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
16. 예괘(豫卦)[卦象:뇌지예]
☳ 震上
☷ 坤下
곤[地.땅]이 아래에 있고, 진[雷.우뢰]이 위에 있다.
【卦辭(괘사)】 문왕作
豫,利建侯行師。
예괘(豫卦)는 제후를 세워 군대를 움직임이 이롭다.
《彖》曰:豫,剛應而志行,順以動,豫。豫,順以動,故天地如之,而況建侯、行師乎? 天地以順動,故日月不過而四時不忒;聖人以順動,則刑罰清而民服。豫之時義大矣哉!
《단전》에서 말하였다:예(豫)는 강[陽]함이 응하여 뜻이 행해지고, 순응하여 움직이니 안락함이다. 예괘는 순응함으로써 움직이기 때문에 하늘과 땅도 그와 같은데, 하물며 제후를 세우는데 군대를 움직이지 않겠는가? 하늘과 땅은 순응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해와 달이 지나치지 않으니 네 계절이 어긋나지 않으며, 성인이 순응하여 움직이니 곧 형벌이 투명하여 백성들이 복종한다. 예괘의 때와 의미가 크도다!
《象》曰:雷出地奮,豫,先王以作樂崇德,殷薦之上帝,以配祖考。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우레가 땅에서 나와 떨침이 예괘인데, 선왕이 음악을 지어 덕 하여서 크게[殷] 상제께 제사를 올리고 그로서 조상을 배향(配享)한다.
【爻辭(효사)】 주공作
初六,鳴豫,凶。
초육(初六)은 안락함이 들리[소문]면 흉하다.
《象》曰:初六鳴豫,志窮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초육은 안락함이 들림”은 뜻이 다하여 흉하다.
六二,介于石,不終日貞吉。
육이(六二)는 [안락함이] 돌에 끼었으니, 하루 종일 곧지 않아야 길하다.
《象》曰:不終日貞吉,以中正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종일 토록 곧지 않아야 길함”은 그로서 중정[가운데 바로]함 이다.
譯註 1:『周易』繫辭傳 下⇒君子見幾而作,不俟終日。《易》曰:『介於石,不終日,貞吉。』介如石焉,寧用終日,斷可識矣。
『주역(周易)』계사전 下⇒군자는 기미를 보고서 작업作業하며 하루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아니하는데, 《역(易)》에 말하기를 '돌보다 견고(堅固)하여 [위태함이] 종일 하지는 않으니 곧고 길하다.'고 하였는데, 그것이 돌과 같이 견고한데 어찌 종일 쓰이겠는가? [위태함이] 끊어짐을 알 수 있다.
六三,盱豫, 悔,遲有悔。
육삼(六三)은 [안락함을] 올려다보고 예비하면 후회하고, 늦어도 후회가 있다.
《象》曰:盱豫有悔,位不當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안락함[구사(九四)]을 올려다보면 후회가 있음”은 자리가 마당하지 않음이다.
九四,由豫,大有得。勿疑,朋盍簪。
구사(九四)는 [자신을]말미암아 안락하니 크게 얻음이 있고, [남을]의심하지 않아야 벗들이 빨리 모여든다.
《象》曰:由豫大有得,志大行也。
《상전(象傳)》에 말하였다:”[자신으로] 말미암아 안락함으로 크게 얻음이 있음”은 뜻이 크게 행해짐이다.
六五,貞疾,恒不死。
육오(六五)는 곧음의 병을 앓지만 오래도록 죽지 않는다.
《象》曰:六五貞疾,乘剛也;恒不死,中未亡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육오는 곧음의 병환”은 강함[陽]을 올라탔기 때문이며, “늘 죽지는 않음”은 가운데 [자리를] 잃지 않음이다.
上六,冥豫成, 有渝,无咎。
상육(上六)은 어두운 안락함이 이루어져, 넘침이 있으나 허물은 없다.
《象》曰:冥豫在上,何可長也?
《상전(象傳)》에서 말하였다: “어두운 안락함이 위에 존재함”은 [꼭대기에서] 어찌 길게 할 수 있겠는가?
※ (盱)쳐다볼 우, (遲)더딜지, (簪)비녀 잠, (渝)변할 투,
▣ 【序卦傳(서괘전)】 공자作
有大而能謙 必豫 故受之以豫.
크게 소유하고 겸손을 잘 하면 반드시 즐겁기 때문에 “예”괘로 받는다.
'■ 주역(周易) > 1.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18. 고괘(蠱卦)[卦象:산풍고] (0) | 2021.12.28 |
---|---|
『주역(周易)』17. 수괘(隨卦)[卦象:택뢰수] (0) | 2021.12.24 |
『주역(周易)』15. 겸괘(謙卦)[卦象:지산겸] (0) | 2021.12.20 |
『주역(周易)』14. 대유괘(大有卦)[卦象:화천대유] (0) | 2021.12.15 |
『주역(周易)』13. 동인괘(同人卦)[卦象:천화동인]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