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주역정의(周易正義)》는 왕필(王弼, 226~249)의 주역 주(注)를 채용하여 공영달(孔穎達, 574~648)이 주석(注釋)을 하여 지었다.
62. 소과괘(小過卦)[卦象:뇌산소과]
☳ 震上
☶ 艮下
간(艮)[山.산]이 아래에 있고, 진(震)[雷.우뢰]이 위에 있다.
小過 亨,利貞。可小事,不可大事。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 소과(小過)는 형통하고 곧음이 이로우니,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 【王弼 注】 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上愈无所適,下則得安。愈上則愈窮,莫若飛鳥也。 【왕필 주】 새가 그 소리를 잃고 날아가며 슬픈 소리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 올라가면 맞이하는 바 없어 구차(苟且)하지만 내려오면 편안함을 얻는다. 올라감이 구차(苟且)하면 아래[窮]가 구차함이 나는 새 보다 더함이 없다. |
[孔穎達 疏]「小過亨」至「大吉」。 ○正義曰:「小過,亨」者,「小過」,卦名也。王於《大過》卦下注云:「音相過之過」。恐人作罪過之義,故以音之。然則「小過」之義,亦與彼同也。過之小事,謂之小過,即「行過乎恭,喪過乎哀」之謂是也。褚氏云:「謂小人之行,小有過差,君子為過厚之行以矯之也,如晏子狐裘之比也。」此因小人有過差,故君子為過厚之行,非即以過差釋卦名。《彖》曰「小過,小者過而亨」,言因過得亨,明非罪過,故王於大過音之,明雖義兼罪過得名,上在君子為過行也。而周氏等不悟此理,兼以罪過釋卦名,失之遠矣。過為小事,道乃可通,故曰「小過,亨」也。「利貞」者,矯世勵俗,利在歸正,故曰「利貞」也。「可小事,不可大事」者,時也。小有過差,惟可矯以小事,不可正以大事,故曰「可小事,不可大事」也。「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者,借喻以明過厚之行,有吉有凶。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過上則愈無所適,過下則不失其安,以譬君子處過差之時,為過厚之行,順而立之則吉,逆而忤鱗則凶,故曰:「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順則執卑守下,逆則犯君陵上,故以臣之逆順,類鳥之上下也。 ○注「飛鳥」至「求處」。 ○正義曰:「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者,遺,失也。鳥之失聲,必是窮迫,未得安處。《論語》曰:「鳥之將死,其鳴也哀。」故知遺音即哀聲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소과형(小過亨)에서 대길(大吉)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과(小過)는 형통하고[小過 亨]”라는 것은, ‘소과(小過)’는 괘(卦)의 이름이다. 왕보사[王輔嗣(王弼)]는 대과(大過)괘 아래의 주(注)에 이르기를 “음(音)이 상과(相過)의 과(過)이다.”라고 하였는데, 사람들이 죄와 허물의 뜻으로 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그로써 음(音)을 하였다. 그렇다면 소과(小過)의 뜻이 또한 저[大過卦]와 같은 것이다. 작은 일에 지나침을 일컫기를 ‘소과(小過)’라 하니, 바로 [象傳에서] ‘행실은 공손함을 지나치게 하고 초상은 슬픔을 지나치게 한다.’라고 한 말이 이것이다.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소인(小人)의 행실에 조금 잘못[過差]이 있으면 군자(君子)가 행실을 지나치게 후하게 하여 그로써 바로잡아 주는데, 안자(晏子)가 여우 갓옷을 입었다는 비유와 같은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소인에게 잘못[過差]을 말미암았기 때문에 군자가 행실을 지나치게 후하게 하였으니, 곧바로 잘못[過差]을 가지고 괘(卦)의 이름을 해석한 것이 아니다. 〈단전(彖傳)〉에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지나쳐서 형통하다.”라고 말하였으니, 지나침을 말미암아 형통함을 얻음을 말하여 죄(罪)와 허물[過]이 아님을 밝혔기 때문에 왕보사(王輔嗣)가 대과(大過)괘에 음(音)을 달아서 비록 [過의] 뜻이 죄(罪)와 허물[過]을 겸하여 이름을 얻었으나 위[소과(小過)괘]에서 군자에 있어서 지나친 행실이 됨을 밝힌 것이다. 그런데 주씨[周氏(周宏正)] 등은 이러한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 그로써 죄(罪)와 허물[過]을 겸하여 괘(卦)의 이름을 해석하였으니, 크게 잘못되었다. 작은 일을 지나치게 하면 도(道)가 비로소 통할 수 있기 때문에 “소과(小過)는 형통하다[小過,亨]”라고 말한 것이다. “곧음이 이로우니[利貞]”라는 것은, 세상을 바로잡아 풍속을 장려(奬勵)함은 이로움이 바름으로 돌아감에 있기 때문에 “곧음이 이롭다[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可小事 不可大事]”라는 것은, 때맞음이며 조금 잘못[過差]이 있으면 오직 그로써 작은 일을 바로잡을 수 있지만 그로써 큰 일을 바로잡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可小事 不可大事]”라고 말한 것이다.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 大吉]”라는 것은, 비유함에 기대어 그로써 지나치게 후한 행실에 길함이 있고 흉함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새가 그 음성을 잃고 날아가며 슬퍼함으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 지나치게 올라가면 갈 곳이 없어서 구차하고 지나치게 내려오면 그 편안함을 잃지 않으니, 그로써 군자(君子)가 잘못[過差]에 처하는 때에 지나치게 후한 행실을 하여 순(順)히 하여서 세워 나가면 길하고 거슬러서 비늘을 건드리면 흉함을 비유하였기 때문에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 大吉]”라고 말한 것이다. 순(順)하면 낮춤을 잡아 아래를 지키고, 거스르면 군주를 범하고 윗쪽을 능멸하기 때문에 그로써 신하의 거역[逆]하고 순응[順]함이 새의 올라가고 내려옴과 비슷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비조(飛鳥)에서 구처(求處)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새가 그 소리를 잃고 날아가며 슬픈 소리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飛鳥遺其音 聲哀以求處]”라는 것은, ‘유(遺, 남길 유)’는 잃음이다. 새가 그 소리를 잃음은 반드시 궁하고 절박(切迫)하여 편안한 처할데를 얻지 못함이다. ≪논어(論語)≫에 “새가 장차 죽을 적에 그 울음소리가 슬프다.”라고 말하였기 때문에 ‘유음(遺音)’이 바로 슬픈 소리임을 아는 것이다.」 |
[孔穎達 疏] 「小過亨」至「大吉」。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소과형(小過亨)에서 대길(大吉)까지.}
○正義曰:「小過,亨」者,「小過」,卦名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과(小過)는 형통하고[小過 亨]”라는 것은, ‘소과(小過)’는 괘(卦)의 이름이다.
