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
≪국풍(國風) 제11 진풍(陳風)≫
138. 형문(衡門, 누추한 대문)
衡門之下、可以棲遲。
(형문지하 가이서지)
누추한 대문 아래에 한가로이 거처할만 한데
泌之洋洋、可以樂飢。
(비지양양 가이낙기)
샘물이 넘쳐흐르니 배고픔을 즐길만 하구나
豈其食魚、必河之魴。
(기기식어 필하지방)
어찌 물고기 먹는데 반드시 하수 방어로 하고
豈其取妻、必齊之姜。
(기기취처 필제지강)
어찌 아내 취하며 반드시 제나라 강씨로 하나
豈其食魚、必河之鯉。
(기기식어 필하지리)
어찌 물고기 먹는데 반드시 하수 잉어로 하고
豈其取妻、必宋之子。
(기기취처 필송지자)
어찌 아내 취하며 반드시 송나라 자씨로 하리
《衡門》三章,章四句。
《모시(毛詩)》
전한(前漢)의 모형(毛亨)이 『시(詩)』에 주석을 하여서 모시(毛詩)라고 하며 시경(詩經)의 별칭이다.
【毛詩 序】 《衡門》,誘僖公也。願而無立誌,故作是詩以誘掖其君也。
【모시 서】 <형문(衡門)>은 희공(僖公)을 유도(誘導)한 시(詩)이다. 바라기만 하고 뜻을 세움이 없기 때문에 이 시를 지어 그로써 군주를 이끌어 도와준 것이다.
◎ 모시전(毛詩傳)
『모시전(毛詩傳)』은 모형(毛亨)이 『시(詩)』에 전(傳)을 붙여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을 지었다.
衡門之下、可以棲遲。
(형문지하 가이서지)
누추한 대문 아래에 한가로이 거처할만 한데
【毛亨 傳】 衡門,橫木為門,言淺陋也。棲遲,遊息也。
【모형 전】 형문(衡門)은, 나무를 횡으로 문을 만들어서 천하고 누추하다는 말이다. 서지(棲遲)는, 노닐며 휴식함이다.
泌之洋洋、可以樂飢。
(비지양양 가이낙기)
샘물이 넘쳐흐르니 배고픔을 즐길만 하구나
【毛亨 傳】 泌,泉水也。洋洋,廣大也。樂饑,可以樂道忘饑。
【모형 전】 비(泌, 분비할 비)는, 샘의 물이다. 양양(洋洋)은, 넓고 큼이다. 낙기(樂饑)는, 즐거운 도(道)로써 배고픔을 잊을 수 있음이다.
豈其食魚、必河之魴。
(기기식어 필하지방)
어찌 물고기 먹는데 반드시 하수 방어로 하고
豈其取妻、必齊之姜。
(기기취처 필제지강)
어찌 아내 취하며 반드시 제나라 강씨로 하나
豈其食魚、必河之鯉。
(기기식어 필하지리)
어찌 물고기 먹는데 반드시 하수 잉어로 하고
豈其取妻、必宋之子。
(기기취처 필송지자)
어찌 아내 취하며 반드시 송나라 자씨로 하리
◎ 모시전(毛詩箋)
한(漢)나라 정현(鄭玄, 127~200)이 모형(毛亨)의 『모시전(毛詩傳)』에 전(箋)을 달아서 『모시전(毛詩箋)』을 지었다.
【鄭玄 序】 誘,進也。掖,扶持也。
【정현 서】 유(誘, 꾈 유)는 나아감이다. 액(掖, 겨드랑이 액)은, 도와서 견디어냄이다.
衡門之下、可以棲遲。
(형문지하 가이서지)
누추한 대문 아래에 한가로이 거처할만 한데
【鄭玄 箋】 箋雲:賢者不以衡門之淺陋則不遊息於其下,以喻人君不可以國小則不興治致政化。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현명 자[賢者]는 사립문의 천하고 누추함이 아니라면 그 아래에서 노닐고 쉬지 않는데, 그로써 군주된 사람이 나라가 작으면 안됨을 다스리는 정사가 달라져서 이르러 일으키지 못함을 비유함이다.”라고 하였다.
