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경(詩經)』
≪국풍(國風) 제6 왕풍(王風)≫
66. 군자우역(君子于役, 부역 가신 님)
【毛詩序】 《君子于役》,刺平王也。君子行役無期度,大夫思其危難以風焉。
【모시 서】 《군자우역(君子于役)》은 평왕(平王)을 풍자(諷刺)한 시(詩)이다. 군자가 부역을 갔는데 [돌아올] 기한을 셈할 수 없으니, 대부가 그 위태롭고 어려움을 생각하고 그로써 그것을 풍자(諷刺)하였다.
君子于役 不知其期 曷至哉
(군자우역 불지기기 갈지재)
님이 부역가서 기한을 알지 못하니 언제 돌아오실까
雞棲于塒 日之夕矣 羊牛下來
(계서우시 일지석의 양우하래)
닭은 홰에 깃들고 날이 저무니 양과 소도 내려왔네
君子于役 如之何勿思
(군자우역 여지하물사)
님께서 부역 가셨는데 어찌 그립지 않으랴
君子于役 不日不月 曷其有佸
(군자우역 불일불월 갈기유괄)
님께서 부역가서 날도 달도 모르는데 언제 만나려나
雞棲于桀日之夕矣羊牛下括
(계서우걸일지석의양우하괄)
닭은 홰에 깃들고 날이 저무니 양과 소도 내려왔네
君子于役 苟無飢渴
(군자우역 구무기갈)
님께서 부역 가셨는데 진실로 기갈은 없으시기를!
《君子於役》二章,章八句。
【石潭 案】 : 평왕(平王)⇒ 주(周)나라 제13대 왕(재위 BC 770∼BC 720)이며 성은 희(姬)이며 이름은 의구(宜臼)이고 유왕(幽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신(申)나라 제후(侯)의 딸인 신후(申后)이다. 이민족이 강성하여져서 주나라를 침공하자 도읍인 호경(鎬京:西安 부근)을 버리고 동쪽의 낙읍(洛邑:洛陽)으로 도읍을 옮겨 동주(東周) 시대가 시작되었다. 제후(諸侯)들의 세력이 점차 강대해져서 춘추전국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728x90
'■ 시경(詩經) > 1.시경(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68. 양지수(揚之水, 솟구치는 물) (0) | 2023.02.22 |
---|---|
『시경(詩經)』67. 군자양양(君子陽陽, 씩씩한 우리 님) (0) | 2023.02.20 |
『시경(詩經)』65. 서리(黍離, 기장이 우거짐) (1) | 2023.02.18 |
『시경(詩經)』64. 목과(木瓜, 모과) (1) | 2023.02.17 |
『시경(詩經)』63. 유호(有狐, 여우가 있네)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