王於《大過》卦下注云:「音相過之過」。恐人作罪過之義,故以音之。然則「小過」之義,亦與彼同也。
왕보사[王輔嗣(王弼)]는 대과(大過)괘 아래의 주(注)에 이르기를 “음(音)이 상과(相過)의 과(過)이다.”라고 하였는데, 사람들이 죄와 허물의 뜻으로 할까 두려웠기 때문에 그로써 음(音)을 하였다. 그렇다면 소과(小過)의 뜻이 또한 저[大過卦]와 같은 것이다.
過之小事,謂之小過,即「行過乎恭,喪過乎哀」之謂是也。
작은 일에 지나침을 일컫기를 ‘소과(小過)’라 하니, 바로 [象傳에서] ‘행실은 공손함을 지나치게 하고 초상은 슬픔을 지나치게 한다.’라고 한 말이 이것이다.
褚氏云:「謂小人之行,小有過差,君子為過厚之行以矯之也,如晏子狐裘之比也。」此因小人有過差,故君子為過厚之行,非即以過差釋卦名。
저씨[褚氏(褚仲都)]가 이르기를 “소인(小人)의 행실에 조금 잘못[過差]이 있으면 군자(君子)가 행실을 지나치게 후하게 하여 그로써 바로잡아 주는데, 안자(晏子)가 여우 갓옷을 입었다는 비유와 같은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소인에게 잘못[過差]을 말미암았기 때문에 군자가 행실을 지나치게 후하게 하였으니, 곧바로 잘못[過差]을 가지고 괘(卦)의 이름을 해석한 것이 아니다.
《彖》曰「小過,小者過而亨」,言因過得亨,明非罪過,故王於大過音之,明雖義兼罪過得名,上在君子為過行也。
〈단전(彖傳)〉에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지나쳐서 형통하다.”라고 말하였으니, 지나침을 말미암아 형통함을 얻음을 말하여 죄(罪)와 허물[過]이 아님을 밝혔기 때문에 왕보사(王輔嗣)가 대과(大過)괘에 음(音)을 달아서 비록 [過의] 뜻이 죄(罪)와 허물[過]을 겸하여 이름을 얻었으나 위[소과(小過)괘]에서 군자에 있어서 지나친 행실이 됨을 밝힌 것이다.
而周氏等不悟此理,兼以罪過釋卦名,失之遠矣。過為小事,道乃可通,故曰「小過,亨」也。
그런데 주씨[周氏(周宏正)] 등은 이러한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 그로써 죄(罪)와 허물[過]을 겸하여 괘(卦)의 이름을 해석하였으니, 크게 잘못되었다. 작은 일을 지나치게 하면 도(道)가 비로소 통할 수 있기 때문에 “소과(小過)는 형통하다[小過,亨]”라고 말한 것이다.
「利貞」者,矯世勵俗,利在歸正,故曰「利貞」也。
“곧음이 이로우니[利貞]”라는 것은, 세상을 바로잡아 풍속을 장려(奬勵)함은 이로움이 바름으로 돌아감에 있기 때문에 “곧음이 이롭다[利貞]”라고 말한 것이다.
「可小事,不可大事」者,時也。小有過差,惟可矯以小事,不可正以大事,故曰「可小事,不可大事」也。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可小事 不可大事]”라는 것은, 때맞음이며 조금 잘못[過差]이 있으면 오직 그로써 작은 일을 바로잡을 수 있지만 그로써 큰 일을 바로잡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작은 일은 할 수 있으나 큰일은 할 수 없다[可小事 不可大事]”라고 말한 것이다.
「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者,借喻以明過厚之行,有吉有凶。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 大吉]”라는 것은, 비유함에 기대어 그로써 지나치게 후한 행실에 길함이 있고 흉함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過上則愈無所適,過下則不失其安,以譬君子處過差之時,為過厚之行,順而立之則吉,逆而忤鱗則凶,故曰:「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
새가 그 음성을 잃고 날아가며 슬퍼함으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 지나치게 올라가면 갈 곳이 없어서 구차하고 지나치게 내려오면 그 편안함을 잃지 않으니, 그로써 군자(君子)가 잘못[過差]에 처하는 때에 지나치게 후한 행실을 하여 순(順)히 하여서 세워 나가면 길하고 거슬러서 비늘을 건드리면 흉함을 비유하였기 때문에 “새가 소리를 잃고 날아가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지만 내려오면 마땅하며 크게 길하다[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 大吉]”라고 말한 것이다.
順則執卑守下,逆則犯君陵上,故以臣之逆順,類鳥之上下也。
순(順)하면 낮춤을 잡아 아래를 지키고, 거스르면 군주를 범하고 윗쪽을 능멸하기 때문에 그로써 신하의 거역[逆]하고 순응[順]함이 새의 올라가고 내려옴과 비슷한 것이다.」
○注「飛鳥」至「求處」。
○ 【왕필 주(王弼 注)】의 “비조(飛鳥)에서 구처(求處)까지”
○正義曰:「飛鳥遺其音,聲哀以求處」者,遺,失也。鳥之失聲,必是窮迫,未得安處。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새가 그 소리를 잃고 날아가며 슬픈 소리로써 처할데를 구하는데[飛鳥遺其音 聲哀以求處]”라는 것은, ‘유(遺, 남길 유)’는 잃음이다. 새가 그 소리를 잃음은 반드시 궁하고 절박(切迫)하여 편안한 처할데를 얻지 못함이다.