泌之洋洋、可以樂飢。
(비지양양 가이낙기)
샘물이 넘쳐흐르니 배고픔을 즐길만 하구나
【鄭玄 箋】 箋雲:饑者,不足於食也。泌水之流洋洋然,饑者見之,可飲以樂饑。以喻人君愨願,任用賢臣則政教成,亦猶是也。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기(饑, 주릴 기)라는 것은, 먹거리가 넉넉지 않음이다. 샘물의 흐름이 넓리 넘치는 것처럼 굶주린 자가 그것을 보고 [샘물을] 마심으로써 굶주림을 즐길 수 있으며, 그로써 군주된 사람이 성실한 원함을 비유하여 현명한 신하를 임용하면 정사를 본받아 이룸이 또한 이와 같음이다.”라고 하였다.
豈其食魚、必河之魴。
(기기식어 필하지방)
어찌 물고기 먹는데 반드시 하수 방어로 하고
豈其取妻、必齊之姜。
(기기취처 필제지강)
어찌 아내 취하며 반드시 제나라 강씨로 하나
【鄭玄 箋】 箋雲:此言何必河之魴然後可食,取其口美而已。何必大國之女然後可妻,亦取貞順而已。以喻君任臣何必聖人,亦取忠孝而已。齊,薑姓。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이는 어찌 반드시 하수의 방어로 한 연후에 먹을 수 있다고 말한다면 그 입 맛을 취할 뿐이다. 어찌 반드시 큰 나라의 따님으로 한 연후에 아내 삼을 수 있다면 또한 곧음을 취하여 따를 뿐이다. 그로써 군주가 신하에게 맏김을 어찌 반드시 성인에 비유하는데 또한 충효(忠孝)를 취할 뿐이다. 제(齊)나라는, 성(姓)이 강(薑)씨 이다.”라고 하였다.
豈其食魚、必河之鯉。
(기기식어 필하지리)
어찌 물고기 먹는데 반드시 하수 잉어로 하고
豈其取妻、必宋之子。
(기기취처 필송지자)
어찌 아내 취하며 반드시 송나라 자씨로 하리
【鄭玄 箋】 箋雲:宋,子姓。
【정현 전】 전(箋)에 이르기를 “송(宋)나라는, 성(姓)이 자(子)씨 이다.”라고 하였다.
《모시정의(毛詩正義)》
한(漢)나라 모형(毛亨)이 『시경(詩經)』에 전(傳)을 짓고 정현(鄭玄)이 전(箋)을 붙였으며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疏)를 지어 모시정의(毛詩正義)를 완성 하였다.
《衡門》,誘僖公也。願而無立誌,故作是詩以誘掖其君也。(誘,進也。掖,扶持也。○衡門,如字。衡,橫也。沈雲:「此古文橫字。」誘音酉。願音原,謹也。掖音亦。)
疏「《衡門》三章,章四句」至「其君」。○正義曰:作《衡門》詩者,誘僖公也。以僖公懿願而無自立之誌,故國人作是《衡門》之詩以誘導扶持其君,誘使自強行道,令興國致理也。經三章,皆誘之辭。○箋「誘,進也。掖,扶持」。○正義曰:「誘,進」,《釋詁》文。《說文》雲:「掖,持臂也。」僖二十五年《左傳》雲:「二禮從國子巡城,掖以赴外,殺之。」謂持其臂而投之城外也。此言「誘掖」者,誘謂在前導之,掖謂在傍扶之,故以掖為扶持也。定本作「扶持」。
衡門之下,可以棲遲。(衡門,橫木為門,言淺陋也。棲遲,遊息也。箋雲:賢者不以衡門之淺陋則不遊息於其下,以喻人君不可以國小則不興治致政化。)
