孔時」。言周王廟中,群臣助祭,並皆威儀肅敬,甚得其時。此合時之義,亦當如彼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서쪽 이웃의 때맞음만 못하며[不如西隣之時]”라는 것은, 신명(神明)은 덕(德)을 흠향하니, 덕(德)을 잘 닦고 공경을 이르도록 하여 제사의 때에 부합하면 비록 [제수가] 박(薄)하더라도 복(福)을 내리기 때문에 “때에 맞다.”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재어합시(在於合時)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제사는] 때에 부합함에 있다[在於合時]”라는 것은,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위엄있는 거동이 크게 때맞다[威儀孔時]”라고 하였는데, 이는 주왕(周王)의 사당 가운데에 여러 신하들이 제사를 도우면서 나란히 모두 위엄있는 거동이 엄숙하고 공경스러워 심히 그 때맞음을 얻었음을 말한 것이며, 여기의 때맞음의 뜻에 부합함이 또한 마땅히 저[詩經]와 같은 것이다.」 |
實受其福,吉大來也。 그 복을 알차게 받음은, 길함이 크게 옴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吉大來」者,非惟當身,福流後世。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길함이 크게 옴이다[吉大來]”라는 것은, 오직 마땅히 자신뿐만 아니고 복(福)이 후세에까지 흐르는 것이다.」 |
[孔穎達 疏] 「九五東鄰」至「受其福」。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오동린(九五東隣)에서 수기복(受其福)까지.}
○正義曰:牛,祭之盛者也。禴,殷春祭之名,祭之薄者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牛]’는 제물 중에 성(盛)한 것이고, ‘약(禴, 봄 제사 약)’은 은(殷)나라 봄 제사의 이름이며, 제사 중에 엷은 것이다.
九五居既濟之時,而處尊位,物既濟矣,將何為焉?其所務者,祭祀而已。
구5(九五)가 기제(旣濟)의 때에 거주하면서 높은 지위에 처해서 사물이 이미 구제되었으니, 장차 거기에 무엇을 하겠는가? 그 힘쓸 곳이라는 것은 제사(祭祀)뿐이다.
祭祀之盛,莫盛脩德。九五履正居中,動不為妄,脩德者也。苟能脩德,雖薄可饗。
제사의 성(盛)함은, 덕(德)을 닦는 것보다 성(盛)함이 없다. 구5(九五)가 바른데[正位]를 밟고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움직임이 망령됨을 하지 않으니, 덕(德)을 닦는 자이다. 진실로 덕(德)을 잘 닦는다면 비록 [제수(祭需)가] 박하더라도 제향할 수 있다.
假有東鄰不能脩德,雖復殺牛至盛,不為鬼神歆饗;不如我西鄰禴祭雖薄,能脩其德,故神明降福,故曰「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也。
가령 동쪽 이웃에서 덕(德)을 잘 닦지 못함이 있으면 비록 다시 소를 잡고 지극히 성(盛)하더라도 귀신이 흠향을 하지 않는데, 이는 우리 서쪽 이웃의 약(禴)제사가 비록 박(薄)하나 그 덕(德)을 잘 닦기 때문에 신명(神明)이 복(福)을 내리는 것만은 못하기 때문에 “동동쪽 이웃이 소를 잡았는데도 서쪽 이웃이 검소한 제사를 지내고 그 복을 알차게 받음만 못하다[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라고 말한 것이다.」
○注「沼沚之毛」至「鬼神」。
○ 【왕필 주(王弼 注)】의 “소지지모(沼沚之毛)에서 귀신(鬼神)까지”
○正義曰:「沼沚之毛,蘋蘩之菜,可羞於鬼神」者,並略《左傳》之文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연못과 물가의 물풀[芼]과 개구리밥과 산흰쑥의 나물을 귀신에게 올릴 수 있다[沼沚之毛 蘋蘩之菜 可羞於鬼神]”라는 것은, 나란히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글을 요약한 것이다.」
上六,濡其首,厲。 상육(上六)은 그 머리를 적시니 위태롭다. 【王弼 注】 處既濟之極,既濟道窮,則之於未濟,則首先犯焉。過進不已*,則遇於難,故濡其首也。將沒不久,危莫先焉。 *「過進不已」或作「過而不已」。 【왕필 주】 기제(既濟)의 꼭대기에 처하며 기제(既濟)의 도(道)를 다하면 미제(未濟)에 가는데 곧 머리가 그곳을 먼저 범한다. 지나치게 나아가고 그치지 않으면 어려움을 만나기 때문에 그 머리를 적신다. 장차 오래하지 않아 빠지니 위태함이 그보다 앞서는게 없다. |
[孔穎達 疏]正義曰:上六處既濟之極,則反於未濟。若反於未濟,則首先犯焉。若進而不已,必遇於難,故濡其首也。既被濡首,將沒不久,危莫先焉,故曰:「濡其首,厲」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상육(上六)이 기제(旣濟)의 꼭대기에 처하였으면 미제(未濟)로 돌아가는데, 만약 미제(未濟)로 돌아가면 머리가 먼저 그곳을 범한다. 만약 나아가면서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어려움을 만나기 때문에 그 머리를 적시는 것이다. 이미 머리가 적심을 당하면 장차 오래지 않아 침몰하니, 위태로움이 그것 보다 앞섬이 없기 때문에 “그 머리를 적시니 위태롭다[濡其首,厲]”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濡其首厲,何可久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그 머리를 적셔서 위태로움은, 어찌 오래할 수 있겠는가?” |
[孔穎達 疏]正義曰:「何可久」者,首既被濡,身將陷沒,何可久長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어찌 오래할 수 있겠는가?[何可久]”라는 것은, 머리가 이미 적셔지면 몸이 장차 잠기어 빠지니, 어찌 오래 길게할 수 있겠는가 ?」 |
'■ 주역(周易) > 3.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64. 미제괘(未濟卦)[화수미제]/周易正義 (1) | 2022.11.10 |
---|---|
주역 62. 소과괘(小過卦)[뇌산소과]/周易正義 (1) | 2022.11.07 |
주역 61. 중부괘(中孚卦)[풍택중부]/周易正義 (0) | 2022.11.06 |
주역 60. 절괘(節卦)[수택절]/周易正義 (1) | 2022.11.05 |
주역 58. 태괘(兌卦)[중택태]/周易正義 (1)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