《論語》曰:「鳥之將死,其鳴也哀。」故知遺音即哀聲也。
≪논어(論語)≫에 “새가 장차 죽을 적에 그 울음소리가 슬프다.”라고 말하였기 때문에 ‘유음(遺音)’이 바로 슬픈 소리임을 아는 것이다.」
《彖》曰:小過,小者過而亨也。 《단전(彖傳)》에서 말하였다.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지나치면서 형통함이고, 【王弼 注】 小者,謂凡諸小事也。過於小事而通者也。 【왕필 주】 작은 것은, 모든 여러 작은 일을 말하는데 작은 일에 지나쳐서 통하는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釋小過之名也。並明小過有亨德之義,過行小事謂之小過,順時矯俗,雖過而通,故曰「小者過而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소과(小過)의 이름을 해석한 것이다. 소과(小過)에 형통한 덕(德)의 뜻이 있음을 아울러 밝혔으니, 작은 일을 지나치게 행함을 일컫기를 ‘소과(小過)’라고 하니, 때를 따르[順]고 풍속을 바로잡음은 비록 지나치더라도 통하기 때문에 “작은 것은 지나치면서 형통하다[小者過而亨]”라고 말한 것이다.」 |
過, 以利貞與時行也。 지나침은 곧음이 이로움으로써 때와 더블어 행함이다. 【王弼 注】 過而得以利貞,應時宜也。施過於恭儉,利貞者也。 【왕필 주】 지나쳐서 곧음이 이로움으로써 얻음은, 응(應)하는 때가 마땅함이다. 지나침을 공손과 검소함에 베풂이 곧음이 이로운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釋利貞之德,由為過行而得利貞。然矯枉過正,應時所宜,不可常也,故曰「與時行」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곧음이 이로움의 덕(德)이 지나치게 행하게 됨을 말미암아서 곧음이 이로움을 얻음을 해석하였다. 그러나 굽은데를 바로잡으며 바름을 지나치게 함은 때가 마땅한 바에 응(應)하고 항상 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때와 더블어 행함이다[與時行]”라고 말한 것이다. |
柔得中,是以小事吉也。剛失位而不中,是以不可大事也。 부드러움[陰]이 가운데를 얻었으니 이로써 작은 일이 길함이고, 굳셈[陽]이 지위를 잃고서 가운데[中]하지 못하니 이로써 큰 일은 할 수 없다. 【王弼 注】 成大事者,必在剛也。柔而浸大,剝之道也。 【왕필 주】 큰 일을 이루는 자는 반드시 굳셈[剛]에 있으니, 부드러우면서 잠기어 커짐은 벗겨지는 도(道)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就六二、六五以柔居中,九四失位不中,九三得位不中,釋「可小事,不可大事」之義。柔順之人,惟能行小事,柔而得中,是行小中時,故曰「小事吉」也。剛健之人,乃能行大事,失位不中,是行大不中時,故曰「不可大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육2(六二)와 육5(六五)가 부드러움으로써 가운데[中]에 거주하고 구4(九四)가 바른자리[正位]를 잃고 가운데[中]하지 못하며 구3(九三)이 바른자리[正位]를 얻었으나 가운데[中]하지는 못함을 가지고 ‘작은 일은 할 수 있지만 큰 일은 안 됨[可小事 不可大事]’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부드럽게 따르[柔順]는 사람은 오직 작은 일을 잘 행하지만, 부드러우면서 가운데[中]를 얻었음은 바로 작게 행하지만 때에 알맞기 때문에 “작은 일이 길하다[小事吉]”라고 말한 것이다. 건강(剛健)한 사람이 비로소 큰 일을 잘 행함은, 바른자리[正位]를 잃고 가운데[中]하지 못하니 이는 크게 행하여 때에 알맞지 못하기 때문에 “큰 일은 안 된다[不可大事]”라고 말한 것이다.」 |
有飛鳥之象焉, 나는 새의 모습[象]이 그곳에 있다. 【王弼 注】不宜上,宜下,即飛鳥之象。 【왕필 주】올라감은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함이 바로 날아가는 새의 모습[象]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釋不取餘物為況,惟取「飛鳥」者,以不宜上,宜下,有飛鳥之象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다른 물건을 취하여 상황(狀況)을 삼지 않고 오직 나는 새를 취한 것은, 올라감은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함을 가지고 나는 새의 모습[象]이 있기 때문임을 해석한 것이다. |
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上逆而下順也。 '나는 새가 소리를 남기는데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하며 크게 길함'은, 올라감은 거스름이지만 내려감은 순응함이다." 【王弼 注】 上則乘剛,逆也;下則承陽,順也。施過於不順,凶莫大焉;施過於順,過更變而為吉也。 【왕필 주】 올라가면 굳셈을 타니 거스름이고, 내려오면 양(陽)을 받드니 순응함이다. 지나침을 순하지 않음에 베풀면 흉함이 이보다 큰 것이 없고, 지나침을 순함에 베풀면 지나침을 고쳐 변하여서 길함이 된다. |
[孔穎達 疏]正義曰:此就六五乘九四之剛,六二承九三之陽,釋所以「不宜上,宜下,大吉」之義也。上則乘剛而逆,下則承陽而順,故曰「不宜上,宜下,大吉」,以上逆而下順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는 육5(六五)가 구4(九四)의 굳셈을 탐과 육2(六二)가 구3(九三)의 양(陽)을 받듦을 가지고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하며 크게 길함[不宜上,宜下,大吉]’의 뜻하는 까닭을 해석한 것이다. 올라가면 굳셈을 타고서 거스르고 내려오면 양(陽)을 받들고서 따르기 때문에 “올라가면 마땅하지 않고 내려와야 마땅하며 크게 길함[不宜上,宜下,大吉]’은 그로써 올라가면 거스르고 내려오면 순함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山上有雷,小過。君子以行過乎恭,喪過乎哀,用過乎儉。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산 위에 우레가 있음이 소과(小過)괘인데, 군자가 그로써 행함은 공손함이 지나치게 하며 상사(喪事)는 슬픔이 지나치게 하며, 쓰임에는 검소함이 지나치게 한다.” |
[孔穎達 疏]正義曰:雷之所出,不出於地。今出山上,過其本所,故曰「小過」。小人過差,失在慢易奢侈,故君子矯之,以行過乎恭,喪過乎哀,用過平儉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우레가 나오는 곳이 땅에서 나오지 않는데, 지금 산 위에서 나오니 그 근본 장소를 지나쳤기 때문에 “소과(小過)”라고 말한 것이다. 소인(小人)의 잘못[過差]은, 잃음이 거만함으로 바뀌고 사치(奢侈)함에 있기 때문에 군자(君子)가 행실은 공손함을 지나치게 하고 초상은 슬픔을 지나치게 하며 쓰임은 검소함을 고루 지나치게 함으로써 그것을 그것을 바로잡는 것이다.」 |
初六,飛鳥以凶。 초육(初六)은 나는 새는 그로써 흉하다. 【王弼 注】 小過,上逆下順,而應在上卦。進而之逆,无所錯足,飛鳥之凶也。 【왕필 주】 소과(小過)는 올라가 거스르고 내려가 순종하면서 응(應)이 상괘(上卦)에 있는데, 나아가서 거스름에 가면 발 둘 곳이 없으니 나는 새가 흉함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小過之義,上逆下順,而初應在上卦,進而之逆,同於飛鳥,無所錯足,故曰「飛鳥以凶」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과(小過)의 뜻은, 올라가면 거스르고 내려오면 순응을 하면서 초육(初六)의 응(應)이 상괘(上卦)에 있어서 나아가서 거스름으로 감이 나는 새와 같아서 발을 둘 곳이 없기 때문에 “나는 새는 그로써 흉하다[飛鳥以凶]”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飛鳥以凶,不可如何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나는 새가 그로써 흉함은, 어찌 할 수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不可如何也」者,進而之逆,孰知不可自取凶咎,欲如何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어찌 할 수 없음이다[不可如何也]”라는 것은, 나아가서 거스름으로 가면 누가 불가함을 알겠으며 스스로 흉함과 허물을 취하였으니, 어찌 하고자 함인가?라는 것이다.」 |