泌之洋洋,可以樂饑。(泌,泉水也。洋洋,廣大也。樂饑,可以樂道忘饑。箋雲:饑者,不足於食也。泌水之流洋洋然,饑者見之,可飲以<疒樂>饑。以喻人君愨願,任用賢臣則政教成,亦猶是也。○泌,悲位反。洋音羊。樂,本又作「<疒樂>」,毛音洛,鄭力召反,沈雲:「舊皆作樂字,晚《詩》本有作疒下樂,以形聲言之,殊非其義。療字當從疒下作尞。」案《說文》雲:「<疒樂>,治也。」療或<疒樂>字也。則毛止作樂,鄭本作<疒樂>。下注放此。愨,苦角反。)
疏「衡門」至「樂饑」。○毛以為,雖淺陋衡門之下,猶可以棲遲遊息,以興雖地狹小國之中,猶可以興治致政。然賢者不以衡門之淺陋則不遊息於其下,以喻人君不可以國小則不興治致政,君何以不興治致政乎?觀泌水之流,洋洋廣大,君可以樂道忘饑。何則?泌者泉水,涓流不已,乃至廣大,況人君寧不進德?積小成大,樂道忘饑乎?此是誘掖之辭。○鄭以下二句言泌水之流廣大洋洋然,饑者可飲之以<疒樂>饑,以興有大德賢者,人君可任之,以成德教。誘君以任賢臣。餘同。○傳「衡門」至「遊息」。○正義曰:《考工記·玉人》注雲:「衡,古文橫,假借字也。」然則衡、橫義同,故知「衡門,橫木為門」。門之深者,有阿塾堂宇,此唯橫木為之,言其淺也。《釋詁》雲:「棲遲,息也。」舍人曰:「棲遲,行步之息也。」○傳「泌泉」至「忘饑」。○正義曰:《邶國》有 「毖彼泉水」,知泌為泉水。王肅雲:「洋洋泌水,可以樂道忘饑。巍巍南麵,可以樂治忘亂。」孫毓難肅雲:「既巍巍矣,又安得亂?此言臨水歎逝,可以樂道忘饑,是感激立誌,慷慨之喻,猶孔子曰:『發憤忘食,不知老之將至雲爾』。」案此傳雲「泌者,泉水」,又雲「洋洋,廣大」,則不可以逝川喻年老,故今為別解。案今定本作「樂饑」,觀此傳亦作「樂」,則毛讀與鄭異。○箋「饑者」至「猶是」。○正義曰:箋以經言「泌之洋洋,可以<疒樂>饑」,則是以水治饑,不宜視水為義。且下章勸君用賢,故易傳以為喻「任用賢臣則政教成」也。飲水可以<疒樂>渴耳,而雲<疒樂>饑者,饑久則為渴,得水則亦小<疒樂>,故言饑以為韻。
豈其食魚,必河之魴?
豈其取妻,必齊之薑?(箋雲:此言何必河之魴然後可食,取其口美而已。何必大國之女然後可妻,亦取貞順而已。以喻君任臣何必聖人,亦取忠孝而已。齊,薑姓。○魴音房。取音娶,下文同。)
豈其食魚,必河之鯉?
豈其取妻,必宋之子?(箋雲:宋,子姓。)
疏箋「齊,薑姓。宋,子姓」。○正義曰:齊者,伯夷之後,伯夷主四嶽之職,《周語》「祚四嶽,賜姓曰薑」。宋者,殷之苗裔,契之後也。《殷本紀》雲:「舜封契於商,賜姓曰子。」是「齊,薑姓。宋,子姓也」。
《衡門》三章,章四句。
'■ 시경(詩經) > 2.毛詩正義[공영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141. 묘문(墓門, 묘지의 문) (0) | 2021.11.05 |
---|---|
『시경(詩經)』139. 동문지지(東門之池, 동쪽 문의 연못) (0) | 2021.10.27 |
『시경(詩經)』137. 동문지분(東門之枌, 동문의 느릅나무) (0) | 2021.10.17 |
『시경(詩經)』136. 완구(宛丘, 완구 언덕) (0) | 2021.10.10 |
『시경(詩經)』135. 권여(權輿, 권세와 부귀) (0) | 2021.10.02 |