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왕필(王弼)注
◎ 도덕경(道德經) 65장
古之善爲道者,
非以明民, 將以愚之.
民之難治, 以其智多,
故以智治國, 國之賊,
不以智治國, 國之福.
知此兩者, 亦稽式,
常知稽式, 是謂玄德.
玄德深矣, 遠矣,
與物反矣, 然後乃至大順.
예로부터 도를 잘 실천하는 자는
그[道]로써 백성을 밝게 하지 않고 장차 그로써 어리석게 하였다.
백성이 다스리기 어려움은 그로써 지혜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림은 나라의 도적이고,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않음이 나라의 복이다.
이 둘을 아는 자는 또한 법식을 상고하며,
항상 법식을 상고하여 앎을 바로 '가물한 덕[玄德]'이라 말한다.
가물한 덕은 깊기도 하고 멀기도 하여,
사물과 더블어 반대하며, 그러한 뒤에 이에 '큰 순리[大順]'에 이른다.
◎ 도덕경 65장/왕필(王弼)注
ㅡ 왕필(王弼.226~249)
위(魏)나라 산음(山陰, 산동성) 사람이며 풍부한 재능을 타고 났으나 24살에 요절한 뛰어난 학자이다. 하안과 함께 위진(魏晉) 현학[老莊學]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古之善為道者,非以明民,將以愚之。
<예로부터 도(道)를 잘 실천하는 자는, 그[道]로써 백성을 밝게 하지 않고, 장차 그로써 어리석게 한다.>
【王弼 注】 明謂多見, 巧詐蔽其樸也。愚謂無知, 守真順自然也。
【왕필 주】 밝음은 교묘하게 속이고 그 순박함을 덮음이 많이 나타남이다. 어리석음은 진실을 지키고 자연에 순종함을 앎이 없음을 일컽는다.
民之難治,以其智多。
<백성을 다스리기 어려움은 그로써 지혜가 많기 때문이다.>
【王弼 注】 多智巧詐,故難治也。
【왕필 주】 지혜가 많으면 교묘하게 속이기 때문에 다스리기 어렵다.
故以智治國,國之賊;
<그러므로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림은 나라의 도적이고, >
【王弼 注】 智,猶治也,以智而治國,所以謂之賊者,故謂之智也。民之難治,以其多智也,當務塞兌閉門,令無知無欲,而以智術動民。邪心既動,復以巧術防民之偽,民知其術,防隨而避之,思惟密巧,奸偽益滋,故曰,以智治國,國之賊也。
【왕필 주】 지혜는 다스림과 같다.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림을 도적 놈이라 일컫는 까닭이기 때문에 일컫기를 지혜라고 했다. "백성을 다스리기 어려움“은 그로써 지혜가 많으면 마땅히 힘써서 입[兌]을 막고 문을 닫으며 앎이 없음으로 하여금 바램이 없음으로 하면서 지혜의 수단으로써 백성을 움직인다. 사악한 마음을 이미 움직이면 다시 교묘한 수단으로써 국민의 거짓을 막는데, 백성들이 그 수단을 알면 따라서 막으면서 피하며 생각이 오직 빈틈없이 교묘하고 간사한 거짓이 더욱 불어나기 때문에 말하기를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림은 나라의 도적이다.”라고 했다.
不以智治國,國之福。知此兩者亦稽式。常知稽式,是謂玄德。玄德深矣,遠矣,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않음이 나라의 복이다. 이 둘을 아는 자는 또한 법식을 상고하고, 항상 법식을 상고해서 아는데 이를 '가물한 덕[玄德]'이라 일컫는다. 가물한 덕은 깊기도 하고, 멀기도 하며, >
【王弼 注】 稽,同也。古今之所同則而不可費,能知稽式,是謂玄德,玄德深矣,遠矣。
【왕필 주】 계(稽)는 같음이다. 옛날과 지금의 법칙이 같은 바 이라면 법식을 상고하여 잘 알기에 쓸 수가 없는데 이를 일컬어 “가물한 덕[玄德]이라 하고 현덕은 깊고 멀다.
與物反矣,
<사물과 더블어 반대인데, >
【王弼 注】 反其真也。
【왕필 주】 그 참됨에 반대이다.
然後乃至大順。
<그러한 뒤에 이에 '큰 순리[大順]'에 이른다. >
'▣ 도덕경(道德經) > 4.도덕경 왕필 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도덕경 67장/왕필 주(王弼 注) (1) | 2024.04.24 |
---|---|
◎ 도덕경 66장/왕필 주(王弼 注) (0) | 2024.04.21 |
◎ 도덕경 64장/왕필 주(王弼 注) (0) | 2024.04.17 |
◎ 도덕경 63장/왕필 주(王弼 注) (0) | 2024.04.15 |
◎ 도덕경 62장/왕필 주(王弼 注)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