六二,過其祖,遇其妣;不及其君,遇其臣 , 无咎。 육이(六二)는 그 할아버지를 지나 할머니를 만나고, 그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으나 신하를 만났으니 허물은 없다. 【王弼 注】 過而得之謂之遇。在小過而當位,過而得之謂也。祖,始也,謂初也。妣者居內履中而正者也。過初而履二位,故曰過其祖而遇其妣。過而不至於僭,盡於臣位而已,故曰不及其君,遇其臣,无咎。 【왕필 주】 지나치면서 얻게 됨을 일컫기를 "우[偶, 우연(偶然)]"라고 하며, 작은 지나침이 있으면서 자리가 마땅하니 지나치면서 얻었음을 말함이다. 할아버지[祖]는 시작이고 초육(初六)을 말함이며, 비(妣)라는 것은 안에 거주하여 가운데를 밟고서 바른 자이다. 초육(初六)을 지나서 육2(六二)의 자리를 밟았기 때문에 "그 할아버지를 지나가 할머니를 만났다."라고 말했다. 지나치면서도 주제넘음에 이르지는 않았으며 신하의 자리를 다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그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으나 신하를 만났으니 허물은 없다."라고 말했다. |
[孔穎達 疏]正義曰:過而得之謂之遇,六二在小過而當位,是過而得之也。祖,始也,謂初也。妣者,母之稱。六二居內,履中而正,固謂之妣。巳過於初,故曰「過其祖」也。履得中正,故曰「遇其妣」也。過不至於僣,盡於臣位而已,故曰「不及其君,遇其臣,無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나치면서 얻게 됨을 일컫기를 "우[偶, 우연(偶然)]"라고 하는데, 육2(六二)가 소과(小過)에 있으면서 자리에 마땅하니, 바로 지나가다가 그것을 얻은 것이다. 할아버지[祖]는 시작이고 초육(初六)을 말함이며, ‘비(妣, 죽은 어머니 비)’는 어머니의 칭함이다. 육2(六二)가 안에 거주하여 가운데[中]을 밟고서 바르니, 확고(確固)함을 말하기를 ‘어머니’라 하였다. 이미 초육(初六)을 지나쳤기 때문에 “할아버지를 지나[過其祖]”라고 말하였고, 밟음이 가운데 바름[中正]을 얻었기 때문에 “그 어머니를 만났다[遇其妣]”라고 말한 것이다. 지나쳤지만 참람함에 이르지는 않았으며 신하의 지위를 다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으나 신하를 만났으니 허물은 없다[不及其君,遇其臣,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
《象》曰:不及其君,臣不可過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음은, 신하는 지나칠 수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臣不可過」者,臣不可自過其位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신하는 지나칠 수 없음이다[臣不可過]”라는 것은, 신하는 스스로 자기 지위를 지나쳐서는 안 되는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過而得之謂之遇,六二在小過而當位,是過而得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나치면서 얻게 됨을 일컫기를 "우[偶, 우연(偶然)]"라고 하는데, 육2(六二)가 소과(小過)에 있으면서 자리에 마땅하니, 바로 지나가다가 그것을 얻은 것이다.
祖,始也,謂初也。妣者,母之稱。六二居內,履中而正,固謂之妣。巳過於初,故曰「過其祖」也。履得中正,故曰「遇其妣」也。
할아버지[祖]는 시작이고 초육(初六)을 말함이며, ‘비(妣, 죽은 어머니 비)’는 어머니의 칭함이다. 육2(六二)가 안에 거주하여 가운데[中]을 밟고서 바르니, 확고(確固)함을 말하기를 ‘어머니’라 하였다. 이미 초육(初六)을 지나쳤기 때문에 “할아버지를 지나[過其祖]”라고 말하였고, 밟음이 가운데 바름[中正]을 얻었기 때문에 “그 어머니를 만났다[遇其妣]”라고 말한 것이다.
過不至於僣,盡於臣位而已,故曰「不及其君,遇其臣,無咎」。
지나쳤지만 참람함에 이르지는 않았으며 신하의 지위를 다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임금에게 미치지 못했으나 신하를 만났으니 허물은 없다[不及其君,遇其臣,無咎]”라고 말한 것이다.」
九三,弗過防之,從或戕之,凶。 구삼(九三)은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고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니 흉하다. 【王弼 注】 小過之世,大者不立,故令小者得過也。居下體之上,以陽當位,而不能先過防之,至令小者咸過而復應而從焉。其從之也,則戕之,凶至矣。故曰弗過防之,從或戕之,凶也。 【왕필 주】 소과(小過)의 세상에서는 큰 것이 서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것으로 하여금 지나침을 얻게함이다.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여 양(陽)으로써 지위가 마땅하지만, 미리 지나침을 잘 방비하지 못하여 작은 것으로 하여금 다 지나쳐서 다시 응(應)하고서 따름에 이른다. 따라서 가면 해침을 당하여 흉함이 이른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고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니, 흉하다.”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弗過防之」者,小過之世,大者不能立德,故令小者得過,九三居下體之上,以陽當位,不能先過為防,至令小者或過。上六小人最居高顯,而復應而從焉。其從之也,則有殘害之凶至矣,故曰「弗過防之」。「從或戕之,凶」者,《春秋傳》曰:「在內曰弑,在外曰戕。」然則戕者皆殺害之謂也。言「或」者,不必之辭也。謂為此行者,有幸而免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고[弗過防之]”라는 것은, 소과(小過)의 세상에서는 큰 것이 덕(德)을 잘 세우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것으로 하여금 지나침을 얻게 하는데, 구3(九三)이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여 양(陽)으로써 지위에 마땅하나, 먼저 지나침을 잘 방비하지 못하여 작은 것으로 하여금 혹 지나치게 함에 이른다. 상육(上六)이 소인(小人)으로 가장 높이 드러남에 거주하면서 응(應)을 다시 하여서 그를 따르니, 그를 따르는 것은 즉 죽여 해침의 흉함이 이름에 있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는다[弗過防之]”라고 말한 것이다.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니 흉하다[從或戕之 凶]”라는 것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안에 있음을 ‘시(弑, 윗사람 죽일 시)’라고 말하고, 밖에 있음을 ‘장(戕, 죽일 장)’이라 말한다.”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장(戕)’은 모두 살해함을 일컬음이다. ‘혹(或)’이라고 말한 것은, 반드시가 아니라는 말이며, 이런 행실을 하는 자가 다행(多幸)함이 있어서 면함을 말한 것이다.」 |
《象》曰:從或戕之,凶如何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는데, 흉함을 어찌하겠는가?” |
[孔穎達 疏]正義曰:「凶如何」者,從於小人,果致凶禍,將如何乎?言不可如何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흉함을 어찌하겠는가?[凶如何]”라는 것은, 소인(小人)을 따르면 과연(果然) 흉한 재앙을 불러들이는데, 장차 어찌하겠는가? 어찌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弗過防之」者,小過之世,大者不能立德,故令小者得過,九三居下體之上,以陽當位,不能先過為防,至令小者或過。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고[弗過防之]”라는 것은, 소과(小過)의 세상에서는 큰 것이 덕(德)을 잘 세우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것으로 하여금 지나침을 얻게 하는데, 구3(九三)이 하체(下體)의 위에 거주하여 양(陽)으로써 지위에 마땅하나, 먼저 지나침을 잘 방비하지 못하여 작은 것으로 하여금 혹 지나치게 함에 이른다.
上六小人最居高顯,而復應而從焉。其從之也,則有殘害之凶至矣,故曰「弗過防之」。
상육(上六)이 소인(小人)으로 가장 높이 드러남에 거주하면서 응(應)을 다시 하여서 그를 따르니, 그를 따르는 것은 즉 죽여 해침의 흉함이 이름에 있다. 그러므로 “지나치게 방비를 하지 않는다[弗過防之]”라고 말한 것이다.
「從或戕之,凶」者,《春秋傳》曰:「在內曰弑,在外曰戕。」然則戕者皆殺害之謂也。
“따르면 혹 해치려고 하니 흉하다[從或戕之 凶]”라는 것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안에 있음을 ‘시(弑, 윗사람 죽일 시)’라고 말하고, 밖에 있음을 ‘장(戕, 죽일 장)’이라 말한다.”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장(戕)’은 모두 살해함을 일컬음이다.
言「或」者,不必之辭也。謂為此行者,有幸而免也。
‘혹(或)’이라고 말한 것은, 반드시가 아니라는 말이며, 이런 행실을 하는 자가 다행(多幸)함이 있어서 면함을 말한 것이다.」
九四,无咎,弗過遇之。往厲必戒,勿用永貞。 구사(九四)는 허물이 없으니,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고, 가면 괴로우니 반드시 경계하여야 하며, 길게 곧음에는 쓰지 말아야 한다. 【王弼 注】 雖體陽爻而不居其位,不為貴主*,故得无咎也。失位在下,不能過者也。以其不能過,故得合於免咎之宜,故曰弗過遇之。夫宴安酖毒,不可懷也。處於小過不寧之時,而以陽居陰,不能有爲者也。以此自守,免咎可也;以斯攸往,危之道也。不交於物,物亦弗與,无援之助,故危則必戒而已,无所告救也。沈沒怯弱,自守而已,以斯而處於群小之中,未足任者也;故曰勿用永貞,言不足用之於永貞。 *「貴主」或作「責主」。 【왕필 주】 비록 몸[體]이 양효(陽爻)이지만 그 지위에 거주하지 않으니 귀한 주인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허물 없음을 얻는다. 지위를 잃고 아래에 있어서 지나침을 잘하지 않는 자이며, 그로써 지나침을 잘 안 하기 때문에 허물 면함의 마땅함에 부합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라”라고 말한 것이다. 편안한 잔치는 짐새의 독[酖毒]이니 품어서는 안 되며, 작은 지나침에 처하여 편안하지 않은 때인데도 양(陽)으로써 음(陰)에 거주하여 일을 잘 할 수 있는 자가 아니고 이로써 스스로 지키면 허물을 면할 수 있으며, 이로써 펼쳐[攸] 나가면 위태로움의 도(道)이다. 남[사물]과 사귀지 않으니 남들[사물]도 또한 함께하지 않아 구원을 하여 도움이 없기 때문에 위태로우면 반드시 경계할 뿐이니, 구원을 알릴 곳이 없다. 침몰하고 겁내고 약하여 스스로 지킬 뿐이니,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소인(小人)의 가운데에 처하여 책임이 넉넉하지 못한 자이다. 그러므로 “길게 곧음을 쓰지 말아야 한다”라고 말하였으니, 길게 곧음에 쓰기에는 부족함을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九四無咎」至「永貞」。 ○正義曰:居小過之世,小人有過差之行,須大德之人,防使無過。今九四雖體陽爻而不居其位,不防之責,責不在己,故得無咎。所以無其咎者,以其失位在下,不能為過厚之行,故得遇於無咎之宜,故曰「無咎,弗過遇之」也。既能無為自守,則無咎,有往則危厲,故曰「往厲」。不交於物,物亦不與,無援之助,故危則必自戒慎而已,無所告救,故曰「必戒」。以斯而處於群小之中,未足委任,不可用之以長行其正也,故曰「勿用永貞」也。 ○注「夫宴安」至「懷也」。 ○正義曰:「夫宴安酖毒,不可懷也」者,此《春秋》狄伐邢,管仲勸齊侯救邢,為此辭,言宴安不救邢,即酖鳥之毒,不可懷而安之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사무구(九四无咎)에서 영정(永貞)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과(小過)의 세상에 거주하여 소인(小人)이 잘못[過差]의 행함이 있으니, 모름지기 덕(德)이 큰 사람이 방비를 시켜서 지나침이 없는데, 지금 구4(九四)가 비록 몸[體]이 양효(陽爻)이지만 그 지위에 거주하지 아니하여 방비를 하는 책임이 아니며, 책임이 자기에게 있지 않기 때문에 허물 없음을 얻는 것이다. 그 허물이 없는 것의 까닭은, 지위를 잃고 아래에 있음으로써 지나침이 두텁게 행함을 잘 실천하지 못하기 때문에 허물 없음의 마땅함을 만나 얻기 때문에 “허물이 없으니,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라[無咎,弗過遇之]”라고 말한 것이다. 이미 일을 잘 함이 없이 스스로를 지키면 허물이 없고, [일을 잘 함이] 있는데도 가면 위태롭고 괴롭기 때문에 “가면 괴롭다[往厲]”라고 말한 것이다. 남[사물]과 사귀지 않으니 남들[사물]도 또한 함께하지 않아 구원을 하여 도움이 없기 때문에 위태로우면 반드시 스스로 경계하여 삼가할 뿐이니, 구원을 알릴 곳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경계한다[必戒]”라고 말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소인(小人)의 가운데에 처하여 맡은 책임이 넉넉하지 못하여 그 바름을 길게 행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길게 곧음에 쓰지 말아야 한다[勿用永貞]”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부연안(夫宴安)에서 회야(懷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편안한 잔치는 짐새의 독[酖毒]이니 품어서는 안 되며[夫宴安酖毒 不可懷也]”라는 것은, 이는 ≪춘추(春秋)≫에, 추(狄)나라가 형(邢)나라를 침벌(侵伐)하자 관중(管仲)이 제(齊)나라 후작[侯]에게 형(邢)나라 구원을 권하면서 이 말을 하였는데, 잔치가 편안하여 형(邢)나라를 구원하지 않으면 바로 짐새[酖鳥]의 독(毒)이니, 품고서 편안히 여겨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
《象》曰:弗過遇之,位不當也。往厲必戒,終不可長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라함은,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이다. 가면 위태로우니 반드시 경계하여야 함은, 끝내 길게 할 수 없음이다.” |
[孔穎達 疏]正義曰:「位不當」者,釋所以弗過而遇,得免於咎者,以其位不當故也。「終不可長」者,自身有危,無所告救,豈可任之長,以為正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지위가 마땅하지 않음[位不當]”라는 것은, 지나치지 말고서 만나야 허물을 면함을 얻는 것의 까닭은 그 지위를 가지고 마땅하지 않은 연고(緣故)를 해석한 것이다. “끝내 길게 할 수 없음이다[終不可長]”라는 것은, 스스로 자신에게 위태로움이 있어도 구원을 알릴 곳이 없으니, 어찌 책임을 길게 할 수 있으며 그로써 바름을 실천하겠는가.」 |
[孔穎達 疏] 「九四無咎」至「永貞」。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구사무구(九四无咎)에서 영정(永貞)까지.}
○正義曰:居小過之世,小人有過差之行,須大德之人,防使無過。今九四雖體陽爻而不居其位,不防之責,責不在己,故得無咎。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소과(小過)의 세상에 거주하여 소인(小人)이 잘못[過差]의 행함이 있으니, 모름지기 덕(德)이 큰 사람이 방비를 시켜서 지나침이 없는데, 지금 구4(九四)가 비록 몸[體]이 양효(陽爻)이지만 그 지위에 거주하지 아니하여 방비를 하는 책임이 아니며, 책임이 자기에게 있지 않기 때문에 허물 없음을 얻는 것이다.
所以無其咎者,以其失位在下,不能為過厚之行,故得遇於無咎之宜,故曰「無咎,弗過遇之」也。
그 허물이 없는 것의 까닭은, 지위를 잃고 아래에 있음으로써 지나침이 두텁게 행함을 잘 실천하지 못하기 때문에 허물 없음의 마땅함을 만나 얻기 때문에 “허물이 없으니, 지나치게 만나려 하지 말라[無咎,弗過遇之]”라고 말한 것이다.
既能無為自守,則無咎,有往則危厲,故曰「往厲」。
이미 일을 잘 함이 없이 스스로를 지키면 허물이 없고, [일을 잘 함이] 있는데도 가면 위태롭고 괴롭기 때문에 “가면 괴롭다[往厲]”라고 말한 것이다.
不交於物,物亦不與,無援之助,故危則必自戒慎而已,無所告救,故曰「必戒」。
남[사물]과 사귀지 않으니 남들[사물]도 또한 함께하지 않아 구원을 하여 도움이 없기 때문에 위태로우면 반드시 스스로 경계하여 삼가할 뿐이니, 구원을 알릴 곳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경계한다[必戒]”라고 말한 것이다.
以斯而處於群小之中,未足委任,不可用之以長行其正也,故曰「勿用永貞」也。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소인(小人)의 가운데에 처하여 맡은 책임이 넉넉하지 못하여 그 바름을 길게 행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길게 곧음에 쓰지 말아야 한다[勿用永貞]”라고 말한 것이다.」
○注「夫宴安」至「懷也」。
○ 【왕필 주(王弼 注)】의 “부연안(夫宴安)에서 회야(懷也)까지”
○正義曰:「夫宴安酖毒,不可懷也」者,此《春秋》狄伐邢,管仲勸齊侯救邢,為此辭,言宴安不救邢,即酖鳥之毒,不可懷而安之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편안한 잔치는 짐새의 독[酖毒]이니 품어서는 안 되며[夫宴安酖毒 不可懷也]”라는 것은, 이는 ≪춘추(春秋)≫에, 추(狄)나라가 형(邢)나라를 침벌(侵伐)하자 관중(管仲)이 제(齊)나라 후작[侯]에게 형(邢)나라 구원을 권하면서 이 말을 하였는데, 잔치가 편안하여 형(邢)나라를 구원하지 않으면 바로 짐새[酖鳥]의 독(毒)이니, 품고서 편안히 여겨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六五,密雲不雨,自我西郊,公弋取彼在穴。 육오(六五)는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나로부터 서쪽 들에서 이니,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 |
【王弼 注】 小過,小者過於大也。六得五位,陰之盛也,故密雲不雨,至于西郊也。夫雨者,陰布於上*,而陽薄之而不得通,則烝而為雨,今艮止於下而不交焉,故不雨也。是故,小畜尚往而亨,則不雨也。小過,陽不上交,亦不雨也。雖陰盛於上,未能行其施也。公者,臣之極也,五極陰盛,故稱公也。弋,射也。在穴者,隱伏之物也。小過者,過小而難未大作,猶在隱伏者也。以陰質治小過,能獲小過者也,故曰公弋取彼在穴也。除過之道,不在取之,是乃密雲未能雨也。 *「陰布於上」或作「陰在於上」。 【왕필 주】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큰데를 지나침이다. 육[陰]이 오[陽]의 자리를 얻었으니, 음(陰)이 성(盛)함이다. 그러므로 구름이 빽빽하지만 비가 내리지 않음은, 서쪽 교외(郊外)에서 이르른 것이다. 그 비라는 것은, 음(陰)이 위에 펼쳐져서 양(陽)이 조금만 가서 통하지 못하면 증기(蒸氣)가 되어서 비가 되는데, 지금 간(艮)이 아래에 그쳐고서 그와 사귀지 못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소축(小畜)괘는 오히려 올라가서 형통하면 비가 내리지 않고, 소과(小過)괘는 양(陽)이 위로 사귀지 않으니 또한 비가 내리지 않는다. 비록 음(陰)이 위에서 성(盛)하지만 그 베풂을 잘 행하지 못함이다. 공(公)은, 신하의 꼭대기이며, 육5(六五)가 꼭대기이고 음(陰)이 성(盛)하기 때문에 공(公)이라 칭한 것이다. 익(弋, 주살 익)은 활을 쏨이며, 구멍에 있는[在穴] 것은 엎드려 숨어 있는 동물이다. 소과(小過)라는 것은, 지나침이 적어서 어려움이 아직 크게 일어나지 않음이며 엎드려 숨어 있는 것과 같음이다. 음(陰)의 재질을 가지고 소과(小過)를 다스려서 조금 지나침[小過]을 잘 잡은 자이다. 그러므로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라고 한 것이다. 지나침을 제거하는 도(道)는, 그것을 취함에 있지 않는데, 이는 바로 구름이 빽빽해도 비가 잘 내리지 못하는 것이다. |
[孔穎達 疏]「六五密雲」至「在穴」。 ○正義曰:「密雲不雨,自我西郊」者,小過者,小者過於大也。六得五位,是小過於大,陰之盛也。陰盛於上,而艮止之,九三陽止於下,是陰陽不交,雖復至盛,密雲至於西郊,而不能為雨也。施之於人,是柔得過而處尊,未能行其恩施,廣其風化也,故曰「密雲不雨,自我西郊」也。「公弋取彼在穴」者,公者臣之極,五極陰盛,故稱公也。小過之時,為過猶小,而難未大作,猶在隱伏。以小過之才,治小過之失,能獲小過在隱伏者,有如公之弋獵,取得在穴隱伏之獸也。故曰「公弋取彼在穴」也。 ○注「除過」至「能雨也」。 ○正義曰:「除過」至「能雨也」者,雨者,以喻德之惠化也。除過差之道,在於文德,懷之,使其自服,弋而取之,是尚威武,尚威武即「密雲不雨」之義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오밀운(六五密雲)에서 재혈(在穴)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나로부터 서쪽 들에서 이니[密雲不雨 自我西郊]”라는 것의,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작은 것이 큰데를 지나침이다. 육[陰]이 오[陽]의 자리를 얻었음은, 작은 것이 큰데를 지나침이니 음(陰)이 성(盛)함이다. 음(陰)이 위에서 성(盛)한데도 간(艮)이 그치게 하여 구3(九三)이 양(陽)인데도 아래에 그쳐 있는데, 이는 음(陰)과 양(陽)이 사귀지 못함이며, 비록 다시 성(盛)함이 지극하여 빽빽한 구름이 서교(西郊)에 이르렀으나 비가 잘 되지 못한다. 사람에게 베풀면, 이는 부드러움이 지나침을 얻어서 높은데에 처하여 그 은혜 베풂을 행함과 그 풍속의 교화를 넓힘을 잘 못한다. 그러므로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나로부터 서쪽 들에서 이다[密雲不雨 自我西郊]”라고 말한 것이다.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公弋取彼在穴]”라는 것은, ‘공(公)’은 신하의 꼭대기이며, 육5(六五)가 음(陰)이성(盛)함의 꼭대기이기 때문에 ‘공(公)’이라 칭한 것이다. 소과(小過)의 때에는 지나침이 오히려 작게 되어서 어려움이 크게 일어나지 아니하니 숨어 엎드려 있음과 같음이다. 소과(小過)의 재주를 가지고 소과(小過)의 실수를 다스리면 작은 잘못이 숨어 엎드려 있는 것을 잘 잡으니, 공(公)이 주살 사냥할 적에 구멍에 숨어 엎드려 있는 짐승을 취함과 같음이 있다. 그러므로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公弋取彼在穴]”라고 말한 것이다.」 ○ 【왕필 주(王弼 注)】의 “제과(除過)에서 능우야(能雨也)까지”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제과(除過)에서 능우야(能雨也)까지[「除過」至「能雨也」]”라는 것은, ‘비[雨]’는 그로써 덕(德)의 은혜로운 교화를 비유한 것이다. 잘못[過差]을 제거하는 도(道)는 문덕(文德)으로 품어 주어 그로 하여금 스스로 복종함에 있으니, 주살질하여 잡는 것은 바로 위엄과 무력을 숭상함이며, 위엄과 무력을 숭상함은 바로 “구름이 빽빽이 끼었으나 비가 내리지 않음[密雲不雨]의 뜻이다.」 |
[孔穎達 疏] 「六五密雲」至「在穴」。
【공영달소(孔穎達 疏)】 경(經)의 {육오밀운(六五密雲)에서 재혈(在穴)까지.}
○正義曰:「密雲不雨,自我西郊」者,小過者,小者過於大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나로부터 서쪽 들에서 이니[密雲不雨 自我西郊]”라는 것의, 소과(小過)는 작은 것이 작은 것이 큰데를 지나침이다.
六得五位,是小過於大,陰之盛也。陰盛於上,而艮止之,九三陽止於下,是陰陽不交,雖復至盛,密雲至於西郊,而不能為雨也。
육[陰]이 오[陽]의 자리를 얻었음은, 작은 것이 큰데를 지나침이니 음(陰)이 성(盛)함이다. 음(陰)이 위에서 성(盛)한데도 간(艮)이 그치게 하여 구3(九三)이 양(陽)인데도 아래에 그쳐 있는데, 이는 음(陰)과 양(陽)이 사귀지 못함이며, 비록 다시 성(盛)함이 지극하여 빽빽한 구름이 서교(西郊)에 이르렀으나 비가 잘 되지 못한다.
施之於人,是柔得過而處尊,未能行其恩施,廣其風化也,故曰「密雲不雨,自我西郊」也。
사람에게 베풀면, 이는 부드러움이 지나침을 얻어서 높은데에 처하여 그 은혜 베풂을 행함과 그 풍속의 교화를 넓힘을 잘 못한다. 그러므로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나로부터 서쪽 들에서 이다[密雲不雨 自我西郊]”라고 말한 것이다.
「公弋取彼在穴」者,公者臣之極,五極陰盛,故稱公也。小過之時,為過猶小,而難未大作,猶在隱伏。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公弋取彼在穴]”라는 것은, ‘공(公)’은 신하의 꼭대기이며, 육5(六五)가 음(陰)이성(盛)함의 꼭대기이기 때문에 ‘공(公)’이라 칭한 것이다. 소과(小過)의 때에는 지나침이 오히려 작게 되어서 어려움이 크게 일어나지 아니하니 숨어 엎드려 있음과 같음이다.
以小過之才,治小過之失,能獲小過在隱伏者,有如公之弋獵,取得在穴隱伏之獸也。故曰「公弋取彼在穴」也。
소과(小過)의 재주를 가지고 소과(小過)의 실수를 다스리면 작은 잘못이 숨어 엎드려 있는 것을 잘 잡으니, 공(公)이 주살 사냥할 적에 구멍에 숨어 엎드려 있는 짐승을 취함과 같음이 있다. 그러므로 “공(公)이 주살로 저 구멍에 있는 짐승을 잡는다[公弋取彼在穴]”라고 말한 것이다.」
○注「除過」至「能雨也」。
○ 【왕필 주(王弼 注)】의 “제과(除過)에서 능우야(能雨也)까지”
○正義曰:「除過」至「能雨也」者,雨者,以喻德之惠化也。
○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제과(除過)에서 능우야(能雨也)까지[「除過」至「能雨也」]”라는 것은, ‘비[雨]’는 그로써 덕(德)의 은혜로운 교화를 비유한 것이다.
除過差之道,在於文德,懷之,使其自服,弋而取之,是尚威武,尚威武即「密雲不雨」之義也。
잘못[過差]을 제거하는 도(道)는 문덕(文德)으로 품어 주어 그로 하여금 스스로 복종함에 있으니, 주살질하여 잡는 것은 바로 위엄과 무력을 숭상함이며, 위엄과 무력을 숭상함은 바로 “구름이 빽빽이 끼었으나 비가 내리지 않음[密雲不雨]의 뜻이다.」
《象》曰:密雲不雨,已上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 오지 않음은, 이미 올라갔기 때문이다.” |
【王弼 注】 陽已上,故止也。 【왕필 주】 양(陽)이 이미 올라갔기 때문에 그쳤다. |
[孔穎達 疏]正義曰:「巳上」者,釋所以「密雲不雨」也。以艮之陽爻,巳上於一卦之上而成止,故不上交而為雨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미 올라갔음이다[已上]”라는 것은, ‘구름이 빽빽이 끼었으나 비가 내리지 않음[密雲不雨]’의 까닭을 해석한 것이며, 간(艮)의 양효[陽爻(九三)]로써 이미 한 괘(卦)의 위에 올라가서 그치고서 그침을 이루었기 때문에 위로 사귀어서 비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
上六,弗遇過之,飛鳥離之,凶,是謂災眚。 상육(上六)은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가니, 나는 새가 이별을 하여 흉하며, 이를 일컬어 재생(災眚)이라 한다. |
【王弼 注】 小人之過,遂至上極;過而不知限,至於亢也。過至于亢,將何所遇?飛而不已,將何所託?災自己致,復何言哉! 【왕필 주】 소인(小人)의 지나침이 드디어 위쪽 꼭대기에 이르렀으며, 지나쳐서 한계를 알지 못하고 항극(亢極)에 이르렀다. 지나침이 항극(亢極)에 이르렀는데 장차 어느 곳에서 만나겠으며, 날아가서 그치지 않으면 장차 어느곳에 의탁하겠는가? 재앙을 자기가 불렀으니,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
[孔穎達 疏]正義曰:上六處小過之極,是小人之過,遂至上極,過而不知限,至於亢者也。過至於亢,無所復遇,故曰「弗遇過之」也。以小人之身,過而弗遇,必遭羅網,其猶飛鳥,飛而無?,必離矰繳,故曰「飛鳥離之,凶」也。過亢離凶,是謂自災而致眚,復何言哉!故曰「是謂災眚」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상육(上六)이 소과(小過)의 꼭대기에 처하였으니, 이는 소인(小人)의 지나침이 드디어 꼭대기에 올라가 이르러 지나쳤는데 한계를 알지 못하여 높음을 지극하게 한 자이다. 지나침이 높은데에 이르러 다시 만날 곳이 없기 때문에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간다[弗遇過之]”라고 말한 것이다. 소인의 몸을 가지고 지나치고서 만나지 못하면 반드시 그물을 만나니, 그는 나는 새가 날아가서 의탁할 곳이 없으면 반드시 주살에 걸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나는 새가 이별을 하여 흉하다[飛鳥離之,凶]”라고 말한 것이다. 지나치게 높아 凶에 걸리면 이는 재앙을 스스로 저질러서 잘못을 불러들였음을 말하는데,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그러므로 “이를 일컬어 재생(災眚)이라 한다[是謂災眚]”라고 말한 것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上六處小過之極,是小人之過,遂至上極,過而不知限,至於亢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상육(上六)이 소과(小過)의 꼭대기에 처하였으니, 이는 소인(小人)의 지나침이 드디어 꼭대기에 올라가 이르러 지나쳤는데 한계를 알지 못하여 높음을 지극하게 한 자이다.
過至於亢,無所復遇,故曰「弗遇過之」也。
지나침이 높은데에 이르러 다시 만날 곳이 없기 때문에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간다[弗遇過之]”라고 말한 것이다.
以小人之身,過而弗遇,必遭羅網,其猶飛鳥,飛而無?,必離矰繳,故曰「飛鳥離之,凶」也。
소인의 몸을 가지고 지나치고서 만나지 못하면 반드시 그물을 만나니, 그는 나는 새가 날아가서 의탁할 곳이 없으면 반드시 주살에 걸리는 것과 같기 때문에 “나는 새가 이별을 하여 흉하다[飛鳥離之,凶]”라고 말한 것이다.
過亢離凶,是謂自災而致眚,復何言哉!故曰「是謂災眚」也。
지나치게 높아 凶에 걸리면 이는 재앙을 스스로 저질러서 잘못을 불러들였음을 말하는데,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그러므로 “이를 일컬어 재생(災眚)이라 한다[是謂災眚]”라고 말한 것이다.」
《象》曰:弗遇過之,已亢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감은 이미 높아서이다.” |
[孔穎達 疏] 正義曰:「已亢」者,釋所以「弗遇過之」,以其已在亢極之地故也。 【공영달소(孔穎達 疏)】 바른 뜻[正義]을 말한다. 「“이미 높아서이다[已亢]”라는 것은, ‘만나지 못하고 지나쳐 감[弗遇過之]’의 까닭이, 그로써 그가 이미 높은 꼭대기의 자리에 있는 연고(緣故)를 해석한 것이다.」 |
'■ 주역(周易) > 3.주역정의(周易正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64. 미제괘(未濟卦)[화수미제]/周易正義 (1) | 2022.11.10 |
---|---|
주역 63. 기제괘(旣濟卦)[수화기제]/周易正義 (1) | 2022.11.08 |
주역 61. 중부괘(中孚卦)[풍택중부]/周易正義 (0) | 2022.11.06 |
주역 60. 절괘(節卦)[수택절]/周易正義 (1) | 2022.11.05 |
주역 58. 태괘(兌卦)[중택태]/周易正義 (1)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